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633B1 -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633B1
KR100856633B1 KR1020060136430A KR20060136430A KR100856633B1 KR 100856633 B1 KR100856633 B1 KR 100856633B1 KR 1020060136430 A KR1020060136430 A KR 1020060136430A KR 20060136430 A KR20060136430 A KR 20060136430A KR 100856633 B1 KR100856633 B1 KR 10085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ell
mobile terminal
synchronous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558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6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와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이동 단말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를 요청하여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가능한지 여부를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을 GSM 셀에서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시킨다. 또한, 비동기망이 동기망의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브로드캐스트하여, 이동 단말이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하게 한다.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이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측정하여 이동 단말이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가 이동 단말을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시킨다. 또한, 이동 단말은 대기 상태에서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송신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망에 접속된 이동 단말에 핸드오버 발생시 동기망의 셀 측정 정보를 포함한 셀 측정 요구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이동 단말이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가능하게 되고, 비동기망에서 이동 단말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이동 단말이 셀 재선택시 동기망의 셀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비동기, 동기, 듀얼, 핸드오버, 셀 재선택

Description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BASE STATION CONTROLLER FOR USE IN MULTI-DIMENS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 OVER OF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구조도,
도 2는 이기종 시스템들 간의 중첩된 구조도,
도 3a 내지 도 3o는 이동 단말과 RNC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
도 4는 도 1의 RNC의 핸드오버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RNC의 내부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비동기/동기 이동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f는 이동 단말과 RNC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RNC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망
30 : 동기 이동통신망 500 : RNC
513 : 송수신부 515 : 운영자 DB
516 : 중첩셀 정보
본 발명은 다차원 이동통신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 측정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변 셀 정보를 인식하여 핸드 오버시키는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이라고도 칭해진다. CDMA-2000은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IS-95나 J-STD008 등 2세대 CDM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현재는 상기 두 시스템들을 화합(harmonization)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상기 두 시스템들 간의 호환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주요한 하나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obile Station 또는 User Equipment)이 두 시스템간의 이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핸드오버에 관한 기술이다.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통화의 단절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핸드오버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둘 이상의 셀들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다가 어느 한 채널 품질이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해당 채널을 끊는(drop) 소프트 핸드오버이고, 다른 하나는 셀간을 이동시에 이전 셀의 채널을 끊고 인접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하드 핸드오버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모두 통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및 듀얼 대역(Dual Mode and Dual Band: DMDB) 이동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드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서로 다른 무선방식을 지원하는 두 시스템들과 동시에 무선채널들을 연결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통신중인 이동 단말은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가 기준값 미만이거나 기지국의 요청이 있으면 주변 셀들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이와 같이 주변 셀들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은 셀 탐색(cell searching)이라 칭해진다. 상기 보고된 측정 정보는 이동 단말이 통신 중에 다른 셀로 이동할 경우 발생되는 핸드오버에 대한 판단 정보로 이용된다.
일반적인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편의상, W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이라 하고, 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동기 이동통신망이라 칭하기로 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20)은 이동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 으로서의 노드 B(200), 노드 B(200)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인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210), RNC(21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ontroller)(220), MSC(220)와 No.7 공통신호망(2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 240), 지능망 제어기(SCP, 250) 및 홈위치 등록기(HLR, 260), RNC(21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10)의 위치를 감시하고 보안 및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노드, 270), SGSN(104)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노드, 290)을 포함한다. 그리고, 비동기 이동통신망(20)에서 MSC(220), GPRS망(280), SGSN(270) 및 GGSN(290) 등은 코어망을 형성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망(30)은 이동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300), 기지국(30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31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20), 교환기(320)와 No.7 공통신호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 340), 지능망 제어기(SCP, 350) 및 홈위치 등록기(HLR, 360),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7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70)와 인터넷(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20) 및 동기 이동통신망(30)의 교환기(220, 320)간의 핸드오버 관련 MAP을 상호 변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상호 연동부(IWF; 50)가 No.7 공통신호망(230, 330)을 통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동 단말(10)은 듀얼 모드 및 듀얼 대역(Dual Mode and Dual Band: DMDB) 이동 단말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이며, 비동기 이동통신망(20) 및 동기 이동통신망(30)과 각각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망(20)의 노드 B(200)는, RNC(210)에 의해서 관리되며, 상향 링크로는 이동 단말(10)의 물리 계층이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로는 이동 단말(10)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단말(10)에 대한 비동기망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담당한다. RNC(210)는 무선 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고 코어망과의 접속점 역할을 담당한다. 기지국 제어기(BSC, RNC)는 트래픽 채널과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3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30)이 이기종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들의 중첩된 영역에서 이동시에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BSC(310) 및 RNC(210)는 셀간을 이동하는 이동 단말(10)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BSC(310) 및 RNC(210)는 셀 간을 이동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및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RAT 모드를 제어한다.
도 2는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중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은 비동기 기지국인 노드 B(200)에 속하는 제1 셀(200a)과 동기 기지국인 BSC(300)에 속하는 제2 셀(300)의 중첩된 영역에서 제2 셀(300a)을 향해 이동중이다. 이동 단말(10)은 3GPP 규격의 비동기(WCDMA) 모드와 3GPP2 규격의 동기(CDMA)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 모드 및 듀얼 대역(Dual Mode and Dual Band: DMDB) 이동 단말이다.
일반적으로, RNC(210)는 이동 단말의 성능을 요구하는 메시지로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셋업 메시지와, 사용자 단말 요구(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10)은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대해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 이동 단말의 성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를 포함하여 RNC(2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요구 메시지에 대해 이동 단말의 성능 정보를 포함하여 RNC(210)로 전송한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RNC(210)가 공통 채널(common channel)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메시지이고, 사용자 단말 요구 메시지는 RNC(210)가 호 설정된 단말에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이들 메시지에는 도 3d에 도시된 시스템 정보 블록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3)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a의 테이블은 이동 단말의 GSM 동작부, GERAN 동작부에 대한 성능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도 3b는 이동 단말에서 단말 성능을 보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다. 도 3b는 GSM 동작부, GERAN 동작부, CDMA 동작부에 대한 성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단말의 성능을 요청하는 메시지에는, 이동 단말의 CDMA 동작부의 성능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이동 단말(10)이 셀 재선택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변의 셀 정보를 인식하며, 셀 재선택이 필요한 경우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에 근거하여 셀을 선택한다. 셀 선택을 위한 시스템 정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3/4)는 셀 재선택 가능한 시스템(GSM, CDMA2000) 정보를 포함하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의 속한 셀의 인접셀 식별자(RAT identifier)를 명시한다. 그리고, 대기 상태에서 RNC(2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1/12)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셀(inter-RAT cell) 리스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명시하며, 인접 셀 정보 리스트를 명시한 도 3e를 참조한다.
인접 셀 정보 리스트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셀 ID, GSM의 셀 오프셋 및 기지국 식별 코드(BSIC: Base Station Identity Code)와, 사용 주파수 밴드(DCS 1800, PCS 1900)와, IS-2000(즉, CDMA) 셀의 시스템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IS-2000 셀의 시스템 측정 정보의 타입은 주파수, 타임슬롯, 컬러 코드, 출력 파워, PN 오프셋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실제 값이 아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이 셀 재선택시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한편, RNC(210)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도 3f에 도시된 이동 단말 측정 제어(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 측정 제어 메시지는 도 3g에 도시된 인접 셀 측정 정보 테이블을 참조한다. 도 3g의 인접 셀 측정 정보 테이블은, 정보 요소로서 인접 셀 측정 대상 리스트와, 인접 셀 측정 수(quantity), 인접 셀 보고 수(reporting quantity), 인접 셀 보고 범위(criteria)를 포함한다.
도 3g의 인접 셀 측정 수는 도 3h를 참조한다. 도 3h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는 기준(예를 들어, RSSI(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이 스레숄드 값을 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인접 셀 보고 수는 도 3i를 참조한다. 도 3i의 인접 셀 보고 수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RNC(210)가 이동 단말(10)로부터 보고받을 정보로서, GSM 셀의 시간차(time difference)와 송수신강도(RSSI: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한다. 인접 셀 보고 범위는 도 3j를 참조한다.
한편, 이동 단말이 측정 제어 메시지에 대해 인접 셀을 측정하여 보고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테이블은 도 3k와 같다.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보고 메시지 정보 테이블은, 측정 요소로서 측정 결과와 이벤트 결과를 포함하며, 측정 결과로서 도 3l을 참조하고, 이벤트 결과로서 도 3n을 참조한다.
도 3l은 GSM 인접셀을 측정한 결과 리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도 3m을 참조한다. 도 3m은 GSM 인접셀의 수와, GSM 캐리어 송수신 강도, 확인된 BSIC(Base Station Identity Code)의 셀 아이디, 확인되지 않은 BSIC의 브로드캐스트 무선 주파수 채널(BCCH ARFCN), GSM 셀간 시간차 값을 포함한다.
도 3n은 측정 이벤트 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도 3o를 참조한다. 도 3o는 인접셀 이벤트 ID와, 보고할 셀 수, 확인된 BSIC내 셀 ID와, 확인되지 않은 BSIC의 BCCH ARFCN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RNC의 핸드오버 제어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210)는 이동 단말(10)이 대기 상태(S101)가 아닌 경우, 단말 성능 정보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S102). 단말 성능 정보 요구 메시지는 공통 채 널로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이동 단말의 호 설정시에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 호 설정된 후에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로 나뉜다. RNC(210)는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다(S103).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는 이동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와 단말 성능 정보 메시지로 나뉜다. RNC(21)는 단말 성능 정보 메시지에 근거하여 GSM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확인하고(S104),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핸드오버 이벤트를 감지(S105)하여, GSM에 대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S106).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주변 셀 정보를 인식한다(S107). RNC(210)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S108). 이러한 과정으로, 이동 단말은 GSM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NC(10)는 이동 단말이 대기 상태일 때는 셀 재선택을 하도록 셀 정보 리스트를 브로드캐스트로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S109). 따라서, 이동 단말은 셀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셀 재선택이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메시지 스펙(specification)에는, 이동 단말이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하게 하거나,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하게 하는 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RNC에서 이동 단말의 성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시에 이동 단말의 CDMA 동작부의 성능을 요청하는 내용은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셀 재선택이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메시지에는 CDMA 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CDMA에 대한 성능을 이동 단말에게 보고시킬 수 없으며, 셀 재선택을 위해 이동 단말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셀 정보 리스트내에 CDMA 이웃셀 정보(예를 들어, PN 오프셋 등)가 명확하지 않아 셀 파악이 불가능했다. 또한, 이웃셀 측정 보고 메시지에 CDMA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CDMA 이웃셀 정보를 보고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망의 제어기와 이동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내에 동기망의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매시지 형식을 규격화함으로써,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가능하고 동기망의 셀 재선택이 가능한 비동기/동기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와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이동 단말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측정을 요청하여 이동 단말로부터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을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을 GSM 셀에서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시킨다. 또한, 비동기망이 동기망의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브로드캐스트하여, 이동 단말이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하게 한다.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이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측정하여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함으로써,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는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을 인식하여,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가 이동 단 말을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시킨다. 또한, 이동 단말은 대기 상태에서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송신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스템 정보 메시지내의 동기망의 셀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WCDMA의 기지국 제어기인 RNC(5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RNC(510)의 RRC 연결에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나, RNC(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RNC(51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RNC(5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다른 구성요소들을 참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510)는 RRC 제어부(511)와, 노드B(200) 및 코어망(MSC(220)를 포함)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513)와, 중첩셀 정보가 저장되는 운영자 DB(515)를 포함한다.
비동기망(1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이 동기망(30)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10)은 주기적으로 노드B(200)와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RNC(510)에 보고하므로, RNC(510)의 RRC 제어부(511)는 신호감도가 지정된 문턱값 이하인지 확인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확인한다. 이동 단말(10)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 통신 중인 비 동기망의 노드 B(200)로부터 이동 단말(10)로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가 점차 감쇄되어, 신호감도가 지정된 문턱값 이하가 되면, RNC(510)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주변 동기망의 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측정 제어 메시지를 이동 단말(10)로 송신한다.
RNC(510)는 이동 단말(10)로부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보고 메시지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10) 주변의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을 인식하여, 해당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RNC(510)는 현재 통신 중인 비동기망의 MSC(220)로 교환기 간의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비동기망의 MSC(220)는 동기망의 MSC(320)에 핸드오버를 요청하여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RNC(510)는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재위치 요구(Relocation required)라는 메시지를 동기망의 MSC(320)로 보내어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시작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1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0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11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120)와, 동기식 및 비동기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140)을 포함한다. 동기 무 선장치(110)는 무선송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송수신부(112)와, 동기 모뎀부(113)를 포함하며, 동기 무선송수신부(112)의 일측은 듀플렉서(111)를 통하여 안테나(100)와 접속되고 타측은 동기 모뎀부(113)와 접속된다.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120) 또한 무선송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수신부(122)와, 비동기 모뎀부(123)를 포함하며, 비동기 무선송수신부(122)의 일측은 듀플렉서(121)를 통하여 안테나(10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 모뎀부(123)와 접속된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공통 모듈(140)은, 동기 무선장치(110) 및 비동기 무선장치(120)의 각 모뎀부(113 및 123)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이하 'DPRAM'이라 칭함)(141 및 142)과, DPRAM(141 및 142)과 접속되며 이동 단말(10)의 동기 및 비동기 통신의 전반적인 제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143)를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143)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44)와, 주변장치의 접속을 위한 I/O장치(145) 및 전력제어를 위한 전력제어모듈(PWM:Pulse Width Modulation)(146)과, 음성처리를 위한 코덱(미도시)이 접속된다. I/O장치(145)로서, 사용자로부터 키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미도시)와, 사운드 출력부(미도시) 및 표시부(미도시) 등의 주변장치가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메인 프로세서(143)는 동기 무선장치(110)와 비동기 무선장치(12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파킹 모드로 설정한다.
이동 단말(10)에서, 초기 전원이 투입되면 메인 프로세서(143)는 우선적으로 비동기 통신을 선택한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43)는 동기 무선장치(110)를 파킹모드로 설정하고, 비동기 무선장치(120)를 활성화상태로 설정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 프로세서(143)는 비동기 이동통신망(20)의 노드B(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PLMN 및 셀 선택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43)는 비동기 이동통신망(20)으로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비동기 MSC(220)를 통하여 HLR(260)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43)는, 3G 네트워크 및 2G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통신 환경에서 3G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와, 2G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와, 대기상태에서 3G에서 2G로 옮겨가는 Inter-RAT 셀 재선정(Cell Reselection)을 수행하는 경우와, 통화상태에서 3G에서 2G로 옮겨가는 Inter-RAT 핸드 오버(Hand Over)를 수행하는 경우에서 각각의 제어를 수행한다.
메인 프로세서(143)는 RNC(510)로부터 전송된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로서, RNC(510)로부터 공통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제1 시스템 정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3)(도 7a 참조), 호 설정시 RNC(510)로부터 전송되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와, 호 설정 후에 RNC(51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성능 요구(UE Capability Enquiry) 메지시를 포함한다. 이 제1 시스템 정보 메시지와 RRC 연결 셋업 메시지 및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CDMA 단말 성능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되며, 메시지 형식은 후술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143)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대해,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RNC(510)로 송신하고,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에 대해 단말 성능 정보 메시지를 RNC(510)로 송신한다. 이 메시지들 내에는 CDMA 동기 무선장치(110)의 성능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43)는 비동기 무선장치(110)를 통해 노드B(200)의 신호세기를 감지하여 RNC(510)로 보고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10)이 통화중에, RNC(510)로부터 CDMA 파라미터가 포함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프로세서(143)는 비동기망의 셀과 동기망의 셀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동기망의 셀의 신호세기 등을 측정하고, 동기망의 셀 측정 정보가 포함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작성하여 RNC(51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측정 제어 메시지는 후술할 도 7c 및 도 7d와 같고, 측정 보고 메시지는 후술할 도 7e 및 도 7f와 같다.
이동 단말(10)이 RNC(510)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프로세서(143)는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RNC(510)에 보고한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43)는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비동기 무선장치(120)를 파킹모드로 설정하고, 파킹모드인 동기 무선장치(130)를 활성화상태로 설정하여 CDMA 망(30)으로 접속하여 등록요청메시지를 CDMA 망(300)으로 전송하여 HLR(360)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아이들 상태로 대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143)는 대기상태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1/12)(도 3c 참조)를 수신하여,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도 3d 참조)로부터 셀 정보 리스트를 추출하여,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셀 재선택 필요시에, 동기 무선장치(110)를 동작시켜 동기망의 셀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이동 단말(10)과 RNC(51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다. 도 7a는 RNC(510)가 이동 단말(10)의 성능을 요구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타입 및 참조란에 GSM, CDMA, GERAN lu가 포함되어 있다.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GSM 및 CDMA 성능을 보고하는 메시지(도 3b 참조)를 RNC(510)로 전송한다. 도 7b는 RNC(510)가 이동 단말(10)로 송신하는 인접 셀 정보 리스트 정보 메시지이다. 도 7b는 인접 셀 ID, GSM 셀 정보와, IS-2000(즉, CDMA) 셀 정보를 포함한다. GSM 셀 정보로서, 셀 오프셋과 기지국 식별 코드(BSIC: Base Station Identity Code) 및 사용 주파수 밴드(DCS 1800, PCS 19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라, IS-2000 셀 정보로서 밴드 식별자와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및 PN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다. 밴드 식별자에 대해 DCS 800, PCS 1800, PCS 1900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밴드 정보가 표시되고, ARFCN 및 PN 오프셋에 대해서도 정수값이 표시된다.
도 7c는 인접 셀 측정 수(Inter-RAT measurement quantity) 테이블로서,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는 기준(예를 들어, GSM의 경우 RSSI 값이 스레숄드 값을 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인접 셀 측정 수(Inter-RAT measurement quantity) 테이블은, IS-2000, 즉 CDMA의 측정 수로서 전계 밀도(Ec/lo)와 필터 계수를 포함한다. 전계 밀도는 CDMA의 기지국내 가입자 수를 나타내고, 필터 계수(Filter coefficient)는 CDMA의 무선 신호를 스무스하게 변환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도 7d는 인접 셀 보고 수(Inter-RAT reporting quantity) 테이블로서, 이동 단말(10)이 이벤트 발생시 보고할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도 7d의 인접 셀 보고 수는 RNC(510)가 이동 단말(10)에 GSM 셀에 대해 시간차(time difference)와 송수신강도(RSSI: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접 셀 보고 수 테이블은, 본 실시예에 따라, CDMA의 기지국내 가입자 수를 나타내는 신호대 잡음전력(Ec/lo)를 보고시키는 Ec/lo 보고 표시자(indicator)를 포함한다.
도 7e는 인접 셀 측정 결과 리스트 정보 테이블로서, 이동 단말(10)이 RNC(510)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다. 도 7e의 인접 셀 측정 결과 리스트 정보 테이블은, GSM 인접셀의 수와, GSM 캐리어 송수신 강도(RSSI: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 확인된 BSIC(Base Station Identity Code)의 셀 아이디, 확인되지 않은 BSIC의 브로드캐스트 무선 주파수 채널(BCCH ARFCN), GSM 셀간 시간차 정보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라, CDMA 인접셀의 수와, 인접셀 ID별 CDMA 신호대 잡음전력 값을 더 포함한다.
도 7f는 측정 이벤트 결과 정보 테이블로서, 이벤트 발생시 셀 정보를 포함한다. 도 7f는 보고할 셀 정보로서, GSM의 확인된 BSIC 셀 ID와 확인되지 않은 BSIC의 BCCH ARFCN 정보와, 일실시예에 따라 CDMA 인접셀 ID 값을 더 포함한다. 이후에, RNC(510)는 측정 이벤트 결과 정보 테이블이 포함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로부터 핸드오버할 타겟이 되는 동기망의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을 보고받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RNC의 셀 재선택 및 핸드오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이 대기 상태(S1)가 아닌 경우에, RNC(510)는 GSM 및 CDMA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10)로 송신한다(S2). 예를 들어, CDMA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는 공통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제1 시스템 정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3)와, RRC 연결 셋업 메시지와, 호 설정 후 이동 단말(10)의 성능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도 7a의 테이블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RNC(510)는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면(S3),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를 확인하여,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가능한지 판단한다(S4). 예를 들어,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와 단말 성능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이다.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에는 이동 단말(10)의 CDMA 성능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판단결과 CDMA로 핸드오버 가능하여 핸드오버 이벤트를 감지하면(S5), RNC(510)는 CDMA관련 정보가 포함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6). 본 실시예에 따라, 측정 제어 메시지는 도 7c에 도시된 측정 수(measurement quantity) 테이블과, 도 7d에 도시된 보고 수(reporting quantity) 테이블을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RNC(510)는 이동 단말(10)로부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 주변의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 정보를 인식한다(S7). 예를 들어, 측정 보고 메시지에는 도 7e에 도시된 측정 결과 리스트 및 도 7f에 도시된 측정 이벤트 결과 테이블을 포함하므로, RNC(510)는 핸드오버할 타겟 동기망의 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RNC(510)는 핸드오버할 타겟 동기망의 셀을 정하여 해당 동기망의 셀로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이동 단말(10)로 전송한다(S8). 이후에, RNC(510)는 비동기망의 MSC(220)에 동기망의 MSC(320)과의 핸드오버를 요청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 다.
한편, 이동 단말(10)이 대기 상태(S1)인 경우에, RNC(510)는 동기망의 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셀 정보 리스트를 공통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S9). 예를 들어, 셀 정보 리스트는 도 7b에 도시된 테이블 형식에 따르며, 동기망의 셀의 주파수 밴드, 사용 주파수, PN 오프셋 값이 추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RNC(510)는 이동 단말(10)의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10)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측정을 요청하여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을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10)을 GSM 셀에서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시킬 수 있다. 또한, RNC(510)는 대기상태의 이동 단말(10)로 동기망의 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이동 단말(10)이 필요시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셀 재선택 및 핸드오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S21)가 아닌 경우,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S22), 이동 단말(10)은 CDMA 성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를 RNC(510)로 전송한다(S23). 예를 들어,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는 공통채널을 통해 RNC(51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제1 시스템 정보 메시지, 이동 단말(10)이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의 송신시 RNC(510)로부터 전송된 RRC 연결 셋업 메시지, 호 설정 후 RNC(510)로부터 전송된 GSM 및 CDMA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성능 보고 메시지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단말 성능 정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RNC(510) 로부터 CDMA에 대한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S24), 동기망의 셀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동기망의 셀 측정 보고 메시지를 RNC(510)로 송신한다(S25). 이후에, RNC(510)로부터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S26),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27).
한편, 이동 단말(10)이 대기상태인 경우에, RNC(510)로부터 동기망의 셀의 주파수 밴드, 사용 주파수, PN 오프셋 값이 추가된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S28). 이동 단말(10)은 제2시스템 정보 메시지로부터 타겟이 되는 동기망의 셀을 인식하고(S29), 셀 재선택 조건이면(S30), 인식한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한다(S31).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RNC(510)의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10)이 주변 동기망의 셀 정보를 측정하여 RNC(510)로 전송함으로써,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의 셀을 RNC(510)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RNC(510)가 이동 단말을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은 대기 상태에서 RNC(510)로부터 송신된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가 포함된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동기망의 셀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망의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캐리어 웨이브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캐리어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이상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망에 접속된 이동 단말에 핸드오버 발생시 셀 측정 요구 메시지에 동기망의 셀 측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메시지 형식을 규격화하여,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의 셀 정보를 인식하여 이동 단말이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가능하게 되고, 비동기망에서 이동 단말 주변의 동기망의 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이동 단말이 셀 재선택시 동기망의 셀을 선택가능하므로, 동기망의 셀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WCDMA 방식의 비동기망과 CDMA 방식의 동기망이 혼재된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상기 비동기망의 기지국 제어기로서,
    상기 비동기망의 셀과 동기망의 셀이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동 단말 주변의 동기망 셀을 포함한 셀 측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여 동기망 셀 정보를 수집하여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 셀을 인식하고, 핸드오버 가능한 동기망 셀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 단말을 비동기망 셀에서 동기망 셀로 핸드오버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이 대기상태일 때 상기 동기망 셀 정보를 공통 채널로 브로드캐스트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동기망 셀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망 셀을 재선택하게 하는, 기지국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CDMA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성능 보고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이 동기망의 셀로 핸드오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기지국 제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공통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트하는 제1 시스템 정보 메시지와, RRC 연결 셋업 메시지와, 호 설정 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말 성능 요구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구 메시지는 핸드오버 이벤트의 기준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Ec/lo)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구 메시지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보고받을 파라미터로서 핸드오버할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 측정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변 동기망 셀의 수 및 해당 셀의 아이디와 주변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 측정값을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기준을 초과한 주변 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망 셀 정보는, 상기 동기망 셀의 주파수 밴드, 사용 주파수 및 PN 오프셋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10. 삭제
  11. WCDMA 방식의 비동기망과 CDMA 방식의 동기망의 중첩셀에 존재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망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전송된 동기망 셀을 포함한 셀 측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셀 측정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망 셀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망 셀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망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기망 셀 정보를 공통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셀 재선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동기망 셀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망 셀을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구 메시지는 핸드오버 이벤트의 기준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상기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구 메시지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시 보고받을 파라미터로서 핸드오버할 상기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 측정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주변 동기망 셀의 수 및 해당 셀의 아이디와 주변 동기망 셀의 신호대 잡음전력 측정값을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기준을 초과한 주변 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망 셀 정보는, 상기 동기망 셀의 주파수 밴드, 사용 주파수 및 PN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비동기/동기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060136430A 2006-12-28 2006-12-28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KR10085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30A KR100856633B1 (ko) 2006-12-28 2006-12-28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30A KR100856633B1 (ko) 2006-12-28 2006-12-28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558A KR20080061558A (ko) 2008-07-03
KR100856633B1 true KR100856633B1 (ko) 2008-09-03

Family

ID=3981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430A KR100856633B1 (ko) 2006-12-28 2006-12-28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694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의 시스템 정보 수신 중 채널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05711B1 (en) * 2011-05-03 2020-05-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13703308A (zh) * 2021-08-27 2021-11-26 深圳市新威尔电子有限公司 多机协同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560A (ko) * 2003-12-08 2005-06-13 이노에이스(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동기식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프 방법
KR100586376B1 (ko) * 2003-12-03 2006-06-08 이노에이스(주) 지에스엠 필드를 이용하여 동기식 이동통신망 셀의무선환경 측정 결과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 전송하는 방법
KR100602166B1 (ko) 2003-12-03 2006-07-19 이노에이스(주)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핸드오프 제어방법
KR20070072767A (ko) * 2006-01-02 2007-07-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76B1 (ko) * 2003-12-03 2006-06-08 이노에이스(주) 지에스엠 필드를 이용하여 동기식 이동통신망 셀의무선환경 측정 결과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 전송하는 방법
KR100602166B1 (ko) 2003-12-03 2006-07-19 이노에이스(주)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핸드오프 제어방법
KR20050055560A (ko) * 2003-12-08 2005-06-13 이노에이스(주)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에서 동기식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프 방법
KR20070072767A (ko) * 2006-01-02 2007-07-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558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11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n evolved UTRAN
EP2995015B1 (en) Ue enhancement in fdd-tdd joint operation networks
US8565152B2 (en) Dual mode mobile terminal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717605B1 (en)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cell neighbour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7409214B2 (en) Cell search method for inter-system handover in a mobile station
EP2190228B1 (en)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ell selection
EP2557847B1 (en) Inter-network handover system and method
KR20050072323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핸드오버 방법
KR100856633B1 (ko) 다차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 오버 방법
EP2579476A1 (en) Control method of compressed mode and system thereof
KR20080061487A (ko) 다차원 이동통신망, 무선망 제어기 및 셀 측정 제어 방법
KR100950663B1 (ko)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체계 이동단말에서 무선 액세스기술체계간 셀 재선택방법
KR101012007B1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신호를스캐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584426B (zh) 一种系统帧号和帧定时偏差sftd测量方法
AU20132704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n Evolved Utran
KR10072862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20050071772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