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363A -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363A
KR20060015363A KR1020040064084A KR20040064084A KR20060015363A KR 20060015363 A KR20060015363 A KR 20060015363A KR 1020040064084 A KR1020040064084 A KR 1020040064084A KR 20040064084 A KR20040064084 A KR 20040064084A KR 20060015363 A KR20060015363 A KR 2006001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mobile terminal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052B1 (ko
Inventor
백정호
Original Assignee
백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호 filed Critical 백정호
Priority to KR102004006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0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액정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차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A/V 헤드유닛과 A/V 헤드유닛의 USB 포트에 장착된 USB 장치내의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목록을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하며 동영상 재생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동을 건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가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삽입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헤드유닛, 파일 목록 표시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A/V head unit system capable of remote starting of vehicle engine and control of head unit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제어 과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차량 제어/상태보기 또는 A/V 장치 제어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예.
도 4는 이동 단말기와 헤드 유닛 사이에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와 헤드 유닛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내에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프로토콜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A/V 장치 제어시 A/V 헤드유닛, 상기 A/V 헤드유닛에 접속된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동 단말기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고 필요에 따라 재생 또는 복사를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예.
본 발명은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차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A/V 헤드유닛과 A/V 헤드유닛의 USB 포트에 장착된 USB 장치내의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목록을 보고 선택하며 동영상 재생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가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무선 통신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기능이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원격 제어 및/또는 상태 파악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70532호(1999년 9월 15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자료에 따르면 원격 시동키 및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원격시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시동키에 따른 명령어 코드 및 인식코드를 발생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코드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 코드 및 인식코드를 코딩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코딩된 명령어 코드 및 인식코드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자동자의 메인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원격 시동 기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로써 전화 통화는 물론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동차를 원격으로 시동을 걸거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차량의 초 원거리 원격 제어 및/또는 상태 파악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3473호(2000년 3월 14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자료에 따르면 기지국을 통하여 자동차를 초 원거리에서 시동을 걸거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들은 차량의 시동 및/또는 상태 파악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차량용 A/V 장치등과 별개로 운용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한편, 차량에 탑재된 기기중 A/V 헤드유닛은 액정 화면의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CD 또는 DVD내에 저장된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정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차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A/V 헤드유닛과 A/V 헤드유닛의 USB 포트에 장착된 USB 장치내의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목록을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하며 동영상 재생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은 적외선 통신 인 터페이스부(102), 안테나(103), 듀플렉서(104), 메모리(112), LCD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및 접속 포트(122)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듀플렉서(104) 또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하여 A/V 헤드유닛 구동을 위한 구동 명령을 공급하는 헤드유닛 제어부(106)와; 제어되는 A/V 헤드유닛에 해당하는 구동 명령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와; 무선 접속과 데이터 링크 및 파일 시스템 구동으로 타 접속기기에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고 표시하며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처리부(110)와; A/V 헤드유닛 조작시에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에 저장된 구동 명령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명령어 제공부(118); 및 차량 본체부에 시동 명령을 공급하고 차량 본체의 센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114)에 표시하는 원격 시동/차량상태 모니터링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링크가 이루어지면 A/V 헤드유닛(14)은 듀플렉서(144)와 안테나(143)을 통해 메모리(140)내에 저장된 데크 고유 ID(141)를 전송하고 상기 헤드유닛 제어부(106)는 이를 수신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인지를 식별(S206)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에 접속(S208)하여 기능/명령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S210)하도록 제어하고, 등록된 헤드 유닛이 아닌 경우 데크 고유 ID를 ISP 서버(164)로 전송(S204)하고, 데크 고유 ID에 해당하는 연락 번호로 헤드 유닛(14)에의 접속이 시도되고 있음을 문자메시지로 발송하며, 발송되는 문자메시지에 데크 고유 ID와 이동 단말기(10)의 발신 번호를 포함시켜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파일 시스템 처리부(110)와 A/V 헤드유닛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150)에는, 무선 링크를 위한 장치 식별 및 접속, 무선링크 프레임으로 세그멘팅(segmenting)함으로써 실제적인 무선 전송을 처리하는 무선 링크 계층(402, 422)과; 이웃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송단위로 분할, 링크 접속의 설정과 해제, 순서 제어, 에러 검출 및 복원, 및 흐름 제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404, 424); 및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써 데이터를 읽고, 쓰고, 찾기 위한 준비의 규칙에 따라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파일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해진 체계에 따라 파일의 브라우징 및 표시를 담당하는 OS 및 파일 시스템 구동 계층(406, 426)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인코딩됨으로써 구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V 헤드유닛(14)은,
이동단말기(10)가 삽입되면 충전기 삽입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72)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충전부(170);
시동 신호에 의하여 리셋되며 시동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74); 및
카운트 신호를 참조하여 시동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충전기 삽입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제어부(17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충전기 삽입 신호는 개문 신호이고, 상기 시동 제어부 (176)는 개문 신호를 참조하여 문이 열렸는지를 체크하여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은 A/V 헤드유닛(14)과 교신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160)과 인터넷(162)을 통하여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nternet Service Provider) 서버(164)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과 연동되는 이동 단말기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타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02), 안테나(103), 송신단과 수신단을 분기하는 듀플렉서(104), A/V 헤드유닛 구동을 위한 구동 명령을 공급하는 헤드유닛 제어부(106), 제어되는 A/V 헤드유닛에 해당하는 구동 명령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 무선 접속과 데이터 링크 및 파일 시스템 구동으로 타 접속기기에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고 표시하며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처리부(110), 메모리(112), LCD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A/V 헤드유닛 조작시에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에 저장된 구동 명령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명령어 제공부(118), 차량 본체부에 시동 명령을 공급하고 차량 본체의 센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114)에 표 시하는 원격 시동/차량상태 모니터링부(120), 및 접속 포트(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02), 안테나(103), 듀플렉서(104), 메모리(112), LCD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및 접속 포트(122)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개인휴대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tant)과 같이 이동성을 가지면서 음성 또는 데이터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를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의 A/V 헤드유닛(14)은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42), 안테나(143), 듀플렉서(144), 데크제어부(146), 파일시스템 처리부(150), USB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USB 메모리(153), 및 메모리(140)를 구비하며, CD/DVD 드라이버(152), 튜너(154), 카세트 테이프 데크(156)를 구비한다. 메모리(140)에는 데크 고유 ID(141)가 저장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제어 과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링크가 이루어진다(S202). 무선 링크가 이루어지면 A/V 헤드유닛(14)은 듀플렉서(144)와 안테나(143)을 통해 메모리(140)내에 저장된 데크 고유 ID(141)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의 헤드유닛 제어부(106)는 이를 수신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인지를 식별(S206)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에 접속(S208)하여 기능/명령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S210).
또한, 상기 헤드유닛 제어부(106)는 등록된 헤드 유닛이 아닌 경우, 데크 고유 ID를 ISP 서버(164)로 전송(S204)하고, 데크 고유 ID에 해당하는 연락 번호로 헤드 유닛(14)에의 접속이 시도되고 있음을 문자메시지로 발송하는데 이때 발송되 는 문자메시지에는 데크 고유 ID와 이동 단말기(10)의 발신 번호를 포함시켜 발송한다. A/V 헤드유닛이 분실된 제품인 경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그 정보를 기초로 분실된 A/V 헤드유닛에 대한 수배를 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수순에 따라 파일 시스템을 구동(S212)하여 A/V 헤드유닛, 상기 이동 단말기의 USB 포트에 접속된 USB 장치, 및 이동 단말기내 파일을 이동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S214)한다.
다음으로, 재생 또는 복사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여(S220), 해당 드라이버를 재생(S222)하거나 복사(S224)한다.
도 3은 차량 제어/상태보기 또는 A/V 장치 제어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창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차량 제어/상태보기를 할 것인지 A/V 장치 제어를 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차량 제어/상태보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차량 본체(18)내에 접속되어 있는 차량 시동부(186)과 차량 상태 모니터링부(188) 및 안테나(182)/듀플렉서(184)가 활성화되지만 A/V 헤드유닛과의 교신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반면에, 사용자가 A/V 장치 제어를 선택한 경우에는 헤드 유닛과의 교신이 활성화되지만 차량 본체와의 교신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또한, 원격 시동/차량상태 모니터링부(120)는 차량본체부내에서 시동 유무와 에어콘 가동 유무를 모니터링하여 헤드유닛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알려준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 제어부(146)는 차량 본체측의 에어콘 제어부(190)에 에어콘 시동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헤드유닛을 경유하여 에어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와 헤드 유닛 사이에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와 헤드 유닛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내에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프로토콜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와 헤드 유닛 각각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110, 150)에는 무선 링크를 위한 장치 식별 및 접속, 무선링크 프레임으로 세그멘팅(segmenting)함으로써 실제적인 무선 전송을 처리하는 무선 링크 계층(402, 422)과, 이웃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송단위로 분할, 링크 접속의 설정과 해제, 순서 제어, 에러 검출 및 복원, 및 흐름 제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404, 424), 및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써 데이터를 읽고, 쓰고, 찾기 위한 준비의 규칙에 따라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파일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해진 체계에 따라 파일의 브라우징 및 표시를 담당하는 OS 및 파일 시스템 구동 계층(406, 426)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인코딩됨으로써 구현되어 있다.
도 5는 A/V 장치 제어시 A/V 헤드유닛, 상기 A/V 헤드유닛에 접속된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동 단말기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고 필요에 따라 재생 또는 복사를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D/DVD 드라이버(152)내의 파일 리스트(502), A/V 헤드유닛(14)의 USB 포트에 접속된 USB 메모리(153)내의 파일 리스트(504), 및 이동 단말기(10)내의 파일 리스트(506)가 이동 단말기 액정 화면에 일괄 표시된다.
다음으로, 재생(508) 또는 복사(510) 메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서의 이동에 의하여 하나의 파일을 선택한 후, 재생(508)을 선택하면 명령어 제공부(118)은 단계(S210)에서 다운로드되어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에 저장된 기능/명령어를 참조하여 헤드 유닛(14)에 맞는 구동 명령을 헤드유닛 제어부(106)로 공급하고 헤드유닛 제어부(106)는 공급된 구동 명령을 듀플렉서(104)와 안테나(103)을 통해 A/V 헤드유닛(14)로 전송한다. 헤드 유닛(14)은 안테나(143)와 듀플렉서(144)를 통해 구동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구동 명령을 데크 제어부(146)로 보내어 해당 드라이버(152, 154, 156)를 구동하여 선택된 파일을 재생한다. 또한, 복사(510)를 선택한 경우에는 파일시스템 처리부(110, 150)에 의하여 소오스 드라이버에서 데스티네이션 드라이버로 파일을 복사한다.
한편, USB 호환의 접속포트(122)를 통하여 USB를 지원하는 노트북, 이동 단말기, 및 컴퓨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124)로부터 메모리(112)에 음악 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LCD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를 포함하여 설명되어 지지 않은 구성 요소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것과 동일하게 기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의 A/V 헤드유닛(14)는 이동단말기(10)가 삽입되면 충전기 삽입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72)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충전부(170), 시동 신호에 의하여 리셋되며 시동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74), 및 카운트 신호를 참조하여 시동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충전기 삽입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제어 부(176)를 구비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시동을 건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를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삽입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충전기 삽입 신호는 개문 신호이고, 상기 시동 제어부(176)는 개문 신호를 참조하여 문이 열렸는지를 체크하여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은 이동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차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A/V 헤드유닛과 A/V 헤드유닛의 USB 포트에 장착된 USB 장치내의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목록을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하며 동영상 재생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은 액정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자동차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A/V 헤드유닛과 A/V 헤드유닛의 USB 포트에 장착된 USB 장치내의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의 목록을 이동 단말기의 액정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하며 동영상 재생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6)

  1.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02), 안테나(103), 듀플렉서(104), 메모리(112), LCD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및 접속 포트(122)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차량 시동과 A/V 헤드유닛(14)을 제어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듀플렉서(104) 또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하여 A/V 헤드유닛 구동을 위한 구동 명령을 공급하는 헤드유닛 제어부(106);
    제어되는 A/V 헤드유닛에 해당하는 구동 명령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
    무선 접속과 데이터 링크 및 파일 시스템 구동으로 타 접속기기에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고 표시하며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처리부(110);
    A/V 헤드유닛 조작시에 헤드유닛 명령어 저장부(108)에 저장된 구동 명령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명령어 제공부(118); 및
    차량 본체부에 시동 명령을 공급하고 차량 본체의 센서부로부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LCD 디스플레이(114)에 표시하는 원격 시동/차량상태 모니터링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가 이루어지면 A/V 헤드유닛(14)은 듀플렉서(144)와 안테나(143)을 통해 메모리(140)내에 저장된 데크 고유 ID(141)를 전송하고 상기 헤드유닛 제어부(106)는 이를 수신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인지를 식별(S206)하여, 등록된 A/V 헤드유닛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에 접속(S208)하여 기능/명령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S210)하도록 제어하고, 등록된 헤드 유닛이 아닌 경우 데크 고유 ID를 ISP 서버(164)로 전송(S204)하고, 데크 고유 ID에 해당하는 연락 번호로 헤드 유닛(14)에의 접속이 시도되고 있음을 문자메시지로 발송하며, 발송되는 문자메시지에 데크 고유 ID와 이동 단말기(10)의 발신 번호를 포함시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110)와 A/V 헤드유닛의 파일 시스템 처리부(150)에는,
    무선 링크를 위한 장치 식별 및 접속, 무선링크 프레임으로 세그멘팅(segmenting)함으로써 실제적인 무선 전송을 처리하는 무선 링크 계층(402, 422);
    이웃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송단위로 분할, 링크 접속의 설정과 해제, 순서 제어, 에러 검출 및 복원, 및 흐름 제어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404, 424); 및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써 데이터를 읽고, 쓰고, 찾기 위한 준비의 규칙에 따 라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파일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해진 체계에 따라 파일의 브라우징 및 표시를 담당하는 OS 및 파일 시스템 구동 계층(406, 426)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인코딩됨으로써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V 헤드유닛(14)은,
    이동단말기(10)가 삽입되면 충전기 삽입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72)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충전부(170); 및
    시동 신호에 의하여 리셋되며 시동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74); 및
    카운트 신호를 참조하여 시동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충전기 삽입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제어부(1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삽입 신호는 개문 신호이고, 상기 시동 제어부(176)는 개문 신호를 참조하여 문이 열렸는지를 체크하여 시동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6. 재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 제어부(146)는 차량 본체측의 에어콘 제어부(190)에 에어콘 시동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 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KR1020040064084A 2004-08-14 2004-08-14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KR10063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84A KR100631052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84A KR100631052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63A true KR20060015363A (ko) 2006-02-17
KR100631052B1 KR100631052B1 (ko) 2006-10-02

Family

ID=3712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084A KR100631052B1 (ko) 2004-08-14 2004-08-14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0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58B1 (ko) * 2006-03-07 2008-01-09 이민혁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WO2013012300A3 (ko) * 2011-07-21 201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101503057B1 (ko) * 2008-01-02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미디어재생방법
KR101603554B1 (ko) * 2014-12-16 201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기종간 차량 연동 시스템 및 그의 연동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843643A (zh) * 2016-12-30 2017-06-1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处理方法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75B1 (ko) 2000-10-05 2003-05-16 엄상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 오디오 및 원격시동제어장치와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58B1 (ko) * 2006-03-07 2008-01-09 이민혁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101503057B1 (ko) * 2008-01-02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미디어재생방법
WO2013012300A3 (ko) * 2011-07-21 201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101603554B1 (ko) * 2014-12-16 201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기종간 차량 연동 시스템 및 그의 연동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843643A (zh) * 2016-12-30 2017-06-1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18120492A1 (zh) * 2016-12-30 2018-07-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处理方法、移动终端、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6843643B (zh) * 2016-12-30 2020-04-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处理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052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89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image files of background pictur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iles of background picture using the same
US8122162B2 (en) Method of optimized-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US5995592A (en) Portable telephone unit and indication adapter
CN1153418C (zh) 数据传送装置、数据再生方法、终端装置及数据传送装置的传送方法
US7356334B2 (e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for remote-controlling audio reproducing apparatus
US2006025840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536419A (zh) 对具有无线连接至显示器的媒体播放器的设备的远程控制
JP2002062859A (ja) 携帯型電話機
US818029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98475A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guiding user to invoke 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330979B1 (ko)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631052B1 (ko)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KR20020084236A (ko) 정보 통신 시스템
JP2008065774A (ja) 情報処理装置
EP2039014A1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al environment to be connected with a mobile phon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467164B1 (ko) 이동통신모듈을 제외한 단말기 본체를 교체할 수 있는외장교체식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102078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通信方法
JP2003153355A (ja) 音声認識遠隔制御装置
JP2002057751A (ja) 携帯型電話機
KR100769898B1 (ko) 직접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합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US20030210238A1 (en) Digital image display stan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use method of digital image display stand
JP2005192041A (ja) 電子機器、携帯端末連携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連携方法
JP2002057760A (ja) 携帯型電話機
JP2002058072A (ja) 携帯型電話機
KR100666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답신 메시지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