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035A -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035A
KR20060015035A KR1020040063846A KR20040063846A KR20060015035A KR 20060015035 A KR20060015035 A KR 20060015035A KR 1020040063846 A KR1020040063846 A KR 1020040063846A KR 20040063846 A KR20040063846 A KR 20040063846A KR 20060015035 A KR20060015035 A KR 2006001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mer
game
information
ga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6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5035A/ko
Publication of KR2006001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개의 게이머 단말기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게임 화면을 제공하는 3D MMORPG 게임과 같은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소정의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역학 정보를 관련된 하나 이상이 타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이 각각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 갱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은 게임 서버에서, 제1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역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강체, 역학, 물리엔진, 네트워크, 분산처리, 게임

Description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NEWING SCREEN USING MECHANICS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역학 계산의 결과가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서버의 내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갱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온라인 게임서버
501: 역학 정보 수신부
502: 역학 정보 전송부
503: 보정부
600: 화면 갱신 시스템
601: 역학 계산 수행부
602: 화면 갱신부
본 발명은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개의 게이머 단말기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게임 화면을 제공하는 3D MMORPG 게임과 같은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소정의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역학 정보를 관련된 하나 이상이 타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이 각각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 갱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2차원 그래픽 기반의 네트워크 게임을 넘어, 3차원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의 제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3차원 그래픽 기반의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의 화면 갱신이 필수적이다.
3차원 그래픽 기반의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에서는 게임을 구성하는 이미지 예를 들면, 건물, 나무, 산 등의 일반 3차원 이미지와 구, 실린더, 박스 등의 3차원의 강체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체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갱신하는 경우 일반 이미지의 생성 또는 갱신에 비해 계산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면, 다수의 게이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 게임을 하는 3D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에 있어서, 임의의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강체 이미지에 대한 갱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게이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다수의 게이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서, 종래의 게임 서버는 화면 갱신에 필요한 정보를 각 게이머 단말기로 제공하여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갱신이 수행되도록 했다.
그런데, 플레이어 캐릭터가 공을 던지는 경우와 같이, 물리 법칙에 따라 상기 공의 경로 또는 이동 속도를 결정해야 되는 경우, 종래기술에 따르면, 게임 서버는 각 게이머 단말기로 물리 법칙에 따라 역학 계산된 공의 경로 또는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게임 서버에서 접속되어 있는 매우 많은 게이머가 각각 발생시키는 경우 게임 서버에서 처리해야 되는 역학 계산의 양이 매우 방대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각 게이머에게 역학 계산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도 지연될 수 밖에 없다.
즉, 게임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게임 진행을 위한 다른 데이터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행하기 어려워져 플레이어 캐릭터의 동작에 대한 리액션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발생된 역학 정보를 동일 게임 맵에 접속되어 있는 타 게이머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여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이 각각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서버가 아닌 각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 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게임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켜, 게임 서버의 질적, 양적으로 확충하지 않고도 3D MMORPG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서버가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필요한 역학 정보만을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 신속하게 전송 중계함으로써, 게이머 단말기에서 갱신할 게임 화면 이미지를 생성하기까지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은, 게임 서버에서, 제1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역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게임 서버에서, 제1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역학 정보를 수신하는 역학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하는 역학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제1 역학 계산 수행부,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제1 화면 갱신부가 수행되고,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 을 수행하는 제2 역학 계산 수행부,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제2 화면 갱신부가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리**
1) 강체 오브젝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강체 오브젝트라는 용어는 게임 상에 위치하는 이미지 중 박스, 실린더, 구 등의 이미지로서 외력을 가해도 모양과 크기가 변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강체 역학을 따른다. 또한, 강체 오브젝트가 온라인 게임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이를 강체 이미지라고 한다.
2) 역학 정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역학 정보는 게이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소정의 오브젝트와 연관된 공격점, 힘의 크기, 힘의 방향 정보 등을 나타내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결과 정보에 따라 게임 화면 이미지가 갱신된다.
3) 배경 이미지에 포함되는 강체 오브젝트
본 명세서에서 강체 오브젝트 중에서 배경 이미지를 구성하는 강체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강체 오브젝트는 온라인 게임 상에서 배경 이미지 중의 하나인 동시에, 플레이어 캐릭터가 아이템처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이다. 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 상에서 배경 이미지에 포함되는 "돌"이 강체 오브젝트인 경우 플레이어 캐릭터는 상기 돌을 들어 올리거나, 옮기거나, 던지는 등 강체 역학에 따라 돌 이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갱신 시스템(100)은 게이머 단말기(125a)로부터 소정의 강체 이미지에 대한 갱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게이머 단말기(125a)의 캐릭터 플레이어가 위치한 게임 맵과 동일한 게임 맵에 위치한 캐릭터 플레이를 제어하는 게이머 단말기(125b)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화면 갱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게이머가 함께 게임을 진행하는 RPG 게임, 특히 광대역의 게임 영역에서 다수의 게이머가 온라인을 통해 동시적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를 구동하는 단말기(125a, 125b)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기반의 RPG 게임 상에서 본 발명의 화면 갱신 시스템(10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의 이미지 구현과 관련된 모든 이미지 구현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
또한, 화면 갱신 시스템(100)은 단말 수단(125a, 125b)의 내부 또는 외부에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머(120a, 120b)가 보유하는 소정의 단말 수단(125a, 125b)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강체 이미지를 갱신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게이머(120a, 120b)의 게이머 단말기(125a, 125b)와 통신망(130)으로 연결되며, 게이머(120a, 120b)에게 온라인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MMORPG와 관련된 게임 서비스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게임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한 게이머 단말기(125)를 이용하여 게이머(120a, 120b)가 온라인 게임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데이터 또는 게임 패치를 게이머 단말기(125a, 125b)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 관련 프로그램은 상기 전송된 게임 진행 데이터 또는 게임 패치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또한,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이러한 게임 환경에서 게이머(120a, 120b)에게 소정의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동작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게이머(120a, 120b)로 하여금 상기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독자적인 동작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격적인 게임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게이머(120a, 120b)는 통신망(130)을 통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10)와 연결되며, 통신망(130)과의 접속을 위한 단말 수단(125a, 125b)를 보유할 수 있다. 게이머(120a, 120b))는 게임 진행을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게이머의 동작 수행에 따라 강체 이미지에 대한 갱신 요청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수단(125a, 125b)는 상기 강체 이미지에 대한 역학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10)로 전송한다.
단말 수단(125a, 125b)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PDA,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유무선 통신망에서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역학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말 수단을 "제1 게이머 단말기",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에서 발생된 역학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말 수단을 "제2 게이머 단말기"라고 칭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별한 것에 불과하며, 하나의 단말 수단은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제2 게이머 단말기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하다. 도 1과 연관하여, 이하에서는 단말 수단(125a)이 제1 게이머 단말기로서 기능하고, 단말 수단(125b)가 제2 게이머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화면 갱신 과정은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제2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하여 각각 설치된 화면 갱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계(201)에서는 게임 서버(110)는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로부터 소정의 역학 정보를 수신한다.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로부터 소정의 강체 이미지에 대한 갱신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상기 강체 이미지와 연관한 역학 정보를 게임 서버(110)으로 전송한다. 상기 강체 이미지는 강체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로서, 강체 오브젝트는 게임 상에 위치하는 이미지 중 박스, 실린더, 구 등의 이미지로서 외력을 가해도 모양과 크기가 변하지 않는 오브젝 트를 나타내며, 강체 역학을 따르는 오브젝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역학 정보는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소정의 오브젝트와 연관된 공격점, 힘의 크기, 힘의 방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강체 이미지에 대한 갱신 요청은 캐릭터 플레이어들간의 전투 또는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머(120a)로부터 강체 오브젝트의 하나인 '구' 모양의 무기를 던져 다른 캐릭터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상기 '구' 모양의 무기에 작용하는 공격점, 힘의 크기, 힘의 방향에 대한 정보 등을 게임 서버(110)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202)에서는 게임 서버(110)는 제1 게이머 단말기(125a)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125b 등)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한다.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제2 게이머 단말기란,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게이머의 캐릭터 플레이어가 위치한 게임 맵과 동일한 게임 맵에 위치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보유한 제2 게이머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와 제2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는 동일한 게임 맵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어 캐릭터 및 상기 제2 플레이어 캐릭터는 동일한 게임 맵 상에서 전투를 진행 중이거나 또는 동일한 게임 맵 상에서 이동 중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03)에서는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10)로 역학 정보를 전송하기 전 , 전송한 후 또는 전송과 병렬적으로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한다.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 모양의 무기를 어떻게 갱신하여 디스플레이 할지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204)에서는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제1 게이머 단말기(125a)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갱신 과정은, 해당하는 이미지 리소스를 로딩한 후,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딩한 이미지 리소스를 렌더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렌더링 작업 수행 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렌더링한 이미지 리소스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게이머 단말기(125b) 역시 게임 서버(110)를 통해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이를 위해 단계(205)에서는 제2 게이머 단말기(125b)는 게임 서버(110)를 통해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로부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한다.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에서의 역학 계산 수행은 제1 게이머 단말기(125a)에서의 역학 계산 수행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06)에서는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 (110)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서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리소스 과정 및 렌더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은 먼저,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의 저장 공간에 기록된 이미지 리소스 중에서 갱신에 필요한 이미지 리소스를 식별하여 버퍼로 로딩한다(단계(301)). 제2 게이머 단말기(125b)는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딩한 이미지 리소스를 렌더링한다(단계(302)). 예를 들면, 제2 게이머 단말기(125b)는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구' 모양의 무기가 플레이어 캐릭터에게 어떠한 경로로 또는 어떠한 속도로 날아가도록 이미지 리소스를 렌더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 예를 들면 30[frame/s]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갱신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렌더링 작업 수행 전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렌더링한 이미지 리소스로 대체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이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리소스는 화면 갱신을 위한 렌더링(Rendering)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플레이어 캐릭터 들의 동적 캐릭터 및 산, 강 등 게임의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정적 캐릭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게임 서버(110)는 제1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가 '공' 모양의 무기를 던지는 공격 명령을 입력하는 등, 강체 역학에 따른 화면 갱신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그 화면 갱신 사유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고 갱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각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는 대신, 제1 게이머의 제1 게이머 단말기로 수신한 역학 정보를 각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또한,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제2 게이머 단말기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역학 계산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서의 화면 갱신 방법은 게이머 단말기, 즉 단말 수단에서 역학 계산, 게임 화면을 갱신하기 위한 이미지 생성 등의 역할을 각각 담당하기 때문에 분산 처리의 성격을 갖게 된다.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는 집중 처리 시스템(예를 들면, 대부분의 프로세스를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게임 서버와 그 처리 결과를 제공 받는 다수의 게임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형태를 보완하여, 서버뿐만 아니라 각 단말 수단도 소정의 작업을 처리한 후 서버 또는 타 단말 수단과 그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계산 효율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서버 측 장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게이머 각각의 단말 수단에서 강체 이미지와 연관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경우 게임 서버에서 갱신될 게임 화면 이미지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화면 이미지를 다수의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할 필요가 없어 데이터 전송량이 감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서버(110)로부터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게이머들에게 서로 대응하는 게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온라인 게임 상에서 제1 게이머 단말기와 동일 맵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 각각 수행된 역학 계산의 결과를 보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게이머 단말기(125a) 및 제2 게이머 단말기(125b)에서의 역학 계산의 수행이 완료된 후, 제1 게이머 단말기(125a) 또는 제2 게이머 단말기(125b)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는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10)로 전송한다(단계(401)). 예를 들면, 게임 서버(110)는 역학 정보를 발생시킨 제1 게이머 단말기(125a)로부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수신한 역학 계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게이머 단말기(125a) 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가 일치 하도록 보정한다(단계(402)).
상기 역학 계산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갱신은 모두 각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 수행되므로, 게이머 단말기의 사양 및 환경에 따라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동일한 게임 맵에 접속해 있는 게이머 단말기 중 임의의 또는 선정된 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역학 계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게이머 단말기는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가 일치하도록 보정하여 모든 게이머 단말기 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동일하게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정 과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게임 서버(110)는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강체 역학에 의해 화면 갱신 사유가 발생될 때마다, 해당 역학 정보를 각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 중계하고, 일정한 기간 별로 접속되어 있는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가 서로 일치하도록 일괄적으로 보정(갱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서버(110)로 통지된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는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역학 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3의 게이머 단말기가 온라인 게임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3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생성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즉, 상기 제3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온라인 게임 서버(110)가 유지하고 있는 역학 계산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이미지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도 강체 오브젝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경 이미지 상의 "돌"이 강체 오브젝트인 경우, 게이머는 제1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강체 오브젝트를 강체 역학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머는 상기 돌을 소정의 힘과 방향으로 던지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1 게이머 단말기는 상기 명령에 따른 역학 정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역학 정보는 상기 돌이라는 강체 오브젝트에 가해진 힘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돌이라는 강체 오브젝트가 타 플레이어 캐릭터 또는 '성벽'과 같은 또 다른 강체 오브젝트가 충돌한 경우 상기 타 플레이어 캐릭터 또는 상기 '성벽'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어 캐릭터는 온라인 게임 상에서 소정의 아이템 획득 과정을 통해 획득한 아이템을 이용하지 않고도, 배경 이미지 중 강체 오브젝트를 아이템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온라인 게임을 진행 방식이 다양해지므로 온라인 게임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서버(110, 500)의 내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 게임 서버(110, 500)는 역학 정보 수신부(501), 역학 정보 전송부(502)를 포함한다.
역학 정보 수신부(501)는 제1 게이머 단말기의 게임 서버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의 역학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역학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소정의 오브젝트와 연관된 공격점, 힘의 크기, 힘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역학 정보 전송부(502)는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플레이어 캐릭터는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플레이어 캐릭터와 동일한 게임 맵에 위치한 캐릭터 일 수 있다. 상기 역학 정보를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갱신을 위한 작업을 수행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 서버(110, 500)은 보정부(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503)는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역학 계산 결과 정보가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게임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수신한 역학 계산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갱신 시스템(100, 6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갱신 시스템(100, 600)은 역학 계산 수행부(601), 화면 갱신부(602), 게임 서버 통신부(603)를 포함한다.
역학 계산 수행부(601)는 게이머의 명령에 의해 발생된(제1 게이머 단말기의 경우) 또는 수신한(제2 게이머 단말기의 경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학 계산의 수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역학 계산 결과의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10,500)로 통지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10,500)가 복수의 게이머 단말기에서의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일치하도록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갱신부(602)는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100, 600)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제1 게이머 단말기 및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화면 갱신부(602)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 갱신 과정은, 제2 게이머 단말기의 저장 공간에 기록된 이미지 리소스를 로딩하고, 갱신할 이미지 리소스를 버퍼에 로딩한 후,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 용하여 상기 로딩한 이미지 리소스를 렌더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게임 서버 통신부(603)는 게임 서버(110)와 역학 정보,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갱신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 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서버가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발생된 역학 정보를 동일 게임 맵에 접속되어 있는 타 게이머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여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이 각각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서버가 아닌 각각의 게이머 단말기에서 역학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 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게임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켜, 게임 서버의 질적, 양적으로 확충하지 않고도 3D MMORPG 서비스와 같이 매우 많은 게이머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되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라인 게임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서버가 각 게이머 단말기에서 필요한 역학 정보만을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 신속하게 전송 중계함으로써, 게이머 단말기에서 갱신할 게임 화면 이미지를 생성하기까지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게임 서버는 상기 역학 정보를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기 전에 별도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게이머 단말기는 필요한 역학 정보를 빠르게 제공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게임 화면 이미지를 갱신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역시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

  1.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개의 게이머 단말기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1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강체 오브젝트에 대한 역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게이머 단말기로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
    가 수행되고,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에서는,
    상기 수신한 역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학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역학 계산의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과 관련하여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
    가 수행되고,
    상기 강체 오브젝트는 강체 역학에 따라 동작하는 오브젝트이고, 상기 제1 게이머 단말기의 게이머의 캐릭터 플레이어가 위치한 게임 맵과, 상기 제2 게이머 단말기의 게이머의 캐릭터 플레이어가 위치한 게임 맵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갱신 방법.
KR1020040063846A 2004-08-13 2004-08-13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5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846A KR20060015035A (ko) 2004-08-13 2004-08-13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846A KR20060015035A (ko) 2004-08-13 2004-08-13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825A Division KR100510339B1 (ko) 2004-08-13 2004-08-13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035A true KR20060015035A (ko) 2006-02-16

Family

ID=3712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846A KR20060015035A (ko) 2004-08-13 2004-08-13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50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678B1 (ko) 동적 컨텐트를 합성 환경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분산 네트워크 아키텍처
JP4807517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110353B2 (en) Distributed training for machine learning of AI controlled virtual entities on video game clients
US20070054716A1 (en) Network game system, client device and server apparatus
US20090275414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o perform transactions in association with participants interacting in a synthetic environment
US8126994B2 (en) Simulation techniques in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US10933327B2 (en) Network-based video game editing and modification distribution system
US11110352B2 (en) Object mov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752426B2 (en) Peer-to-peer multiplayer cloud gaming architecture
US95455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newing screen using mechanics information
JP6286152B2 (ja) プログラム、端末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20060015035A (ko) 역학 정보를 이용한 화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21162A1 (en) Locally predicting state using a componentized entity simulation
US11426664B1 (en) Dynamic destruction of game objects
US20240108984A1 (en) Game asset optimization over network at optimizer server
Pedersen et al. OpenGL| D-an alternative approach to multi-user architecture
JP2023042310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接触判定方法
JP202402996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3697321B2 (ja) 仮想物体の運動生成方法
CN117695623A (zh) 虚拟世界中物理场景资源的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00025953A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