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173A -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 Google Patents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173A
KR20060019173A KR1020040067688A KR20040067688A KR20060019173A KR 20060019173 A KR20060019173 A KR 20060019173A KR 1020040067688 A KR1020040067688 A KR 1020040067688A KR 20040067688 A KR20040067688 A KR 20040067688A KR 20060019173 A KR20060019173 A KR 20060019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wall
sofa
inle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진
Original Assignee
(유) 이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이도건설 filed Critical (유) 이도건설
Priority to KR102004006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173A/ko
Publication of KR2006001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벽 및 방파제 그리고 해안의 호안 등에 설치하여 외해에서 내습하는 파랑의 반사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항내의 정온을 유지하여, 정박된 선박의 보호는 물론 안전한 항내 작업에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외해와 내해의 해수 유통기능을 겸비한 소파블럭과 파랑의 소파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파블럭의 전방몸체를 기준으로 좌, 우에 파랑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는데, 좌, 우의 파랑유입구 중 일 측 파랑유입구에 파랑유도벽을 설치하고 이 일 측 파랑유입구를 직진해오는 파랑을 파랑유도벽이 중간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파랑유도공을 통하여 타 측 파랑유입구를 통하여 직진해오는 파랑과 충돌시켜 파랑의 외력을 상호 흡수 쇄파하여 반사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파블럭 구조와 소파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사파, 소파블럭, 파랑, 안벽, 방파제

Description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Wave dissipating method and wave dissipating block of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소파구조 및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소파구조 및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해수 유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해수 유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전방몸체 110. 상부판
111. 철부 120. 하부판
121. 요부 130. 중간벽체
131. 파랑유도공 140. 파랑유도벽
150. 파랑유입구 200. 중간몸체
210. 관통공 300. 후방몸체
310. 소파벽
항만의 정온의 확보는 항만 구조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정온의 확보는 일차적으로 방파제등 외곽시설을 통해 대부분 해결하고자 하나 아무리 안전하게 설계 시공되어도 항만을 운영하는 단계에서는 방파제등의 외곽시설에서의 전달파와 항내에서 발생하는 항내 발생파와 선박에 의한 항주파, 불규칙파의 파군에 의해 수반되는 장주기파와 이에 의한 부진동 그리고 항내 구조물에 의한 반사파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항만의 가동률을 크게 저하 시킬 뿐만 아니라, 기타 이상파랑의 내습으로 계류선박에도 막대한 피해를 미칠 수 있고, 항외의 방파제등의 구조물에서도 반사파 등으로 항외를 항해하는 소형선박에 피해를 미쳐왔다.
그러므로 국내외에서는 오래 전부터 항내외 또는 안벽벽면의 파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소파블럭을 이용한 항만구조물등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직립 소파블럭을 이용한 항만구조물등은 그 소파구조가 소파블럭의 전면에 파랑을 흡수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파랑을 소파하는 형식이 주종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이렇게 단순한 유공구조의 소파블럭으로 구축된 항만구조물은 반사파 등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는 그 기능이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그 기능이 미미하여도 소파기능이 없는 블럭보다는 효율적이라는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파랑을 효과적으로 소파하여 반사파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자 본 소파블럭의 구조와 소파방법을 창안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소파블럭의 구조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소파블럭은 그 구성이 전방몸체(100), 중간몸체(200)그리고 후방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몸체(100)는 그 전면이 I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판(110)이 중간벽체(130)에 의하여 하부판(120)으로 연결되고 상부판(110)의 상면에는 소파블럭을 거치시 후방에서 작용하는 횡압력에 대응하기위해 철부(111)가 하부판(120)의 하면도 역시 요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소파블럭을 조적할 때 상부판(110)의 철부(111)가 또 다른 소파블럭의 하부판(120)의 하면에 형성된 요부(121)에 결속되어진다. 중간벽체(130)는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을 연결하는 벽체로서 그 후방에는 파랑을 유도할 수 있는 파랑유도공(131)이 형성되고 전방몸체(100)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일 측 후면을 상하 수직으로 일 측면으로 기울어지게 파랑유도벽(140)으로 연결되고, 파랑유도벽(140) 뒤에 중간몸체(200)가 관통공(210)을 형성하여 후방몸체(30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벽체(130) 양측으로 파랑유입구(150)가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소파블럭으로 형성된 항만구조물의 소파방법을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소파구조 및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로 소파블럭을 조적하면, 도 3처럼 소파블럭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또 다른 소파블럭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과 연속적으로 횡으로 배열되어 파랑유입구(150)가 형성된다.
도 3의 소파구조의 원리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파랑유도벽(140)이 있는 측면에 의해서 유도되어지는 파랑을 (a)라고하고 파랑유도벽(140)이 없이 파랑유입구(150)를 직진하는 파랑을 (b)라고 하면, 도 3처럼 소파블럭의 전방에서 도래하는 파랑이 중간벽체(130)를 통해 분리되어 각각의 파랑유입구(150)로 진입한다.
이처럼 파랑유입구(150)로 파랑(a)과 파랑(b)이 모두 진입하여 파랑(a)은 파랑유도벽(140)에 의해서 유도되어 중간벽체(130)의 후면에 형성된 파랑유도공(131)을 통하여 중간벽체(130)의 반대편으로 진입하여 좌측의 또 다른 파랑유입구(150)를 직진해오는 파랑(b)과 충돌하고, 후방몸체(300)의 전면에 형성된 소파벽(310)에 의해서 관통공(210)으로 진입하여 소파된다.
그리고 그대로 파랑유입구(150)를 직진한 파랑(b) 역시 우측의 또 다른 파랑유도공(131)을 빠져나온 파랑(a)과 충돌하여 후방몸체(300)의 전면에 형성된 소파벽(310)에 의해 관통공(210)으로 진입하여 소파된다.
위와 같은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분리된 파랑과 파랑을 소파블럭의 내부에서 충돌시킴으로써 소파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소파블럭의 소파구조 및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소파블럭의 중간벽체(130)를 기준으로 파랑유도벽(140)을 우측에 형성하였으면 또 다른 소파블럭은 파랑유도벽(140)을 좌측에 형성하여 파랑유도벽(140)을 서로 대접되게 배열하여, 파랑유도벽(140)이 형성된 파랑유입구(150)와 파랑유도벽(140)이 형성되지 않는 파랑유입구(150)를 각각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소파블럭의 전방에서 도래하는 파랑이 각각의 파랑유입구(150)에 진입하면 파랑유도벽(140)에 의해 파랑(a)을 양분하여 양 측 파랑유도공(131)을 통과시켜 타측 파랑유입구(150)를 진입해오는 파랑(b)의 양 측면으로 충돌시켜 소파하는 구조이다.
즉 파랑(b)이 파랑유입구(150)를 직진하면 파랑유입구(150) 양 측면의 파랑유도공(131)을 빠져나온 파랑(a)에 의해서 충돌되어 소파되는 원리이다.
위와 같은 구조는 모두 소파블럭 후방몸체(300)의 일 측부분에 후방몸체(300)의 전, 후를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면 항만의 접안시설은 물론 해수가 유통되는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파블럭의 구조는 항만에서 발생하는 파랑을 효율적으로 소파할 수 있는 구조로 파랑을 유도하여 각각 분리된 파랑을 파랑과 파랑을 충돌시킴으로써 소파하는 원리로서 항내의 반사파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소파블럭은 그 구성이 전방몸체(100), 중간몸체(200)그리고 후방몸체(300)로 구분되고, 전방몸체(100)는 그 전면이 I형으로 이루어져, 상부판(110)이 중간벽체(130)에 의하여 하부판(120)으로 연결되고 상부판(110)의 상면에 철부(111)가 하부판(120)의 하면은 요부(121)가 형성되고, 중간벽체(130)는 그 후면에 파랑을 유도할 수 있는 파랑유도공(131)을 파랑유도공(131)과 연결하여 파랑유도벽(140)이 전방몸체(100)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일측 후면을 상하 수직으로 일 측면으로 기울어지게 연결되고, 그 후방에 중간몸체(200)가 관통공(210)을 형성하여 후방몸체(300)와 연결되어 중간벽체(130) 양 측면에 파랑유입구(150)를 형성하는 소파블럭
  2. 소파블럭의 전방에서 도래하는 파랑이 중간벽체(130)를 통해 분리되어 각각의 파랑유입구(150)로 유입된 파랑(a)을 파랑유도벽(140)으로 파랑유도공(131)을 통과해 중간벽체(130)의 반대편으로 유도하여 타측 파랑유입구(150)를 관통해오는 파랑(b)과 충돌시키는 소파방법
  3. 소파블럭의 중간벽체(130)를 기준으로 파랑유도벽(140)을 우측에 형성하고 또 다른 소파블럭은 파랑유도벽(140)을 좌측에 형성하여 파랑유도벽(140)을 서로 대접되게 배열함으로써, 파랑유도벽(140)이 형성된 파랑유입구(150)와 파랑유도벽(140)이 형성되지 않는 파랑유입구(150)를 각각 형성하고 파랑유도벽(140)을 갖는 파랑유입구(150)를 진입해 오는 파랑(a)을 파랑유도벽(140)으로 양분시켜 파랑유도공(131)을 통과해 중간벽체(130)의 반대편으로 각각 유도하여 파랑유도벽(140)을 갖지 않는 파랑유입구(150)를 진입해오는 파랑(b)의 양 측면에서 파랑(a)을 충돌시켜 소파하는 파랑의 소파방법
KR1020040067688A 2004-08-27 2004-08-27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KR20060019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88A KR20060019173A (ko) 2004-08-27 2004-08-27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88A KR20060019173A (ko) 2004-08-27 2004-08-27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526U Division KR200367421Y1 (ko) 2004-08-27 2004-08-27 소파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73A true KR20060019173A (ko) 2006-03-03

Family

ID=3712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688A KR20060019173A (ko) 2004-08-27 2004-08-27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1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21B1 (ko) * 2010-10-27 2011-06-21 주식회사 동호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KR102569126B1 (ko) 2023-04-13 2023-08-21 현경민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21B1 (ko) * 2010-10-27 2011-06-21 주식회사 동호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KR102569126B1 (ko) 2023-04-13 2023-08-21 현경민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600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호안구조
KR101529252B1 (ko) 어초기능을 가진 잠제 블록
KR200367421Y1 (ko) 소파블럭
KR20060019173A (ko) 소파블럭 구조 및 소파방법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CN106087857B (zh) 一种半渗透型浮式防波堤
KR100363225B1 (ko) 소파와 해수순환 기능을 구비한 직립블럭방파제
KR101145257B1 (ko)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KR100519547B1 (ko) 케이슨 구조
KR200266898Y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 방파제
JP2845094B2 (ja) 消波堤用ブロック
KR102280231B1 (ko) 파력감쇄블럭
JP2001336133A (ja) 海水循環防波堤
JP3783955B2 (ja) 消波ブロックと消波ブロック壁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200377406Y1 (ko) 케이슨 구조
JP4370375B2 (ja) 高消波型浮防波堤
JPH062316A (ja) 消波型ケーソ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防波堤
CN210562006U (zh) 一种双向弓形截面网架型港口安全防护阻拦装置
KR200318108Y1 (ko) 호안 블록
JP2003096742A (ja) 海水交流防波堤ケーソン
JPH0860634A (ja) 海底固定式透過型消波堤
JPH10119881A (ja) 浮消波堤
KR101831214B1 (ko) 흐름 제어 가능한 수중 방파제
JP2650819B2 (ja) 浮消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