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368A -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368A
KR20060018368A KR1020040066713A KR20040066713A KR20060018368A KR 20060018368 A KR20060018368 A KR 20060018368A KR 1020040066713 A KR1020040066713 A KR 1020040066713A KR 20040066713 A KR20040066713 A KR 20040066713A KR 20060018368 A KR20060018368 A KR 20060018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multimedia data
recording apparatus
memory car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624B1 (ko
Inventor
양종호
고정완
정현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6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11B2220/412Distributed storage methods, i.e. the system may autonomously determine for a storage device that provides enough storage capacity for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녹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여 연속 녹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끊김없이 저장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그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관리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빈 공간이 소정의 크기 이하이면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저장부에서 상기 제2저장부로 스위칭하여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저장매체 용량이 부족하여, 새로운 저장매체로 교체하는 도중에도 연속적으로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Multimedia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간략화한 블록도,
도 2a는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진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일예,
도 2b는 도 2a의 슬롯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수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일예,
도 4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가 버퍼를 가지고 있어 연속녹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리 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녹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화 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여 연속 녹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끊김없이 저장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그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삽입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로 여러 가지 종류의 메모리 카드가 존재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이러한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용량이 다 찬 메모리 카드를 빼고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다. 한편, 메모리 카드의 저장용량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 장치는, 그 저장용량을 초과하여 계속해서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녹화를 일시 중지하고 메모리 카드를 뺀 후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 후 녹화를 재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를 교체하는 동안에는 녹화를 계속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속적인 녹화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아무리 용량이 큰 저장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존재한다.
멀티미디어 녹화 장치는 음성 녹음기, 캠코더, CCTV 녹화장치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캠코더를 예를 들어 연속녹화를 수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캠코더를 사용하여 비디오를 녹화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정보저장매체를 캠코더에 삽입한다. 사용자가 캠코더의 녹화 버튼을 누르면 녹화된 비디오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녹화의 계속중에 메모리 카드의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알람이나 캠코더 디스플레이 창을 통한 경고 문자 등 기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녹화를 일시중지하고, 용량이 다 찬 메모리 카드를 제거하고, 비어있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 후 다시 녹화버튼을 눌러 녹화를 계속한다.
이렇게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정보저장매체의 교체시간동안에는 녹화를 할 수 없으므로, 운동경기에서 중요한 장면 등을 놓칠 수도 있고, 저장매체의 교체중에 범죄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그 장면을 녹화하지 못하는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연속적으로 녹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저장매체의 교체시에도 계속적으로 녹화를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빈 공간이 소정의 크기 이하이면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저장부에서 상기 제2저장부로 스위칭하여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동일한 슬롯에 삽입되거나, 서로 다른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의 저장용량이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되었다는 신호에 따라, 이후에 입 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슬롯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저장부의 비어 있는 용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저장부의 빈 공간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간략화한 블록도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데이터 입력부(110), 인코더(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디코더(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구비한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코더(120)는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여러 가지 인코딩 방법에 따라 인코딩함으로써,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한다.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MPEG-1, MPEG-2, MPEG-4, H.264 등의 인코딩 방법에 따라 인코딩하며,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MP3, PCM 등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인코딩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녹화명령, 재생명령, 일시정지 명령 등 사용자의 여러 가지 명령을 받아들인다. 디코더(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현재 녹화중인 화면을 보여주거나, 디코더(160)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저장부(130)는 내장된 메모리로써 착탈이 불가능한 부분도 있지만,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를 더 장착할 수 있도록 슬롯이 구비되어 저장용량의 확장이 가능하다.
도 2a는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진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일예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는 외부 메모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210)이 존재하며, 여기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녹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b는 도 2a의 슬롯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하나의 슬롯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여러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메모리 카드 1(220)과 메모리 카드 2(230)의 신호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메모리 카드 1(220)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간의 신호선의 연결은 메모리 카드 2(230)에도 동일하게 연결된다. 여러개의 메모리 카드가 슬롯에 삽입되고 쉽게 나올 수 있도록, 하나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때마다 이미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는 슬롯 내부로 밀려들어가고, 하나씩 제거할 때마다 바깥쪽으로 나온다. 메모리 카드 1(220)의 용량이 다 찬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와의 데이터 라인(240)이 메모리 카드 1(220)에서 바이패스되어 메모리 카드 2(230)에 전달되어 메모리 카드 2(230)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연속 녹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녹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슬롯(210)에 메모리 카드 1(220)을 삽입한다. 녹화가 계속됨에 따라, 메모리 카드 1(220)의 기록가능 공간은 줄어든다. 메모리 카드 1(220)의 기록가능 공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그 사실을 알람이나 캠코더 디스플레이 창을 통한 경고 문자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비어있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 2(230)를 슬롯(210)에 삽입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슬롯(210)에 새로운 메모리 카드 2(230)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하고 메모리 카드 1(220)의 기록가능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 2(23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3은 복수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일예이다.
연속 녹화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의 슬롯에 복수개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와 유사하다. 우선, 녹화를 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 터 녹화장치의 제1슬롯(310)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다. 녹화가 계속됨에 따라, 제1슬롯(310)의 메모리 카드의 기록가능 공간은 줄어든다. 제1슬롯(310)의 메모리 카드의 기록가능 공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그 사실을 알람이나 캠코더 디스플레이 창을 통한 경고 문자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비어있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제2슬롯(320)에 삽입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제2슬롯(320)에 새로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하고, 제1슬롯(310)의 메모리 카드의 기록가능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제2슬롯(320)의 새로운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후 제1슬롯(310)의 메모리 카드는 제거해도 된다.
도 4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가 버퍼를 가지고 있어 연속녹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장치 내부에 하나의 슬롯을 가지며, 이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430)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입력된 영상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디지털 데이터는 MPEG-2, MPEG-4, H.264 등의 여러 가지 영상 압축방법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더(420)에 의해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430)에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430)의 용량이 다 차서, 메모리 카드(430)를 슬롯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동안에 인코딩된 데이터는 버퍼(440)에 임시로 기록되고, 새로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버퍼(440)에 임시 기록된 인코딩된 데이터가 새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다시 저장된다.
연속 녹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녹화를 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하나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다. 녹화가 계속됨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기록가능 공간은 줄어든다. 메모리 카드의 기록가능 공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그 사실을 알람이나 캠코더 디스플레이 창을 통한 경고 문자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사용자는 연속녹화를 하겠다는 명령을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보내면, 이후 데이터는 버퍼(440)에 기록한다. 여유공간을 가지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를 슬롯에 삽입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는 슬롯에 새로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하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새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일정공간에 옮기기 위해 메모리 카드의 일정공간을 먼저 할당한 후 그 공간에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옮긴다. 그리고, 이후에 계속 녹화되어 인코딩되는 데이터는 할당된 공간 다음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리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 관리장치는 제어부(510), 스위치(520), 제1저장부(530) 및 제2저장부(540)를 구비한다.
제어부(510)는 제1저장부(530)의 현재 용량을 체크한다. 즉, 데이터가 제1저장부(530)에 거의 다 찼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한 정도까지 다 찬 경우에 그 사실을 스위치(520)에게 알려준다. 스위치(520)는 제1저장부(530)에 데이터가 거의 다 찼다는 신호를 제어부(510)로부터 수신하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 터를 제2저장부(540)로 보내기 위해서,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달 통로를 제1저장부(530)로부터 제2저장부(540)로 스위칭한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저장부(530)와 제2저장부(540)는 동일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슬롯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저장부(5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자체내에 가지고 있는 임시 메모리로써, 버퍼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제1저장부(530)의 저장상태를 체크한다(S610). 데이터가 제1저장부(530)에 거의 다 찼는지의 판단하여(S620) 스위치(520)에게 알려준다. 스위치(520)는 제1저장부(530)에 데이터가 다 찼다는 신호를 제어부(510)로부터 수신하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저장부(540)로 보내기 위해서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달 통로를 제1저장부(530)로부터 제2저장부(540)로 스위칭한다(S63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저장부(530)와 제2저장부(540)는 동일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슬롯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저장부(5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자체내에 가지고 있는 임시 메모리로써 버퍼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 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의 저장매체 용량이 부족하여, 새로운 저장매체로 교체하는 도중에도 연속적으로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의 빈 공간이 소정의 크기 이하이면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저장부에서 상기 제2저장부로 스위칭하여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동일한 슬롯에 삽입되거나, 서로 다른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제1저장부의 연결이 새로 감지되면, 그동안 제2저장부에 저장되었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크기만큼 상기 제1저장부의 공간을 확보한 후, 이후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저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장치.
  4.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의 저장용량이 소정의 크기 이하가 되었다는 신호에 따라, 이후에 입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서로 다른 슬롯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제1저장부의 연결이 새로 감지되면, 그동안 제2저장부에 저장되었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크기만큼 상기 제1저장부의 공간을 확보한 후, 이후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저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9.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저장부의 비어 있는 용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저장부의 빈 공간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 및 제2저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슬롯 각각에 삽입되어, 그 신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
KR1020040066713A 2004-08-24 2004-08-24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KR10064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713A KR100644624B1 (ko) 2004-08-24 2004-08-24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713A KR100644624B1 (ko) 2004-08-24 2004-08-24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368A true KR20060018368A (ko) 2006-03-02
KR100644624B1 KR100644624B1 (ko) 2006-11-10

Family

ID=3712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713A KR100644624B1 (ko) 2004-08-24 2004-08-24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76B1 (ko) * 2006-01-05 201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휴대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76B1 (ko) * 2006-01-05 201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휴대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624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793B2 (en) Recording apparatus
US76803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dense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tion
CN100422920C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US8139927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0644624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장치 및 녹화방법
JP3903039B2 (ja) 記録装置
US20060140088A1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JP2007257718A (ja) 映像情報処理装置
JP5685075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50798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091573A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데이터 녹화 방법
KR20070049104A (ko)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프로그램, 및기록 매체
JP4569662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4052240B2 (ja) 監視画像情報記録再生装置
JP4281803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871142B2 (ja) データ復号装置
JP598454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626938B1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데이터 백업 방법
KR20050038413A (ko) Dvd-rw를 내장한 dvr 시스템
JP2004173244A (ja) データ記録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531730B2 (ja) 圧縮情報記憶装置
KR100529138B1 (ko) 디브이디 로더를 이용한 타임 랩스 녹화/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6863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쓰기 지점 관리방법
JP2010033663A (ja) 映像記録装置
KR20060030709A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