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31A -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431A
KR20060017431A KR1020040066099A KR20040066099A KR20060017431A KR 20060017431 A KR20060017431 A KR 20060017431A KR 1020040066099 A KR1020040066099 A KR 1020040066099A KR 20040066099 A KR20040066099 A KR 20040066099A KR 20060017431 A KR20060017431 A KR 2006001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ma
wcdma
target cell
handover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487B1 (ko
Inventor
김영락
신성호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487B1/ko
Priority to CNA2005800361812A priority patent/CN101044701A/zh
Priority to PCT/KR2005/002714 priority patent/WO2006019269A1/en
Priority to BRPI0514375-6A priority patent/BRPI0514375A/pt
Priority to US11/573,999 priority patent/US20090023449A1/en
Priority to JP2007527053A priority patent/JP2008511200A/ja
Publication of KR2006001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시스템, RTS과 RNC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a) WCDMA 모뎀을 통해 상기 WCDMA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WCDMA 신호를 수신하여 Ec/Io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측정 결과에 따라 CDMA-2000 모뎀을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유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c)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모니터링하여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WCDMA 시스템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WCDMA 모뎀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CDMA-2000 모뎀을 통해 상기 CDMA-2000 시스템으로 통화 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유휴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진행하거나 셀 신호가 약해지는 경우 복수개의 타겟 셀을 선 택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멀티 모드-멀티 밴드 단말기, 핸드오버, CDMA-2000, WCDMA

Description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of Multimode-Multiband Terminal by using Multi Target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1은 CDMA-2000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와 통화 링크를 형성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300 :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120 : CDMA-2000 지역
130, 140 : 오버레이 지역 210 : 안테나
220 : RF 송수신부 230 : CDMA 모뎀부
232 : CDMA-2000 필터 234 : CDMA-2000 모뎀
240 : WCDAM 모뎀부 242 : WCDMA 필터
244 : WCDMA 모뎀 250 : 제어부
260 : 프로그램 저장부 310 : 무선 접속망
312 : 기지국 전송기 314 : 기지국 제어기
320 : 이동 통신 교환국 330 : RAN
332 : RTS 334 : RNC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CDMA-2000 시스템,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수행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함으로써 핸드오버 성공률을 높이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서비스되기 시작한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에서 제공하는 낮은 품질의 음성 통화 위주의 제 1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 2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에서 제공하는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 2.5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는 GHz대의 주파수 확보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개발되어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이지만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다.
제 2.5 세대까지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는 사용자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국,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등의 각종 통신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주축이 되어 제안한 비동기 방식의 WCDMA 시스템과 3GPP2가 주축이 되어 제안한 동기 방식의 CDMA-2000 시스템으로 분류되어 제공되고 있다. 특히, WCDMA 시스템은 IMT-2000에서 권고하는 무선 프로토콜로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WCDMA 시스템은 통화 품질이 우수할 뿐 만 아니라 대역 확산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대량의 데이터 전송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WCDMA 통신 방식은 음성 코딩을 위해서 32 Kbps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을 채택하였고, 사용자가 시속 100 K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이동성을 지원한다. 또한, WCDMA 통신 방식은 가장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고, 우리나라, 유럽, 일본, 미국, 중국 등의 많은 기관들이 구성한 3GPP에서 WCDMA를 위한 기술 스펙(Specification)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한편, 최근 앞에서 설명한 WCDMA 시스템의 장점들로 인해 CDMA-2000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우리나라, 미국, 중국 등과 같은 나라에서도 WCDMA 시스템을 구축하여 WCDMA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도 1은 CDMA-2000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지역(120)에서 WCDMA 서비스는 CDMA-2000 지역(120) 내의 일부 영역에서 제공되고 있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CDMA-2000 지역(120) 내에서 WCDMA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오버레이 지역(130, 140)이라고 가정한다. 즉, 이동 통신 가입자는 오버레이 지역(130, 140)에서 CDMA-2000 서비스, WCDMA 서비스 중 원하는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CDMA-2000 서비스, WCDMA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가 필요하다.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 Multimode-Multiband) 단말기(110)는 멀티모드와 멀티밴드를 모두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여기서, 멀티모드는 동기식 모드와 비동기식 모드 등을 포함하고, 멀티밴드는 800 M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2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 1.8 G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2.5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 대략 2 G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3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 및 향후 서비스될 제 4 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밴드를 포함한다.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WCDMA 모드나 CDMA-2000 모드 간에 전환하여 동작한다.
이동 통신 가입자가 오버레이 지역(130)을 벗어나 CDMA-2000 지역(120)으로 이동하게 되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는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한다. 핸드오버는 서비스 지역이 바뀌더라도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와 이동 통신 시스템 상호간에 통화 링크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버레이 지역(130)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는 WCDMA 시스템과 통화 링크를 형성한다. 하지만, CDMA-2000 서비스 지역(120)으로 진입하게 되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는 WCDMA 모뎀과 CDMA 2000 모뎀간 절체를 통해 CDMA-2000 시스템으로 통화 링크를 스위칭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110)는 탑재된 CDMA-2000 모뎀을 구동하여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 유휴 상태에서 통화 링크를 형성할 CDMA-2000 서비스 지역(120)의 타겟 셀(Target Cell)을 검색하였다. 종래에는 유휴 상태에서 CDMA-2000 모뎀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타겟 셀을 하나만 이용하였다.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하나만 이용하는 경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이동으로 무선 환경이 급격하게 바뀌게 되는 경우 핸드오버 실패를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초기화 작업을 마친 CDMA-2000 모뎀이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시스템, RTS(RTS : Radio Transceiver Subsystem, 이하 'RTS'라 칭함)과 RNC(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a) WCDMA 모뎀을 통해 상기 WCDMA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WCDMA 신호를 수신하여 Ec/Io(Energy of Carrier/Interference of Others, 이하 'Ec/Io'라 칭함)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측정 결과에 따라 CDMA-2000 모뎀을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유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c)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모니터링하여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WCDMA 시스템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WCDMA 모뎀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CDMA-2000 모뎀을 통해 상기 CDMA-2000 시스템으로 통화 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 함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시스템, RTS과 RNC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로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RF 신호를 송수신 및 변복조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CDMA-2000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CDMA-2000 필터;
상기 CDMA 신호를 CDMA-2000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Call Processing)하는 CDMA-2000 모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WCDMA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W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WCDMA 필터;
상기 WCDMA 신호를 WCDMA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하는 WCDMA 모뎀; WCDMA 모드나 CDMA-2000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멀티모드-멀티 밴드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 및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며 타겟 셀을 검색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Traffic) 채널을 통해상기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 셀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 채널을 통해 상기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RAN; 및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정보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접속망 및 상기 RAN과 연동되는 이동 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안테나(210), RF 송수신부(220), CDMA 모뎀부(230), WCDMA 모뎀부(240), 제어부(250), 프로그램 저장부(260) 등을 포함한다.
안테나(210)는 인접 지역의 무선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송수신부(220)로 전달하고, RF 송수신부(220)로부터 변조된 RF 신호를 전달받아 전파 공간으로 송신한다.
RF 송수신부(220)는 안테나(210)로부터 전달받은 RF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RF 신호를 CDMA 모뎀부(230)의 CDMA-2000 필터(232) 또는 WCDMA 모뎀부(240)의 WCDMA 필터(242)로 전달한다. 물론, RF 송수신부(220)는 CDMA 모뎀부(230) 또는 WCDMA 모뎀부(240)로부터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RF 신호로 변조한 후 변조된 RF 신호를 안테나(210)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CDMA 모뎀부(230)는 CDMA-2000 서비스를 위한 CDMA-2000 필터(232) 및 CDMA-2000 모뎀(234)을 포함하고 있다. CDMA-2000 필터(232)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RF 송수신부(220)로부터 복조된 RF 신호 중 CDMA-2000 대역의 디지털 신호만을 추출하여 CDMA-2000 모뎀(234)으로 전달한다. 또한, CDMA-2000 모뎀(234)은 CDMA-2000 필터(232)를 통해 전달되는 CDMA-2000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CDMA-2000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수행한다.
WCDMA 모뎀부(240)는 WCDMA 서비스를 위한 WCDMA 필터(242) 및 WCDMA 모뎀(244)을 포함하고 있다. WCDMA 필터(242)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RF 송수신부(220)로부터 복조된 RF 신호 중 WCDMA 대역의 디지털 신호만을 추출하여 WCDMA 모뎀(244)으로 전달한다. 또한, WCDMA 모뎀(244)은 WCDMA 필터(242)를 통해 전달되는 WCDMA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WCDMA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50)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수신하는 RF 신호의 종류(WCDMA 신호나 CDMA-2000 신호)에 따라 멀티모드-멀 티밴드 단말기를 WCDMA 모드나 CDMA-2000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특정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CDMA 모뎀부(230) 또는 WCDMA 모뎀부(24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CDMA-2000 모뎀(234)이나 WCDMA 모뎀(244) 중 해당되는 특정 모뎀이 기동하도록 제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60)는 읽고 쓰기가 용이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RAM으로 로딩(Loading)되어 구동된다.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CDMA-2000 모뎀(234)의 초기화 작업이 끝난 후 유휴 상태에서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하나만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타겟 셀을 검색하도록 제어하고, 안테나(210) 및 RF 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CDMA-2000 파일럿(Pilot) 신호를 이용하여 Ec/Io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Ec/Io 값이 큰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여기서, Ec/Io(Energy of Carrier/Interference of Others)는 수신되는 모든 잡음의 크기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의 비율로서 파일럿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단위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Ec/Io 값은 통화량이 적고 전파가 겹치지 않는 지역에서는 약 -1 ~ -2 dB, 통화량이 많고 전파가 겹치는 지역에서는 약 -6 ~ -12 dB, 전파가 겹치는 고층빌딩 상층부 등에서는 약 -10 dB 정도의 값을 갖는다. 또한, Ec/Io 값이 -10 ~ -14 dB에서 음 단절 현상 발생하기 시작하고, -14 dB 이하에서는 통화 불능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어부(250)는 프로그램 저장부(260)에 탑재된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구동된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CDMA-2000 모뎀(234)의 초기화 작업이 종료된 후 핸드오버를 요청할 복수개의 타겟 셀을 모니터링 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와 통화 링크를 형성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 무선 접속망(310), RAN(330) 및 이동 통신 교환국(3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멀티모드와 멀티밴드를 모두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오버레이 지역에서 CDMA-2000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CDMA-2000 모뎀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 후 유휴 상태에서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모니터링한다. 단,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서비스 경계 지역에서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타겟 셀을 모니터링한다.
무선 접속망(310)은 CDMA-2000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기지국 전송기(312), 기지국 제어기(314) 등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교환국(320)과 연결되어 있다.
기지국 전송기(312)는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Traffic) 채널을 통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로부터의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14)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31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314)는 기지국 전송기(312)를 제어하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 및 기지국 전송기(31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314)는 위치 등록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국(32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314)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로부터 기지국 전송기(312)를 통해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교환국(320)으로 전달하며, 반대로 기지국 제어기(314)는 이동 통신 교환국(320)으로부터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전송기(312)를 통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32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정보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A/B/C 시스템의 이동 통신 교환국(32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 통신 교환국(32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RAN(RAN : 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330)은 WCDMA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RTS(RTS : Radio Transceiver Subsystem, 이하 'RTS'라 칭함)(332), RNC(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334) 등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교환국(320)과 연결되어 있다.
RTS(332)는 기지국 정합 서브 시스템(BIS : Basestation Intercommection Subsystem), 기저 대역 서브 시스템(BBS : Base Band Subsystem), RF 서브 시스템(Radio Frequency Subsystem)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3GPP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단말기와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며 음성, 영상 데이터를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단말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RNC(RNC : Radio Network Controller)(334)는 유무선 채널 관리(Resource Management), 단말기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프로토콜 정합 및 제어로 처리 기능, 소프트 핸드오버 처리, 핵심망 프로토콜 처리, GPRS(GPRS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lur 접속, 시스템 로딩, 장애 관리 등과 같은 무선 기지국 및 무선 제어국 관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으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RAN(330)에서 최초로 통화 링크를 형성한다고 가정한다. 이동 통신 가입자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를 동작시키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자동적으로 수신 상태가 되어 333개 채널(운용 대역폭이 10 MHz의 경우) 중에서 신호 채널로 지정된 21개의 설정 채널(Set-Up Channel)을 차례로 탐색한다. 이 때 21개의 설정 채널 중 비교적 전파 세력이 큰 설정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 주파수에 동조한다. 즉, 주변에 있는 무선 기지국에는 모두 다른 설정 채널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전파 세력이 큰 설정 채널에 동조한다는 것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가 가장 가까운 무선 기지국을 통화 링크 설정을 위한 무선 기지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는 통화중은 아니지만 언제라도 무선 기지국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를 호출하면 응답할 수 있는 상태인 동시에 가입자가 통화를 하려고 할 때 곧바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춘 상태이며 가입자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통화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이동 통신 가입자가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310)으 로 이동하게 되면,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WCDMA 모뎀과 CDMA 2000 모뎀간 절체를 통해 WCDMA 시스템에서 형성된 통화 링크를 CDMA-2000 시스템으로 스위칭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유휴 상태에서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하나만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주변에 위치한 복수개의 타겟 셀을 이용하도록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오버레이 지역(110)에서 통화 링크를 형성하고, CDMA-2000 지역(120)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가 오버레이 지역(110)에서 CDMA-2000 서비스 지역(120)으로 이동하는 경우 WCDMA 모드와 CDMA-2000 모드 사이의 전환이 필요하게 된다. 즉, 오버레이 지역(110)에서 WCDMA 서비스를 제공받던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CDMA-2000 지역(120)으로 이동하면 WCDMA 모드에서 CDMA-2000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제어부(250)는 CDMA-2000 모뎀(234)을 기동하기 위한 온 파라미터(ON Parameter)를 생성하여 CDMA-2000 모뎀(234)으로 전달한다(S400). 온 파라미터를 전달받은 CDMA-2000 모뎀(234)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402). 여기서, 초기화 작업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셋팅한 다음 유휴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초기화 작업은 시스템 결정 부상태(System Determination Substate), 파일럿 채널 획득 부상태(Pilot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싱크 채널 획득 부상태(Sync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등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초기화 작업을 끝낸 CDMA-2000 모뎀(234)은 CDMA-2000 지역(120)에 위치한 다수의 무선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전파 세력이 큰 무선 기지국을 감지한다(S404). 여기서, 본 발명의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400)는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주변에 위치한 타겟 셀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핸드오버할 복수개의 타겟 셀을 결정한 후 복수개의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WCDMA 모뎀(244)으로 전송한다(S406).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전달받은 WCDMA 모뎀(244)은 핸드오버 수행을 결정하고, WCDMA 시스템으로 복수개의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전달함으로써 핸드오버를 요청한다(S408).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로부터 복수개의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전송받은 WCDMA 시스템은 복수개의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커맨드를 생성하여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로 전송하고(S410),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300)는 CDMA-2000 모뎀(234)을 유휴 상태에서 트래픽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412). 여기서, WCDMA 시스템과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300) 상호간에는 핸드오버할 복수 개의 타겟 셀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300)는 복수개 의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300)는 유휴 상태에서 유휴 핸드오버를 진행하거나 타겟 셀 중 셀 신호가 작아지는 경우 복수개의 타겟 셀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 실패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CDMA-2000 모뎀(234)은 트래픽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S414), 통화 링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무선 기지국과 역방향 링크를 통해 동기화 작업을 진행한다(S416). 단계 S516에서 해당 무선 기지국과 동기화를 마친 CDMA-2000 모뎀(234)은 핸드오버를 마쳤음을 알리는 핸드오버 종료 메시지(HCM : Handover Completion Message)를 생성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418). CDMA-2000 시스템과 동기화를 끝낸 멀티 모드-멀티 밴드 단말기(400)는 WCDMA 모뎀(244)의 기동을 오프시키고, 보코더(Vocoder)를 CDMA-2000 모뎀(234)에 연동시킴으로써, CDMA-2000 모뎀(234)을 통해 통화를 시작하게 된다(S4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유휴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진행하거나 셀 신호가 약해지는 경우 복수개의 타겟 셀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시스템, RTS(RTS : Radio Transceiver Subsystem, 이하 'RTS'라 칭함)과 RNC(RNC :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a) WCDMA 모뎀을 통해 상기 WCDMA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WCDMA 신호를 수신하여 Ec/Io(Energy of Carrier/Interference of Others, 이하 'Ec/Io'라 칭함)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측정 결과에 따라 CDMA-2000 모뎀을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유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c)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모니터링하여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WCDMA 시스템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WCDMA 모뎀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CDMA-2000 모뎀을 통해 상기 CDMA-2000 시스템으로 통화 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서비스 지역 이동시 상기 WCDMA 모뎀과 상기 CDMA-2000 모뎀간 절체를 통해 통화 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Ec/Io 값을 체크하고, 체크된 결과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상기 CDMA-2000 시스템 또는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할 상기 타겟 셀을 복수개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상기 WCDMA 시스템의 공동 파일럿 채널(CPICH : Common Pilot Channel)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상기 WCDMA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 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WCDMA 모뎀은 상기 Ec/Io 값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CDMA-2000 모뎀의 기동을 요청하는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Ec/Io 값이 상기 CDMA-2000 모뎀을 온 시키는데 필요한 조건 시간을 유지한 채 지속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WCDMA 모뎀으로부터 온 파라미터를 전송받는 단계;
    (b2) 상기 CDMA-2000 모뎀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초기화 작업 수행 후 상기 CDMA-2000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CDMA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전파 세력이 큰 상기 CDMA 신호를 송신하는 셀의 무선 기지국을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에서
    상기 초기화 작업은 시스템 결정 부상태(System Determination Substate), 파일럿 채널 획득 부상태(Pilot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및 싱크 채널 획득 부상태(Sync Channel Acquisition Substate)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멀티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여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CDMA-2000 시스템과 동기화를 마친 후 핸드오버를 마쳤음을 알리는 핸드오버 종료 메시지(HCM : Handover Completion Message)를 생성하여 상기 CDMA-2000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타겟 셀 검색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탑재된 보코더(Vocoder)를 상기 CDMA-2000 모뎀으로 스위칭하여 통화 링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타겟 셀 검색 방법.
  12. 기지국 전송기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시스템, RTS과 RNC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로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RF 신호를 송수신 및 변복조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CDMA-2000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CDMA-2000 필터;
    상기 CDMA 신호를 CDMA-2000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Call Processing)하는 CDMA-2000 모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WCDMA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W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WCDMA 필터;
    상기 WCDMA 신호를 WCDMA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하는 WCDMA 모뎀;
    WCDMA 모드나 CDMA-2000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 는 제어부; 및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DMA-2000 모뎀이 기동하는 동안 상기 WCDMA 모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WCDMA 모뎀이 기동하는 동안 상기 CDMA-2000 모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WCDMA 시스템에서 송신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Ec/Io 값을 체크하고, 체크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CDMA-2000 모뎀을 기동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되 복수개의 타겟 셀을 검색하여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CDMA-2000 모뎀의 초기화 작업후 멀티 타겟 셀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시작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CDMA-2000 시스템 또는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 드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DMA-2000 모뎀은 상기 CDMA-2000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할 경우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초기화 작업은 시스템 결정 부상태, 파일럿 채널 획득 부상태 및 싱크 채널 획득 부상태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
  17. 멀티모드-멀티 밴드 단말기로 CDMA-2000 서비스 및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며 타겟 셀을 검색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성공률 및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Traffic) 채널을 통해상기 CDMA-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
    셀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 채널을 통해 상기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RAN; 및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정보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접속망 및 상기 RAN과 연동되는 이동 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RF 신호를 송수신 및 변복조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CDMA-2000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CDMA-2000 필터;
    상기 CDMA 신호를 CDMA-2000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하는 CDMA-2000 모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WCDMA 대역의 RF 신호 중 원하는 WCDMA 신호만을 추출하는 WCDMA 필터;
    상기 WCDMA 신호를 WCDMA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 처리하는 WCDMA 모뎀;
    WCDMA 모드나 CDMA-2000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실시간 처리 OS,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상기 RAN에서 송신되는 상기 WCDMA 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작업은 시스템 결정 부상태, 파일럿 채널 획득 부상태 및 싱크 채널 획득 부상태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상기 멀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셀을 복수개로 모니터링하여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2.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RAN으로부터 파일럿(Pilot) 신호를 수신하여 Ec/Io 값을 체크하고, 체크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CDMA-2000 모뎀을 기동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되 멀티 타겟 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WCDMA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3.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는 상기 무선 접속망과 동기화를 마친 후 핸드오버를 마쳤음을 알리는 핸드오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40066099A 2004-08-20 2004-08-20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1077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99A KR101077487B1 (ko) 2004-08-20 2004-08-20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NA2005800361812A CN101044701A (zh) 2004-08-20 2005-08-18 用于在移动通信环境中利用多目标小区执行多模式多频带终端的切换的方法和系统
PCT/KR2005/002714 WO2006019269A1 (en) 2004-08-20 2005-08-18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of multimode-multiband terminal by using multi target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BRPI0514375-6A BRPI0514375A (pt) 2004-08-20 2005-08-18 método e sistema para efetuar uma transferência de terminal multìmodo-multibanda através da utilização de célula multi-alvo em um ambiente de comunicação móvel
US11/573,999 US20090023449A1 (en) 2004-08-20 2005-08-18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of multimode-multiband terminal by using multi target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JP2007527053A JP2008511200A (ja) 2004-08-20 2005-08-18 移動通信環境におけるマルチターゲットセルを用いた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端末機の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99A KR101077487B1 (ko) 2004-08-20 2004-08-20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31A true KR20060017431A (ko) 2006-02-23
KR101077487B1 KR101077487B1 (ko) 2011-10-27

Family

ID=3590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099A KR101077487B1 (ko) 2004-08-20 2004-08-20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23449A1 (ko)
JP (1) JP2008511200A (ko)
KR (1) KR101077487B1 (ko)
CN (1) CN101044701A (ko)
BR (1) BRPI0514375A (ko)
WO (1) WO20060192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593B1 (ko) * 2006-04-20 2007-11-29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와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236568B1 (ko) * 2008-08-26 2013-02-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종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7745A1 (en) 2005-03-11 2006-10-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ation location based neighbor determination and handover probability estimation
KR100752770B1 (ko) * 2006-02-01 2007-08-29 주식회사 팬택 고속 Inter-RAT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의 효율적인 타이머 운영 방법 및 장치
US20070224993A1 (en) * 2006-03-27 2007-09-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nified reactive and proactive handovers
KR101377948B1 (ko) 2006-04-28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JP4846546B2 (ja) * 2006-11-29 2011-12-28 富士通株式会社 2つの通信方式を利用可能な移動端末
KR101638911B1 (ko) * 2009-03-06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US8369290B2 (en) 2009-04-13 2013-02-05 Futurewei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s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707683B1 (ko) * 2009-06-24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의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US8874167B2 (en) * 2009-11-17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ndby operation for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CN102065521B (zh) * 2009-11-17 2016-05-04 美国博通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系统
KR101678610B1 (ko) 2010-07-27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롱텀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노드 간 서브밴드 별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689882B2 (en) 2011-04-27 2017-06-27 Telecom Italia S.P.A. Area monitor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4427593B (zh) * 2013-08-26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03634830B (zh) * 2013-12-23 2016-08-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模无线终端及其发起电路域语音业务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067A (en) * 1994-06-17 1996-04-23 Qualcomm Incorporated Layered channel element in a base station modem for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6771963B1 (en) * 1998-08-17 2004-08-03 Lucent Technologies Inc. Triggering handdowns and handoffs of mobile stations between bordering cells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358351B1 (ko) * 1999-12-14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동기식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으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KR100350481B1 (ko) * 1999-12-30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KR100602023B1 (ko) * 2000-01-22 2006-07-20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롱 코드 스테이트 정보전송방법
KR100403746B1 (ko) * 2002-01-07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삼자 통화 서비스를 이용한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US7110765B2 (en) * 2002-08-27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Limiting cell reselection based on pilot power
JP3898681B2 (ja) * 2003-09-30 2007-03-28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957352B2 (en) * 2003-10-02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593B1 (ko) * 2006-04-20 2007-11-29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와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236568B1 (ko) * 2008-08-26 2013-02-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종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487B1 (ko) 2011-10-27
CN101044701A (zh) 2007-09-26
JP2008511200A (ja) 2008-04-10
BRPI0514375A (pt) 2008-06-10
WO2006019269A1 (en) 2006-02-23
US20090023449A1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7173B2 (ja) 移動通信環境における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端末機のターゲットセル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900234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of multimode-multiband terminal by using multi target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EP13566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tor handover between wcdma and gsm
US2008005619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o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MXPA06003592A (es) Transferencia de inter-sistema entre redes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de diferentes tecnologias de acceso de radio.
KR20050046835A (ko) 더미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접속망에서 부호 분할 다중 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950663B1 (ko)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체계 이동단말에서 무선 액세스기술체계간 셀 재선택방법
KR101140149B1 (ko)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방법 및 시스템
KR100756193B1 (ko) Wcdma와 cdma-2000 간의 서비스모드 전환 방법 및시스템
KR10074604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856633B1 (ko)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KR10071800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KR20050089346A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1077481B1 (ko) Wcdma 모드와 cdma 모드에서 동시에 mm-mb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mm-mb 단말기
KR100590677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통화 링크방법 및 시스템
KR100695249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파 추적 기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및 시스템
KR100601860B1 (ko)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0661546B1 (ko) 듀얼 안테나가 갖는 디비디엠 단말기시스템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100676230B1 (ko) 대기 핸드오버를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13012A (ko) Cdma 우선 모드로 동작하는 mm-mb 단말기에서wcdma 모드로 전환시 호 접속 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그를 위한 mm-mb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