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13A -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13A
KR20060018213A KR1020057019575A KR20057019575A KR20060018213A KR 20060018213 A KR20060018213 A KR 20060018213A KR 1020057019575 A KR1020057019575 A KR 1020057019575A KR 20057019575 A KR20057019575 A KR 20057019575A KR 20060018213 A KR20060018213 A KR 20060018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joint points
rear axle
actuat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뤼노 피피에
레미 롤레
리샤르 토라발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오또 샤시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오또 샤시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1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4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comprising means for steering by acting on the suspension system, e.g. on the mountings of the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60G21/052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6Twist-beam type arrangement
    • B60G2202/1362Twist-beam type arrangement including a second torsional element, e.g. second beam, stabiliser bar 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60G2204/1434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in twist-beam axle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6Elastokinematic 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1Pivoted lever mechanism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e.g. Watt lin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차량의 후방부를 향하는 후단부(14)에서 차륜 지지체(16)에 연결되며 선단부(18)는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고 가로 부재(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종방향 진동 아암(12g, 12d)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에 관한 것으로, 좌측 (또는 우측) 진동 아암의 선단부(18)는 좌측(24g) (또는 우측(24d)) 컨트롤 빔을 통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각 빔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부 및 차체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26)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각 아암을 피벗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FLEXIBLE REAR AXLE WITH AN ACTUATOR AND CORRESPONDING VEHICLE}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4개의 조향륜을 구비하는 차량을 위한 것이다.
차량의 플랙시블 리어 액슬은, 일반적으로 각각 양단 중 일단에 하나의 차륜을 지지하고 타단에서 차량의 차체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종방향 진동 아암(oscillating arm)을 구비한다. 상기 아암 상에 브래킷을 구비하는 탄성 완충 수단은 차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비틀릴 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휨 방지 크로스바는 양단이 상기 2개의 아암에 강고히 연결되어 있다.
차륜의 스티어링 로크(steering lock)는 수평면에서 차륜면과 차량의 전후 방향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으로서 정의된다. 스티어링 로크시, 차륜의 전방이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하여 변위될 때, 토우-인(toe-in) [또는 토우-아웃(toe-out)]이라 한다. 회전시, 차량의 후륜은 회전 방향으로 측면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플랙시블 액슬의 경우, 우회전시 (또는 좌회전시), 좌측 (또는 우측) 외륜이 토우-아웃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륜의 스티어링 로크는 차량의 안정성을 감소시키 는 요인이다.
4개의 구동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경우,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회전시 후륜의 회전을 제한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멀티아암 액슬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차지하는 면적이 상당하여, 예컨대 예비 타이어와 같은 차량의 아키텍쳐와 조화될 수 없다. 또한 플랙시블 액슬보다 더 무겁고 더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시 그 아암이 전륜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폭 회전할 수 있는 간단한 개념의 플랙시블 리어 액슬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암의 회전에 따라 차륜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차량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플랙시블 액슬 구조는 멀티아암 액슬이 차지하는 면적의 제약에서 벗어나, 예컨대 예비 타이어를 수용할 공간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 차량의 후방부를 향하는 후단부에서 차륜 지지체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선단부는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고 가로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종방향 진동 아암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로서, 좌측 (또는 우측) 진동 아암의 선단부는 좌측 (또는 우측) 컨트롤 빔을 통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각 컨트롤 빔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부 및 차체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각 아암을 피벗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을 목적으로 한다.
액츄에이터가 1개인 경우, 2개의 진동 아암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가볍게 회전시킬 수 있어 차륜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각각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차체의 관절점을 Ag, Ad라 할 때, 상기 컨트롤 빔은 상기 관절점 Ag, Ad가 진동 아암으로부터 이격되어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위치된 형태를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은 액슬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아암의 각 선단부의 관절점을 Ng, Nd라 할 때, Ag 및 Ng 점 사이의 거리는 Ad 및 Nd 점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Ag, Ng 및 Ad, Nd 점은 차량의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러한 배치로 컨트롤 빔 및 진동 아암이 대칭적으로 수용된다.
각각,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아암의 각 선단부의 관절점을 Ng, Nd라 하고,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액츄에이터의 양단부의 관절점을 Vg, Vd라 하며, 차량의 좌륜 및 우륜의 회전 중심을 Kg, Kd라 할 때, 한편으로 Ag, Ng, 다른 한편으로 Ad, Nd를 지나가는 직선은 중심 Kg, Kd를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앙부 상에 또는 상기 중앙부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컷트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액츄에이터의 양단부의 관절점을 Vg, Vd라 하고, 각 아암의 선단부에 대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의 관절점을 Ng, Nd라 할 때, 관절점 Ng, Nd는 관절점 Vg, Vd를 연결하는 직선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아암의 선단부에 대한 컨트롤 빔의 각각의 관절점 Ng, Nd는 관절점 Vg, Vd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d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로 좌륜 또는 우륜에 충격을 받을 때 액슬이 대칭적으로 수용된다.
각 아암의 선단부에 대한 각 컨트롤 빔의 관절점 Ng, Nd는 강성이 큰 베어링인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베어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며, 다른 자유는 제한된다. 이로써 차량의 차체의 좌우 흔들림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잭인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것은 엔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액슬 및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 액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랙시블 액슬(10)은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축(X 및 Y)은 각각 차량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을 나타내며, Z 축은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X 축은 차량의 후방부를 향한다.
액슬(10)은 좌측 및 우측의 2개의 종방향 진동 아암(12g 및 12d)을 구비한다. 각 아암(12g, 12d)은 차량의 후방부를 향하는 후단부(14)에서, 차륜(15)이 장착되어 있는 차륜 지지체(16)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차륜(15) 및 차륜 지지체(16)는 실선으로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호 Kg 및 Kd는 각각 좌륜 및 우륜(15) 의 회전 중심을 나타낸다. 차륜 지지체, 차륜 및 진동 아암의 배치는 전형적이므로, 이들 소자간의 연결은 여기서는 상세히 논하지 않는다.
차량의 전방부를 향하는 아암(12g, 12d)의 다른 단부(18)는 차량의 차체(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2개의 아암(12g, 12d)은 좌우 방향 Y로 연장되는 동일한 수평 회전축(도시 생략) 부근에서 차체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좌우 방향 Y를 따라 연장되고 비틀릴 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가로 부재(20)는 그 양단부가 2개의 아암(12g, 12d)에 강고히 연결되어 있다. 가로 부재(20)는, 예컨대 차량의 전방부를 향해 벌어진 평면 V자형 프로필을 가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형태의 가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아암(12g, 12d)에 연결된 휨 방지 크로스바(22)를 가로 부재(20) 프로필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바는 도면에서 불연속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좌측 아암(12g) [또는 우측 아암(12d)]은 좌측 컨트롤 빔(24g) [또는 우측 컨트롤 빔(24d)]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각각 좌측 및 우측 아암(12g, 12d)에 대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의 관절(Ng, Nd)은 강성이 큰 베어링으로 마련되므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절(Ng, Nd)은 아암(12g, 12d)의 선단부(18)에 위치된다.
좌측 컨트롤 빔(24g) [또는 우측 컨트롤 빔(24d)]은 관절 Ag(또는 Ad)에 의하여 차량의 차체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관절(Ag, Ad)은 표준 플랙시블 액슬 상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 컨트롤 빔(24g, 24d)은 차량의 차체에 대하여 고정된 Ag, Ad 점 주위를 피벗할 수 있을 것이다.
액츄에이터(26)는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24g, 24d)을 연결하며, 각 컨트롤 빔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를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24g, 24d)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관절점은 각각 기호 Vg 및 Vd로 표시된다.
액츄에이터(26)는 진동 아암(12g, 12d)을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진동 아암(12g, 12d)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동일하고, Ng, Nd 점을 지나가는 직선은 차량의 좌우 방향 Y로 연장되며 차체에 대한 관절점(Ag, Ad)을 지나가는 직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Vg, Vd 점을 지나가는 직선과 Ag, Ad 점을 지나가는 직선이 분할하는 경우, 컨트롤 빔 및 이에 따라 아암은 액츄에이터의 영향하에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컨트롤 빔(24g, 24d)은 Ag, Ad 점이 각각의 진동 아암(12g, 12d)으로부터 이격되어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한편으로 Ag, Ng 점, 다른 한편으로 Ad, Nd 점을 지나가는 직선은 차륜의 중심(Kg, Kd)을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앙부에서 실질적으로 컷트된다. 관절점(Ng, Nd)은 Vg, Vd 점을 지나가는 직선의 양측에 상기 직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에 위치한다. 직선(AgNg) 및 직선(AdNd) 간의 각은 아암(12g, 12d)의 길이 및 관절점(Ag, Ad)의 측부 위치의 결과이다. 상기 각은, 예컨대 120 내지 130°정도일 수 있다. 거리(d)는, 예컨대 80 mm 정도일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액슬의 기하학적 형상 및 치수에 따라 다른 수치를 사용할 수 있다.
끝으로, 컨트롤 빔의 형태는 상기한 상이한 관절점들의 상대적 위치에 의하 여 정해진다. 실시예에서, 좌측 컨트롤 빔(24g)은 길고 구부러진 형태이며, 관절점(Ag, Vg)은 양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관절점(Ng)은 컨트롤 빔의 중심에 근접해 있다. 우측 컨트롤 빔(24d)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를 취하며, 관절점들(Ag, Nd, Vd)은 이 순서로 시계 바늘 방향으로 꼭지점 근처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컨트롤 빔을 대칭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Ag 점 및 Ng 점 사이의 거리는 Ad 점 및 Nd 점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Ag, Ng 점 및 Ad, Nd 점은 차량의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 거리는, 예컨대 80 mm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을 차량에 장착할 경우, 이것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28)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28)는, 액츄에이터의 조종 및 결과적으로 아암의 피벗 및 후륜의 스티어링 로크를 결정할 수 있는 차량의 작동 정보(예컨대, 전륜의 스티어링 로크)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26)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엔진(30)에 의하여 조종되는 잭이다. 이 경우, 제어 장치는 엔진을 통해서 잭을 기동시킨다.
액슬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액츄에이터(26)가 연장되면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이 Ag, Ad 점 주위에서 시계 바늘 방향으로 가볍게 회전될 것이다. 이러한 회전으로 Ng, Nd 점이 동일한 방향으로(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약간 피벗되고, 이로써 진동 아암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약간 피벗될 것이다. 차륜 지지체(16)과 그에 따라 차륜(15)은 진동 아암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될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액츄에이터가 수축되면 컨트롤 빔이 시계 바늘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차륜(15)이 동일한 방향으로(도면에서는 우측으로) 피벗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6)와 관절점(Vg, Vd)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차륜의 스티어링 로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스티어링 로크 각은 소정 거리(Vg, Vd)에 상응한다.

Claims (10)

  1. 각각 차량의 후방부를 향하는 후단부(14)에서 차륜 지지체(16)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선단부(18)는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고 가로 부재(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종방향 진동 아암(12g, 12d)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로서, 좌측 (또는 우측) 진동 아암의 선단부(18)는 좌측(24g) [또는 우측(24d)] 컨트롤 빔을 통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각 빔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부 및 차체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26)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각 아암을 피벗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차체의 관절점을 (Ag), (Ad)라 할 때, 상기 관절점 (Ag), (Ad)가 진동 아암으로부터 이격되어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위치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3. 제2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아암의 각 선단부의 관절점을 (Ng), (Nd)라 할 때, (Ag)점과 (Ng)점 사이의 거리는 (Ad)점과 (Nd)점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Ag), (Ng) 및 (Ad), (Nd) 점은 차량의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 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아암의 각 선단부의 관절점을 (Ng), (Nd)라 하고,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액츄에이터 양단부의 관절점을 (Vg), (Vd)라 하며, 차량의 좌륜 및 우륜의 회전 중심을 (Kg), (Kd)라 할 때, 한편으로 (Ag), (Ng), 다른 한편으로 (Ad), (Nd)를 지나가는 직선은 중심 (Kg), (Kd)를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앙부 상에서 또는 상기 중앙부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컷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액츄에이터 양단부의 관절점을 (Vg), (Vd)라 하고, 좌측 및 우측 컨트롤 빔과 각 아암의 선단부의 관절점을 (Ng), (Nd)라 할 때, 관절점 (Ng), (Nd)는 관절점 (Vg), (Vd)를 연결하는 직선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6. 제5항에 있어서, 각 아암의 선단부에 대한 컨트롤 빔의 각각의 관절점 (Ng), (Nd)는 관절점 (Vg), (Vd)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d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아암의 선단부에 대한 각 컨 트롤 빔의 관절점 (Ng), (Nd)는 강성이 큰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26)는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엔진(3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랙시블 리어 액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어 액슬(10)과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57019575A 2003-05-20 2004-05-19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포함하는 차량 KR20060018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6041 2003-05-20
FR0306041A FR2855143B1 (fr) 2003-05-20 2003-05-20 Essieu souple arriere a actionneur et ve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13A true KR20060018213A (ko) 2006-02-28

Family

ID=3339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575A KR20060018213A (ko) 2003-05-20 2004-05-19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25065A2 (ko)
JP (1) JP2007500653A (ko)
KR (1) KR20060018213A (ko)
FR (1) FR2855143B1 (ko)
WO (1) WO20041038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2524A1 (de) 2008-06-19 2009-12-24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 für ein Nutzfahrzeug
GR1006455B (el) * 2008-06-25 2009-06-22 Αθανασιου Δημητριος Χατζηκακιδης Παραμετρικο συστημα πλαισιου για οχηματα σχηματιζομενο απο τεσσερα στοιχεια αναρτησεως με εγκαρσια ραβδο στρεψεως και ομοαξονικο συστημα αποσβεστηρα μεσα σε φατνωμα που επιτρεπει την αποθηκευση κεντρικα βαρεων στοιχειων (οπως μπαταριες)
DE102011110697A1 (de) * 2011-08-16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bundlenker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14103377U1 (de) 2014-07-22 2014-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nkung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DE102014214232A1 (de) 2014-07-22 2016-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nkung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DE102014214229A1 (de) 2014-07-22 2016-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nkung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971A (ko) * 1987-03-23 1988-10-25 나까무라 켄조 4륜 조타장치
JPS63291775A (ja) * 1987-05-23 1988-11-2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前後輪操舵装置
FR2657563B1 (fr) * 1990-01-29 1994-06-10 Peugeot Essieu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raverse montee pivotante par rapport a la caisse et vehicule equipe d'un tel essieu.
JPH0516832A (ja) * 1991-07-18 1993-01-26 Toyota Motor Corp 操舵機構付きツイストビーム式リヤサスペンシヨ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3802A2 (fr) 2004-12-02
JP2007500653A (ja) 2007-01-18
WO2004103802A3 (fr) 2005-02-03
FR2855143B1 (fr) 2006-06-02
FR2855143A1 (fr) 2004-11-26
EP1625065A2 (fr)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698B2 (ja) 自動車用のセミトレーリングアーム車軸
JP4444281B2 (ja) 自動車用のリアアクスル及び自動車
CN107690395B (zh) 车轮悬架组件
JP4990901B2 (ja) 車両の懸架装置
CN102695621B (zh) 双轮辙汽车的非转向车轮的独立悬架
KR20140068065A (ko) 조향 가능한 트위스트 빔 액슬
CN101263019A (zh) 稳定器
RU2487018C2 (ru) Система стабилизатора для подвески моста и стабилизатор
KR950010217B1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60018213A (ko)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플랙시블 리어 액슬 및 이를포함하는 차량
US11235803B2 (en) Couplable automotive road vehicle with compact steering and suspension
US20040032106A1 (en) Torsion beam suspension
JPH111110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868129B2 (ja) トウ角可変装置及びトウ角・キャンバー角可変装置
CN107667020B (zh) 横向导臂
KR100326663B1 (ko) 멀티 캠버 모드 서스펜션
JPS6141768B2 (ko)
KR20100096843A (ko) 자동차용 토션 빔 액슬
KR20210070415A (ko) 인휠모터를 구비한 토션 빔 액슬 리어 현가장치
JPH0257413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4026140A (ja) 自動車の懸架装置用のアンチロールバー及び懸架装置並びに自動車
KR100597366B1 (ko) 전/후방타이로드를 갖는 차량의 조향장치
JP2002321666A (ja) クローラー車両
JPS6064009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3079906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