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784A -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784A
KR20070120784A KR1020060055500A KR20060055500A KR20070120784A KR 20070120784 A KR20070120784 A KR 20070120784A KR 1020060055500 A KR1020060055500 A KR 1020060055500A KR 20060055500 A KR20060055500 A KR 20060055500A KR 20070120784 A KR20070120784 A KR 2007012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vat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587B1 (ko
Inventor
박도호
Original Assignee
엔트로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로링크(주) filed Critical 엔트로링크(주)
Priority to KR102006005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587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95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masks or ranges of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공인IP를 이용하여 다수의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사설IP주소(private IP) 및 서브넷마스크(SM:Subnet Mask), 목적지주소(GW:Gateway)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도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IP공유장치에 따르면 다른 IP대역 즉,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변환테이블과 상이한 네트워크 환경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다른 장소의 IP공유장치에 연결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 목적지주소(GW)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상기 IP공유장치의 IP대역에 맞도록 변경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바, 본 발명의 IP공유장치는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이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변환테이블과 상이하더라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페이크(FAKE)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 목적지주소(GW)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달리하는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매번 변경하지 않아도 연결 접속 가능하며, 또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연결 접속 가능함으로써 편리하게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IP공유장치, 외부 인터페이스부, 내부 인터페이스부, IP주소관리부, IP주소변환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 변환테이블, IP주소할당부, IP주소제어부, 페이크(FAKE)처리부, 페이크(FAKE)테이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통신단말기

Description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IP share device which can make it possible to use the network system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ny change and the connection method thereby}
도 1 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에 할당되는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나타낸 표.
도 2 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공유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동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도 3 의 페이크(Fake)처리부의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동 실시예에 따른 접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도 3 의 인증처리부의 요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IP공유장치 110 : 외부 인터페이스부
120 : 내부 인터페이스부 130 : IP주소관리부
140 : IP주소변환부 150 :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
151 : 변환테이블 160 : IP주소할당부
170 : IP주소제어부 180 : 페이크(FAKE)처리부
181 : 페이크(FAKE)테이블
200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300 : 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하나의 IP주소를 이용하여 다수의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통신단말기의 사설IP주소(private IP) 및 서브넷마스크(SM:Subnet Mask), 목적지주소(GW:Gateway)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상기 통신단말기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외부IP주소를 할당받아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각각의 통신단말기에 외부(공인)IP주소를 할당하여야 함으로 외부(공인)IP주소의 고갈 상태를 초래하고, 또한 다수 사용자에 대한 접속료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외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공인IP주소(Public IP)를 제공받아 내부에 형성되는 IP주소할당부, IP주소변환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 IP주소제어부로 구성된 IP주소관리부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통신단말기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사설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변환테이블의 IP대역 주소를 참조하여 사설IP주소의 어느 하나를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해당 통신 단말기에 할당하는 IP공유장치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사설IP주소(private IP)는 전체 IP주소를 관리하는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IANA:Internet Assigned Number Authority)에서 내부 네트워크를 위해 미리 확보해 둔 것으로, 도 1의 표 1과 같이 각 클래스 별로 IP대역이 제공되며, 상기 사설IP주소는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로는 연결되지 않고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함으로 한정된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IP공유장치에 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도 2 과 같이 통신단말기의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 목적지주소(GW)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IP공유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IP대역에 맞도록 변경하게 되고,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테이터 즉, 사설IP주소를 갖는 패킷을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패킷의 사설IP주 소를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에 의해 공인IP주소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각각의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에 의해 공인IP주소를 목적지 주소(GW:GateWay)에 해당하는 통신 단말기의 사설IP주소로 변경하여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IP공유장치에 따르면 다른 IP대역 즉,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변환테이블과 상이한 네트워크 환경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다른 장소의 IP공유장치에 연결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 목적지주소(GW)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상기 IP공유장치의 IP대역에 맞도록 변경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수행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IP주소 방식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은 그 수요에 따라 IP주소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어 차츰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으로 변경되는 추세이며 상기 IPv6 방식에 맞는 IP공유장치 또한 요구하게 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IP공유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Subnet Mask), 목적지주소(GW:Gateway)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공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는 것이며, 그 다른 목적은 IP주소 방식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 및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공유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사설IP주소 즉, 네트워크 환경이 IP공유장치 내부에 구성되는 IP주소관리부의 변환테이블과 상이하더라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페이크(FAKE)처리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공유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동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는 동 실시예의 페이크(Fake)처리부의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동 실시예에 따른 접속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WAN:Wide Area Network) 가능하도록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Internet Service Provider)(200)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10); 내부 네트워크(LAN:Local Area Network)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신단말 기(300)가 연결되는 내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내,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10)에 연결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와 통신단말기(300)의 물리적주소(MAC:Media Access Control)를 IP주소로 변환하는 IP주소변환부(140)와,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Internet Service Provider)(200)로부터 제공받는 공인IP주소를 내부에 생성된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을 참조하여 사설IP주소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150)와, 상기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을 참조하여 해당 통신단말기(300)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할당부(160)와, 상기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사설IP주소를 갖는 패킷을 송, 수신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IP주소제어부(170)로 이루어진 IP주소관리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IP공유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연결되더라도 상기 통신단말기(300)의 사설IP주소의 변경 없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페이크(FAKE)처리부(1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송, 수신할 때에 상기 패킷의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생성 및 삭제, 유지 가능하도록 페이크(Fake)테이블(181)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IP주소관리부(130)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 의 IP대역과 상이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의 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송, 수신할 때에 상기 패킷의 IP주소의 IP대역을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 및 삭제,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P공유장치(100)를 이용한 접속 방법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을 참조하여 IP대역의 사설IP주소를 할당받는 다수의 통신단말기(300)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로부터 할당된 공인IP주소를 공유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가 설정된 통신단말기(300)가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설IP주소를 갖는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S1); 상기 전송되는 패킷의 사설IP주소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는 단계(S2);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는 패킷을 페이크(FAKE)처리부(180)에서 가로채는 단계(S3); 상기 가로챈 패킷의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의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하고, 상기 IP대역의 IP주소를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목적지주소(GW:GateWay)에 생성하는 단계(S4);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를 통해 통신단말기(300)의 패킷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부호 " 190 " 인증처리부이고 " 191 "은 인증부이며 " 192 " 는 인증서버이다.
아울러, 도 3 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는 케이블 모뎀 또는 xDSL 단말기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IP공유장치의 연결포트인 외부 네트워크부(WAN)(110)에 연결되게 되어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다수의 통신단말기(300)는 노트북, 컴퓨터, PDA, 휴대폰 등을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포트인 내부 인터페이스부(LAN)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IP공유장치(100) 내부에 구성되는 IP주소관리부(130)는 IP주소변환부(140)와, IP주소할당부(160)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와, IP주소제어부(17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연산처리기(CPU), 롬(RAM),램(ROM) (미도시)등과 저장되는 펌웨어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IP주소관리부(130)에 있어서 IP주소변환부(140)는 각자의 제품의 생산시 정해지는 유일한 값으로 12개의 16진수로 이루어지는 즉, 내,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10)에 연결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와 통신단말기(300)의 물리적주소(MAC)를 IP주소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때 IP주소를 물리적주소(MAC)로 변환시키는 약속으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란 것이 사용되고 그 반대의 경우 즉, 물리적주소(MAC)를 IP주소로 변환하는 약속으로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란 것이 사용되는 것으로 논리적인 주소 IP주소를 물리적인 주소(MAC)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처리부는 네트워크 환경 즉, 사설 IP 주소를 갖는 다수의 통신단말기(300)가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인IP주소로 변경하게 되는 데, 이때 변환테이블(151)을 이용하여 도 1 과 같은 IP대역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각각의 변환테이블(151)은 내부에 IP대역, 서브넷마스크(SM) 또는 IP공유장치(100)의 IP주소를 보유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IP주소할당부(160)는 상기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을 참조하여 각각의 통신단말기(300)에 사설IP주소 및 서브넷마스크(SM), 목적지주소(GW)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할당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동적 호스트 구성 규약부(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수의 통신단말기(300)에 상기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에 대응하는 사설IP주소를 각각 할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IP주소제어부(170)는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연산처리기(CPU), 롬(RAM),램(ROM) (미도시)등과 저장된 펌웨어에 의해 내,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및 다수의 통신단말기(300)의 송, 수신되는 패킷을 제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 5 와 같이 페이크(FAKE)처리부(180)는 내부에 페이크(Fake)테이블(181)을 구성하여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패킷의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생성 및 삭제, 유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더불어,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 는 통신단말기(300)가 내,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사용시간 및 입출력되는 패킷의 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처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처리부(190)는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통신단말기(300)가 내부 및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웹브라우저를 실행함과 동시에 해당 통신단말기(300) 사용자의 아이디(ID:Identification Number), 패스워드(PW:PassWord)를 입력가능하도록 인증화면을 보여주는 인증부(191)와; 상기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IP주소 및 물리적주소(MAC) 등을 저장하도록 내부 및 외부에 마련되는 인증서버부(19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신단말기(300)가 사설IP주소 즉, 네트워크 환경이 IP공유장치(100) 내부에 구성되는 IP주소관리부(130)의 변환테이블(151)과 상이하더라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본 발명의 IP공유장치(100)를 이용한 접속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 및 도 5 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 즉, IP주소가 192.168.1.10 이고, 서브넷마스넷(SM)이 255.255.255.0 이며, 목적지주소(GW)가 192.168.1.254 인 통신단말기(300)를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하고, 유동 및 고정IP주소 즉, 공인IP주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를 외부 인터페이스부(110)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통신단말기(300)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IP 주소 192.168.1.10 를 갖는 패킷을 내부에 구성된 IP주소관리부(130)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패킷의 IP주소를 IP주소관리부(130)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상기 패킷을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내부에 구성된 페이크(FAKE)처리부(180)가 수시로 입력되는 패킷을 확인함으로 상기 패킷을 일정시간 즉, 약 1초 동안 3회 이상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를 통해 전송되지 못할 시에는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가 패킷을 가로채게 된다.
상기 가로챈 패킷의 IP주소의 IP대역을 페이크(FAKE)처리부(180)의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하게 되고, 상기 IP주소관리부(130)의 IP주소를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목적지주소(GW)에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신단말기(300)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지 않고도 패킷을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과 같이 상기 IP주소관리부(130)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의 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S1"); 상기 전송되는 패킷의 IP주소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는 단계(S2");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는 패킷을 페이크(FAKE)처리부(180)에서 가로채는 단계(S3"); 상기 가로챈 패 킷의 IP주소의 IP대역을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의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하고, 상기 IP대역의 IP주소를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목적지주소(GW:GateWay)에 생성하는 단계(S4");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를 통해 통신단말기(300)의 패킷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 8과 같이 상기 통신단말기(300)가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에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실행과 동시에 인증부(191)에 의해 사용자의 아이디(ID:Identification Number), 패스워드(PW:PassWord)를 입력하도록 인증화면을 보여주는 웹-리디렉션( Web- Redirection)기능을 실행시키게 되며 상기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아이디(ID:Identification Number), 패스워드(PW:PassWord)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식별주소(IP주소 및 물리적주소(MAC) 등)를 내부 및 외부에 마련되는 인증서버부(192)에 저장된 식별주소와 일치 판단을 확인하고 상기 인증서버부(192)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면 해당 통신단말기(300)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시간설정 및 입출력되는 패킷의 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외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통신단말기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되, 상기 사설IP주소는 내부에 형성되 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에 생성된 변환테이블의 IP대역 주소를 참조하여 할당하도록 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제공받은 유동 및 고정IP주소 즉, 공인IP(Public IP)주소를 공유하여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IP공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이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의 변환테이블과 상이하더라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페이크(FAKE)처리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장소에 따라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사설IP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SM:Subnet Mask), 목적지주소(GW:Gateway) 등의 네트워크 환경을 매번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롭지 않으며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사설IP주소 방식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 및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갖는 통신단말기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 새로운 방식에 맞게 IP공유장치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외부 네트워크(WAN:Wide Area Network) 가능하도록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Internet Service Provider)(200)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10);
    내부 네트워크(LAN:Local Area Network)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신단말기(300)가 연결되는 내부 인터페이스부(120);
    상기 내,외부 인터페이스부(120)(110)에 연결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와 통신단말기(300)의 물리적주소(MAC:Media Access Control)를 IP주소로 변환하는 IP주소변환부(140)와,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로부터 제공받는 공인IP주소를 내부에 생성된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을 참조하여 사설IP주소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150)와, 상기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을 참조하여 해당 통신단말기(300)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할당부(160)와, 상기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사설IP주소를 갖는 패킷을 송,수신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IP주소제어부(170)로 이루어진 IP주소관리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IP공유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연결되더라도 상기 통신단말기(300)의 사설IP주소의 변경없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페이크(FAKE)처리부(1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IP 공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송,수신할 때에 상기 패킷의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생성 및 삭제, 유지 가능하도록 페이크(Fake)테이블(181)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IP공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관리부(130)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의 32비트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의 128비트 방식의 IP주소를 갖는 통신단말기(300)가 패킷을 송,수신할 때에 상기 패킷의 IP주소의 IP대역을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 및 삭제, 유지 가능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 변경을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IP공유장치.
  4.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을 참조하여 IP대역의 사 설IP주소를 할당받는 다수의 통신단말기(300)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200)로부터 할당된 공인IP주소를 공유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한 사설IP주소가 설정된 통신단말기(300)가 내부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설IP주소를 갖는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S1);
    상기 전송되는 패킷의 사설IP주소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부(NAT)(150)의 변환테이블(151)의 IP대역과 상이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는 단계(S2);
    상기 일정시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는 패킷을 페이크(FAKE)처리부(180)에서 가로채는 단계(S3);
    상기 가로챈 패킷의 사설IP주소의 IP대역을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의 페이크(Fake)테이블(181)에 생성하고, 상기 IP대역의 IP주소를 해당 통신단말기(300)의 목적지주소(GW:GateWay)에 생성하는 단계(S4);
    상기 페이크(FAKE)처리부(180)를 통해 통신단말기(300)의 패킷을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IP 공유장치를 이용한 접속방법.
KR1020060055500A 2006-06-20 2006-06-20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KR10085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500A KR100853587B1 (ko) 2006-06-20 2006-06-20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500A KR100853587B1 (ko) 2006-06-20 2006-06-20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84A true KR20070120784A (ko) 2007-12-26
KR100853587B1 KR100853587B1 (ko) 2008-08-21

Family

ID=3913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500A KR100853587B1 (ko) 2006-06-20 2006-06-20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98A1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커널아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리다이렉션 제어 시스템
KR20200140085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시큐아이 네트워크 보안 장치 및 방법
US11456987B1 (en) 2021-05-07 2022-09-2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internet protocol address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846A (ja) 2000-06-19 2002-01-11 Hitachi Commun Syst Inc マルチメディアプロキシサーバ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20030026740A (ko) * 2001-09-28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체 접근 제어를 이용한 망 주소 변환 처리방법
KR100423500B1 (ko) * 2002-01-29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941296B1 (ko) * 2003-06-30 2010-02-11 주식회사 케이티 포트번호제어를 통한 공중망과 연결된 사설 ip망 간피어투피어 통신 방법
US7483393B2 (en) 2004-12-07 2009-01-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internet address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98A1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커널아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리다이렉션 제어 시스템
KR20200140085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시큐아이 네트워크 보안 장치 및 방법
US11456987B1 (en) 2021-05-07 2022-09-2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internet protocol address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587B1 (ko)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801B1 (ko) 서로 다른 사설망에 존재하는 네트워크장치들 간의직접접속을 제공하는 망접속장치 및 방법
US88059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 conflict resolution
US77966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connections between network devices located in different home networks
KR101034938B1 (ko) IPv6 주소 및 접속정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779158B2 (en) Network device
JPWO2005027438A1 (ja) パケット中継装置
KR20030065075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21026A (ko) 하나의 NIC(Network InterfaceCard)에 복수개의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방법 및이에 적합한 장치
US20090049164A1 (en) Peer-to-peer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enabling call and arrival
KR20030060388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000000185A (ko)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능을 이용한 주소 절약형인터넷 접속 및 가상 사설망(vpn) 구성 방법
JP2010103709A (ja) パケット転送装置、パケット転送方法、パケット転送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CN101410817A (zh) 自动协议代理的自动配置名称空间的使用
KR100645960B1 (ko) 사설망의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JP3858884B2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及び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53587B1 (ko) 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 없이 사용가능하도록하는 아이피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JP2009010606A (ja) トンネル接続システム、トンネル管理サーバ、トンネル接続装置、及びトンネル接続方法
US20030172142A1 (en) Method for building a vapa by using wireless-LAN interface card
KR20060017977A (ko) Ip 설정장치
KR100355288B1 (ko) 사설망 호스트에 서비스 서버 기능을 부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74063B1 (ko)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의 동적채널 구축방법
CN108040137A (zh) 一种域名解析方法、网关及网络系统
KR20000046358A (ko) 라우터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의 원천지 주소 할당방법
JP2007074059A (ja) 通信支援装置、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0007389A (ko) 아이피 버전 6 주소 사용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