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729A - 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 Google Patents

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729A
KR20060017729A KR1020050024247A KR20050024247A KR20060017729A KR 20060017729 A KR20060017729 A KR 20060017729A KR 1020050024247 A KR1020050024247 A KR 1020050024247A KR 20050024247 A KR20050024247 A KR 20050024247A KR 20060017729 A KR20060017729 A KR 2006001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file
change
group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2263B1 (en
Inventor
장기태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riority to PCT/KR2005/0027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22501A1/en
Publication of KR2006001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263B1/en
Priority to HK08100966.2A priority patent/HK11103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계측을 바탕으로 비탈면의 지중의 붕괴조짐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측을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하여 동일 방향으로 붕괴의 가능성을 가지는 상호 인접한 비탈면을 각기 구획하여 그룹화시키는 실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와; 상기 비탈면의 상측에 실시간으로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지중변화 계측수단이 포함되는 기준파일을 하나 이상으로 박는 단계와; 상기 실측으로 구획된 각 그룹의 비탈면 마다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이 포함된 파일을 박는 단계와; 상기 각 파일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동일한 방향의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인접하는 비탈면을 재 구획하여 그룹화 시키고 상기 기준파일의 좌표와 각 그룹의 파일들의 좌표 및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와; 상기 계측을 통해 구획된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각 파일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파일의 이동순간중심을 산출하고 이 이동순간중심을 바탕으로 각 파일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파일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변화깊이 데이터와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바탕으로 현재 각 파일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각 그룹의 비탈면 붕괴를 예측하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of slope decay sign that can accurately grasp the decay of the slope of the slope on the basis of the surface measurement, and predicts the disintegration tendency of the slope through the measurement and has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Grouping through actual measurement for partitioning and grouping adjacent slopes; Putting at least one reference file including a ground change measuring means for outputting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above the slope; Putting a pile including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upper position and an angular change at each slope of each group partitioned by the measurement; The upper position and angle change of each file ar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a measuring means to regroup and group adjacent slopes that cause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file, the coordinates of the files of each group, and the Grouping the file through inputting the weak part coordinates to the control unit;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measured in real time in each file included in each group partitioned through the measurement are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ving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file is calculated using the input data. Calculate a number of underground movement radiuses with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and based on ground change depth data input from the reference file and coordinates of weak areas of each grou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 analysis prediction step of slope slope collapse predicting slope slope of each group by calculating the moving radius.

Description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slope

도 1은 본 발명의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을 나타낸 공정도.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measurement analysis method of slope slope collap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측을 통한 비탈면 그룹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lope grouping step through the measure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파일과 파일을 박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ep of putting the file and the referenc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비탈면의 단면도이고,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ope,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rouping step through fil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계측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5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measuring means,

도 5b는 사시도.       5B is a perspective view.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계측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6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measuring means;

도 6b는 사시도이며,        6B is a perspective view,

도 6c는 도 6b의 B-B선 단면도이고,        FIG. 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6B,

도 6d는 계측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6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asurement step.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조짐 분석 예측단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llapse analysis analysis predi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취약부에서 지중 이동라인을 산출하는 과정을,        Figure 7a is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in the weak part,

도 7b는 기준파일에서 지중 이동라인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7B illustrates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underground moving line from the reference fil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붕괴조짐을 비탈면의 전체로 분석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analyzing the slope of the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of the slop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파일1: file

2 : 계측수단2: measuring means

21 : GPS수신기    21: GPS receiver

22 : 파일각도 계측부    22: file angle measurement unit

221 : 장착수단, 222 : X축 각도계측부,          221: mounting means, 222: X axis angle measuring unit,

223 : Y축 각도계측부         223 Y-axis angle measuring unit

23 : 통신부    23: communication unit

24 : 와이어 권취 계측부    24: wire winding measuring unit

241 : 권취 계측부         241: winding measurement unit

242 : 와이어 각도변화 계측부         242: wire angle change measurement unit

25 :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    25: pile angle measurement unit

251 : 장착수단, 252 : X축 각도계측부,          251: mounting means, 252: X axis angle measuring unit,

253 : Y축 각도계측부         253: Y axis angle measuring unit

26 : 통신부    26: communication unit

3 : 제어부 3: control unit

4 : 취약부4: weak part

5 : 기준파일5: Standard file

51 : 지중변화 계측수단    51: ground change measurement means

본 발명은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지표계측을 바탕으로 비탈면의 지중의 붕괴조짐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of slope decay sig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of slope decay signs that can accurately grasp the decay signs of the slope of the slope on the basis of the surface measurement.

일반적으로 비탈면이라 함은 인위적인 절토나 성토를 통해 형성되거나 자연적인 침하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비탈면이 취약하여 붕괴될 경우에는 막대한 인명 및 물적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Generally, the slope is formed through artificial cut or fill, or is formed by natural settlement. When the slope is vulnerable and collapsed, it causes enormous human and physical damage.

그래서 통상적으로 비탈면의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그물망, 칸막이, 콘크리트타설 등의 물리적인 시공방법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을 통해서는 비탈면의 붕괴를 충분히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refore, in general, physical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a net, partition, and concrete placing have been us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lope, but through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lope of the slope can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이에 최근에는 비탈면의 붕괴를 사전에 계측하여 이를 예측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method of predicting and predicting the collapse of the slope in advance has been widely used.

즉 비탈면의 계측방법으로는, 다수의 파일을 비탈면에 박고 각 파일의 상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와이어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비탈면의 붕괴조짐을 예측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In other words, as a measuring method of the slope, a method of predicting collapse of the slope is known by measuring a plurality of piles on the slope and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each pile by a wire to measure the deformation of the wire in real time.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비탈면의 지표 변화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으나 비탈면의 지중변화는 전혀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By the way, when the above method is applied, the surface change of the slope can be easily measured, but the underground change of the slope has no problem at all.

즉 비탈면의 대형 붕괴는 지중변화를 통해 일어나게 되는데 상술한 방법을 통해 비탈면을 측정한다면 지중변화에 따른 대형 붕괴의 조짐은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것이다. That is, the large collapse of the slope occurs through the ground change. If the slope is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igns of the large collapse due to the soil change cannot be understood at al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서, 비탈면의 지표변화를 계측하여 이 지표변화를 바탕으로 지중변화를 분석함에 따라 비탈면의 붕괴조짐을 지중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measuring the surface change of the slope, and analyzing the ground change based on the change of the slope, the slope of collapse of the slope can be grasped to the grou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측을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하여 동일 방향으로 붕괴의 가능성을 가지는 상호 인접한 비탈면을 각기 구획하여 그룹화시키는 실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와; 상기 비탈면의 상측에 실시간으로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지중변화 계측수단이 포함되는 기준파일을 하나 이상으로 박는 단계와; 상기 실측으로 구획된 각 그룹의 비탈면 마다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이 포함된 파일을 박는 단계와; 상기 각 파일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 하여 동일한 방향의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인접하는 비탈면을 재 구획하여 그룹화 시키고 상기 기준파일의 좌표와 각 그룹의 파일들의 좌표 및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와; 상기 계측을 통해 구획된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각 파일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파일의 이동순간중심을 산출하고 이 이동순간중심을 바탕으로 각 파일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파일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변화깊이 데이터와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바탕으로 현재 각 파일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각 그룹의 비탈면 붕괴를 예측하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ouping step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to predict the collapse tendency of the inclined slope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to separate and group adjacent slopes having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Putting at least one reference file including a ground change measuring means for outputting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above the slope; Putting a pile including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upper position and an angular change at each slope of each group partitioned by the measurement; The upper position and angle change of each file ar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a measuring means to regroup and group adjacent slopes that cause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file, the coordinates of the files of each group, and the Grouping the file through inputting the weak part coordinates to the control unit;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measured in real time in each file included in each group partitioned through the measurement are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ving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file is calculated using the input data. Calculate a number of underground movement radiuses with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and based on ground change depth data input from the reference file and coordinates of weak areas of each grou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 analysis prediction step of slope slope collapse predicting slope slope of each group by calculating the moving radiu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비탈면 붕괴조짐의 계측 분석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측을 통한 비탈면 그룹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파일과 파일을 박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비탈면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measurement analysis method of slope slope collap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lope grouping step through th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ep of putting the reference file and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ope and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A,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grouping step through pil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계측 분석방법은, 먼저, 실측을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하여 동일 방향으로 붕괴의 가능성을 가지는 상호 인접한 비탈면을 각기 구획하여 그룹화시키는 실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100)를 진행한다. Accordingly, the measurement analy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oceeds with the grouping step 100 through the measurement of predicting the disintegration tendency of the slope through measurement, and grouping and grouping adjacent slopes having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다음 상기 비탈면의 상측에 실시간으로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를 제어부(3)로 출력하는 지중변화 계측수단(2)이 포함되는 기준파일(5)을 하나 이상으로 박는 단계(200)를 진행한다.Next, the step 200 of driving the at least one reference file 5 including the ground change measuring means 2 for outputting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to the controller 3 in real time above the slope.

다음 상기 실측으로 구획된 각 그룹의 비탈면 마다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이 포함된 파일을 박는 단계(300)를 진행한다. Next, the step 300 of driving the pile including th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upper position and the angle change for each slope of the group partitioned by the actual measurement.

다음 상기 각 파일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동일한 방향의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인접하는 비탈면을 재 구획하여 그룹화 시키고 상기 기준파일(5)의 좌표와 각 그룹의 파일(1)들의 좌표 및 각 그룹의 취약부(4) 좌표를 제어부(3)에 입력하는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400)를 진행한다. Next, the upper position and the angle change of each pile ar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a measuring means to regroup and group the adjacent slopes that cause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and coordinate the reference pile 5 and the file of each group (1). The grouping step 400 is performed by measuring a file for inputting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coordinates of the weak part 4 of each group to the controller 3.

그리고 상기 계측을 통해 구획된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각 파일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파일(1)의 이동순간중심을 산출하고 이 이동순간중심을 바탕으로 각 파일(1)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며, 상기 기준파일(5)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와 각 그룹의 취약부(4) 좌표를 바탕으로 상기 각 파일(1)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 중 현재 각 파일(1)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각 그룹의 비탈면 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measured in real time in each file included in each group divided by the measurement are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ving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file 1 is calculated using the input data. Based on this movement moment center, a plurality of underground moving radiuses having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1 are calculated, and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s inputted from the reference file 5 and the weak parts 4 of each group. Based on the coordinates, it is possible to predict slope slope of each group by calculating the ground movement radius according to the depth of ground movement around each file 1 among the plurality of underground movement radiuses having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1. will b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탈면의 그룹화 단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측을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하여 동일 방향으로 붕 괴의 가능성을 가지는 상호 인접한 비탈면으로 각기 구획하는 것으로서, 비탈면에 있어 붕괴가 함께 일어나는 지층 덩어리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more detail, the grouping step 100 of the slopes, as shown in Figure 2, by predicting the collapse tendency of the slope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to partition each into adjacent adjacent slopes having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As such,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it as a stratum mass which causes collapse on the slope.

즉 상기 실측은, 비탈면의 토양이나 암반의 성질, 비탈면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 비탈면에 형성되는 클랙 및 함몰부 등의 취약부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actual measurement is to measu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agile parts such as cracks and depressions formed on the inclined direction,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oil or rock on the slope.

그러므로 상기 실측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치는 물론 경험치를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함으로서, 동일 방향의 붕괴 가능성을 가지는 비탈면을 구획하여 그룹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predicting the collapse propensity of the slope on the basis of calculations and empirical value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actual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partition and group the slopes having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상기 기준파일을 박는 단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의 상측에 하나 이상으로 박는 것으로 지중의 변화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step 200 of driving the reference pile, as shown in Figure 3, by measuring the depth of change of the ground by one or more on the upper side of the slope.

즉 상기 기준파일은 공지된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본 출원인이 기출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56485호의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지중변화 계측방법 및 장치"를 구성하는 원형 센서봉(이하, 기준파일이라 칭함)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준파일은 도면에 도시된 기준파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지중의 변화를 깊이별로 측정하는 여러 기준파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reference file is known, and in the drawing, a circular sensor r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file) constituting the "method and method for measuring underground changes using an optical fiber sensor" of Korean Patent No. 456485 register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Shown. However, the reference fi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ference file shown in the drawings,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various reference files for measuring depths of the already known ground by depth.

따라서 상기 기준파일(5)을 통해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를 측정함과 동시에 지중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를 제어부(3)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파일(5)을 박은 다음에는 이 기준파일(5)의 좌표를 제어부(3)에 입력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can be measured through the reference file 5 and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can be output to the controller 3. After the reference file 5 is inserted,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file 5 are input to the controller 3.

그리고, 상기 파일(1)을 박는 단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측으로 구획된 각 그룹의 비탈면 마다 파일(1)을 다수로 박는 것으로 각 파일(1)에는 파일(1)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step 300 of driving the file 1 includes a plurality of files 1 for each slope of each group partitioned by the measurement. The measuring means 2 which measures the upper position and angle change of () is provided.

또한, 상기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상기 실측을 바탕으로 구획된 그룹에 박혀 있는 각 파일(1)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수단(2)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수단(2)을 통해 계측된 각 파일(1)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일한 방향의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인접하는 비탈면을 재 구획하여 그룹화 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grouping step 400 through the file measurement, as shown in Figure 4, first measuring the change in position and angle of the upper position of each pile (1) embedded in the group partitioned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2) Measure in real time through. And based on the upper position and the angle change data of each pile 1 measured by the measuring means (2) is to regroup and group the adjacent slopes causing the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즉 상기 파일(1)의 위치 및 각도변화를 최초에 분석함으로서, 동일한 붕괴 이동이 일으키는 비탈면을 동일한 붕괴 조건이라 판단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각 그룹을 구획함에 있어서, 각 그룹은 동일한 회전백터를 가지고 있고 상호 인접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상기 비탈면을 구성하는 각 그룹은 상호 인접하는 동일한 회전 이동벡터를 가진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of the pile (1) first,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lined surface caused by the same collapse movement is the same collapse condition and set as a group. In dividing each group,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each group as a characteristic having the same rotation vector and having mutual adjacency.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each group constituting the slope is classified into a group having the same rotational movement vectors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비탈면을 각 그룹으로 분류한 다음에는 각 그룹에 박혀 있는 파일(1)들도 각 그룹으로 분류하여 파일(1)들의 좌표를 제어부(3)에 입력하는 것이다. After classifying the slope into each group, the files 1 embedded in each group are also classified into each group, and the coordinates of the files 1 are input to the controller 3.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그룹에 형성되어 있는 클랙이나 함몸부 등의 취약부(4)의 좌표도 제어부(3)에 입력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s of the weak parts 4 such as the cracks and the body parts formed in each group are also inputted to the controller 3.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그룹의 파일(1)들의 계측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 붕괴되는 각각의 비탈면을 정밀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partition each slope that collapses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measurement of the piles 1 of each group.

또, 본 발명에 따른 붕괴조짐 분석 예측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그룹에 구비되어 있는 각 파일(1) 주위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후술한다.In addition, the collapse analysis analysis predi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the underground moving radius around each pile (1) provided in each group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for example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계측수단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계측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b는 사시도로서, 상기 비탈면의 계측은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각 파일(1)에 구비된 계측수단(2)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easuring means,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the measurement of the inclined surface of each pile (1) I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easuring means 2 provided in).

즉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계측수단(2)은, GPS를 통해 각 파일(1)의 상부 변화위치를 계측하는 GPS수신기(21)와, 각 파일(1)의 상부에 구비되어 각 파일(1)의 각도변화를 계측하는 파일각도 계측부(22)와, GPS수신기(21)와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2)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3)로 출력하는 통신부(23)를 포함한다. That is, the measuring means 2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PS receiver 21 for measuring an upper change position of each file 1 through GPS, and an upper portion of each file 1 to provide each file ( It includes a file angle measuring unit 22 for measuring the angle change of 1), and a communication unit 23 for receiv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GPS receiver 21 and the f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2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3). .

따라서 상기 각 파일(1)에 구비되어 있는 GPS수신기(21)를 통해 각 파일(1)의 상부 위치변화를 계측함과 동시에, 파일(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파일각도 계측부(22)를 통해 각 파일(1)의 각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ile measu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upper position of each file 1 through the GPS receiver 21 provided in each file (1), the pile angle measurement unit 22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le (1) Through this, the angle change of each file 1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즉 상기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2)는 상기 파일의 고정되는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수단(221)을 통해 구비되는 것으로, 파일의 각도변화를 계측하여 계측된 데이 터를 상기 통신부(23)로 출력하도록 구비된 X,Y축 각도계측부(222,2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221)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회전축(221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고정되는 양 지지대(221a)와, 상기 양 지지대(221a)의 상측에 회전축(221d)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X축 회전프레임(221c), 및 상기 X축 회전프레임(221c)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221f)을 통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Y축 회전프레임(221e)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수단(2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X,Y축 각도계측부(222,223)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X,Y축 회전프레임(221c,221e)를 통해 초기에 X,Y축 각도계측부(222,223)를 수평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에 X,Y축 각도계측부(222,223)를 수평으로 세팅 장착함으로서 파일(1)의 각도를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2 is provided through the mounting means 221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fixed to the pile, and measures the angle change of the pile to output the measured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23. It includes X, Y axis angle measuring section (222, 223) provided. And the mounting means 221, the upper support of the support shaft 221a rotatably rotatably fix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221b, and the X axis through the rotation shaft 221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21a. It is composed of an X-axis rotation frame 221c rotated about its center, and a Y-axis rotation frame 221e provided inside the X-axis rotation frame 221c and rotated about a Y-axis through a rotation shaft 221f. Therefore, the X, Y axis angle measuring unit (222, 22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means 221 can adjust the angle, the X, Y axis angle measuring unit initially through the X, Y axis rotating frame (221c, 221e) (222, 223) can be mounted horizontally. Therefore, the angle of the pile 1 can be measured precisely by setting and mounting the X, Y-axis angle measuring parts 222, 223 horizontally initially.

그러므로 상기 계측수단(2)를 통해 얻어진 계측데이터는, 각 파일(1) 상부의 위치 데이터와 파일(2)의 각도 데이터로서 상기 GPS수신기(21)를 통해 파일(1) 상부의 위치를 계측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2)를 통해 파일(1)의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파일(1)의 상부 위치와 각 파일(1)의 각도를 계측함으로서 상기 제어부(3)에서는 비탈면에 박혀 있는 각 파일(1)의 위치와 이동방향은 물론 지중의 변화를 산출함에 따라 비탈면의 지표는 물론 지중의 거동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measurement data obtained through the measuring means 2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1 through the GPS receiver 21 as the position data of the upper portion of each pile 1 and the angle data of the pile 2.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ngle of the pile (1) through the p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2. Accordingly, by measuring the upper position of each pile 1 and the angle of each pile 1, the controller 3 calculates the position and movement direction of each pile 1 embedded in the slope,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ground behavior data as well as the index of.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a는 계측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b는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d는 계측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easuring means,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6b, Figure 6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asurement step.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계측수단(2)은, 각각의 파일(1)을 와이어(W)를 통해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W)가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각 파일을 와이어(W)로 연결한 상태에서 와이어(W)의 변화에 따라 와이어(W)의 길이변화와 각도변화를 계측하는 와이어 권취 계측부(24)와, 파일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5), 및 상기 와이어 권취 계측부(24)와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5)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3)로 출력하는 통신부(26)로 구성된다.Accordingly, the measuring means 2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the wire W while being tensioned so that each file 1 can be interconnected through the wire W, so that each file is wired (W). Wire winding measuring unit 24 for measuring the length change and the angle change of the wire (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wire (W) in the state connected to), and the p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the angle change of the pile, And a communication unit 26 that receives data measured from the wire winding measuring unit 24 and the f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5 and outputs the measured data to the control unit 3.

그리고 상기 와이어 권취 계측부(24)는 상기 파일에 고정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W)가 장력을 가진면서 풀림과 감김이 가능하게 권취되어 각 파일(1)을 와이어(W)로 연결한 상태에서 와이어(W)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는 권취 계측부(241)와, 상기 권취 계측부(24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가 절곡 통과되어 타 파일에 고정됨으로서 와이어(W)의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각도변화 계측부(24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ire winding measuring unit 24 is provided inside the case fixed to the pile, and the wire W is wound to allow unwinding and winding while having tension, thereby turning each pile 1 into a wire W. FIG. Winding measuring unit 241 for measuring the length change of the wire (W) in the connected state and the wire (W) drawn out from the winding measuring unit 241 is bent through and fixed to the other pile to change the angle of the wire (W) It is composed of an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42 for measuring.

또한 상기 권취 계측부(241)는, 케이스의 측벽에 브라켓(241b)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된 회전축(241a)과, 상기 회전축(241a)의 일측에 연동 회전되게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W)가 권취되는 풀리(241c)와, 상기 회전축(241a)을 감싸며 구비되어 회전축(241a)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서 상기 풀리(241a)에 권취된 와이어(W)의 풀림과 감김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인장부(241d), 및 회전축(241a)의 타측에 구비되어 회전축(241a)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통신부(26)로 출력하는 변위 계측부(241e;엔코더)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inding measurement unit 241 is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to be rotated through the bracket 241b and the rotation shaft 241a,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241a is interlocked rotationally wound the wire (W) A spring tension portion 241d provided around the pulley 241c and the rotation shaft 241a to intercep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41a to enable the unwinding and winding of the wire W wound around the pulley 241a. And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241e (encod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41a and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41a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6.

또 상기 와이어 각도변화 계측부(242)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인 상기 풀리(241c)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수직 관통공(242b)을 포함하는 지지판(242a)과, 상기 수직 관통공(242b)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수직 회전축(242d)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판(242a)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 브라켓 및 상기 양 브라켓의 사이에 구비된 중심축(242f)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풀리(241c)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가 절곡 통과되는 회전롤러(242e)로 구성된 양측 회전체(242c)와, 상기 중심축(242f)의 양측에 중심축(242f)과 함께 상하로 각 회전이 되게 구비되며 중간에 형성된 개방 관통부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W)가 관통되는 두 개소의 롤러(242h)를 포함하는 각 회전브라켓(242g)과, 상기 중심축(242f)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W)의 상하 각도변화에 따른 각 회전브라켓(242g)의 상하 각도변화를 계측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6)로 출력하는 상하 각도 계측센서(242i), 및 상기 양측 회전체(242c)를 구성하는 수직 회전축(242d)의 하부에 구비되어 와이어(W)의 양측 각도변화에 따른 양측 회전체(242c)의 양측 각도변화를 계측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6)로 출력하는 양측 각도 계측센서(242j)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wir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4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lley 241c that is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242a including a vertical through hole 242b and a vertical through hole 242b. A vertical rotation shaft 242d rotatably provided therethrough, the pulley being rotatably provided around a central shaft 242f provided between both bracket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242a and the both brackets; Both rotations 242c constituted by rotating rollers 242e through which the wires W drawn out from 241c are bent, and the respective rotations are rotat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entral axes 242f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axis 242f. And a rotation bracket 242g including two rollers 242h through which the wire W penetrates between the open through parts formed in the middle, and on one side of the central axis 242f. Each rota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vertical angle change of W) 242g) is provided below the vertical rotation axis 242d constituting the vertical angle measuring sensor 242i for measuring the vertical angle change of the upper and lower angles and outputting the measured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26 and the two rotating bodies 242c. It is composed of a two-sided angle measuring sensor 242j for measuring the two-sided angle change of the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242c according to the two-sided angle change of the wire (W) to output the measured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26.

그리고 상기 양측 회전체(242c)에 구비된 수직 회전축(242d)의 중심은 상기 풀리(241c)에서 하부로 인출되는 와이어(W)의 중심과 동일한 수직 위치를 유지함으로서, 와이어(W)의 양측 회전각도의 측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of rotation (242d) provided in the both side rotating body 242c maintains the same vertical position as the center of the wire (W) drawn out from the pulley (241c), both sides of the wire (W) rota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the angle.

한편 상기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5)는 상기 파일의 고정되는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수단(251)을 통해 구비되는 것으로, 파일의 각도변화를 2차원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6)로 출력하도록 구비된 X,Y축 각도계측부(252,2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251)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회전축(251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돌출 고정되는 양 지지대(251a)와, 상기 양 지지대(251a)의 상측에 회전축(251d)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X축 회전프레임(251c), 및 상기 X축 회전프레임(251c)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251f)을 통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Y축 회전프레임(251e)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수단(25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X,Y축 각도계측부(252,253)는 와이어(W)의 인출방향과 동일하게 양 지지대(251a)의 회전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X,Y축 회전프레임(251c,251e)를 통해 초기에 X,Y축 각도계측부(252,253)를 수평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에 X,Y축 각도계측부(252,253)를 와이어(W)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위치로 세팅하고 수평으로 장착함으로서 파일(1)의 각도를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ile angle measurement unit 25 is provided through the mounting means 251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that is fixed to the pile, the data measured by measuring the angle change of the pile in two dimensions to the communication unit 26 It includes X, Y axis angle measuring unit (252, 253) provided to output. And the mounting means 251, the upper support of the support shaft 251a rotatabl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51b through the upper portion, and the X axis through the rotating shaft 251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51a It is composed of an X-axis rotation frame 251c rotated about the center, and a Y-axis rotation frame 251e provided inside the X-axis rotation frame 251c and rotated about the Y axis through the rotation axis 251f. Accordingly, the X and Y axis angle measuring units 252 and 25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means 251 may adjust the rotation angles of both supports 251 a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W withdrawal direction. Through the rotating frames 251c and 251e, the X and Y axis angle measuring units 252 and 253 may be horizontally mounted initially. Therefore, the angle of the pile 1 can be measured precisely by initially setting the X, Y-axis angle measuring parts 252 and 253 to the same position as the wire W direction in the drawing direction and horizontally mounting them.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계측센서를 각 파일(1)에 종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와이어(W)의 길이변화와 와이어(W)의 각도변화 및 각 파일(1)의 각도를 계측함으로서 상기 제어부(3)에서는 비탈면에 박혀 있는 각 파일(1)의 위치와 이동방향은 물론 지중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종방향으로 구비된 각 파일(1)을 연결하는 와이어(W)가 권취된 풀리(241c)의 회전축(241a)에 장착된 변위 계측부(241e)을 통해 파일(1)을 연결하는 와이어(W)의 변위를 계측할 수 있고, 상기 풀리(241c)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 각도변화 계측부(242)를 통해 각 파일(1)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와이어(W)의 각도변화를 계측할 수 있으며, 상기 파 일 각도변화 계측부(25)를 통해 파일(2)의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W) and the angle change of the wire (W) and the angle of each pile (1) in the state in which the measurement sen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ach pile (1) In (3), the change of the ground as well a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each pile 1 embedded in the slope can be calculated. That is, the wires connecting the piles 1 through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241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241a of the pulley 241c on which the wires W connecting the piles 1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displacement of W) can be measured, and the angle change of the wire W connecting the piles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wir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4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ulley 241c. It can be, through the f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5 is to measure the angle of the pile (2).

그러므로, 상기 기준이 되는 파일(1)에서 인출되는 와이어(W)의 변화길이와 변화각도를 와이어 권취 계측부(24)를 통해 계측하게 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준파일(1)과 측정된 파일(1)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W)의 최초 길이(L1)와 변화된 길이(L2)를 파악할 수 있으며 와이어(W)의 상하 및 양측의 변화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change length and the change angle of the wire W drawn out from the reference file (1) are measured through the wire winding measuring unit 24, as shown in FIG. 6D, the measurement with the reference file 1 is performed. The initial length (L1) and the changed length (L2) of the wire (W) for interconnecting the pile (1) can be identified and the change angle (??)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both sides of the wire (W) can be measured. .

즉 최초 길이(L1)와 변화된 길이(L2) 및 와이어의 변화각도(??)를 계측함에 따라서 변화된 파일(1)의 상부 위치 변화길이(L3)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의 변화 방향은 상기 와이어 변화각도 계측부(25)를 통해 변화된 방향을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와이어(W)의 변화 각도를 3차원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That is, by measuring the initial length (L1), the changed length (L2) and the angle of change (??) of the wi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change length (L3) of the upper position of the changed pile (1). In addition, the change direction of the wire (W) is to measure the direction changed through the wire change angle measurement unit 25, to measure the change angle of the wire (W) in three dimensions.

특히, 상기 측정할 파일(1)의 위치 변화길이(L3)는 아래의 식으로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osition change length L3 of the pile 1 to be measured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5015314867-PAT00001
Figure 112005015314867-PAT00001

그리고 상기의 식으로, 변화된 파일(1)의 상부 위치 변화길이(L3)을 산출하고 상기 와이어 변화각도 계측부(25)를 통해 와이어의 변화각도를 3차원적으로 측정함에 따라서, 측정된 파일(1)의 상부 위치의 3차원 좌표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파일(1)의 상부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서 파일(1) 주위의 지표 이동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above equation, the measured position of the measured file (1) is calculated as the upper position change length (L3) of the changed file (1) is calculated and the change angle of the wire is three-dimensionally measured through the wire change angle measuring unit (25).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upper position of) can be obtained. In other words, by measuring the upper position of the pile (1)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urface movement around the pile (1).

또한 다른 각 파일(1)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와이어가 인출되는 파일 (1)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되는 파일(1)의 위치를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each of the other files 1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osition of the file (1)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file (1) from which the wire is drawn through the above method.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파일(1)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파일(1)의 상부에 구비된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5)를 통해 파일(1)의 각도변화를 3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n,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ile 1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change of the pile 1 can be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p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5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1.

그러므로 각 파일(1)의 상부 위치변화가 제어부(3)를 통해 입력됨으로서 각 파일(1)의 변화전 위치와 변화 후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파일(1)에 구비된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25)를 통해 각 파일(1)의 변화각도가 제어부(3)에 입력되어 파일(1)의 변화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hange in the upper position of each file 1 is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3, so that th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each file 1 can be clearly identified. The change angle of each file 1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3 through the f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25 provided in each file 1 so that the change of the file 1 can be clearly understood.

한편,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붕괴 조짐의 분석 예측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slope prediction sig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조짐 분석 예측단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7a는 취약부에서 지중 이동라인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 7b는 기준파일에서 지중 이동라인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llapse analysis analysis predi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ground moving line in the weak part, Figure 7b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ground moving line in the reference fi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붕괴조짐 분석 예측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 계측을 통해 구획된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1)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각 파일(1)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3)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탈면의 붕괴 조짐을 예측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llapse analysis analysis predi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1) measured in real time from each file (1) provided in each group partitioned through the file measure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 receives the input and analyzes the input data to predict signs of collapse of the slope.

즉 상기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는,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1)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파 일(1)의 이동순간중심을 산출하고, 이 이동순간중심을 바탕으로 각 파일(1)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며, 상기 기준파일(5)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변화깊이 데이터와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바탕으로 현재 각 파일(1)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각 그룹의 비탈면 붕괴를 예측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analysis prediction step of the slope slope collapse, 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1 included in each group i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ving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file 1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data. Based on this movement instantaneous center, a plurality of underground moving radiuses having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1 ar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ground change depth data input from the reference file 5 and the weak part coordinates of each group. As a result, the slope of the slope of each group i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ground radius according to the depth of ground movement around each pile (1).

그리고 상기 취약부(4)는 비탈면에 형성되는 클랙부나 함몰홈으로서 붕괴가 시작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And the weakened portion 4 refers to the portion where the collapse begins as a crack portion or recessed groove formed on the slope.

따라서 상기 순간이동중심은 각 파일(1)의 변화되면서 이루는 순간중심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동되기전 파일(1)의 상,하부의 위치를 A와 B라고 가정하고, 이동된 후 변화된 파일(1)의 상,하부의 위치를 A'와 B'라고 할 때, 선분 A와 A'의 중점에서 수직하는 선분과 선분 B와 B'의 중점에서 수직하는 선분이 만나는 점을 순간중심(O)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teleportation center refers to the instantaneous center formed by the change of each file (1), assuming th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le (1) before moving, A and B, the changed file (1) When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 'and B' are defined as the instantaneous center (O), the point where the vertical segment meets at the midpoint of the segments A and A 'and the vertical segment at the midpoint of the segments B and B' is obtained. It can be.

그러므로 순간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준파일(5)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변화깊이 데이터와 기 설정된 취약부(4)의 좌표로부터 각 파일(1)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함으로서 현재 비탈면의 지중 위험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from the ground change depth data inputted from the reference file 5 and the coordinates of the weak part 4 based on the instantaneous center O, the ground motion radius according to the ground movement depth around each file 1 i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current risk of underground slopes can be identifi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파일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의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파일의 지중 이동라인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 radius according to the depth of ground movement around each pile can be calculated and based on this, the ground movement line of each pile can be obtained.

다시말해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순간중심(O)을 중심으로 기준파일(5)의 변화된 지점(지중의 변형위치)이나 취약부(4)를 반지름으로 하는 구를 얻음에 따라서, 상기 기준파일(5)의 변화된 부분 또는 취약부(4)에서 시작되는 구가 지중의 이동라인이라고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the radius of the changed point (deformation position of the ground) or the weak part 4 of the reference pile 5 around the instantaneous center O is obtaine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hanged part of (5) or the sphere starting from the weak part 4 is a movement line of the groun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붕괴조짐을 비탈면의 전체로 분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400)는, 상기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각 파일 주위에 형성되는 지중 이동라인의 경계를 사방으로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여 비탈면 전체의 지중 이동깊이와 지중 이동반경 따른 비탈면 전체의 붕괴를 예측하는 것이다. 8 is to analyze the slope slope collap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of the slope, the analysis prediction step 400 of slope slope collap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formed around each pile constituting the respective groups The process of interconnecting the boundaries in all directions further predicts the depth of ground movement along the slope and the collapse of the entire slope along the ground radius.

그리고 상기 각 파일(1) 주위의 경계 연결은, 상기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각 파일(1)의 처음 좌표부터 마지막 좌표까지의 지중 이동라인의 변화를 분석하여 변환 메트릭스를 반복계산을 통해 최적화하고, 상기 실측된 각 그룹의 각 파일(1) 좌표를 상기 변환 메트릭스에 곱하여 각 파일 사이에 사방의 경계가 되는 지중 이동깊이와 지중 이동반경의 좌표를 구하여 각 파일(1)의 지중 이동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The boundary connection around each file 1 analyzes the change of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from the first coordinate to the last coordinate of each file 1 constituting each group, and optimizes the transformation matrix through iterative calculation. The coordinates of the ground movement depth and the ground movement radius, which are the boundary of each file, ar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ordinates of each file 1 of each measured group by the transformation matrix, and interconnecting the ground movement lines of each file 1 with each other. It is.

즉 P를 사면의 좌표 데이터를 통한 3차원 좌표라 하고 T를 이동변환 메트릭스라 할때, 상기 각 파일 사이에 사방의 경계가 되는 지중 이동깊이와 지중 이동반경의 좌표(Pnew)는 아래의 식으로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P is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hrough the coordinate data of the slope and T is a transformation matrix, the depth of ground movement and the coordinate of the ground movement radius (Pnew), which are bounded on all sides between the files,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ill be obtained.

Pnew = P·T Pnew = PT

또한 상기 각 그룹의 지중 이동라인은, 제어부(3)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서 육안식별을 통해 현재의 비탈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of each group is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 so that the present slope can be grasped through visual identification.

따라서, 각 파일(1) 주위의 지중 이동라인을 상호 연결하여 현재 비탈면의 붕괴조짐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여러 그룹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붕괴조짐을 신속히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by interconnecting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s around each pile (1) to grasp the signs of collapse of the current slope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the signs of collapse that can occur in various groups to take action.

그리고 비탈면에 있어서 크랙이나 함몰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지중 이동깊이가 얇아지게 됨으로서 이를 상기한 분석방법을 통해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epth of movement of the ground becomes thinner at the portion where the cracks or depressions are formed on the slope, which can be quickly identif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nalysis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비탈면의 지표변화를 계측하여 이 지표변화를 바탕으로 지중변화를 분석함으로서, 비탈면의 지중에서 발생되는 붕괴조짐을 파악하여 비탈면의 대형 붕괴사고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by measuring the surface change of the slope and analyzing the ground change based on the change of the slop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predict the large collapse of the slope by identifying the signs of collapse occurring in the slope of the slope.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7)

실측을 통해 비탈면의 붕괴 성향을 예측하여 동일 방향으로 붕괴의 가능성을 가지는 상호 인접한 비탈면을 각기 구획하여 그룹화시키는 실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100)와;A grouping through measurement (100) for predicting the disintegration tendency of the inclined facet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and dividing and grouping adjacent slopes having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비탈면의 상측에 실시간으로 지중 깊이에 따른 변화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지중변화 계측수단이 포함되는 기준파일을 하나 이상으로 박는 단계(200)와; Driving at least one reference file including a ground change measuring means for outputting th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ground depth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above the slope; 상기 실측으로 구획된 각 그룹의 비탈면 마다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이 포함된 파일을 박는 단계(300)와; Putting a file (300) including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an upper position and an angle change at each slope of each group partitioned by the measurement; 상기 각 파일의 상부 위치와 각도 변화를 계측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동일한 방향의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인접하는 비탈면을 재 구획하여 그룹화 시키고 상기 기준파일의 좌표와 각 그룹의 파일들의 좌표 및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400)와;The upper position and angle change of each file ar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a measuring means to regroup and group adjacent slopes that cause collapse in the same direction.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file, the coordinates of the files of each group, and the A grouping step (400) through file measurement for inputting the weak part coordinates to the control unit; 상기 계측을 통해 구획된 각 그룹에 구비된 각 파일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각 파일의 위치와 각도변화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입력받아 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각 파일의 이동순간중심을 산출하고 이 이동순간중심을 바탕으로 각 파일에서의 깊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파일로부터 입력되는 지중 변화깊이 데이터와 각 그룹의 취약부 좌표를 바탕으로 현재 각 파일 주위의 지중 이동깊이에 따른 지중 이동반경을 산출하여 각 그룹의 비탈면 붕괴를 예 측하는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500);The position and angle change data of each file measured in real time in each file included in each group partitioned through the measurement are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moving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file is calculated using the input data. Calculate a number of underground movement radiuses with different depths in each file, and based on ground change depth data input from the reference file and coordinates of weak areas of each group, An analysis prediction step 500 of slope inclination signs for estimating slope collapse of each group by calculating a moving radius;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의 계측 분석방법.Measurement analysis method of slope slope collap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계측을 통한 그룹화 단계(300)에서 각 그룹의 구획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vision of each group in the grouping step 300 through the file measurement, 상호 인접하는 동일한 회전 이동벡터를 가진 그룹으로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의 계측 분석방법. A method for the analysis of slope slopes characterized by partitioning into groups having the same rotational movement vectors adjacent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GPS를 통해 각 파일의 상부 변화위치를 계측하는 GPS수신기와, 각 파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각 파일의 각도변화를 계측하는 파일각도 계측부, 및 상기 GPS수신기와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의 계측 분석방법. The GPS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means comprises: a GPS receiver for measuring an upper change position of each file through GPS, a file angle measur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each file, and measuring an angle change of each file, and the GPS receiver. And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f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and outputting the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각각의 파일을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W)가 장력을 가진면서 풀림과 감김이 가능하게 권취되어 각 파일을 와이어로 연결한 상태에서 와이어의 변화에 따라 와이어의 길이 변화와 각도 변화를 계측하는 와이어 권취 계측부와, 파일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 및 상기 와이어 권취 계측부와 파일 각도변화 계측부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 면 붕괴의 계측 분석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means, the wire (W) has a tension so that the wire (W) having a tension so that each fil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of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each file is connected by a wire Wire winding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hange in the length and angle of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pile angl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angle change of the pile, and receives the data measured from the wire winding measuring unit and the pile angle change measuring unit to the controller Measurement analysis method of slope slope collap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 붕괴조짐의 분석 예측단계(400)는,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analysis prediction step 400 of the slope slope collapse, 상기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각 파일 주위에 형성되는 지중 이동라인의 경계를 사방으로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여 비탈면 전체의 지중 이동깊이와 지중 이동반경 따른 비탈면 전체의 붕괴를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조짐 계측 분석방법.Further interconnecting the boundaries of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s formed around each pile constituting each group in all directions to predict the collapse of the entire slope and the collapse of the entire slope according to the ground movement radius. Analytical method for measurement of slope collaps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일 주위의 경계 연결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undary connection around each pile, 상기 각 그룹을 구성하는 각 파일의 처음 좌표부터 마지막 좌표까지의 지중 이동라인의 변화를 분석하여 변화 메트릭스를 반복계산을 통해 최적화하고, 상기 실측된 각 그룹의 각 파일 좌표를 상기 변화 메트릭스에 곱하여 각 파일 사이에 사방의 경계가 되는 지중 이동깊이와 지중 이동반경의 좌표를 구하여 각 파일의 지중 이동라인을 상호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조짐 계측 분석방법.Analyze the change in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from the first coordinate to the last coordinate of each file constituting each group to optimize the change matrix through iterative calculation, and multiply each file coordinate of the measured group by the change matrix A method for measuring slope collapse using a slope characterized by interconnecting underground movement lines of each pile by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the underground movement depth and the underground movement radius, which are boundaries between the pil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의 지중 이동라인은,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nderground movement line of each group, 제어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붕괴조짐 계측 분석방법.A slop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KR1020050024247A 2004-08-21 2005-03-23 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KR100582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2763 WO2006022501A1 (en) 2004-08-21 2005-08-22 Method and sensor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llapse of inclined plane
HK08100966.2A HK1110380A1 (en) 2004-08-21 2008-01-24 Metho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llapse of inclined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6190 2004-08-21
KR1020040066190 2004-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729A true KR20060017729A (en) 2006-02-27
KR100582263B1 KR100582263B1 (en) 2006-05-23

Family

ID=3712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247A KR100582263B1 (en) 2004-08-21 2005-03-23 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26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56B1 (en) * 2008-09-11 2011-03-17 주식회사 삼안 Method for state predicting of embankment facilities
KR101022757B1 (en) * 2008-09-11 2011-03-17 주식회사 삼안 Monitering method for collapsing embankment
KR101134644B1 (en) * 2010-05-11 2012-04-09 주식회사 삼안 Slope failure measurement equipment
KR20180137238A (en) * 2017-06-16 2018-1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e slip surface of slope using variation of ground inclination and ground accele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56B1 (en) * 2008-09-11 2011-03-17 주식회사 삼안 Method for state predicting of embankment facilities
KR101022757B1 (en) * 2008-09-11 2011-03-17 주식회사 삼안 Monitering method for collapsing embankment
KR101134644B1 (en) * 2010-05-11 2012-04-09 주식회사 삼안 Slope failure measurement equipment
KR20180137238A (en) * 2017-06-16 2018-1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e slip surface of slope using variation of ground inclination and ground accel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263B1 (en)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rpo et al. Use of digital terrestrial photogrammetry in rocky slope stability analysis by distinct elements numerical methods
KR100582263B1 (en) A transformation survey method of the underground
EP2120015B1 (en) Apparatus and program for find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WO2006022501A1 (en) Method and sensor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llapse of inclined plane
US20150213637A1 (en) Path Side Image in Map Overlay
KR100540993B1 (en) A transformation survey senser of the underground
Grant et al.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in clay
CN107747936B (en) Method for monitoring surface settlement deformation of underground independent space on line
JP6224659B2 (en) Construction work support program, construction work support apparatus, construction work support method, and construction work support system
EA0141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hydrocarbon production of a well location
JP2020519798A (en) Precast segment for tunnels and method of making and monitoring such precast segment
Pérez-Rey et al. Failure mechanisms and stability analyses of granitic boulders focusing a case study in Galicia (Spain)
CN103983234B (en) Rock stratum attitud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intelligent mobile equipment
CN106021840A (en) Method for inverting transverse isotropic rock mass ground stress
KR1016784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ride length of user
CN111608213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horizontal displacement of foundation pit supporting pile
CN105783873B (en) The measurement method of object, accurately drawing generating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KR101993102B1 (en) Shape detection system in concrete foundation file, and method thereof
KR101037723B1 (en) Construction and completion inspection method using dgps in engineering works and construction
Park et al. Feasibility study on tension estimation technique for hanger cables using the FE model-based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Černota et al. New method of swing observation to determine accurate plummet position at the plumb line for both connecting surveys and orientation measurements.
CN106501302A (en) A kind of great burying soil swelling coefficient measuring method and system
KR102356132B1 (en) Multi-channel sensor-based ground displacement and ground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CN110806406A (en) Minimum intersection angle and sample capacity prediction method for realizing high-precision occurrence distribution estimation
CN109955253A (en) The method of robot searching cradle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