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570A -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570A
KR20060016570A KR1020040065065A KR20040065065A KR20060016570A KR 20060016570 A KR20060016570 A KR 20060016570A KR 1020040065065 A KR1020040065065 A KR 1020040065065A KR 20040065065 A KR20040065065 A KR 20040065065A KR 20060016570 A KR20060016570 A KR 2006001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card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128B1 (ko
Inventor
권도균
Original Assignee
권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도균 filed Critical 권도균
Priority to KR102004006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1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사나 신용카드사의 서버가 고장나거나 통신망의 장애로 선승인 방식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가맹점에서 가승인 카드결제를 통하여 고객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신용카드 가승인 결제 시스템 및 처리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가맹점의 신용카드 단말기는 기존의 선승인 방식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경우에는 기존의 선승인 방식에 따라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고 서버나 통신망의 장애로 인하여 기존의 선승인 방식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신용카드의 사용에 대하여 가승인 번호를 부여하고, 가승인 번호 및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가승인 매출전표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사인을 받은 뒤, 서버가 통신망의 장애가 복구되면 가승인 정보 등을 이용하여 후승인을 실행하고, 가승인 정보 및 후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결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가승인, 신용카드, 결제, 통신망

Description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Credit card reader for pre-acknowledgem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credit car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의 모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단말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카드 단말기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카드 입력부 130: 카드 판독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전표 출력부 170: 통신부
180: 표시부 200: 통신망
300: 밴사 서버 400: 신용카드사 서버
500: 컴퓨터
본 발명은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밴사나 신용카드사의 서버 장애나 통신망의 장애로 인하여 선승인 방식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가승인에 의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신용카드 단말기, 그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산업의 발달, 사용의 편의성, 매출 투명화를 통한 조세 형평성 제고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신용카드의 보급 및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물건을 판매하는 매장은 물론,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사업장에까지 신용카드 가맹점의 가입을 의무화되고 있고, 심지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도 신용카드 결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임의의 매장이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등록되면, 승인된 신용카드사, 밴사 등과 연계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고객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대금을 지불하는 경우, 자체 모뎀을 장착하고 있는 신용카드 단말기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단말기가 고객이 제시하는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필드를 스캐닝하여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여, 이를 모뎀에 접속된 공중회선교환망을 통하여 밴(VAN)사 등으로 전송하여 신용카드의 이상여부 체크와 승인을 의뢰한다.
이때, 가맹점으로부터 신용카드의 이상여부와 승인을 의뢰받은 밴사는 가맹점으로부터 의뢰된 신용카드의 이상여부 체크 및 승인 요청정보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된 신용카드사에 전달하고, 신용카드사로부터 신용카드의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정보 및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한 후, 이들 정보를 공중회선교환망을 통하여 신용카드 단말기 등에 전달한다. 이러한 결제 방법에 의하여, 해당 가맹점은 물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을 수 있고, 가맹점 및 사용자는 각각 신용카드 결제에 대한 결과로서 매출전표 및 영수증을 각각 소지하여 후에 결산 및 확인용으로 이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선승인 결제방식은 실시간으로 신용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밴사나 신용카드사의 서버가 고장나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신용카드 단말기의 저장부의 용량을 초과하여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자체에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카드결제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물품 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선승인 결제 시스템의 사용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신용카드사 서버 등의 고장, 통신망 장애, 단말기 메모리 용량 초과, 단말기 하드웨어 자체의 에러로 인하여 선승인 방식에 의한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망에 접속된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에 연결된 신용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서,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하면, 카드 단말기는 삽입된 신용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승인요청을 통신망을 통하여 밴사 서버로 전송하고, 밴사 서버는 신용카드사 서버에 카드 단말기의 사용승인요청을 전달하여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승인결정을 수신하여 카드 단말기로 전송하여 선승인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고,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하면, 카드 단말기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가승인 번호를 생성하여, 삽입된 신용카드 정보, 가승인 번호, 결제 방법 등을 포함하는 가결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이들 정보가 인쇄된 가매출전표 및 가영 수증을 출력하며, 후에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하면 저장된 가결제 정보를 밴사 서버로 전송하여 정식 승인을 요청하여 후승인 결제를 실행하여 후승인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후승인 매출전표를 출력하는 신용카드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이들에 사용되는 신용카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의 모식도로서, 신용카드 결제를 위해 가맹점에 비치되는 카드 단말기(100), 통신망(200)을 통해 카드 단말기(100)에 접속되는 밴사 서버(300), 전용선을 통해 밴사 서버(300)에 연결 설정되는 신용카드사 서버(400),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에 접속하는 컴퓨터(500)로 구성된다.
카드 단말기(100)는 신용카드 가맹점에 설치되어 물품의 판매 대금 등을 신용카드로 결제하기 위한 것으로, 신용카드가 입력되면 이를 판독하여 신용카드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신용카드 결제의 승인을 요청한다. 이때, 통신망(200)의 장애나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의 고장으로 인해 카드 단말기(100)와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 간이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 단말기(100)는 현재 결제를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해 가승인 번호를 부여하고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가승인 과정에서, 카드 단말기(100)는 가승인 번호, 가결제금액, 납입할부 개월수 및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등을 가결제 정보로서 저장한다.
가승인을 통한 신용카드 가결제가 이루어진 후, 통신망(200)의 장애나 서버(300, 400)들의 고장이 복구되면, 카드 단말기(100)는 저장한 가결제 정보, 예를 들어 가승인 번호, 결제금액, 납입할부 개월수,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등을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가결제된 신용카드에 대한 정식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한다.
통신망(200)은 공중회선교환망(PSTN)이나 인터넷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망(200)과 카드 단말기(100), 밴사 서버(300) 또는 컴퓨터(500) 간의 접속은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접속의 경우,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그리고 무선주파수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밴사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100)로부터 통신망(200)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정보와 승인정보를 제공받고, 이 정보들을 전용선을 통해 신용카드사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신용카드사 서버(400)로부터 신용카드 결제의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이 회신되면, 밴사 서버(300)는 수신된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통신망(200)을 통해 카드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당해 신용카드사에 가입한 고객들의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정보들을 토대로 밴사 서버(300)로부터 신용카드 결제의 승인정보 및 신용카드 정보가 전달되면 결제를 의뢰한 신용카드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한 응답을 전용선을 통해 밴사 서버(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카드 단말기(100)가 가승인 및 가결제를 한 후 정식 결제를 승인받기 위해 가결제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승인을 수신하는 과정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컴퓨터(500)는 고객 자신이 가승인 및 가결제 방식을 통해 신용카드로 물품의 구입 대금을 지불한 경우, 지불 대금에 대한 정식 승인 및 결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컴퓨터(500)는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에 접속한다.
이와 같은 승인 및 결제의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기기로는 PC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국선 전화, 핸드폰 및 PDA 폰 등과 같은 각종 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가승인 방식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우선 가맹점에서 고객의 물품 구입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기 위해 신용카드를 카드 단말기(100)에 입력하면, 카드 단말기(100)는 입력된 신용카드를 판독하여(S201), 판독한 신용카드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와의 온라인 접속을 밴사 서버(300)를 경유하여 시도한다(S202).
이때, 카드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나 신용카드사 서버(400)와의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S203),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면, 카드 단말기(100)는 입력된 신용카드를 판독한 신용카드정보와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로 전송한다(S204). 이어서, 밴사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들을 전용선을 통해 신용카드사 서버(400)로 전송한다(S205). 이에 대한 응답으로,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해당 고객의 신용카드정보와 입력된 신용카드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신용카드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승인정보를 밴사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어 밴사 서버(300)는 회신된 결제승인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카드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06). 카드 단말기(100)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의 결제승인에 따라 선승인 사실을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 상에 표시하고 현재 입력된 금액으로 물품의 구입대금을 결제한다(S207). 여기서,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신용카드 결제의 승인시 카드결제정보, 예를 들어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결제일자, 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 등을 저장한다.
만일, 온라인 접속 확인 과정(S203)에서 통신망(200)의 장애나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의 고장으로 인해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카드 단말기(100)는 판독한 신용카드정보, 예로서 카드번호(card track data) 등을 체크하여(S208), 입력된 신용카드가 가승인을 위해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사의 카드인지를 확인하여 가승인의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209). 판단결과 입력된 신용카드가 가승인을 위해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사의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카드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가승인 불가를 표시하고 카드 결제를 종료한다(S210).
판단결과 입력된 신용카드의 가승인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카드 단말기(100)는 현재 결제를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해 가승인 번호를 부여하여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하고 이에 관한 가승인 및 가결제 전표를 출력한다(S211). 이때, 카드 단말기(100)는 가승인 번호, 가결제금액, 납입할부 개월수 및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등을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로서 저장하며, 이러한 가결제 정보를 고객의 서명이 이루어지는 가승인 및 가결제 전표에 표시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가맹점은 가승인 및 가결제 전표에 고객의 서명을 받는다.
여기서, 카드 단말기(100)는 가승인 번호를 암호화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는데, 이는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가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악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후승인 과정에서 가결제 정보가 암호화된 상태로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되고, 암호화된 가결제 정보는 신용카드사 서버만이 복호화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승인 및 가결제가 완료된 후, 카드 단말기(100)는 가승인된 신용카드에 대해 정식 승인 및 결제(즉, 후승인 및 후결제)를 받기 위해서 해당 밴사 서버(300) 및 신용카드사 서버(400)와의 온라인 접속을 계속적으로 시도하여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212). 판단결과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하면, 카드 단말기(100)는 현재의 접속 시도 상태를 유지한다.
판단결과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면, 카드 단말기(100)는 저장된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와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로 전송한다(S213). 이때, 카드 단말기(100)는 암호화되어 저장된 가승인 번호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밴사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와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전용선을 통해 신용카드사 서버(400)로 전송한다(S214). 이때,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해당 고객의 신용카드정보와 수신된 신용카드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되면, 신용카드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승인정보를 밴사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어 밴사 서버(300)는 회신된 결제승인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카드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5). 여기서,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암호화된 가승인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시켜 가승인 번호를 인식한다.
이렇게 결제승인을 받은 카드 단말기(100)는 정식 승인 사실을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고 가승인 정보 및 정식승인 정보가 표시된 정식결제 전표를 출력한다(S216). 여기서,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신용카드 결제의 후승인시 카드결제 정보, 예를 들어 가승인 번호, 정식승인 번호,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가결제일자, 정식결제일자, 가결제금액, 정식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 등을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신용카드의 가승인 및 가결제를 받은 고객은 컴퓨터(500)를 통해 정식결제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고객이 컴퓨터(500)로 통신망(200)을 통해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에 접속한 후 가승인 번호를 입력하여 정식결제 결과의 확인을 요구하면, 밴사 서버(300) 또는 신용카드사 서버(400)는 저장된 정식결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컴퓨터(500)로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서는 카드 단말기(100)가 가승인 및 가결제 후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기 위해 계속적으로 신용카드사 서버(400)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드 단말기(100)에 정식 승인 및 결제에 관한 자동 버튼 및 수동 버튼이 부착하여, 사용자가 자동 버튼을 누르면 카드 단말기(100)는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기 계속적으로 온라인 접속을 시도한다. 만일, 사용자가 수동 버튼을 누르면, 카드 단말기(100)는 수동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정식 승인 및 결제를 위한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고, 이때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면 이미 설명한 과정을 통해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승인을 위한 신용카드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신용카드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카드 입력부(120), 카드 판독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전표 출력부(160), 통신부(170), 그리고 표시부(180) 등을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신용카드 결제에 관한 각종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결제 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들, 결제를 요구하기 위한 결제 버튼,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 후 온라인 접속를 자동으로 시도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자동 버튼,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 후 온라인 접속의 시도를 별도로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동 버튼, 영수증 발급을 요구하는 발급 버튼, 그리고 신용카드 결제 및 결제에 관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 버튼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버튼들은 누름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드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필드가 삽입되면, 삽입된 마그네틱 필드를 스캐닝하여 카드 판독부(130)로 제공한다. 그리고, 카드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신용카드의 특정 부위를 손으로 잡고 신용카드를 긁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카드 판독부(130)는 카드 입력부(120)에 입력된 신용카드의 정보를 판독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가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롬(ROM) 및 램(RAM)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저장부(140)에는 온라인 접속 불가시 가승인이 가능한 신용카드사 정보, 신용카드 결제의 가승인시 제어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 그리고 신용카드 결제에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신용카드의 가승인시 기록되는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데, 이를 위하여 저장부(140)는 암호키 저장부(141)를 포함한다. 암호키 저장부(141)는 대칭키 방식 등을 이용하는 암호키 등이 저장된다. 암호키는 신용카드 단말기 설치시에 신용카드사 서버 등으로부터 온라인 다운로드 방식으로 생성 및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밴사 서버(300) 및 신용카드사 서버(400)와의 온라인 접속시 선승식 방식에 의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온라인 접속 불가시 가승인 및 가결제를 한 후 후승인 및 후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신용카드의 선승인 및 후승인 결제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밴사 서버(330)와의 온라인 접속 불가시 판독된 신용카드의 가승인 및 가결제를 실행하고 통신망(200)을 통해 온라인 접속된 밴사 서버(300) 및 신용카드사 서버(400)의 결제승인을 받아 현재 카드 판독부(130)에 의해 판독된 신용카드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가승인 및 가결제한 신용카드의 정식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전표의 출력을 제어하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와 신용카드 결제에 이용하고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가승인 정보 등은 암호화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암호부(151)를 포함한다.
전표 출력부(160)는 제어부(150)의 지시에 따라 신용카드 결제시 결제 전표를 출력하고, 가승인 및 가결제시 가결제 전표를 출력하며, 가승인 및 가결제 후 정식 승인 및 결제시 정식결제 전표를 출력한다. 여기서, 가결제 전표에는 가승인 번호,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가결제일자, 가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 등이 기록되고, 정식결제 전표에는 가승인 번호,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가결제일자, 정식결제일자, 가결제금액, 정식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 등이 기록된다. 그리고, 고객은 가결제 전표에 서명한다.
이렇게 출력된 가결제 전표 중에 가영수증은 고객에게 제공되고, 가매출전표는 가맹점이 보관한 후 결제대금을 은행 등으로부터 환급받을 때 후승인 정식매출전표와 함께 사용된다. 여기서, 후승인에 의한 정식결제전표는 고객에게 제공될 필요가 없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밴사 서버(300)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고 제어부(150)에 의해 전달되는 신용카드정보, 가승인 정보 및 결제승인 요구정보 등을 밴사 서버(300)로 전송하는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며, 신용카드 단말기(100)와 통신망(200)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무선주파수(RF) 통신, 유선 접속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신용카드 결제 및 결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화면(LCD)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신용카드사 등의 서버가 고장나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신용카드 단 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체에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경고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80)에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신용카드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직불카드 등의 사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나 통신망의 장애 여부에 따라 선승인 방식이나 가승인에 의한 후승인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신용카드를 결제함으로써 온라인 접속 여부에 관계없이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신용카드의 사용상 편의는 신용카드 사용의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신용카드 사용의 보편화는 조세 형평성 제고 등의 부수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18)

  1. 통신망으로 연결된 신용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하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삽입된 신용카드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승인요청을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밴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밴사 서버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 상기 카드 단말기의 사용승인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사용승인결정을 수신하여 상기 카드 단말기로 전송하여 선승인에 의한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고, 그리고
    상기 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하면, 상기 카드 단말기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가승인 번호를 생성하여, 삽입된 신용카드 정보, 가승인 번호, 결제 방법 등을 포함하는 가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가결제 정보가 인쇄된 가매출전표 및 가영수증을 출력하며, 후에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하면 저장된 가결제 정보를 상기 밴사 서버로 전송하여 후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가결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가결제 정보는 신용카드사 서버에 의해서만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가승인이 가능한 신용카드사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신용카드가 입력될 때 입력된 신용카드가 가승인 가능한 지를 판단하고, 가승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승인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후승인을 요청한 후, 후승인이 이루어지면 후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5. 통신망으로 연결된 신용카드 단말기, 밴사 서버, 신용카드사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신용카드 결제를 실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입력된 신용카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신용카드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접속 판단 결과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를 판독한 신용카드정보와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상기 밴사 서버를 통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 의해 결제 승 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접속 판단 결과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에 대해 가승인 번호를 부여하고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가승인 및 가결제 후 상기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가승인 및 가결제에 대한 후승인을 받아 상기 가승인한 신용카드의 후승인 결제를 실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가 신용카드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가 가승인을 위해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사의 카드인지를 확인하여 가승인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
    상기 제 3-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가 가승인을 위해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사의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가승인 불가를 표시하고 카드 결제를 종료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입력된 신용카드의 가승인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현재 결제를 요청한 상기 신용카드에 대해 가승인 번호를 부여하여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하고 가결제 전표를 출력하는 제 3-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3 단계는
    상기 카드 단말기는 가승인 번호, 가결제금액, 납입할부 개월수 및 고객의 신용카드정보를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3 단계는
    상기 카드 단말기는 가승인 번호, 가결제금액, 납입할부 개월수 및 고객의 신용카드정보를 상기 가결제 전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는
    상기 가승인 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 후,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상기 가승인한 신용카드에 대해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기 위해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여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현재의 접속 시도 상태를 유지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제 4-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는 상기 저장한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와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상기 밴사 서버를 통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의 정식결제 승인을 받아 정식 결제를 수행하고 정식 결제전표를 출력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1 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가 상기 가승인 및 가결제 후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기 위해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상기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1 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가 상기 가승인 및 가결제 후 사용자의 지시가 있을 때마다 정식 승인 및 결제를 받기 위해 상기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3 단계는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가 상기 정식 결제전표에 가승인 번호,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가결제일자, 정식결제일자, 가결제금액, 정식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 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3 단계는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가 신용카드의 정식 결제를 승인하고 가승인 번호, 고객의 신용카드정보, 가결제일자, 정식결제일자, 가결제금액, 정식결제금액 및 납입할부개월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결제 방법.
  15. 통신망을 통하여 신용카드사 서버 및 밴사 서버에 연결되는 신용카드 단말기에 있어서,
    신용카드 결제에 관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결제를 위해 입력된 신용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수단;
    온라인 접속 불가시 가승인이 가능한 신용카드사 정보를 저장하고, 가승인시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신용카드 결제 및 결제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밴사 서버나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 불가시 판독된 신용카드의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된 상기 밴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의 결제승인을 받아 현재 상기 카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신용카드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가승인 및 가결제한 신용카드의 정식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전표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와 신용카드 결제 및 결 제에 이용하고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결제 전표를 출력하기 위한 전표 출력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밴사 서버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신용카드정보, 가승인 정보 및 결제승인 요구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밴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신용카드의 결제 승인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단말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은
    결제 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들;
    신용카드 결제에 관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 버튼들;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 후 온라인 접속를 자동으로 시도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자동 버튼; 및
    가승인 및 가결제를 수행한 후 온라인 접속의 시도를 별도로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동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단말기.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신용카드의 가승인시 가승인 및 가결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단말기.
KR1020040065065A 2004-08-18 2004-08-18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061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65A KR100618128B1 (ko) 2004-08-18 2004-08-18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65A KR100618128B1 (ko) 2004-08-18 2004-08-18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70A true KR20060016570A (ko) 2006-02-22
KR100618128B1 KR100618128B1 (ko) 2006-08-31

Family

ID=3712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065A KR100618128B1 (ko) 2004-08-18 2004-08-18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12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43A (ko) * 2009-07-07 2011-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284453B1 (ko) * 2010-04-02 2013-07-09 인텔 코포레이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지불 관리
KR101316686B1 (ko) * 2012-03-08 2013-10-1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단말기 및 카드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WO2014164571A1 (en) * 2013-03-11 2014-10-09 Google Inc. Pending deposit for payment processing system
US8898088B2 (en) 2012-02-29 2014-11-25 Google Inc. In-card access control and monotonic counters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US8959034B2 (en) 2012-02-29 2015-02-17 Google Inc. Transaction signature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US9020858B2 (en) 2012-02-29 2015-04-28 Google Inc. Presence-of-card code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EP2983129A1 (en) * 2014-08-08 2016-02-10 LG CNS Co., Ltd.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cessing a transportation fare
KR20160052303A (ko) * 2014-10-30 2016-05-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모바일 차량의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0453044B2 (en) 2013-09-09 2019-10-22 Lg Cns Co., Ltd. Open payment fare method and system
WO2023210852A1 (ko) * 2022-04-29 2023-11-02 쿠팡 주식회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46B1 (ko) * 2015-07-06 2018-04-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결제 시스템 및 교통 결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233U (ko) * 1994-12-30 1996-07-22 마그네트부재가 구비된 편향요크
JP3339843B2 (ja) * 1999-11-17 2002-10-28 株式会社ジェーシービー Icカードによる電子決済方法
KR20000024454A (ko) * 2000-02-15 2000-05-06 이동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카드거래 승인 및 관리시스템과 방법
KR20010109377A (ko) * 2000-05-30 2001-12-10 서동석 인터넷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5087B1 (ko) * 2002-12-09 2005-09-14 조승호 선승인 방식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43A (ko) * 2009-07-07 2011-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284453B1 (ko) * 2010-04-02 2013-07-09 인텔 코포레이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지불 관리
US9020858B2 (en) 2012-02-29 2015-04-28 Google Inc. Presence-of-card code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US8898088B2 (en) 2012-02-29 2014-11-25 Google Inc. In-card access control and monotonic counters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US8959034B2 (en) 2012-02-29 2015-02-17 Google Inc. Transaction signature for offline payment processing system
KR101316686B1 (ko) * 2012-03-08 2013-10-10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카드 단말기 및 카드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WO2014164571A1 (en) * 2013-03-11 2014-10-09 Google Inc. Pending deposit for payment processing system
US10192214B2 (en) 2013-03-11 2019-01-29 Google Llc Pending deposit for payment processing system
US10453044B2 (en) 2013-09-09 2019-10-22 Lg Cns Co., Ltd. Open payment fare method and system
EP2983129A1 (en) * 2014-08-08 2016-02-10 LG CNS Co., Ltd.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cessing a transportation fare
KR20160018964A (ko) * 2014-08-08 2016-02-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 교통 요금을 처리하는 서버 및 시스템
US10504112B2 (en) 2014-08-08 2019-12-10 Lg Cns Co., Ltd.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cessing a transportation fare
KR20160052303A (ko) * 2014-10-30 2016-05-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모바일 차량의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0282919B2 (en) 2014-10-30 2019-05-07 Lg Cn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ying fare of mobile vehicle
WO2023210852A1 (ko) * 2022-04-29 2023-11-02 쿠팡 주식회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128B1 (ko)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637B2 (ja) 安全な支払いシステム
US5915023A (en) Automatic portable account controller for remotely arranging for transfer of value to a recipient
US8812401B2 (en) Secure payment capture processes
KR10037695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lcd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결제시스템, 그 전자 결제 방법 및 현금지급 방법
US8099368B2 (en) Intermediary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 data with mobile device confirmation
AU2010247801B2 (en) Alterable security value
US20090327133A1 (en) Secure mechanism and system for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s
US2001001867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nic-card settlement through an internet network
JP2004531827A (ja) 安全な払戻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09936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ard-not-present financial transactions as card-present financial transactions
KR100618128B1 (ko) 가승인용 신용카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 방법
US2017022873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hibiting fraudulent payment card transactions
KR101794831B1 (ko) 개인용 금융 자동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금융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060093575A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099441B1 (ko) 신용카드 결제데이터의 불법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2042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H10255121A (ja) 電子マネーシステム
JP2002032572A (ja) 認証システムと認証方法及び決済システム
WO20091117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a credit card
WO201605549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hibiting fraudulent payment card transactions
JP4731362B2 (ja) 電子決済口座の認証パスワード管理装置および電子決済口座の認証パスワード管理方法
AU2011203165B2 (en) Secure payment system
KR200342639Y1 (ko) 전자서명 인증 단말기
KR20020090978A (ko) 신용카드 결재승인 시스템 및 방법
GB2534399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