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977A - Ip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Ip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977A
KR20060017977A KR1020040066276A KR20040066276A KR20060017977A KR 20060017977 A KR20060017977 A KR 20060017977A KR 1020040066276 A KR1020040066276 A KR 1020040066276A KR 20040066276 A KR20040066276 A KR 20040066276A KR 20060017977 A KR20060017977 A KR 2006001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etting
private
produc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977A/ko
Priority to US11/192,134 priority patent/US20060039386A1/en
Publication of KR2006001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를 위한 사설 IP 설정장치를 제공한다.
IP 설정장치는 IP 공유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IP 공유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IP 설정부, 및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IP 공유, 사설 IP 주소, IP 설정장치, STATIC IP, DYNAMIC IP

Description

IP 설정장치{Private Internet protocol intaller}
도 1은 종전의 홈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TIC IP 설정과 DYNAMIC IP 설정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TIC IP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YNAMIC IP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사설 IP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홈 네트워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홈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를 위한 기반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면 집안의 제품들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집안의 제품들은 외부의 인터넷을 통해 직접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은 홈 네트워킹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한다. 실제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에 IP를 부여하려면 많은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63781는 IP를 부여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에 동적으로 IP를 할당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IP 공유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도 한다.
도 1은 IP 공유기를 이용하여 구성한 홈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홈 네트워크는 IP 공유기(110)와 컴퓨터(120)와 전화기(132)와 텔레비전(134) 및 냉장고(136)를 포함한다.
IP 공유기(11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orvider; 이하, ISP라 함)로부터 하나의 공인 IP(Public IP) 주소를 부여받고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에게 사설 IP(Private IP) 주소를 부여한다.
사설 IP 주소는 인터넷상에서 사용할 수 없고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 능한 IP 주소를 말한다. 네트워크 제품의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사용가능한(미사용중인) 공인 IP 주소의 수가 점차로 줄어들고 있으며, 사설 IP 주소의 사용은 는 이러한 공인 IP 주소의 부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사설 IP 주소는 전체 IP 주소를 관리하는 IANA가 사설 네트워크를 위하여 미리 확보해 둔 것이다.
예를 들면, IP 공유기(110)가 공인 IP 주소를 168. 219. 13. 132로 할당받은 경우에 IP 공유기(110)는 홈 네트워크에서 192. 168. 1. 100의 사설 IP 주소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120)는 192. 168. 1. 101의 사설 IP 주소를 갖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의 전화기(132) 는 192. 168. 1. 102의 사설 IP 주소를 갖고, 텔레비전(134)는 192. 168. 1. 103의 사설 IP 주소를 가지며, 냉장고(136)는 192. 168. 1. 104의 사설 IP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를 위한 사설 IP 주소를 설정하려면 컴퓨터(120)가 필요하다. 즉, 사용자는 컴퓨터(120)를 이용하여 IP 공유기(110)와 컴퓨터(120)와 전화기(132)와 텔레비전(134) 및 냉장고(136)의 IP 설정(installing)을 한다. IP 설정이 끝난 제품은 홈 네트워크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는 가정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IP 설정을 하기에 곤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IP 설정을 할 수 있는 IP 설정장치가 제공된다면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 주소 설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는 IP 공유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IP 공유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IP 설정부, 및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는 외부 라인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외부 포트와,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제품이 상기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번역하는 IP 설정부, 및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수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수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IP 공유기를 이용한 IP 설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IP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IP 설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홈 네트워크는 IP 공유기(210)와 IP 설정장치(220) 및 복수의 디바이스들(232, 234, 236)을 포함한다.
IP 공유기(210)는 외부 포트(212)를 통해 외부 라인(240)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고, 내부 포트(214)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들과 연결된다. IP 공유기(210)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NAT(Network Address Translaton)의 기능을 포함한다.
DHCP는 호스트의 IP 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DHCP에 대한 표준은 RFC 2131 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 서버가 중앙집 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DHCP 지원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과정에서 DHCP 서버에 IP 주소를 요청하고 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DHCP 기능은 DHCP 에이전트들이 수행하는데, DHCP 서버와 DHCP 클라이언트가 있다.
DHCP 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일정한 범위의 IP 주소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여 자동으로 설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변경없이 유지해 줄 수 있다.
DHCP 클라이언트는 시스템이 시작하면 DHCP 서버에 자신의 시스템을 위한 IP 주소를 요청한다.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부여 받으면 TCP/IP 설정은 초기화되고 다른 호스트와 TCP/IP를 사용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DHCP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주소와 관계된 네트워크 설정값(MAC 주소와 같은)을 찾을 수 있는 DHC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DHCP 클라이언트는 이전에 할당받았던 IP주소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DHCP 프로토콜의 오래된 버젼은 짧은 주기로 IP주소 상태를 유지하지만, 최신버젼의 경우에는 프로토콜에 특별한 요청이 없이도 IP주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NAT는 외부 네트웍에 알려진 것과 다른 사설 IP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웍에서, 공인 IP주소를 변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NAT는 동적 주소 변환 (Dynanic Address Translation)과 정적 주소 변환 (Static Address Translation)이 있다. 동적 주소 변환은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의 출발지 주소를 동적으로 변환시키므로 외부에서는 내부의 주소로의 직접연결을 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정적 주소 변환은 내부 네트워크에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근해야 하는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관리자가 직접 주소 변환 테이블을 입력하여 공인 IP 주소와 내부의 사설 IP 주소를 호스트 단위 혹은 네트워크 단위로 1:1 매핑함으로써 외부에서 공인 IP를 이용해 비공인 IP를 갖는 서버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IP 공유기(210)는 NAT의 기능을 수행한다. IP 공유기(210)는 PPP(Point-to-Point Protocol) 또는 PPPoE(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라인(440)을 통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PPPoE는 모뎀과 같은 고객의 공용 장비를 통해 하나의 이더넷을 이용하는 여러 사용자들을 원격지에 있는 사이트에 연결하기 위한 규격을 말한다. PPPoE 기술은 사무실이나 빌딩 내의 모든 사용자들이 하나의 ADSL, VDSL, 케이블 모뎀, 또는 무선접속을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PPoE는 다이얼업 접속에서 흔히 사용되는 PPP와 근거리통신망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는 이더넷 프로토콜이 결합된 것이다. PPP 프로토콜 정보는 이더넷 프레임 내에 캡슐화된다.
IP 공유기(210)는 ISP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 내부 포트(214)를 통해 사설 IP 주소를 부여받은 제품들과 연결된다. 홈 네트워크의 각 제품에 사설 IP를 부여하는 기능은 IP 설정장치(220)가 담당한다. 예를 들면, ISP로부터 221. 100. 10. 1을 받으면, IP 설정장치(220)는 자신의 사설 IP를 198. 126. 10. 2로 하고, 디바이스 A(232)에게 사설 IP 198. 126. 10. 3을 주고, 디바이스 B(234)에게 사설 IP 198. 126. 10. 4를 주며, 디바이스 C(236)에게 사설 IP 198. 126. 10. 5를 준다. 만일 디바이스 A(232)가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한다면 198. 126. 10. 3은 사설 IP이기 때문에 이것을 바로 사용할 수 없고, IP 공유기(210)가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 221. 100. 10. 1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IP 공유기(210)는 디바이스 A(232)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발신 주소를 221. 100. 10. 1로 바꾸어서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달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A(232)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 A(232)가 송신하는 데이터의 발신 주소를 221. 100. 10. 1에 디바이스 A(232)의 포트 번호를 붙인다. 예를 들면 IP 설정장치(220)의 포트번호는 6060이고, 디바이스 A(232)의 포트번호는 7070이고, 디바이스 B(234)의 포트번호는 8080이며, 디바이스 C(236)의 포트번호는 9090일 경우에, IP 공유기(210)는 디바이스 A(232)가 외부 디바이스에게 송신하는 데이터의 발신 주소는 221. 100. 10. 1로 바꾸고 그 포트번호는 7070으로 한다. 외부의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수신 주소가 221. 100. 10. 1이고 포트번호가 7070인 경우에, IP 공유기(210)는 데이터의 수신 주소를 198. 126. 10. 3로 바꾸어서 디바이스 A(232)에게 전달한다.
IP 설정장치(2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2)와 IP 설정부(224)와 디스플레이부(22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28)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2)는 IP 설정장치(220)가 다른 제품과 연결되어 네트워킹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2)는 48비트의 고유한 물 리적 주소(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IP 설정부(224)는 IP 공유기(21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제품들의 IP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P 설정은 DYNAMIC IP 설정과 STATIC IP 설정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DYNAMIC IP 설정은 DHCP 방식으로 수행되고, IP 설정부(224)는 DHCP 서버의 역할을 한다. IP 설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8)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고, IP 설정부(224)에서 IP 설정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IP 설정부(224)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226)는 IP 설정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준다. 디스플레이부(226)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228)는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일부 또는 전부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6)는 CRT(Cathod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IP 설정장치(220)는 기존에 모니터나 텔레비전에 IP 설정기능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IP 설정장치(220)는 예시적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IP 설정장치(220)와 다르게 구현한 IP 설정장치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IP 설정장치(320)는 도 2의 IP 설정장치(220)와 달리 IP 공유기의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IP 설정장치(330)는 다른 제품들이 연결될 수 있는 내부 포트(323)와 외부 라인(340)과 연결될 수 있는 외부 포트(322)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2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28)의 동작은 도 2의 IP 설정장치(220)의 해당 구성요소의 설명을 참조한다.
IP 설정부(324)는 사설 IP 주소 할당을 위하여 DHCP 서버 기능을 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품들이 외부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도록 NAT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IP 설정장치(420)는 도 2의 IP 설정장치(220)와 도 3의 IP 설정장치(320)와 달리 자체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450)를 통해서 IP 설정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P 설정장치(220)는 디스플레이장치(450)를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 생성부(426)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IP 설정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P 설정 명령을 하게 되는데, 먼저 네트워크 상태를 결정해야 한다.
먼저 사용자가 셋업 메뉴를 선택하면 셋업 메뉴 화면(510)이 디스플레이 된다. 셋업 메뉴에는 IP 설정장치의 셋업을 위한 다양한 메뉴가 제공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네트워크 구성 메뉴(512)이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구성 메뉴(512)를 선택하면 네트워크 구성 화면(520)이 디스플레이된다.
네트워크 구성 화면(520)은 STATIC IP 상태(522)와 DYNAMIC IP 상태(524)를 보여준다. STATIC IP 상태(522)가 "ON"인 경우에 DYNAMIC IP 상태(524)는 "OFF"가 된다. STATIC IP 설정 과정과 DYNAMIC IP 설정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TIC IP 설정과 DYNAMIC IP 설정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STATIC IP 상태(612)를 "ON"으로 설정한 경우에 네트워크 구성 화면(610)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IP를 입력할 수 있도록 IP ADDRESS와 GATEWAY의 주소값과 SUBNET MASK 값의 입력란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DYNAMIC IP 상태(614)는 "OFF"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DYNAMIC IP 상태(624)를 "ON"으로 설정한 경우에 네트워크 구성 화면(620)에는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란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STATIC IP 상태(622)는 "OFF"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나면 DYNAMIC IP를 부여받고 네트워크 구성 화면(630)은 부여받은 IP 및 MAC 주소(532)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설장장치의 STATIC IP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IP 설정장치의 STATIC IP 설정을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STATIC IP 상태를 "ON"으로 하여 STATIC IP를 선택한다(S710). STATIC IP를 선택 하면, 수동으로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된다.
수동으로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입력한다(S720).
IP 주소가 입력되고 나면, IP 설정장치의 IP 주소와 MAC 주소가 등록된다(S730).
IP 주소와 MAC 주소가 등록되면, IP 설정장치는 IP/MAC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S740).
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면, IP 설정장치는 TCP/IP 통신을 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설정장치의 DYNAMIC IP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IP 설정장치의 DYNAMIC IP 설정을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DYNAMIC IP 상태를 "ON"으로 하여 DYNAMIC IP를 선택한다(S810).
DYNAMIC IP를 선택하면, DHCP 동작에 의해 IP 설장장치는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받는다(S820).
IP 주소를 할당받고 나면, IP 설정장치의 IP 주소와 MAC 주소가 등록된다(S830).
IP 주소와 MAC 주소가 등록되면, IP 설정장치는 IP/MAC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S840).
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면, IP 설정장치는 TCP/IP 통신을 한다(S850).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 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IP 설정장치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IP 설정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IP 설정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IP 주소 설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IP 공유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IP 공유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IP 설정부;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IP 설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설정부는 DYNAMIC IP 설정 방식으로 상기 제품의 IP를 설정하는 IP 설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설정부는 STATIC IP 설정 방식으로 상기 제품의 IP를 설정하며, 상기 제품의 IP 주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IP 설정장치.
  4. 외부 라인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외부 포트;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제품이 상기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번역하는 IP 설정부;
    상기 제품의 사설 IP 주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IP 설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P 설정부는 DYNAMIC IP 설정 방식으로 상기 제품의 IP를 설정하는 IP 설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P 설정부는 STATIC IP 설정 방식으로 상기 제품의 IP를 설정하며, 상기 제품의 IP 주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IP 설정장치.
KR1020040066276A 2004-08-23 2004-08-23 Ip 설정장치 KR20060017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76A KR20060017977A (ko) 2004-08-23 2004-08-23 Ip 설정장치
US11/192,134 US20060039386A1 (en) 2004-08-23 2005-07-29 Internet protocol insta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76A KR20060017977A (ko) 2004-08-23 2004-08-23 Ip 설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77A true KR20060017977A (ko) 2006-02-28

Family

ID=3590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276A KR20060017977A (ko) 2004-08-23 2004-08-23 Ip 설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39386A1 (ko)
KR (1) KR200600179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22B1 (ko) * 2007-04-24 2009-02-19 주식회사 씨앤비텍 유무선 네트워크의 공유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07934A2 (ko) * 2008-02-27 2009-09-03 주식회사 휴커넥스 하나의 아이피 주소로 복수의 아이피 장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포트 장치
KR101331561B1 (ko) * 2012-06-11 2013-1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갱신 방법, 이를 이용한 아이피 공유기
KR101449817B1 (ko) * 2012-12-28 2014-10-13 전현정 스위치를 이용한 고정 아이피 설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059A (ja) * 2006-04-10 2007-10-25 Sony Corp テレビ電話端末装置及びアドレス表示方法
US8195736B2 (en) * 2006-08-08 2012-06-05 Opnet Technologies, Inc. Mapping virtual internet protocol addresses
JP5041020B2 (ja) * 2010-03-25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112549B1 (ja) * 2011-08-12 2013-01-0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機器、テレビジョン受像機、通信システム、通信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200282B1 (en) 2014-03-26 2019-02-05 Junipe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izing customer-premises equipment
US9565103B1 (en) * 2014-03-26 2017-02-07 Junipe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izing customer-premises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545A (en) * 1997-07-09 2000-09-05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allocation and assignment
US7085836B1 (en) * 2000-08-18 2006-08-01 2W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ivate IP address selection
US20030172170A1 (en) * 2002-03-08 2003-09-11 Johnson Gerald R. Providing multiple ISP access to devices behind NAT
WO2004058403A2 (en) * 2002-12-24 2004-07-15 Samrat Vasisht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155429A1 (en) * 2004-06-18 2006-07-13 Applied Digital, Inc. Vehicle entertainment and accessory control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22B1 (ko) * 2007-04-24 2009-02-19 주식회사 씨앤비텍 유무선 네트워크의 공유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07934A2 (ko) * 2008-02-27 2009-09-03 주식회사 휴커넥스 하나의 아이피 주소로 복수의 아이피 장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포트 장치
WO2009107934A3 (ko) * 2008-02-27 2009-11-05 주식회사 휴커넥스 하나의 아이피 주소로 복수의 아이피 장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포트 장치
KR101331561B1 (ko) * 2012-06-11 2013-1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갱신 방법, 이를 이용한 아이피 공유기
KR101449817B1 (ko) * 2012-12-28 2014-10-13 전현정 스위치를 이용한 고정 아이피 설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9386A1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9386A1 (en) Internet protocol installer
JP3953508B2 (ja) クライアント機器への接続をル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サーバ
TWI274491B (en) Network interconnection apparatus, network interconnection method, name resolu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7797417B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IP-based network system
JP4352748B2 (ja) 中継装置
US6490289B1 (en)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from a single PPP link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US20080168118A1 (en) USB based virtualized media system
EP3398302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carrier grade nat (cgn) to a subset of subscriber base
JP200333777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遠隔制御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WO2003077143A1 (en) Providing multiple isp access to devices behind nat
WO2008097273A9 (en) Usb based virtual media system
WO2006040881A1 (ja)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KR20020007573A (ko) 홈 게이트웨이
US20030172142A1 (en) Method for building a vapa by using wireless-LAN interface card
US7724752B1 (en) Communication system across networks and method thereof
US70858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ivate IP address selection
KR101074063B1 (ko)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의 동적채널 구축방법
KR20070120784A (ko)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US7443865B1 (en)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from a single PPP link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KR100487296B1 (ko) 인터넷 망에서 호스트 이동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5825B1 (ko) 랜구조의 에지망 내의 각 가입자의 댁내 호스트들에 할당될 아이피주소를 확장하면서 서로 서브넷이 다른 댁내 호스트들에 의한 라우팅 없는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인터넷 접속 시스템
TWI491209B (zh) 路由器及保全系統
EP17935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servers located behind a network address translator
KR101456699B1 (ko) 단말, 단말 관리 장치, 단말의 패킷 전송 방법 및 단말 관리 방법
KR100407967B1 (ko) 홈 네트워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