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824A -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 Google Patents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824A
KR20060016824A KR1020060008093A KR20060008093A KR20060016824A KR 20060016824 A KR20060016824 A KR 20060016824A KR 1020060008093 A KR1020060008093 A KR 1020060008093A KR 20060008093 A KR20060008093 A KR 20060008093A KR 20060016824 A KR20060016824 A KR 2006001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lug
jack
mobile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985B1 (ko
Inventor
방장혁
Original Assignee
방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장혁 filed Critical 방장혁
Priority to KR102006000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9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이어폰 잭과 이어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플러그를 휴대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납작한 얇은 박편으로 되어있는 전기적 접점장치(10)인 이어폰 잭과 이 이어폰 잭에 장착할 수 있는 스프링 탄성부재로 되어있는 돌출된 전기적 접점(21)을 가진 이어폰 플러그로 구성 되며 쉽게 결속될 수 있도록 양쪽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여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단자에 가까이 가져가기만 하여도 바로 정확히 결속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휴대폰, 핸드폰, 음향기기, PDA, MP3, 이어폰, 방수구조

Description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Earphone set of cellular phone or portable audio}
도1은 종래의 이어폰 잭과 이어폰 플러그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과 플러그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과 플러그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과 플러그의 결합도
도5은 휴대폰에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과 플러그를 적용한 예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과 플러그를 핸드프리에 적용한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어폰 잭 2 : 이어폰 플러그
10 : 이어폰 잭의 전기적 접점부 11 : 인쇄회로 기판의 접점부
13 : 리드스위치(reed switch) 14, 24 : 연결도선
15 : 결합돌기 21 : 이어폰 플러그의 전기적 접점부
22 : 스프링 탄성부재 23 : 결합홈
30, 30a, 30b : 자석
본 발명은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은 둥그렇게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잭(1)과 이 잭에 결합할 수 있는 이어폰 플러그(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런 구조의 이어폰 잭(1)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통화를 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어폰 플러그(2)를 이어폰 잭(1)에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항상 이어폰 잭(1)를 덮고 있는 덮개를 젖히고 끼워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또한 이어폰 잭(1)의 덮개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이곳을 통하여 먼지나 습기가 휴대폰 내부로 들어가 부식 및 전기적 합선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차량 운전 중에 전화가 올 경우 휴대폰을 핸드프리에 올린 다음 이어폰 플러그(2)를 삽입해야 하는데 이렇게 이어폰 플러그(2)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정확히 맞춰야 하므로 전방을 주시하기가 어렵고 그만큼 사고 위험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이 물에 빠졌을 경우 이어폰 잭(1)의 구멍을 통하여 물이 휴대폰 내부로 들어가 전기적 합선을 일으키게 해서 휴대폰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 내부로 물이라든가 먼지가 들어갈 수 없도록 방수 방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핸드프리에 적용 시에도 쉽게 장착 및 결속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이어폰 잭과 이어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이어폰 잭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 에서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잭은 뒤쪽에 회로 기판에 장착할 수 있는 다수의 접속 접점부(11)가 나와 있고 앞쪽에는 납작한 얇은 박편으로 되어있는 전기적 접점장치인 다수의 전기적 접점부(10)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폰 잭에는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리드스위치(13)가 있어 평상시에는 휴대폰 자체의 마이크 및 스피커로 통화를 하다가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면 이어폰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리드스위치(13)는 이어폰 플러그에 있는 자석(30b)에 의해 작동되며, 리드스위치(13)가 작동되기 전에는 이어폰 잭의 내부 접점부(11)와 외부 접점부(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곳에 물이나 다른 금속체가 접촉되어도 전기적으로 합선이 일어나지 않 게 된다.
또한 이어폰 잭에는 이어폰 플러그의 자석(30a)과 쌍을 이루는 자석(30)이 내장되어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를 가까이 가져가면 서로 잡아당겨 쉽게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어폰 잭 위와 아래쪽에는 이어폰 플러그를 결속하였을 경우 이어폰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스프링 장치가 되어있는 결합돌기(15)가 있다.
다음은 이어폰 플러그에 대한 설명이다.
도3 에서와 같이
이어폰 잭에 결속될 수 있는 스프링 탄성부재(22)로 되어있는 돌출된 전기적 접점부(21)가 있고 이 탄성부재(22)는 연결도선(24)을 통하여 이어폰에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감지시키도록 자석(30b)이 내장되어 있어 이 자석(30b)에 의해 이어폰 잭에 있는 리드스위치(13)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폰 플러그 내부에는 이어폰 잭에 들어있는 자석(30)과 한 쌍을 이루는 자석(30a)이 서로 반대 극으로 내장되어 있어 이어폰 잭과 쉽게 결속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 위와 아래쪽에는 결합홈(23)이 파여져 있어 이어폰 잭의 결합돌기(15)와 결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폰용 이어폰뿐만 아니라 PDA나 MP3 혹은 휴대용 음향기기 등에 쉽게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폰, 휴대폰의 다운로드 커넥터등 전기적 접점을 가지는 모든 것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에 이어폰을 쉽게 장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잭 옆으로만 가져가도 자석에 의하여 저절로 결속 되도록 되어 어떠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용 핸드프리에 적용 시에도 핸드프리에 휴대폰을 장착하는 것만 으로도 쉽게 이어폰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다.
이어폰 잭을 통하여 먼지라든가 물이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있어 간단한 생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응용하면 방수 구조도 가능하다.

Claims (3)

  1. 휴대폰 및 PDA나 MP3 혹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납작한 얇은 박편으로 되어있는 다수의 전기적 접점부(10)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잭과 이 잭에 결속될 수 있는 스프링 탄성부재(22)로 되어있는 돌출된 전기적 접점부(2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로 구성된 전기적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잭내부와 플러그에 쌍이 되는 자석(30, 30a)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잭내부에 리드스위치(13)가 들어있어 이 리드스위치(13)에 의해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전기기기가 물에 빠졌을 경우에도 전기적으로 합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플러그가 연결되면 플러그 내부의 자석(30b)에 의해 리드스위치(13)가 작동되도록 한 장치
KR1020060008093A 2006-01-24 2006-01-24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10077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93A KR100772985B1 (ko) 2006-01-24 2006-01-24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93A KR100772985B1 (ko) 2006-01-24 2006-01-24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97U Division KR200406216Y1 (ko) 2005-10-20 2005-10-20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824A true KR20060016824A (ko) 2006-02-22
KR100772985B1 KR100772985B1 (ko) 2007-11-05

Family

ID=3712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093A KR100772985B1 (ko) 2006-01-24 2006-01-24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9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09B1 (ko) * 2006-05-17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잭 장치
KR100951456B1 (ko) * 2007-12-26 2010-04-28 아이볼타(주) 전기 접속 시스템
WO2014021584A1 (ko) * 2012-08-01 2014-02-06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14B1 (ko) * 2010-09-14 2012-11-09 이능규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i/o 커넥터의 방수 구조
KR101199917B1 (ko) * 2010-10-13 2012-11-09 이능규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입출력 커넥터의 방수 구조
KR200462217Y1 (ko) * 2010-11-04 2012-08-30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방폭용 절연 유니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80Y1 (ko) 2002-04-13 2002-07-19 정홍기 다극 커넥터
KR200359031Y1 (ko) 2004-05-11 2004-08-21 조승석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09B1 (ko) * 2006-05-17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잭 장치
KR100951456B1 (ko) * 2007-12-26 2010-04-28 아이볼타(주) 전기 접속 시스템
WO2014021584A1 (ko) * 2012-08-01 2014-02-06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1370934B1 (ko) * 2012-08-01 2014-03-10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985B1 (ko) 2007-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373B2 (en) Headphone socket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20160048706A (ko) 골전도 스피커 유닛
JP2001502860A (ja) マイクロホン溝を有した補助コンポーネントコネクター
CN108696782B (zh) 一种线控组件及线控式蓝牙耳机
KR200406216Y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US10911588B2 (en) Mobile terminal external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protection sleeve
CN204993481U (zh) 一种移动终端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CN204794143U (zh) 手机伴侣装置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JP2006079965A (ja) 携帯電話用コネクタ
JP2006278243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0235210Y1 (ko) 마그네틱 잭
KR200359031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CN213244092U (zh) 一种转接式手机壳
CN211240066U (zh) 耳机充电接触板及其充电盒
CN205017513U (zh) 直充式蓝牙耳机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KR200400686Y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
KR200226251Y1 (ko)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1007050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