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469A -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신호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신호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469A
KR20060019469A KR1020040071619A KR20040071619A KR20060019469A KR 20060019469 A KR20060019469 A KR 20060019469A KR 1020040071619 A KR1020040071619 A KR 1020040071619A KR 20040071619 A KR20040071619 A KR 20040071619A KR 20060019469 A KR20060019469 A KR 2006001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wnlink
uplink
switch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957B1 (ko
Inventor
신재철
김정휘
장경운
이성춘
이상호
류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06001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125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 신호 발생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중계 장치의 전력 검출기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 및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신뢰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갖는 신뢰성 있는 TDD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상/하향 링크 신호를 중계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하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향링크 증폭 수단, 단말기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를 통과한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향링크 증폭 수단, 및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 레벨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TDD 중계 장치 등에 이용됨.
TDD, 전력 검출기, 프레임 동기, 프레임 카운터, 링크제어, Ramp Up, Ramp Down

Description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 신호 발생 방법{TDD Relay Apparatus using Electric Power Detector and Link Control Signal Generation Method}
도 1은 종래의 TDD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TDD 중계 장치의 스위치 제어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DD 중계 장치에서 처리하는 상/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TDD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동기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TDD 신호로부터 전력 검출기를 이용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상향링크 증폭부 2000 : 하향링크 증폭부
101 : 제 1 대역 제한 필터 102 : 제 1 스위치
103 : 저잡음 증폭기 104 : 제 1 커플러
105 : 제 3 스위치 106 : 중간 증폭기
107 : 제 1 감쇄기 108 : 고출력 증폭기
109 : 제 2 커플러 110 : 제 2 스위치
111 : 제 2 대역 제한 필터 113 : 제 4 스위치
115 : 제 2 감쇄기 117 : 제 3 커플러
118 : 프레임 동기부 201 : AGC부
202 : 전력 검출기 208 : 하향 출력 검출기
209 : 상향 출력 검출기 206 : 신뢰성 검증부
207 : 링크 제어 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Time Division Duplex)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DD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적으로 상향링크(Uplink) 및 하향링크(Downlink)를 교대로 배정하는 양방향 전송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TDD 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기 다른 주파수를 배정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보다 전송 효율이 높고, 타임슬롯의 동적 할당으로 비대칭 (asymmetric)이나 버스터(bursty)한 어플리케이션 전송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또한, TDD는 2.3 GHz 대역 휴대인터넷 방식의 적용 대상 기술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TDD 방식은 상/하향링크를 적절히 전환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검출 알고리즘이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종래에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데이터의 복조를 이용하거나, 특수 훈련 심볼의 상관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구현의 복잡성과 함께 기본적으로 장비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구현 비용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TDD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TDD 중계 장치는 TDD 프레임의 동기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형태의 구성으로서, 기지국 안테나(11)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D/C(Directional Coupler)(12)를 통해 입력받으면, 스위치 제어부(22)는 파일럿(Pilot) 신호를 검출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이를 토대로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중계 장치를 제어한다.
중계 장치의 하향링크 활성화 시에는, 기지국 안테나(11)를 통해서 들어온 기지국 신호가 제 1 스위치(13)를 거쳐 하향 대역제한필터(14), 저잡음 증폭기(LNA)(15) 및 고출력 증폭기(HPA)(16)을 통해 증폭된 후에 제 2 스위치(17)와 서비스 안테나(18)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활성화 시에는 서비스 안테나(18) 및 제 2 스위치(17)를 통해 들어온 단말기 신호가 상향 대역제한필터(19), 저잡음 증폭기(20), 고출력 증 폭기(21)을 통해 증폭된 후 제 1 스위치(13) 및 기지국 안테나(11)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도 2는 종래의 TDD 중계 장치의 스위치 제어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치 제어부(22)는 D/C(12)로부터 입력받은 기지국 신호를 중간 대역 변환부(31)에서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변환부(32)에서 기저 대역으로 변환한다.
이렇게 기저 대역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프레임 동기부(33)에서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게 된다.
이어서, 파일럿 획득부(34)는 프레임 동기부(33)로부터 프레임 동기된 신호를 입력받아 파일럿 심볼을 찾아 중계기가 정확한 위치에서 신호를 수신 받도록 한다.
이어서, 스위칭 시간 계산부(35)는 상/하향링크의 시간을 계산하여 중계기 내 제어 명령인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3, 17)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TDD 중계 장치는 프레임 동기 및 링크 제어를 위한 스위치 제어부가 복잡하고, 그 구현에 높은 비용이 소요되어 가격 경쟁력에서 문제되며, 또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기능이 없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중계 장치의 전력 검출기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 및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신뢰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갖는 신뢰성 있는 TDD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상/하향 링크 신호를 중계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하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향링크 증폭 수단, 단말기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를 통과한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향링크 증폭 수단, 및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 레벨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상/하향 링크 신호를 중계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TDD 중계 장치에 있어서, TDD 신호로부터 전력 검출을 이용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시간축상에서 TDD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TDD 전력 검출 신호 검출 단계, 상기 TDD 전력 검출 신호를 소정의 임계 값을 기준으로 카운팅하여 펄스를 발생시키고, TDD 신호의 전방 마진과 후방 마진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마지막점을 결정하여 하향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생성한 하향 링크 제어 신호를 토대로 TTG 및 RTG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DD 중계 장치에서 처리하는 상/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TDD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는 기지국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1 대역제한필터(101), 제 1 대역제한필터(101)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치(102),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하향링크 증폭부(1000), 서비스 안테나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2 대역제한필터(111), 제 2 대역제한필터(111)를 통과한 상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치(110), 제 2 스위치(110)를 통과한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기 위한 상향링크 증폭부(2000) 및 커플러들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중계 장치의 스위치 및 감쇄기를 제어하고, 상/하향링크의 증폭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장비의 오동작이나, 발진 등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부(118)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링크 증폭부(1000)는 제 1 스위치(102)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저잡음 증폭기(103), 저잡음 증폭기(10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 3 스위치(105) 및 프레임 동기부(118)로 출력하는 제 1 커플러(104), 상기 제 1 커플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하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통과시키고 상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오프(OFF)되어 상/하향 신호를 격리시키는 제 3 스위치(105), 상 기 제 3 스위치(105)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증폭기(106), 상기 중간 증폭기(106)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1 감쇄기(107), 상기 제 1 감쇄기(107)를 통과한 신호를 원하는 최종 출력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출력 증폭기(108), 및 상기 고출력 증폭기(108)의 출력 신호를 제 2 스위치(110) 및 프레임 동기부(118)로 출력하는 제 2 커플러(109)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링크 증폭부(2000)는 제 2 스위치(110)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저잡음 증폭기(112), 상기 저잡음 증폭기(1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통과시키고 하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오프(OFF)되어 상/하향 신호를 격리시키는 제 4 스위치(113), 상기 제 4 스위치(113)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증폭기(114), 상기 중간 증폭기(114)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감쇄기(115), 상기 제 2 감쇄기(115)를 통과한 신호를 원하는 최종 출력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출력 증폭기(116) 및 상기 고출력 증폭기(116)의 출력 신호를 제 1 스위치(102) 및 프레임 동기부(118)로 출력하는 제 3 커플러(117)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플러(104, 109, 117)의 두 출력 중, 프레임 동기부(118)로의 출력신호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약 -20dB 정도의 신호만 보내면 충분하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신호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 시, 제 1 스위치는 하향링크 증폭부(1000) 방향으로 스위칭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는 제 1 대역제한필터 (101)를 통과하여 제 1 스위치(102)를 통과하여 저잡음 증폭기(103)를 통해 증폭되고, 제 1 커플러(104)에 의해 프레임 동기부(118)로 도 4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TDD 신호 중 하향링크 신호가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D 신호는 하향링크 신호와 상향링크 신호가 TTG 및 RTG에 의해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 동기부(118)는 제 2 커플러(109)의 하향링크 신호를 받아 전력 검출기를 통해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의 프레임 시간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102), 제 2 스위치(110), 제 3 스위치(105), 제 4 스위치(113), 제 1 감쇄기(107) 및 제 2 감쇄기(115)를 통해 링크를 제어한다. 프레임 동기부(118)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 동기부(118)에서 TDD 프레임의 동기를 획득하고 난 후의 중계 장치의 동작은 하향링크의 경우 기지국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제 1 대역제한필터(101)를 통과하여 제 1 스위치(102)를 지나 저잡음 증폭기(103)에서 증폭된 다음 제 1 커플러(104)를 통해 프레임 동기부(118)와 제 2 스위치(105)로 공급된다.
제 3 스위치(105)를 통과한 신호는 중간 증폭기(106)를 통해 증폭된 다음 제 1 감쇄기(107)에서 적절한 이득으로 설정되고 고출력 증폭기(108)을 통해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된 다음 제 2 커플러(109)를 통해 제 2 스위치(110)와 프레임 동기부(118)로 신호가 나누어 출력된다.
프레임 동기부(118)는 검출된 전력 신호의 정보를 토대로 중계기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이 신호를 이용하게 된다.
제 2 스위치(110)는 입력 신호를 제 2 대역제한필터(111)를 거쳐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측으로 송신하게 한다.
한편, 상향링크의 경우에는 서비스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 2 대역제한필터(111)를 통해 제 2 스위치(110)를 통과하여 저잡음 증폭기(112), 제4 스위치(113), 중간 증폭기(114), 제 2 감쇄기(115), 고출력 증폭기(116)를 거쳐 제 3 커플러(117)를 지나 다시 제 1 스위치(102)를 통과하여 제 1 대역제한필터(101),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 때, 제 3 커플러(117)는 상향링크 신호를 나누어 프레임 동기부(118)로 전달하여 전력 검출기에서 검출한 신호정보를 토대로 중계 장치의 신뢰성 검증에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 동기부(118)는 링크 신호 발생 외에 각 상/하향링크의 출력을 감시함으로써 장비의 오동작이나, 발진 등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중계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동기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동기부는 제 1 커플러(104)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해주는 AGC(Automatic Gain Control)부(201), AGC부(201)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202), 전력 검출기(202)의 검출 신호를 토대로 동기 클럭을 발생하는 동기 클럭 발생부(203), 동기 클럭 발생부(203)로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기준 시간부(205), 동기 클럭 발생부(203)로부터 입력받은 동기 신호의 신뢰성 및 상/하향 출력 검출기(208, 209)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근거로 상/하향 링크 증폭부(1000, 20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신뢰성 검증부(206), 신뢰성 검증부(206)로부터 입력받은 동기 신호의 옵셋을 조정하여 프레임 동기를 검출하는 프레임 카운터(204), 신뢰성 검증부(206)의 신호에 근거하여 링크 제어 신호(207)를 발생하는 링크 제어 신호 발생부(207), 제 2 커플러(109)로부터 하향링크 증폭부(1000)에서 증폭된 하향링크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중계 장치의 오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하향링크의 출력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뢰성 검증부(206)로 오동작 정보 등을 출력하는 하향 출력 검출기(208) 및 제 3 커플러(117)로부터 상향링크 증폭부(1000)에서 증폭된 상향링크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중계 장치의 오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상향링크의 출력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뢰성 검증부(206)로 오동작 정보 등을 출력하는 상향 출력 검출기(209)를 포함한다.
전술한 프레임 동기부(118)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상호간의 결합관계 및 신호 처리의 순서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GC부(201)는 제 1 커플러(104)를 통해 입력받은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의 전력레벨을 검출하여 항상 일정한 레벨을 만들고, 전력 검출기(202)는 레벨 검출을 통해 시간 정보를 동기 클럭 발생부(203)로 전송한다.
동기 클럭 발생부(203)는 기준 시간부(205)의 신호를 기준으로 클럭을 발생시키고 프레임 카운터(204)는 정해진 시간 정보만큼 라이징 타임(Rising Time)과 폴링 타임(Falling Time)에 옵셋을 적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신뢰성 검증부(206)에서는 획득한 프레임 동기 신호가 임계(Threshold) 값 이상의 신뢰도를 나타내면 동기 획득으로 판단하고 프레임 카운터(204)의 정보를 바탕으로 링크 제어신호 발생부(207)에 프레임 동기 정보를 전송한다.
링크 제어 신호 발생부(207)는 하향링크의 프레임 동기 정보와 TTG, RTG 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시간을 산출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중계 장치의 동작이 정상화되면 신뢰성 검증부(206)는 제 2 커플러(109)를 통해 들어오는 하향링크 출력 신호를 검출하는 하향 출력 검출기(208)의 검출신호와 제 3 커플러(117)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검출하는 상향 출력 검출기(209)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중계기의 스위치 동작의 신뢰도를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중계 장치 전체 시스템의 감시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TDD 신호로부터 전력 검출기를 이용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축 상에서 구성되어 있는 TDD 신호(301)를 전력 검출기(202)로 검출한 파형인 전력 검출기 검출신호(302)는 램프 업(Ramp Up)과 램프 다운(Ramp Down)의 현상이 TDD 신호의 시작점과 마지막 점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동기 클럭 발생부(203)는 이러한 현상의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여 신호의 시작점과 마지막 점에 대한 시간 옵셋 값을 정하여 TDD 신호의 시작점과 마지막 점을 찾아서 기지국 신호와의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전력 검출기 검출신호(302)를 소정의 임계 값을 기준으로 카운팅하여 펄스를 발생시키고 TDD 신호에 대하여 전방 마진과 후방 마진을 정하여 시작점과 마지막 점을 정하고 신뢰성을 검증한 후, 링크 제어 신호 발생부(207)에서 하향 링크 제어 신호(303)를 발생한다.
하향링크의 시간 정보를 정확히 알면 이미 알고 있는 TTG, RTG를 이용해 상향링크의 시간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상향링크의 프레임 동기시간 산출결과를 토대로 전술한 하향링크 제어신호 발생 절차와 마찬가지로 전방 마진과 후방마진을 두어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의 전력 검출을 통해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시스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계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의 전력 검출을 통해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상/하향링크 최종 출력의 전력을 검출하여 중계 장치의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여러 종류의 TDD 중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상/하향 링크 신호를 중계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중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과한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하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향링크 증폭 수단;
    단말기 방향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를 통과한 상향링크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향링크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향링크 증폭 수단; 및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 레벨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 수단
    을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증폭 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신호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 동기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커플러;
    상기 제 1 커플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하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통과시키고 상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차단하여 상/하향 신호를 격리시키기 위한 제 3 스위치;
    상기 제 3 스위치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증폭기;
    상기 중간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 1 감쇄기;
    상기 제 1 감쇄기를 통과한 신호를 원하는 최종 출력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출력 증폭기; 및
    상기 고출력 증폭기에서 출력된 하향링크 출력 신호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 동기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 2 커플러
    를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증폭 수단은,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를 상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통과시키고 하향링크 처리 시간 동안에는 차단하여 상/하향링크 신호를 격리시키기 위한 제 4 스위치; 및
    상기 상향링크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의 일부를 프레임 동기 수단으로 출력 하는 제 3 커플러
    를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 수단은,
    상기 제 1 커플러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이득 조정 수단;
    상기 이득 조정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여 하향링크 전력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력 검출 수단; 및
    상기 전력 검출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전력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동기 클럭 발생 수단
    을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 수단은,
    상기 동기 클럭 발생 수단의 동기 신호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신뢰성 검증 수단;
    상기 신뢰성 검증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동기 클럭의 옵셋을 조정하여 프레 임 동기를 검출하는 프레임 카운팅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동기 수단은,
    상기 제 2 커플러로부터 입력받은 하향링크 출력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신뢰성 검증 수단으로 오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하향 출력 검출 수단;
    상기 제 3 커플러로부터 입력받은 상향링크 출력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신뢰성 검증 수단으로 오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상향 출력 검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력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링크 제어 신호 발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중계 장치.
  8.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상/하향 링크 신호를 중계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TDD 중계 장치에 있어서, TDD 신호로부터 전력 검출을 이용하여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시간축상에서 TDD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TDD 전력 검출 신호 검출 단계;
    상기 TDD 전력 검출 신호를 소정의 임계 값을 기준으로 카운팅하여 펄스를 발생시키고, TDD 신호의 전방 마진과 후방 마진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마지막점을 결정하여 하향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생성한 하향 링크 제어 신호를 토대로 TTG 및 RTG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상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검출을 이용한 링크 제어 신호 발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TDD 전력 검출 신호의 램프 업과 램프 다운 현상을 이용하여 기지국 신호와의 동기를 획득하는 동기 획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검출을 이용한 링크 제어 신호 발생 방법.
KR1020040071619A 2004-08-27 2004-09-08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신호 발생 방법 KR101079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78 2004-08-27
KR20040068178 200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69A true KR20060019469A (ko) 2006-03-03
KR101079957B1 KR101079957B1 (ko) 2011-11-04

Family

ID=3712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19A KR101079957B1 (ko) 2004-08-27 2004-09-08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신호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9B1 (ko) * 2004-12-21 2007-03-20 (주)에프알텍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100968368B1 (ko) * 2006-10-27 201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복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안테나 스위칭 장치
KR101036138B1 (ko) * 2010-05-17 2011-05-23 (주)트루테크놀러지스 시분할 통신용 중계증폭장치
KR102153434B1 (ko) 2019-07-09 2020-09-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기 신호를 이용한 무선중계기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08196B1 (ko) * 2021-03-10 2021-10-01 주식회사 유큐브이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9B1 (ko) * 2004-12-21 2007-03-20 (주)에프알텍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100968368B1 (ko) * 2006-10-27 201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복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안테나 스위칭 장치
US7787832B2 (en) 2006-10-27 2010-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X/RX antenna switch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36138B1 (ko) * 2010-05-17 2011-05-23 (주)트루테크놀러지스 시분할 통신용 중계증폭장치
KR102153434B1 (ko) 2019-07-09 2020-09-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기 신호를 이용한 무선중계기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637622B2 (en) 2019-07-09 2023-04-25 Sk Telecom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gain of RF repeater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KR102308196B1 (ko) * 2021-03-10 2021-10-01 주식회사 유큐브이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27124A (ko) * 2021-03-10 2022-09-19 주식회사 유큐브이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957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083B2 (en) Communication repeater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4512763A (ja) 選択的に活性化される自動利得制御信号測定装置
KR101079957B1 (ko) 전력 검출기를 이용한 tdd 중계 장치 및 링크 제어신호 발생 방법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JPH07131401A (ja) 無線中継装置
JP6352729B2 (ja) レピータシステム、レピータ装置及びタイミング信号生成方法
JP4419731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697209B1 (ko)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100700894B1 (ko) 티디디 방식의 중계기용 프레임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JP2010283717A (ja) 受信機
KR100690112B1 (ko) Tdd 방식 중계기의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59672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 기반 소형 알에프 중계기용 동기장치및 방법
CN219611789U (zh) 用于时分复用移动网络中的中继放大器
US9344141B2 (en) Electronic device and data control method
KR100611276B1 (ko) 중계장치, 그 중계장치의 제어방법, 그 중계장치에 속하는링크제어장치 및 그 링크제어장치의 제어방법
JP4918132B2 (ja) 中継装置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JP6751114B2 (ja) レピータ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94553B1 (ko) 이동통신시스템용 감쇠 및 보고장치
KR100807291B1 (ko) 티디디 방식 무선 중계기 및 중계방법
KR1008399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용 다운컨버터
KR20070008015A (ko) 시간분할다중방식 무선중계장치에서의 타이밍 동기방법
KR102022342B1 (ko) 비면허대역 주파수 집성기술 기지국 장치
KR100960661B1 (ko) 무선 주파수 신호의 경로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060112270A (ko) 와이브로 시스템의 rf 중계기에서 이동통신 단말을이용한 동기신호 추출 방법
KR20050117995A (ko) Tdd 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 중계기의 절체 제어신호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