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312A -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312A
KR20060018312A KR1020040066634A KR20040066634A KR20060018312A KR 20060018312 A KR20060018312 A KR 20060018312A KR 1020040066634 A KR1020040066634 A KR 1020040066634A KR 20040066634 A KR20040066634 A KR 20040066634A KR 20060018312 A KR20060018312 A KR 2006001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substrate
area
disposed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312A/ko
Priority to JP2005235153A priority patent/JP2006065327A/ja
Priority to US11/210,280 priority patent/US7903207B2/en
Priority to TW094128738A priority patent/TW200636332A/zh
Priority to CNB2005101165680A priority patent/CN100541274C/zh
Publication of KR2006001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9Over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기판은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배치되며,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하는 구동신호 출력유닛들, 구동신호 출력유닛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제 1 및 제 2 영역들에 형성된 유기막, 컬러필터에 의한 유기막의 스텝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판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더미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에 대응하는 유기막 상에 형성되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이로써, 표시기판 중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영역에 컬러필터, 유기막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고,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에 유기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영상의 왜곡 및 영상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1-Ⅰ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동신호 출력 유닛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를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일부가 왜곡 및 영상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전기적 신호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영상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공통 전극 및 복수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각각 형성된 표시 기판들의 사이에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을 배치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풀-컬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공통 전극이 형성된 표시 기판에는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컬러 필터가 배치된다.
그러나, 컬러 필터 및 화소 전극은 길이 및 폭이 수십 ∼ 수백 ㎛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밀하게 정렬하기 어렵고, 특히 최근 들어 표시장치의 스크린 사이즈가 증가됨에 따라 컬러 필터 및 화소 전극의 정렬이 더욱 어려워지는 영상의 표시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컬러 필터 및 화소 전극의 정렬 불량을 감소 및 컬러 필터 및 화소 전극을 정렬하는 도중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 및 영상의 얼룩까지도 감소시킨 표시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배치되며,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하는 구동신호 출력유닛들, 구동신호 출력유닛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제 1 및 제 2 영역들에 형성된 유기막, 컬러필터에 의한 유기막의 스텝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판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더미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에 대응하는 유기막 상에 형성되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표시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제 2 영역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구동신호 출력유닛들, 구동신호 출력유닛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제 1 및 제 2 영역들에 형성된 유기막, 컬러필터에 의한 유기막의 스텝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판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더미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에 대응하는 유기막 상에 형성되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제 1 기판과 마주보며, 화소전극과 마주 보는 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제 1 및 제 2 기판들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표시기판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1-Ⅰ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기판(100)은 기판(110), 구동신호 출력유닛(120)들, 컬러필터(130), 유기막(140), 더미 컬러필터(150) 및 화소전극(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기판이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기판(11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영역(First Region; FR) 및 제 2 영역(Second Region; SR)이 형성된다. 제 1 영역(FR)은 기판(100)의 중앙 부분에,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영역(SR)은 제 1 영역(FR)의 주변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동신호 출력 유닛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신호 출력 유닛(120)은 박막 트랜지스터(TR),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제 1 신호선(121) 및 제 2 신호선(122)을 포함한다.
제 1 신호선(121)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도 2에 정의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개가 제 2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100)은 약 768개의 제 1 신호선(121)들이 제 2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제 2 신호선(122)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도 2에 정의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개가 제 1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100)은 약 1024 ×3 개의 제 2 신호선(121)들이 제 2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제 1 영역(FR)에 복수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제 1 신호선(121) 및 제 2 신호선(122)이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100)은 1024 ×768 ×3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극부(G), 채널층(C), 소오스 전극부(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박막 제조 공정에 의하여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부(G)는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 1 신호선(121)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채널층(C)은 제 1 신호선(121)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GI)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부(G)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제 1 신호선(121)에 제공된 전압에 의하여 부도체에서 도체로 전기적 특성이 변경되는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물질을 포함한다.
소오스 전극부(S)는 제 2 신호선(122)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오스 전극부(S)의 일부는 채널층(C)과 전기적으로 콘택 된다.
드레인 전극(D)은 채널층(C)에 전기적으로 콘택 되며, 소오스 전극부(S)와 전기적으로 쇼트 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 된다.
컬러필터(130)는 구동신호 출력유닛(120)들의 드레인 전극(D)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컬러필터(130)는 적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적색 컬러필터(R), 녹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녹색 컬러필터(G) 및 청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청색 컬러필터(B)를 포함한다.
각 컬러필터(130)는 제 1 및 제 2 신호선(121, 122)들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각 컬러필터(130)에는 드레인 전극(D)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다.
유기막(140)은 컬러필터(130)가 덮이도록 기판(110)의 전면적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30)의 상면을 보다 평탄화 시킨다. 유기막(140)에는 제 1 신호선(121)의 단부 및 제 2 신호선(122)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부를 노출 및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막(140)은 컬러필터(130)가 형성된 제 1 영역(FR) 및 컬러필터(130)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영역(SR)의 경계에서 큰 단차를 갖는다. 유기 막(140)에 형성된 단차에 의하여 표시기판에서 발생한 영상의 휘도 불균일 또는 영상에 얼룩이 발생된다.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2 영역(SR)에 형성되어,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에 형성된 유기막(140)의 단차를 감소시킨다.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에 컬러필터(130)를 형성하는 도중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SR)에 형성된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에 형성된 컬러필터(130)와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더미 컬러필터(150)는 막대 형상을 갖고, 제 1 영역(SR) 및 제 2 영역(FR)의 경계에 배치된 컬러필터(130) 및 더미 컬러필터(15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를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2 영역(SR)에 띠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을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 사이에 형성된 유기막(140)의 단차를 감소 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적합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더미 컬러필터(150)는 적어도 2 개 이상이 제 2 영역(SR)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의 부분 절개 평면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의 경계에 배치된 컬러필터(130)는 제 1 영역(FR)으로부터 제 2 영역(SR)으로 연장된다. 이때, 더미 컬러필터(150) 제 2 영역(SR)의 전면적에 형성되거나, 제 2 영역(SR)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영역(SR)으로 연장된 더미 컬러필터(150)에는 제 1 신호선(121) 및 제 2 신호선(122)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영역(SR)에 제 1 영역(FR)으로부터 연장된 더미 컬러필터(150)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의 사이에 유기막(140)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더미 컬러필터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10)의 더미 컬러필터(130)는 제 1 더미 컬러필터(132), 제 2 더미 컬러필터(134) 및 제 3 더미 컬러필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더미 컬러필터(132)는 제 1 신호선(121) 상에 형성된다. 제 1 더미 컬러필터(132)는 제 1 신호선(121)과 수직하도록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신호선(121) 상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더미 컬러필터(134)는 제 2 신호선(122) 상에 형성된다. 제 2 더미 컬러필터(134)는 제 2 신호선(122)과 수직하도록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 신호선(122) 상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3 더미 컬러필터(136)는 기판(110) 중 제 1 및 제 2 신호선(121, 122)들 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제 1 영역(FR)으로부터 제 2 영역(SR)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 3 더미 컬러필터(136)는 제 2 영역(SR)의 일부에 형성 또는 제 1 및 제 2 신호선(121, 122)들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영역(SR)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의 상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의 상면 중 컬러필터(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전극(160)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물질, 예를 들면,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ITO),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IZO) 또는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amorphous Indium Tin Oxide, a-ITO) 등으로 이루어진다.
각 컬러필터(130)의 상면에 배치된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 및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장치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400)는 제 1 표시기판(100), 제 2 표시기판(200) 및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제 1 표시기판(100)은 기판(110), 구동신호 출력유닛(120)들, 컬러필터 (130), 유기막(140), 더미 컬러필터(150) 및 화소전극(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10)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기판이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기판(11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영역(First Region; FR) 및 제 2 영역(Second Region; SR)이 형성된다. 제 1 영역(FR)은 기판(110)의 중앙 부분에,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영역(SR)은 제 1 영역(FR)의 주변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동신호 출력 유닛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신호 출력 유닛(120)은 박막 트랜지스터(TR),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을 포함한다.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은 기판(110) 상에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제 1 영역(FR)에 복수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100)은 1024 ×768 ×3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극부(G), 채널층(C), 소오스 전극부(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박막 제조 공정에 의하여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부(G)는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 1 신호선으로부터 제 2 방향 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채널층(C)은 제 1 신호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GI)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부(G)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제 1 신호선에 제공된 전압에 의하여 부도체에서 도체로 전기적 특성이 변경되는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물질을 포함한다.
소오스 전극부(S)는 제 2 신호선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오스 전극부(S)의 일부는 채널층(C)과 전기적으로 콘택 된다.
드레인 전극(D)은 채널층(C)에 전기적으로 콘택 되며, 소오스 전극부(S)와 전기적으로 쇼트 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 된다.
컬러필터(130)는 구동신호 출력유닛(120)들의 드레인 전극(D)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컬러필터(130)는 적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적색 컬러필터(R), 녹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녹색 컬러필터(G) 및 청색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청색 컬러필터(B)를 포함한다.
각 컬러필터(130)는 제 1 및 제 2 신호선들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각 컬러필터(130)에는 드레인 전극(D)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다.
유기막(140)은 컬러필터(130)가 덮이도록 기판(110)의 전면적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30)의 상면을 보다 평탄화 시킨다. 유기막(140)에는 제 1 신호선의 단부 및 제 2 신호선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부를 노출 및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막(140)은 컬러필터(130)가 형성된 제 1 영역(FR) 및 컬러필터(130)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영역(SR)의 경계에서 큰 단차를 갖는다. 유기막(140)에 형성된 단차에 의하여 표시기판에서 발생한 영상의 휘도 불균일 또는 영상에 얼룩이 발생된다.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2 영역(SR)에 형성되어,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에 형성된 유기막(140)의 단차를 감소시킨다.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에 컬러필터(130)를 형성하는 도중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SR)에 형성된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에 형성된 컬러필터(130)와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더미 컬러필터(150)는 막대 형상을 갖고, 제 1 영역(SR) 및 제 2 영역(FR)의 경계에 배치된 컬러필터(130) 및 더미 컬러필터(15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2 영역(SR)에 띠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을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미 컬러필터(150)는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 사이에 형성된 유기막(140)의 단차를 감소 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적합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컬러필터(150)는 적어도 2 개 이상이 제 2 영역(SR)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의 경계에 배치된 컬러필터(130)는 제 1 영역(FR)으로부터 제 2 영역(SR)으로 연장된다. 이때, 더미 컬러필터 (150) 제 2 영역(SR)의 전면적에 형성되거나, 제 2 영역(SR)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영역(SR)으로 연장된 더미 컬러필터(150)에는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영역(SR)에 제 1 영역(FR)으로부터 연장된 더미 컬러필터(150)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영역(FR) 및 제 2 영역(SR)의 사이에 유기막(140)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의 상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의 상면 중 컬러필터(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전극(160)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물질, 예를 들면,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ITO),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IZO) 또는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amorphous Indium Tin Oxide, a-ITO) 등으로 이루어진다.
각 컬러필터(130)의 상면에 배치된 화소전극(160)은 유기막(140) 및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표시기판(200)은 제 1 표시기판(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2 표시기판(200)에는 제 1 표시기판(100)에 형성된 화소전극(160)과 마주보는 공통전극(210)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00, 200)들은 밀봉부재(250)에 의하여 밀봉되며, 밀봉부재(250)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및 제 2 표시기판(100,200)들의 사이에는 액정 층(300)이 배치된다.
액정층(300)은 화소전극(160) 및 공통전극(210)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변경되고, 변경된 배열에 의하여 제 1 표시기판(100)의 컬러필터(130)를 통해 입사된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표시기판 중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영역에 컬러필터, 유기막 및 화소전극을 형성하고,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에 유기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유기막의 단차를 감소시켜 영상의 왜곡 및 영상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배치되며,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하는 구동신호 출력유닛들;
    상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에 형성된 유기막;
    상기 컬러필터에 의한 상기 유기막의 스텝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기판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더미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에 대응하는 상기 유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및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더미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기 제 1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적어도 2 개로 상기 더미 컬러필터들은 상호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기 컬러필터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기 컬러필터의 복수개의 측면들 중 일부 측면과 이격 되어 배치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더미 컬러필터 및 상기 측면들 중 나머지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 3 더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판.
  9.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감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 2 영역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구동신호 출력유닛들, 상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에 형성된 유기막, 상기 컬러필터에 의한 상기 유기막의 스텝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기판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더미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에 대응 하는 상기 유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신호 출력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며,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 보는 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들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66634A 2004-08-24 2004-08-24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18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34A KR20060018312A (ko) 2004-08-24 2004-08-24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5235153A JP2006065327A (ja) 2004-08-24 2005-08-15 表示基板、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11/210,280 US7903207B2 (en) 2004-08-24 2005-08-23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color filter layers formed in display and peripheral regions
TW094128738A TW200636332A (en) 2004-08-24 2005-08-23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B2005101165680A CN100541274C (zh) 2004-08-24 2005-08-24 显示器基底、制造该基底的方法和具有该基底的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34A KR20060018312A (ko) 2004-08-24 2004-08-24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312A true KR20060018312A (ko) 2006-03-02

Family

ID=3668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634A KR20060018312A (ko) 2004-08-24 2004-08-24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18312A (ko)
CN (1) CN10054127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0036B2 (en) 2015-01-05 2017-08-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4498A1 (en) 2006-04-06 2015-09-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espla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CN104124278B (zh) * 2013-07-22 2017-02-08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薄膜晶体管与显示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CN103676255B (zh) * 2013-12-26 2016-02-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的防静电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0036B2 (en) 2015-01-05 2017-08-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1274C (zh) 2009-09-16
CN1755446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601B2 (en) Upp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0196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5276B1 (ko) 어레이 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0573242C (zh) 液晶显示装置
CN1892331B (zh) 显示面板及制造方法
US10854681B2 (en) Display device
KR20080020168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1999001007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칼라 필터 패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12515283U (zh)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KR20050068855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6104462A (en) LC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having a pedestal and overlying organic film at a periphery of the display
KR100262954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구조
JP4497049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473588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472356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KR10131877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18312A (ko)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50407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20080023020A (ko) 표시 패널
KR10102328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12130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0072110A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0983501B1 (ko) 표시장치
KR100497962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070079677A (ko) 액정표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