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508A - Pallet for vertical loading - Google Patents

Pallet for vertical lo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508A
KR20060011508A KR1020040060386A KR20040060386A KR20060011508A KR 20060011508 A KR20060011508 A KR 20060011508A KR 1020040060386 A KR1020040060386 A KR 1020040060386A KR 20040060386 A KR20040060386 A KR 20040060386A KR 20060011508 A KR20060011508 A KR 2006001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ub
horizontal bar
sub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0394B1 (en
Inventor
이철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94B1/en
Publication of KR2006001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68Overall construction of the non-integral separating spa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32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도어 패널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를 복수개 수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 다수개의 수직바들과 수평바들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평바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수평바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평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래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지만 상기 서브 어셈블리 적재시 래치의 회전에 의해서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어셈블리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서브 어셈블리의 수직 적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ly stacked pallet capable of vertically load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such as wide and thin door panels.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and facing each other among the horizontal bars. Beam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having latche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The latch does not normally protrude into the body from the horizontal bar, but when the subassembly is loaded, the latch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support the one end of the subassembly so that vertical loading of the subassemb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do it.

Description

수직 적재형 팔레트{Pallet for vertical loading}Vertical pallet stacking {Pallet for vertical loading}

도 1은 종래의 수직 적재형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rtically stacked pallet;

도 2는 도 1의 걸림바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bar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래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atch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show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몸체 10 : 수평바1 body 10 horizontal bar

20 : 수직바 30 : 서브 어셈블리20: vertical bar 30: subassembly

50 : 래치 51 : 회전축50: latch 51: rotation axis

52 : 받침부 53 : 탄성부재52: base 53: elastic member

54 : 걸림돌기 55 : 연장부재54: locking projection 55: extension member

56 : 고정부재 520 : 직선면56: fixing member 520: straight surface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산업에서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패널 등의 서브 어셈블리를 조립라인으로 이동시킬 경우 서브 어셈블리를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팔레트(pallet)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를 수직으로 적재할 경우 자동적으로 적재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used to load and transport a subassembly when moving a subassembly such as a wide and thin panel to an assembly line in the automobile indust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that can automatically regulate a loading position when vertically loading a subassembly such as a panel.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있어서, 도어 패널 등 다수의 서브 어셈블리는 먼저 조립치구에서 조립된 후, 자동차 조립라인으로 운반되어 조립된다. 상기 서브 어셈블리를 조립라인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이를 적재할 수 있는 팔레트가 필요하다. In general, in the automobile assembly process,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such as a door panel are first assembled in an assembly jig, and then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an automobile assembly line. In order to transport the sub-assembly to the assembly line, a pallet for loading it is required.

도 1은 종래의 수직 적재형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걸림바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수직 적재형 팔레트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에 구름수단(101)을 구비하며, 내측에 서브 어셈블리(130)가 적재되는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의 몸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0)는 다수개의 수평바(110: 110a, 110b, 110c,...; 110' : 110a', 110b', 110c',...)들과 수직바(120: 120a, 120b, 120c, ...)들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두께가 얇은 패널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130)를 수직하게 다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직하게 세워진 서브 어셈블리(130)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걸림바(140)들이 서로 마주보는 수평바(110, 110')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rtically stacked palle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latch bar of FIG.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vertically stacked pallet includes a rolling means 101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box-shaped body 100 having a space in which a sub-assembly 130 is loaded. The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10 (110a, 110b, 110c, ...; 110 ': 110a', 110b ', 110c', ...) and vertical bars (120: 120a, 120b, 120c, ...). The body 100 may be installed vertically a plurality of sub-assembly 130, such as a thin panel, horizontally facing the engaging bars 140 for temporarily fixing the vertical sub-assembly (130) A plurality of bars 110 and 110 ′ are formed.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수평바(120)는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바(121)와, 상기 고정바(121) 주위를 감싸며 고정바(12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등간격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바(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122)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걸림바(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바(140)는 상기 회전바(122)의 회전에 따라서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orizontal bars 120 wrap around the fixing bars 121 and the fixing bars 121 positioned inward,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bars 121.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tation bar 122 is installed, the rotation bar 122 is coupled to the engaging bar 140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locking bar 14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122.

상기 걸림바(14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두개의 막대(141a, 14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바(140)가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 하나의 회전바(122')에 설치된 걸림바(140')의 일측 막대(141a')와 이웃하는 회전바(122")에 설치된 걸림바(140")의 일측 막대(141b")와의 사이의 공간에 서브 어셈블리(130)를 끼워 수직한 상태로 유지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locking bar 140 is composed of two rods 141a and 141b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ocking bar 140 is located inside the body 100. Between one bar 141a 'of the hanging bar 140' installed in one rotating bar 122 'and one bar 141b "of the hanging bar 140" provided in the neighboring rotating bar 122 ". The subassembly 1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kept vertical.

상술한 종래의 팔레트는 서브 어셈블리(130)를 적재할 경우, 상기 걸림바(140)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서브 어셈블리(130)를 로봇 등의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적재하더라도 작업자가 서브 어셈블리(130)가 적재될 때마다 수동으로 걸림바(140)를 몸체(10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야 하며, 또한 적재된 서브 어셈블리(130)는 다시 몸체(100)로부터 들어낼 경우에도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걸림바(140)를 회전시켜 걸림바(140)를 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서브 어셈블리(130)를 적재하는 공정 및 들어내는 공정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전체적인 공정의 자동화를 방해하게 되며, 작업능률이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pallet described above, when the subassembly 130 is loaded, the locking bar 140 is not automatically rotated, so that the subassembly 130 is automatically loaded using an automated machine such as a robot. Each time the sub assembly 130 is loaded, the operator must manually rotate the catching bar 140 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the loaded sub assembly 130 may be lifted from the body 100 again. The worker rotates the catching bar 140 one by one to rotate the catching bar 140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erefore, in the process of loading and lifting the sub-assembly 130, a manual work is required by an operator, which hinders the automation of the entire process and ha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어셈블리를 팔레트에 적재할 때 서브 어셈블리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으며, 서브 어셈블리는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위치로 복원되는 래치를 구비한 수직 적재형 팔레트를 제공하여 적재 및 제거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sub-assembly when loading the sub-assembly on the pallet, the sub-assembly vertical with a latch that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removed The aim is to provide a stackable pallet to automate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도어 패널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를 복수개 수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에 있어서 : 다수개의 수직바들과 수평바들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평바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수평바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평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래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지만 상기 서브 어셈블리 적재시 래치의 회전에 의해서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어셈블리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서브 어셈블리의 수직 적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ly stacked pallet capable of vertically load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such as a wide and thin door panel: a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A plurality of latch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s facing each other, the latches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s; The latch does not normally protrude into the body from the horizontal bar, but when the subassembly is loaded, the latch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support the one end of the subassembly so that vertical loading of the subassemb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do 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래치는 래치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받침부가 서브 어셈블리를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부와 반대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서브 어셈블리 적재 위치에서 상기 수평바와 맞닿게 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적재된 서브 어셈블리가 제거될 경우 래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일단은 래치와 연결되며 타단은 수평바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서 서브 어셈블리의 적재 위치를 규제하 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원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excessive rotation of the latch so that the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ub-assembly in a certain position extending downwards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support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bar in the sub-assembly loading position And the latch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a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to return the latch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loaded sub assembly is removed. Can be regulated and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래치들은 하나의 래치가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에 의해서 이웃하는 래치가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서브 어셈블리의 적재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where the neighboring latches may be press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when one latch is rotated, there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loading process of the subassemb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래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atch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action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는 종래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바(10: 10a, 10b, 10c,...; 10':10a', 10b', 10c',...)들과 수직바(20: 20a, 20b, ...)들로 구성되며, 내측에 서브 어셈블리들(30)이 수직하게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의 하부에는 구름수단(40)을 구비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0: 10a, 10b, 10c, ...; 10 ': 10a', 10b ', 10c', ... ) And a vertical bar (20: 20a, 20b, ...), and has a body (1) having a space in which the sub-assemblies 30 are vertically mounte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 is provided with a rolling means 40 to facilitate transport.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는 상기 몸체(1)의 수평바들 중 중간 부위에 위치하는 수평바(10)와 이와 마주보는 측에 있는 수평바(10')의 상부에 래치들(50: 50a, 50b, 50c,...; 50': 50a', 50b', 50c',...)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래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래치에 대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 한다.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latches 50: 50a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bar 10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bars of the body 1 and the horizontal bar 10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 50b, 50c, ...; 50 ': 50a', 50b ', 50c', ...) are provid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Since each latch has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for each latch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0) 각각은 상기 수평바(10)와 회전축(51)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51)은 수평바(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래치(50)는 일측에 평상시에는 수평바(10)로부터 돌출되지 않지만 서브 어셈블리(30)를 적재하여 지지하는 경우에는 수평바(10)로부터 몸체(10) 내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받침부(52)는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되었을 경우 서브 어셈블리(30)가 접촉하는 직선면(5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치(50)는 평상시에는 상기 직선면(520)을 포함하는 받침부(52)가 수평바(10)로부터 돌출되지 않지만(도 5의 래치 50c 및 50c' 참조),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될 경우 상기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되어 상기 래치의 직선면(520)에 접하게 되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직선면(520)이 수평바(10)의 측면과 수직한 상태로 된다(도 5의 래치 50a 및 50a' 참조).As shown in FIGS. 4 and 5, each of the latches 5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10 and the rotating shaft 51, and the rotating shaft 51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ar 10. Is installed. In addition, each latch 50 does not normally protrude from the horizontal bar 10 on one side, but in the case of supporting the subassembly 30 by loading the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bar 10 into the body 10. 52 is provided. The supporting part 52 has a straight surface 520 to which the subassembly 30 contacts when the subassembly 30 is loaded. In the latch 50, the supporting part 52 including the straight surface 520 does not normally protrude from the horizontal bar 10 (see latches 50c and 50c ′ of FIG. 5), but the subassembly 30 When loaded, the sub-assembly 30 is loaded to contact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latch and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51 so that the straight surface 520 is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horizontal bar 10. (See latches 50a and 50a 'in Fig. 5).

또한 상기 래치(50)는 상기 수평바(10)와 탄성부재(5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3)는 수평바(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래치(50)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5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55)와 결합되며, 타단은 수평바(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고정부재(56)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50)가 회전하게 될 경우, 회전축(5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재(55)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53)가 신장하게 된다. 이후,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되어 상기 받침부(52)의 직선면(520)이 수평바(10)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53)는 최대로 신장되어 탄성력을 축적하며, 이후 상기 서브 어셈블리(30)를 들어내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53)가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래치(50)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In addition, the latch 50 is connected by the horizontal bar 10 and the elastic member (53). 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53 is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bar 10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extension member 5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otary shaft 51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atch 5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5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10). Therefore, when the latch 50 is rotated, the rotating shaft 51 is rotated, thereby the extension member 55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53 is extended. Subsequently, the sub-assembly 30 is load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53 is stretched to the maximum in a position where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support part 52 maintains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ar 10. When the sub assembly 30 is lifted off and removed, the elastic member 53 rotates the latch 50 by the accumulated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래치(50)는 상기 받침부(52)와는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측에 하부로 연장되는 걸림돌기(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돌기(54)는 상기 래치(50)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래치(50)가 회전하여 상기 받침부(52)의 직선면(520)이 수평바(10)에 대해서 수직한 위치까지만 회전하게 하며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54)는 래치(50)의 하부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며, 상기 받침부(52)의 직선면(520)이 수평바(10)에 대해서 수직한 위치에 있을 경우 수평바(10)와 접촉하여 걸려지는 위치에 설치된다(도 5의 래치 50a 및 50a' 참조).In addition, the latch 50 is provided with a catching protrusion 54 extending downwardly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52 about the rotation shaft 51. The locking protrusion 54 is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50, and the latch 50 rotates so that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support 52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ar 10. It will rotate and prevent further rotation. The locking protrusion 54 has a rod shape extending downward of the latch 50, and the horizontal bar 10 when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base 52 is in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ar 10. )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it is caught (see latches 50a and 50a 'in FIG. 5).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50)들의 간격은 하나의 래치(50)가 회전할 경우, 예를 들어 도 5의 50a의 래치가 회전할 경우 받침부(52)의 반대측 부분이 이웃하는 래치(51b)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브 어셈블리(30)를 래치(50a)에 적재할 경우 이웃하는 래치(51b)가 회전하여 받침부(52)가 어느 정도 몸체(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여(도 5의 래치 50b 및 50b' 참조), 이후 적재되는 다음 서브 어셈블리(30)가 상기 돌출된 받침부(5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를 행할 필요성을 없애 적재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아울러 최초로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되는 래치인 도 5의 최내측에 위치한 래치(50a, 50a')는 항상 몸체(1) 내측으로 받침부(52)가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도 6a의 래치 50a 참조), 최초 서브 어셈블리(30)의 적재를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between the latches 50 is opposite to the support part 52 when one latch 50 rotates, for example, when the latch of 50a of FIG. 5 rotat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s have an interval capable of pressing and rotating the neighboring latches 51b. This allows the neighboring latch 51b to rotate when the subassembly 30 is loaded into the latch 50a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52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body 1 to some extent (latch 50b and 50b '), by which the next subassembly 30 to be loaded later can be easily caught by the protruding support 52,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do this manually, thereby automating the loading process. In addition, the latches 50a and 50a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FIG. 5, which are the latches in which the subassembly 30 is first loaded, are always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portion 52 protrudes to some extent inside the body 1 ( Latch 50a of FIG. 6A), to facilitate loading of the original subassembly 30.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최내측에 위치한 래치(50a)는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52)의 직선면(520)이 수평바(10)와 예각을 이루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부(52)가 몸체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서브 어셈블리(30)를 도 6a의 상부 방향으로 밀어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래치(50b, 50c 등)의 받침부(52)는 수평바(10)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브 어셈블리(30)를 도 6a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몸체의 내측에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first, the innermost latch 50a is a position where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support part 52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bar 10 when the sub assembly 30 is not loaded. Is in. In this state, since the support part 52 slightly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the subassembly 30 can be pushed and loa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FIG. 6A.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portion 52 of the other latches 50b, 50c, etc.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rizontal bar 10, a space for moving the subassembly 30 in the upper direction of FIG. 6A is secured inside the body. can do.

이후 로봇 등의 자동화 기계를 이용하여 서브 어셈블리(30)를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방향으로 밀어 적재하게 되면, 상기 서브 어셈블리(30)가 래치(50a)의 받침부(52)에서 맞닿게 되고, 상기 래치(50a)의 받침부(52)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52)가 회전하게 되고 받침부(52)의 직선면(520)이 서브 어셈블리(30)와 평행한 상태, 즉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선면(520)과 수평바(10)가 수직한 상태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53)는 신장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54)가 수평바(10)와 접하게 되어 래치(52a)가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서 서브 어셈블리(30)의 적재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ubassembly 30 is pushed upward and loaded as shown in FIG. 6B by using an automated machine such as a robot, the subassembly 30 is fitted at the support 52 of the latch 50a. It touches and pushes the support part 52 of the said latch 50a. Accordingly, the supporting part 52 rotates and the straight surface 520 of the supporting part 52 is parallel to the subassembly 30, that is, the straight surface 520 and the horizontal bar as shown in FIG. 6C. (10) is rotated to the vertical state.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53 is elongated to accumulate elastic force, and the locking protrusion 54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bar 10 to prevent the latch 52a from rotating further, thereby subassembly. The loading position of (30) can be precisely regulated.

한편,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래치(50a)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받침부 (52)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이 이웃하는 래치(50b)를 가압하여 래치(50b)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서브 어셈블리(30)가 최종 적재된 상태에서는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래치(50b)의 받침부(52)가 수평바(10)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다른 서브 어셈블리(30)가 적재될 경우 돌출된 받침부(52)에 걸리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B, when the latch 50a starts to rotate, a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52 and the rotation shaft 51 presses the latch 50b adjacent to the latch ( 50b) is rotated. After the sub assembly 30 is finally loaded, as shown in FIG. 6C, the supporting portion 52 of the latch 50b is maintained to protrude from the horizontal bar 10 to the inside of the body. Since the other sub-assembly 30 is loaded to be caught by the protruding support (52).

복수개의 래치에 대해서 복수개의 서브 어셈블리를 상기의 방법으로 적재시키고 작업라인으로 운반한 후, 서브 어셈블리를 들어내게 되며, 상기 래치(5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부재(5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서 래치(50)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After loading the plurality of sub-assemblies in a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atches and transporting them to the work line, the sub-assembly is lifted, and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latch 50 is removed and accumulated in the elastic member 53. The latch 50 rotates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팔레트는 서브 어셈블리를 적재할 경우, 래치를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서브 어셈블리를 적재 상태로 지지하도록 하고, 서브 어셈블리를 제거할 경우에는 래치를 다시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원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어셈블리의 적재 공정 및 제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atch to protrude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when loading the subassembly and supports the subassembly in the loaded state in this state, and the latch again when the subassembly is removed. By allowing it to be positioned in its original position which does not protrude into the body,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loading and removing process of the subassembly.

또한, 수평바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래치 중 하나가 적재 상태로 회전할 경우에 이웃하는 래치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몸체 내측으로 어느 정도 돌출될 수 있도록 함하여 이후 적재되는 서브 어셈블리의 적재를 연속적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of the latche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horizontal bar rotates in a stacked state, the neighboring latches may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continuously load the sub-assemblies loaded thereafter. Can be done automatically.

Claims (3)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도어 패널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를 복수개 수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에 있어서,In a vertically stacked pallet that can vertically stack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such as wide and thin door panels, 다수개의 수직바들과 수평바들로 구성되는 몸체와,A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상기 수평바들 중 서로 마주 보는 수평바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평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래치들을 구비하며,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op of the horizontal bars facing each other of the horizontal bars, and provided with latche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상기 래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바로부터 몸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지만 상기 서브 어셈블리 적재시 래치의 회전에 의해서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어셈블리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The latch does not normally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body from the horizontal bar, but when the sub-assembly is mounted vertically stacked pallet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sub-assembly protrudes into the body by the rotation of the latch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래치는 래치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받침부가 서브 어셈블리를 일정한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부와 반대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서브 어셈블리 적재 위치에서 상기 수평바와 맞닿게 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The latch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support portion to abut the horizontal bar in the sub-assembly loading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latch so that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sub assembly in a certain position, 상기 래치는 적재된 서브 어셈블리가 제거될 경우 래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일단은 래치와 연결되며 타단은 수평바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And the latch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atch at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at one end thereof to return the latch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loaded subassembly is remov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래치들은 하나의 래치가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에 의해서 이웃하는 래치가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재형 팔레트.The latches are vertically stacked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latch is rotated, the adjacent latch is disposed at an interval to be press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KR1020040060386A 2004-07-30 2004-07-30 Pallet for vertical loading KR100570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86A KR100570394B1 (en) 2004-07-30 2004-07-30 Pallet for vertical lo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86A KR100570394B1 (en) 2004-07-30 2004-07-30 Pallet for vertical loa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08A true KR20060011508A (en) 2006-02-03
KR100570394B1 KR100570394B1 (en) 2006-04-11

Family

ID=3712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86A KR100570394B1 (en) 2004-07-30 2004-07-30 Pallet for vertical loa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9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89B1 (en) * 2010-12-29 2011-04-26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alette for loading pannel
KR101031190B1 (en) * 2010-12-29 2011-04-26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alette for loading pannel
WO2020262848A1 (en) * 2019-06-27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37Y1 (en) * 1992-07-31 1995-04-17 최정식 Pallet having many latches
KR100341761B1 (en) 1999-12-14 2002-06-24 이계안 Pallet for panel
KR200322749Y1 (en) 2003-04-01 2003-08-14 김영빈 Pallet for loading plate materi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89B1 (en) * 2010-12-29 2011-04-26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alette for loading pannel
KR101031190B1 (en) * 2010-12-29 2011-04-26 미주오토텍주식회사 Palette for loading pannel
WO2020262848A1 (en) * 2019-06-27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394B1 (en)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4780B2 (en) Basket, held object take-out device and take-out method
JP5168594B2 (en) Board transfer equipment
KR100570394B1 (en) Pallet for vertical loading
KR100719762B1 (en) Jig for painting
KR101568593B1 (en) Coil car
JP5034833B2 (en) Assembled container
KR20210006037A (en) Hand of De­palletizing robot
CN112978266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production equipment with same
JP6240540B2 (en) Wiring work equipment
KR101590789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 turnover jig and mothod for fixing the block thereof
JP4967719B2 (en) Low-rigidity part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JP7400540B2 (en) mobile manipulator
KR200322749Y1 (en) Pallet for loading plate materials
KR20000031706A (en) Carrier for module ic handler
KR0133787Y1 (en) Open type pallet
KR200156635Y1 (en) Device for carrying a side panel of an automobile
CN219310967U (en) Sagger cleaning equipment
KR102632556B1 (en) Window frame fixation device of insect screen
KR102181059B1 (en) Chain Holder Of Mobile Rack Fixed
CN214542144U (en) Automatic cutting and cleaning equipment
JPH111231A (en) Pallet
KR200308938Y1 (en) Product carrier
KR100231002B1 (en) Apparatus for pallet storage
JPH0249725Y2 (en)
CN216105092U (en) Material discharging tool for coil 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