KR20060019823A - 오락용 전자드럼 - Google Patents

오락용 전자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823A
KR20060019823A KR1020040068487A KR20040068487A KR20060019823A KR 20060019823 A KR20060019823 A KR 20060019823A KR 1020040068487 A KR1020040068487 A KR 1020040068487A KR 20040068487 A KR20040068487 A KR 20040068487A KR 20060019823 A KR20060019823 A KR 2006001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um body
speaker
entertainmen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국
Original Assignee
박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국 filed Critical 박민국
Priority to KR102004006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823A/ko
Publication of KR2006001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반주를 통한 오락성과 노래방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오락용 전자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본체의 상판에 설치되는 드럼패드와, 드럼본체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드럼패드에서 입력된 시그널에 의해 스피커로 음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음원모듈을 구비하는 엠프;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노래 가사 및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선곡용의 리모콘;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 배면에 고정되어서 상측 전방으로 연장 설치된 마이크 지지홀더; 상기 지지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반주, 오락, 노래방, 전자드럼, 엠프, 모니터, 마이크

Description

오락용 전자드럼{Electronic drum for amus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오락용 전자드럼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락용 전자드럼을 도시한 후면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드럼본체 3-상판
5-드럼패드 7-스피커
9-엠프 11-상후부
13-모니터 15-리모콘
19-지지홀더 21-마이크
본 발명은 음악 반주를 통한 오락성과 노래방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개선한 오락용 전자드럼에 관한 것이다.
드럼과 같은 타악기의 연주를 모사하는 전자 오락 장치로서 현재까지 상용화된 오락기는 전자오락실에서 사용되는 전자드럼이 있는 바, 이러한 전자드럼은 실제의 드럼이나 심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모니터와 베이스 드럼 연주를 모사하 는 발 페달 장치, 드럼 및 심벌 부분을 모방한 타격부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전자드럼은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지시에 맞추어 지정된 연주 타격부를 스틱(stick)으로 두들기는 게임장치로서, 단지 드럼 연주 행위만을 모사하게 된다.
한편 통상의 노래방기기에 있어서는 리모콘에 의해 임의 노래를 선곡하면, 엠프를 통하여 음악 반주가 나오고 전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노래 가사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기기는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위한 작동에 한정되는바, 연주가 가능한 악기를 구비하여 노래 부르는 사람과 부르지 않는 사람이 함께 어울려 음악을 통해 즐길수 있는 오락문화가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8847호(2004.04.16)에는 노래방과 같은 장소에서 비전문가가 오락을 목적으로 하는 드럼연주와 다양한 효과음을 발생시켜 흥을 돋울 수 있도록 한 '효과음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드럼연주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전자드럼연주기는 스피커가 장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드럼본체, 상기 드럼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각각 드럼음과 특정한 효과음이 설정된 다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드럼패드, 상기 드럼패드에 타격을 가하면 스피커를 통하여 송출하는 음의 종류를 결정하는 모드를 키입력을 통하여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수단으로 상기 선택한 내용은 표시창을 통하여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되며 상기 드럼본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선택한 모드에 해 당하는 음 중에서 상기 진동센서가 작동한 드럼패드에 설정된 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자드럼연주기는 통상의 노래방기기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며, 일반적인 드럼연주기를 전자오락기의 형태로 구성하고 여기에 키입력수단과 진동센서 및 스피커를 부가하여 노래방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음악 반주기의 기능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자드럼연주기는 노래방기기와 별개로 독립되어 노래방의 일측 여유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노래를 선곡하거나 가사를 보여주거나 혹은 노래를 하기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려되어 있지 않으며, 그 결과 전자드럼연주기 자체의 독립된 구성만으로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노래방기기와 전자드럼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장치로서 구성함으로써, 노래방과 음악 반주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드럼본체의 상판에 설치되는 드럼패드와, 드럼본체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드럼패드에서 입력된 시그널에 의해 스피커로 음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음원모듈을 구비하는 엠프;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노래 가사 및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선곡용 의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된 오락용 전자드럼를 제안한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 배면에 고정되어서 상측 전방으로 연장 설치된 마이크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락용 전자드럼의 전면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후면 구성의 분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락용 전자드럼은 대략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된 드럼본체(1)를 기본 외관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드럼본체(1)의 상판(3)에는 각각 드럼음과 특정한 효과음이 설정된 드럼패드(5)가 설치된다. 드럼패드(5)는 통상의 드럼 구성과 마찬가지로 스네어(snare), 베이스(base), 탐탐(tomtom), 하이햇(hihat), 심벌(cymbal)패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탐탐(tomtom)패드는 다시 라지 탐탐(large tomtom)과 스몰 탐탐(small tomtom)으로 나뉘고, 상기 라지 탐탐(large tomtom)패드는 보통 플로어 탐탐(floor tomtom)이라고도 부르며, 상기 스몰 탐탐(small tomtom)패드는 보통 2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본체(1)의 하부 전면에는 스피커(7)가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7)는 특히 음원모듈을 구비한 엠프(9)와 함께 연결 구성된다. 엠프(9)는 드럼본체(1)의 뒷면 하부커버(10a)을 개방한 후 내부 공간에 수납 설치된다. 드럼패드 (5)에 의해 입력된 음 시그널은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엠프(9)를 통하여 스피커(7)로 출력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드럼본체(1)의 상판 뒤쪽에 직립된 상후부(11)에는 노래 가사 및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13)가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13)의 일측 사이드에는 선곡용의 리모콘(15)을 설치하고 있다. 리모콘(15)은 상후부(11)의 수납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11a)의 일부를 넓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15)의 버튼은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후부(11)의 평면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리모콘(15)에 의해 선정된 노래는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엠프(9)를 통하여 스피커(7)로 출력된다.
모니터(13)는 드럼본체(1)의 뒷면 상부커버(10b)를 개방한 후 그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것이며, 리모콘(15)의 수납하우징(17)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모니터(13)의 옆에 설치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드럼본체(1)의 상후부(11) 배면의 상부커버(10b)에는 마이크 지지홀더(19)가 고정 설치된다. 마이크 지지홀더(19)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드럼본체(1)의 상후부(11) 앞쪽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에는 마이크(2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는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엠프(9)를 통하여 스피커(7)로 출력되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락용 전자드럼은 엠프와 모니터와 리모콘 및 마이크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드럼패드를 두드리면서, 동시에 모니터를 통하여 가사를 보고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노래방기기와 전자드럼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노래방과 음악 반주를 동시에 실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드럼본체의 상판에 설치되는 드럼패드와, 드럼본체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드럼패드에서 입력된 시그널에 의해 스피커로 음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락용 전자드럼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음원모듈을 구비하는 엠프;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노래 가사 및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에 설치되며 선곡용의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락용 전자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본체의 상후부 배면에 고정되어서 상측 전방으로 연장된 마이크 지지홀더; 상기 지지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락용 전자드럼.
KR1020040068487A 2004-08-30 2004-08-30 오락용 전자드럼 KR20060019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87A KR20060019823A (ko) 2004-08-30 2004-08-30 오락용 전자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87A KR20060019823A (ko) 2004-08-30 2004-08-30 오락용 전자드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759U Division KR200367847Y1 (ko) 2004-08-30 2004-08-30 오락용 전자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823A true KR20060019823A (ko) 2006-03-06

Family

ID=3712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87A KR20060019823A (ko) 2004-08-30 2004-08-30 오락용 전자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8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music video game with a drum system game controller
US6441293B1 (en) System for generating percussion sounds from stringed instruments
WO2007055522A1 (en) Novel drum edutainment apparatus
EP099786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drum lessons
US20020002900A1 (en)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JPH10153992A (ja) 鍵盤楽器
JP2009025823A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WO2009052032A1 (en) Scheme for providing audio effects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for controlling images with same
US20190385577A1 (en) Minimalist Interval-Based Musical Instrument
JP2001067070A (ja) 電子楽器玩具
KR200367847Y1 (ko) 오락용 전자드럼
JP5320786B2 (ja) 電子楽器
KR20060019823A (ko) 오락용 전자드럼
US10546569B1 (en) Drum base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incorporating internal kick drum
WO2009096762A3 (ko) 자동음정 기타
JP2006208557A (ja) 電子打楽器
JP4244338B2 (ja) 音出力制御装置、楽曲再生装置、音出力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34578B1 (ko) 드럼방 장치
KR200348847Y1 (ko) 효과음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드럼연주기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KR200412551Y1 (ko) 전자 하모니카
CN211699703U (zh) 一种带自动伴奏的电钢琴
KR200400226Y1 (ko)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전자드럼
US20040011188A1 (en) Karaoke keyboard synthesized lyric maker
KR200353711Y1 (ko) 전자 하모니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