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917A -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917A
KR20060011917A KR1020060005958A KR20060005958A KR20060011917A KR 20060011917 A KR20060011917 A KR 20060011917A KR 1020060005958 A KR1020060005958 A KR 1020060005958A KR 20060005958 A KR20060005958 A KR 20060005958A KR 20060011917 A KR20060011917 A KR 2006001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rcoal kiln
charcoal
circulation pipe
refractory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열
Original Assignee
이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임열 filed Critical 이임열
Priority to KR102006000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917A/ko
Publication of KR2006001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Abstract

본 발명은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돔 형상의 내화벽돌이 축조되고 외측에는 상기 내화벽돌을 커버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흙벽이 축조되면서 그 전방으로는 출입구가 형성된 숯가마; 및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숯가마의 바닥으로부터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로 순환시켜 가열하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을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전이 형성된 보일러;로 이루어짐으로서,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숯가마의 뜨거운 열기를 이용하여 물을 데운 후 이를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숯가마 폐열회수장치{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CHARCOOL KILN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의 내화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숯가마 120: 내화벽돌
122: 설치홈 140: 흙벽
160: 출입구
200: 보일러 220: 물탱크
240: 펌프 260: 순환관
280: 수도전
본 발명은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숯가마의 뜨거운 열기를 이용하여 물을 데운 후 이를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가마는 나무를 태워 숯을 구워내기 위한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서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열은 대략 1,000~1,500 도씨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숯이 완전히 구워진 후에도 밀폐된 숯가마 내부의 잠열은 장시간 유지되는 특성이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 숯가마를 이용하여 단지 숯을 굽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뿐,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의 개선이 실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온의 연소열은 실질적으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숯을 굽기 위한 숯가마와 그 바닥을 경유하는 순환관을 통해 가열된 물을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순환관이 숯가마의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에 비틀어짐 없이 정확하고 안정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돔 형상의 내화벽돌이 축조되 고 외측에는 상기 내화벽돌을 커버 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흙벽이 축조되면서 그 전방으로는 출입구가 형성된 숯가마; 및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숯가마의 바닥으로부터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로 순환시켜 가열하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을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전이 형성된 보일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탱크로부터 연결되어 숯가마의 바닥에 설치되는 순환관은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숯가마의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에 설치되는 순환관은 출입구를 제외한 외면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출입구 상측의 구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골뱅이 형태로 형성되어 구면의 중심으로부터 다시 물탱크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숯가마의 내화벽돌에는 상기 순환관을 설치시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의 내화벽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숯가마 폐열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숯가마(100)와 상기 숯가마의 열을 이용한 물을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20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숯가마(100)는 내부에 많은 수의 나무를 태울 수 있도록 돔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돔 형태의 내부에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화벽돌(120)이 축조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흙벽(140)이 축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돔 형태로 형성된 숯가마(100)의 일측에는 사람이 출입하면서 나무를 쌓거나 생산된 숯을 꺼내기 위한 출입구(16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출입구(160)는 나무를 연소시켜 숯을 생산할 경우 별도의 내화벽돌과 진흙 등의 보조 재료를 이용하여 완전히 밀폐 차단한다.
이때, 상기 숯가마(100)의 내화벽돌(120)에는 상기 순환관(260)을 설치할 경우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설치홈(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설치홈(122)은 내화벽돌(120)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화벽돌(120)을 축조할 경우 순환관(260)이 설치되는 위치를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축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화벽돌(120)에 형성되는 설치홈(122)은 횡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일러(200)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20)와 상기 물탱크(220)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240)와 상기 펌프(24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숯 가마(100)의 바닥으로부터 내화벽돌(120)과 흙벽(140) 사이로 순환시켜 가열하기 위한 순환관(260)과 상기 순환관(260)을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전(280)으로 구성된다.
이에, 최초 물탱크(220)로부터 연결된 상기 순환관(260)은 숯가마(100)의 바닥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면서 숯가마(100)의 내화벽돌(120)과 흙벽(140) 사이에는 출입구(160)를 제외한 외면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출입구(160) 상측의 구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골뱅이 형태로 감겨져 설치되면서 구면의 중심으로부터 다시 물탱크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순환관(260)의 구성을 통해 물탱크(220) 내부의 물이 숯가마(100)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순환되면서 숯가마(100) 내부의 뜨거운 연소열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숯가마 폐열회수장치에 의하면 숯가마의 바닥은 물론이고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순환관을 통해 보일러의 물을 가열 후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 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숯가마의 내화벽돌에 설치홈이 형성됨으로서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에 순환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3)

  1. 내측에 돔 형상의 내화벽돌이 축조되고 외측에는 상기 내화벽돌을 커버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흙벽이 축조되면서 그 전방으로는 출입구가 형성된 숯가마; 및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숯가마의 바닥으로부터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로 순환시켜 가열하기 위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을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전이 형성된 보일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부터 연결되어 숯가마의 바닥에 설치되는 순환관은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숯가마의 내화벽돌과 흙벽 사이에 설치되는 순환관은 출입구를 제외한 외면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출입구 상측의 구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골뱅이 형태로 형성되어 구면의 중심으로부터 다시 물탱크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숯가마의 내화벽돌에는 상기 순환관을 설치시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KR1020060005958A 2006-01-19 2006-01-19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KR20060011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958A KR20060011917A (ko) 2006-01-19 2006-01-19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958A KR20060011917A (ko) 2006-01-19 2006-01-19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917A true KR20060011917A (ko) 2006-02-03

Family

ID=3712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958A KR20060011917A (ko) 2006-01-19 2006-01-19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9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36B1 (ko) * 2008-03-28 2008-11-17 김성필 숯가마의 폐열 재활용 설비
KR100911484B1 (ko) * 2006-10-09 2009-08-11 김미경 찜질방용 가열 시스템
CN104390346A (zh) * 2014-10-21 2015-03-04 安徽贵宏节能锅炉有限公司 一种具有进水吸热与储水功能的锅炉
KR20160028575A (ko) * 2014-09-03 2016-03-14 (주)보은 폐열회수장치
KR20160041131A (ko) * 2014-10-06 2016-04-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열회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84B1 (ko) * 2006-10-09 2009-08-11 김미경 찜질방용 가열 시스템
KR100868936B1 (ko) * 2008-03-28 2008-11-17 김성필 숯가마의 폐열 재활용 설비
KR20160028575A (ko) * 2014-09-03 2016-03-14 (주)보은 폐열회수장치
KR20160041131A (ko) * 2014-10-06 2016-04-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열회수장치
CN104390346A (zh) * 2014-10-21 2015-03-04 安徽贵宏节能锅炉有限公司 一种具有进水吸热与储水功能的锅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1917A (ko) 숯가마 폐열회수장치
KR102198606B1 (ko) 온돌 시스템
KR100808783B1 (ko) 화목보일러
RU2310135C2 (ru) Парообразователь для бани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US4280450A (en) Liquid heating apparatus
KR100808784B1 (ko) 화목보일러
KR200421783Y1 (ko) 열매체 보일러
JP2003320379A (ja) ドレン中和槽
KR100808778B1 (ko) 화목보일러
KR100808780B1 (ko) 화목보일러
KR20160004071U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 패널 구조체
KR20060015344A (ko) 화목보일러
KR100808782B1 (ko) 화목보일러
KR200376703Y1 (ko) 목재용 보일러
KR100808779B1 (ko) 화목보일러
KR20110002137A (ko) 진공 보온 장치
KR100808785B1 (ko) 화목보일러
KR100653894B1 (ko) 난방용 보일러
KR100710798B1 (ko) 공동주택 벽면 결로방지용 히팅타일패널
KR20090025426A (ko) 3중 구들 난방구조
KR200213535Y1 (ko) 보일러용 가열수조
CN204629554U (zh) 带有空气夹层的焚烧炉炉体结构
RU2540376C2 (ru) 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FI72265C (fi) Bastuu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