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420A -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420A
KR20060019420A KR20040068093A KR20040068093A KR20060019420A KR 20060019420 A KR20060019420 A KR 20060019420A KR 20040068093 A KR20040068093 A KR 20040068093A KR 20040068093 A KR20040068093 A KR 20040068093A KR 20060019420 A KR20060019420 A KR 2006001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storage tank
decomposition
reservoi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6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671B1 (ko
Inventor
박정재
한국광
Original Assignee
박정재
한국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재, 한국광 filed Critical 박정재
Priority to KR2004006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6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조에 분뇨를 저장한 후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교반기, 폭기장치를 설치하며,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하며,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생활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뇨처리시스템은,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조가 포함된 분뇨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일측에 삽통되어 내부에 분뇨를 유입시키기 위한 분뇨투입관과, 저면에 침전된 분뇨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이 설치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 수위를 센서로 감지하여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에 설치되데, 상기 프로펠러는 분뇨의 내부에 잠기도록 형성된 교반장치와; 유용미생물이 배양되고, 배양된 유용미생물은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연통된 분사관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사하여 저장된 분뇨의 분해를 촉진하고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유용미생물배양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분뇨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은, 밀폐된 저장조 내에 분뇨를 저장하고, 교반기와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해를 촉진시키며, 유용미생 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가스 배출시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서, 잔류악취가스를 모두 제거한 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조에는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메탄가스를 생활에너지로 재사용하는 등 대기오염을 줄이고 에너지를 창출하는 친환경적인 분뇨처리시스템과 처리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분뇨처리시스템, 유용미생물, 저장조, 교반장치, 저장탱크

Description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Night Soil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폭기장치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폭기장치가 저장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히터 및 소각장치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히터가 저장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뇨 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뇨처리시스템 20 : 저장조
30 : 교반장치 40 : 유용미생물배양기
50 : 폭기장치 60 : 저장탱크
70 : 히터 80 : 소각장치
210 : 벽체 220 : 덮개
230 : 분뇨투입관 240 : 슬러지배출관
250 : 가스배출관 260 : 필터
310 : 부구 320 : 구동모터
330 : 프로펠러 410 : 제어부
420 : 분사관 510 : 흡입팬
520 : 유도관 530 : 폭기관
531 : 통공 610 : 이송관
710 : 태양열집열판 720 : 축열장치
P1 : 분뇨유입과정 P2 : 분해과정
P3 : 유용미생물투입과정 P4 : 배출과정
본 발명은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조에 분뇨를 저장한 후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교반기, 폭기 장치를 설치하며,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하며,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생활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뇨의 처리에는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학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단시간 안에 처리하기 위해 탈수 후 건조하여 배출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분뇨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메탄 등의 악취가스 때문에 도심에서는 인가와 최대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처리되고 있다.
또한, 분뇨처리장의 신설시 악취가스로 인한 주민등의 반발로 설치장소를 선택하는 것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도심과 너무 먼 거리에 설치하여도 운반등에 소비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등 많은 단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분뇨를 저장하는 저장조를 밀폐형태로 형성하고, 발생된 암모니아 및 메탄등 악취가스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거하는 등 악취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도심과 처리장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악취 처리비용이 추가로 소요됨에 따라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은 여전히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밀폐된 저장조 내에 분뇨를 저장하고, 교반기와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분뇨 처리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가스 배출시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서 잔류악취를 모두 제거한 후 배출하게 하는 분뇨처리시스템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조에는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하여 생활에너지로 재활용해 사용하는 등 친환경적인 분뇨처리시스템과 처리방법의 제공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은,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조가 포함된 분뇨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일측에 삽통되어 내부에 분뇨를 유입시키기 위한 분뇨투입관과, 저면에 침전된 분뇨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이 설치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 수위를 센서로 감지하여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에 설치되데, 상기 프로펠러는 분뇨의 내부에 잠기도록 형성된 교반장치와; 유용미생물이 배양되고, 배양된 유용미생물은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연통된 분사관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사하여 저장된 분뇨의 분해를 촉진하고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유용미생물배양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뇨처리시스템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이 장착되고, 흡입 된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으로 관의 일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저장조에 공급하며 상기 저장조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폭기관으로 이루어진 폭기장치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의 덮개는 반원의 돔형태로 형성하여 덮개의 최상단에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여 내부에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로 표출된 가스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가 충전되어 악취가스를 분해하도록 하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의 덮개는 메탄가스가 모을 수 있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하고, 저장조의 외부에는 가정에 메탄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의 상부와 저장탱크는 이송관으로 연통 설치하여 저장조의 메탄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태양열집열판과, 상기 태양열집열판으로 포집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장치를 더 설치하여 저장조의 분뇨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통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를 충전하고 남은 잉여 메탄가스를 소각하여 제거하는 소각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을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조를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에 있어서, 분뇨투입관을 이용하여 분뇨를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하는 분뇨유입과정과; 유입된 분뇨를 부유하는 교반장치로 고루 교반하여 분해를 촉진시키는 분해과정과;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분해시키기 위해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는 유용미생물투입과정과; 저장조에 침전된 분뇨슬러지와 분해시 발생된 메탄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해과정에는 분뇨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의 산소를 흡입하여 분뇨에 공급하는 폭기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태양열집열판으로 충전한 에너지로 구동되는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포함되어 분뇨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과정에는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가 충전되어 있는 필터에 분뇨분해로 발생된 악취가스를 통과시켜 잔여악취가스를 완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링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과정에는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가정, 공장등의 생활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탱크에 포집하는 메탄저장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폭기장치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폭기장치가 저장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히터 및 소각장치가 설치된 분뇨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히터가 저장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뇨 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은 분뇨를 저장하는 저장조(20)와,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는 교반장치(30)와, 상기 저장조에 주기적으로 유용미생물을 공급하는 유용미생물배양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조(2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측벽인 벽체(210)와, 상기 벽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저장조(20)에는 덮개의 일측 또는 저장조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의 상부 일측에 외부의 분뇨를 저장조내로 유입시키는 분뇨투입관(2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조의 저면에는 분해된 분뇨가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2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슬러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러지배출관(240)의 일측단부가 설치된 저장조(20)의 저면이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장조의 저면을 경사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장조(20)는 분뇨를 유입하여 분해가 완료한 후 배출하거나, 별도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조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분뇨유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투명한 채광창을 형성하여 햇빛에 의한 분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장치(30)는 저장조(20)에 저장된 분뇨를 교반하여 산소 또는 후술되는 유용미생물이 고루 혼합되게 함으로서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교반장치(30)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33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20)가 분뇨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구(310)가 더 장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같이 부구(310)의 상부에 구동모터(320)가 장착되고, 축에 의해 연결된 프로펠러(330)는 분뇨에 잠기게 장착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용미생물배양기(40)는 저장조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관(420)에 의해 저장조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저장조(20) 내에 위치하는 분사관(420)의 입구는 분뇨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거나, 저장된 분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자연유하 방식 이외에 분무하는 방식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용미생물배양기(40)는 제어부(410)가 내장되어 있어 배양된 미생물을 주기적 또는 설정된 량 만큼 저장조(20)에 투입되게 하는 것으로, 배양되는 미생물로는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ganisms;EM) 또는 분뇨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 물이 하나 또는 둘을 혼합되어 배양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분뇨처리시스템(10)에는 폭기장치(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폭기장치(50)는 저장조(2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510)이 장착되고, 흡입팬으로 흡입한 공기를 저장조의 내부로 이송하는 유도관(520)과, 상기 유도관에 연통설치되어 상기 흡입공기를 저장조(20)의 내부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폭기관(530)이 설치된다.
상기 폭기관(530)은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저장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관을 연통설치하여 저장조에 넓게 형성시키며, 관의 상측에는 다수의 통공(531)이 형성되어 흡입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조의 폭기장치(50)는 도시된 폭기관(530)에 의한 폭기 이외에 폭기관 자체를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유도관과 교반장치에 각각 연결시킴으로서 교반장치의 유동에 따라 폭기작용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10)에는 가스배출관(250)과 필터(2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조(20)에 담긴 분뇨는 부패 또는 분해되면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가스는 무취의 가스도 있지만 대개 암모니아 등 악취를 풍기는 가스가 대다수이므로, 상기 악취가스를 정화한 후 배출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의 덮개(220)를 호 형상 또는 돔형태로 형성하고, 최상단에 가스배출관(250)을 설치하여 공기보다 가벼운 악취가스가 용이하게 포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외부로 표출된 가스배출관(250)의 단부에는 필터(260)를 더 장착시킴으로서 악취가스가 분해배출하는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필터(260)는 악취가스의 분해력이 우수한 유용미생물을 섬유사에 코팅하여 상기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를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분뇨처리시스템(10)에는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60)를 설치할 시에는 상기 저장조의 덮개(220)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하여 메탄가스가 덮개의 상부에 용이하게 모일수 있도록 하고, 이송관(610)의 일단은 상기 저장탱크(6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220)의 최상부에 연통설치함으로서 저장조(2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가 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60)는 가정 또는 공장의 난방기구와 연결되어 저장된 메탄가스를 생활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관(610)의 일측에는 메탄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소각장치(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조(5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는 1차적으로 저장탱크(60)에 포집되고, 저장탱크가 포화되면 메탄가스를 소각장치 (80)로 이송하여 소각함으로서 잉여된 메탄가스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장조(20)에는 히터(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히터(70)는 저장조에 저장된 분뇨에 열을 가함으로서 부패 또는 분해를 촉진시키고 메탄가스의 발생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히터(70)의 열발생부분을 저장조에 넓게 분포시켜 열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히터의 전원공급은 일반적인 전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비용절감 측면에서 일측에 태양열집열판(710)을 설치하고, 상기 태양열집열판에서 집열된 에너지를 축열장치(720)에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열장치(720)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술한 소각장치(80)의 점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분뇨처리시스템을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뇨유입과정(P1)과, 분해과정(P2), 유용미생물투입과정(P3) 및 배출과정(P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뇨유입과정(P1)은 분뇨투입관을 이용하여 외부의 분뇨를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하는 과정으로, 유입되는 분뇨는 인분,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것으로, 더 큰 의미로는 오폐수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저장조에 유입된 분뇨에는 분해과정(P2)이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조의 분뇨 수위를 부유하는 교반장치 즉,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프로펠라의 회전력에 의해 산소를 분뇨에 고루 섞이게 하면서 분뇨덩어리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교반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흡입팬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저장조의 저면에 설치된 폭기관의 통공을 통해 상기 유입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저장된 분뇨에 산소농도를 증가시켜 분해 또는 부패속도를 증가시키는 폭기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태양열집열판에 의해 집열된 축열장치로부터 에너지를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설치된 히터에 공급함으로서 저장된 분뇨의 온도를 증가시켜 분해 및 부패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교반단계와 폭기단계 및 가열단계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서 분해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해과정 다음으로는 유용미생물투입과정(P3)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는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킴으로서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악취를 발생시키는 여러 가스 중 특정가스를 선택하여 분해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유용미생물배양기에서 배양된 미생물을 제어부의 컨트롤에 의해 저장조에 주기적으로 적량 투입하며, 이와같이 투입된 유용미생물은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즉시 분해해여 악취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용미생물배양기에는 상술한 유용미생물 이외에 분해를 촉진시키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유용미생물과 혼합투입 또는 단독으로 저장조에 투입함으로서 분뇨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용미생물투입과정 다음으로는 배출과정(P4)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과정은 저장조내에서 분뇨의 부패/분해시 발생된 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저장조의 덮개 상층으로 포집되고, 이와같이 포집된 가스는 가스배출관 또는 이송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부패가 완료된 분뇨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이다.
특히, 상기 가스의 배출과정에서는 배출되는 가스를 완전분해하는 필터링단계와, 포집하여 생활에너지로 재활용하기 위한 메탄저장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링단계에서는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가 충전되어 있는 필터를 이용하여 악취가스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필터는 1단으로 형성하여 배출하거나, 다단으로 형성하여 악취가스의 분해가 수차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탄저장단계에서는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여러 가스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메탄가스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발생된 메탄가스를 덮개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관을 통해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생활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의 용량을 초과한 잉여 메탄가스는 이송관의 일측에 설치된 소 각장치로 이송되어 소각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은,
밀폐된 저장조 내에 분뇨를 저장하고, 교반기와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해를 촉진시키며,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가스 배출시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서, 잔류악취가스를 모두 제거한 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조에는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메탄가스를 생활에너지로 재사용하는 등 대기오염을 줄이고 에너지를 창출하는 친환경적인 분뇨처리시스템과 처리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11)

  1.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조가 포함된 분뇨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210)와, 상기 벽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220)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일측에 삽통되어 내부에 분뇨를 유입시키기 위한 분뇨투입관(230)과, 저면에 침전된 분뇨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240)이 설치된 저장조(20)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분뇨 수위를 센서로 감지하여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330)가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310)에 설치되데, 상기 프로펠러는 분뇨의 내부에 잠기도록 형성된 교반장치(30)와;
    유용미생물이 배양되고, 배양된 유용미생물은 내장된 제어부(410) 및 상기 저장조의 내측에 연통된 분사관(420)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사하여 저장된 분뇨의 분해를 촉진하고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유용미생물배양기(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510)이 장착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하는 유도관(520)과, 상기 유도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으로 관 의 일측면에 다수의 통공(531)이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저장조에 공급하며 상기 저장조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폭기관(530)으로 이루어진 폭기장치(5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덮개(220)는 반원의 돔형태로 형성하여 덮개의 최상단에는 가스배출관(250)을 설치하여 내부에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외부로 표출된 가스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가 충전되어 악취가스를 분해하도록 하는 필터(2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덮개(220)는 메탄가스가 모을 수 있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하고, 저장조의 외부에는 가정에 메탄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탱크(60)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의 상부와 저장탱크는 이송관(610)으로 연통 설치하여 저장조의 메탄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20)의 내부에는 히터(70)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태양열집열판(710)과, 상기 태양열집열판으로 포집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장치(720)를 더 설치하여 저장조의 분뇨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610)의 일측에 연통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충전되고 남은 잉여 메탄가스를 소각하여 제거하는 소각장치(8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시스템.
  7.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조를 이용한 분뇨처리방법에 있어서,
    분뇨투입관을 이용하여 분뇨를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하는 분뇨유입과정(P1)과;
    유입된 분뇨를 부유하는 교반장치로 고루 교반하여 분해를 촉진시키는 분해과정(P2)과;
    분뇨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분해시키기 위해 유용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는 유용미생물투입과정(P3)과;
    저장조에 침전된 분뇨슬러지와 분해시 발생된 메탄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과정(P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과정(P2)에는 분뇨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의 산소를 흡입하여 분뇨에 공급하는 폭기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과정(P2)에는 분뇨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태양열집열판으로 충전한 에너지로 구동되는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조를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방법.
  10. 제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과정(P4)에는 유용미생물이 코팅된 섬유사가 충전되어 있는 필터에 분뇨분해로 발생된 악취가스를 통과시켜 잔여악취가스를 완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과정(P4)에는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가정, 공장등의 생활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탱크에 포집하는 메탄저장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방법.
KR20040068093A 2004-08-27 2004-08-27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KR10067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8093A KR100674671B1 (ko) 2004-08-27 2004-08-27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8093A KR100674671B1 (ko) 2004-08-27 2004-08-27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20A true KR20060019420A (ko) 2006-03-03
KR100674671B1 KR100674671B1 (ko) 2007-01-25

Family

ID=3712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68093A KR100674671B1 (ko) 2004-08-27 2004-08-27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6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77B1 (ko) * 2008-10-31 2009-04-17 (주)화인이테크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장치
KR100945786B1 (ko) * 2009-04-13 2010-03-05 최정규 태양광 발전으로 동작하는 메탄가스 생성장치
KR101351005B1 (ko) * 2012-07-02 2014-01-14 서준용 혐기성 소화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KR101351003B1 (ko) * 2012-07-02 2014-01-14 서준용 원형 분사관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CN106145584A (zh) * 2016-05-12 2016-11-23 武汉乡愁庭院农业科技有限公司 污泥快速发酵制肥或制土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71B1 (ko) 2006-09-05 2008-03-11 대한민국 악취저감용 액비저장장치
KR101375343B1 (ko) * 2012-04-06 2014-03-18 김응일 폐기물쓰레기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시스템
KR102517543B1 (ko) 2020-11-04 2023-04-05 (주)필택산업 저장부처리시스템의 지지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77B1 (ko) * 2008-10-31 2009-04-17 (주)화인이테크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장치
KR100945786B1 (ko) * 2009-04-13 2010-03-05 최정규 태양광 발전으로 동작하는 메탄가스 생성장치
KR101351005B1 (ko) * 2012-07-02 2014-01-14 서준용 혐기성 소화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KR101351003B1 (ko) * 2012-07-02 2014-01-14 서준용 원형 분사관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조 및 이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CN106145584A (zh) * 2016-05-12 2016-11-23 武汉乡愁庭院农业科技有限公司 污泥快速发酵制肥或制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4671B1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5025B (zh) 高效低能耗城镇生活污水处理系统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30113561A (ko) 폐기물쓰레기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시스템
KR100674671B1 (ko) 분뇨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방법
CN110560461A (zh) 一种箱形推移式生活垃圾连续好氧发酵系统及其应用方法
CN102424475A (zh) 一种具有双重生化功能的化粪池
KR101000506B1 (ko) 분뇨, 오수 및 축산폐수 고도처리장치
JP2007001778A (ja) 生ゴミ等の肥料化方法及び肥料化装置
CN108069569A (zh) 组合式流动床净化器
KR10087599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CN107986566A (zh) 水利水电环境工程用污水净化处理设备
CN206645889U (zh) 一种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202945124U (zh) 一种高效低能耗城镇生活污水处理系统
JP2005125185A (ja) バイオガス発生装置およびバイオガス発電システム
CN106007216A (zh) 一种适用于农村生活污水处理的卧式一体化设备
CN206886928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100215086B1 (ko) 고온 호기성 소화시스템 및 혐기 소화시스템 전환 겸용 복합 폐수 처리 시스템
CN205603316U (zh) 一体化污水处理处理器
KR100995567B1 (ko) 유기 폐기물을 이용한 가스제조장치
JPH11226553A (ja) 微生物による固形有機物の水中分解処理方法
CN220265544U (zh) 一种肉猪养殖用粪便收集降解系统
CN212864473U (zh) 一种环保用污水处理装置
CN212741069U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设备
CN212246695U (zh) 一种黑臭水体治理用除臭装置
CN219885852U (zh) 一种农村户级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