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673A -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673A
KR20060008673A KR1020040057523A KR20040057523A KR20060008673A KR 20060008673 A KR20060008673 A KR 20060008673A KR 1020040057523 A KR1020040057523 A KR 1020040057523A KR 20040057523 A KR20040057523 A KR 20040057523A KR 20060008673 A KR20060008673 A KR 2006000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ound
portable device
level
alar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673A/ko
Publication of KR2006000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8Traffic signalling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기기에서 자체적으로 분실에 의해 장기 방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휴대형 기기에 있어서, 방치 상태를 감지하는 방치 감지수단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 수단 및, 상기 방치 감지수단의 방치상태 감지에 따라 상기 경보음 발생 수단을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형, 분실, 광량, 경보음

Description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PORTABLE DEVICE MISSING ALARM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경보 장치가 휴대형 기기에 적용된 구성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광 센서, 12:광레벨 측정부,
14:레벨 비교부, 16:제어부,
18:경보음 발생부, 20:스피커,
22:고유기능 작동부, 24:배터리.
본 발명은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휴대형 기기에서 자체적으로 분실 상황을 파악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콘이라 함)나, MP3 플레이어, 이동 단말기, PDA 등과 같은 휴대형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인 바, 휴대형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한 사용에 의한 분실 또는 장기 방치가 빈발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형 기기의 분실이나 장기 방치를 방지하기 위해,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기기와 같은 본체의 기능 동작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경우에는 본체에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설치하고, 그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본체로부터 무선 데이터가 리모콘에 수신됨에 따라 리모콘에서 진동이나 비프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분실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리모컨의 분실위치 확인 방식의 경우에는 리모컨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본체에도 별도의 위치확인 버튼과 무선신호의 송출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함에 따라, 기기의 기능이 복잡하게 되고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게다가, 각각의 휴대형 기기는 자체적으로 분실이나 장기적인 방치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외부에 알리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득이하게 별도의 다른 수단을 강구하여 분실된 휴대형 기기의 위치를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형 기기에서 자체적으로 분실에 의해 장기 방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기기에서 주변 광량이 일정 시간동안 일정 레벨 이하로 감지되면, 해당 휴대형 기기의 방치 상태로 파악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휴대형 기기에 있어서, 방치 상태를 감지하는 방치 감지수단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 수단 및, 상기 방치 감지수단의 방치상태 감지에 따라 상기 경보음 발생 수단을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경보 장치가 휴대형 기기에 적용된 구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장치는 광 센서(10)와, 광레벨 측정부(12), 레벨 비교부(14), 제어부(16), 경보음 발생부(18), 스피커(20), 고유기능 작동부(22) 및, 배터리(24)로 구성된다.
상기 광 센서(10)는 해당 휴대형 기기의 외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서, 휴대형 기기 주변의 광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광량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광레벨 측정부(12)는 상기 광 센서(10)로부터의 광량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광량의 신호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레벨 비교부(14)는 상기 광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광레벨 측정신호를 미리 설정된 광량을 정의한 기준 레벨신호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비교 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레벨 비교부(14)로부터의 광레벨 비교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비교 결과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광량의 저하 상태(즉, 해당 휴대형 기기가 분실되어 특정 장소의 어두운 구석에 방치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하고, 그 카운팅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으로 경과되면 상기 경보음 발생부(18)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는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인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의 경과 이전에 주변 광량이 설정 광량 이상으로 변경되면, 상기 카운팅 시간을 리세트시키고 상기 레벨 비교부(14)로부터의 비교 결과신호에 의해 주변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로 저하되는 시점으로부터 다시 카운팅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레벨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으로 경과됨에 따라 경보음이 발생되는 조건이 되면, 상기 경보음 발생부(18)가 일정 시간동안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주변 광량 레벨의 저하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경보음을 반복적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18)는 상기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해당 휴대형 기기가 분실에 의해 장시간 방치된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고유기능 작동부(22)는 해당 휴대형 기기에 갖추어진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휴대형 기기가 예컨대 리모컨인 경우에는 본체 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을 입력하는 키패드와, 키패드의 키입력에 따른 키코드 신호를 발생하는 키코드 메모리, 키코드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등의 구성요소를 갖추게 된다.
상기 배터리(24)는 상기 고유기능 작동부(22)에 해당 휴대형 기기의 고유 기능 수행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감지 및 비교를 위한 구성요소에 전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형 기기가 배터리(24)로부터의 동작전원이 고유기능 작동부(22)에 인가되어 동작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단계 S10), 해당 휴대형 기기의 외부 소정측에 설치된 광 센서(10)에서는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광량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광레벨 측정부(12)는 상기 광량 감지신호의 광레벨을 측정하게 되며, 레벨 비교부(14)에서는 상기 광레벨 측정에 따른 광레벨 측정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비교 결과신호를 발생하게 된다(단계 S11).
그 상태에서, 제어부(16)는 상기 레벨 비교부(14)로부터의 비교 결과신호에 의해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레벨이 기준 광량 레벨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레벨이 기준 광량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광량 레벨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은 카운팅하게 되고, 상기 주변 광량 레벨이 저하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으로 경과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해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레벨이 기준 광량 레벨로 저하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식??으 로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경보음 발생부(18)를 제어하여 스피커(20)를 통해 경보음이 일정시간 동안 발생되도록 한다(단계 S14).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18)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으로 경과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경보음의 발생 시간이 일정 시간으로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경보음 발생부(18)의 경보음 발생이 중지되도록 하게 된다(단계 S16).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레벨 비교부(14)로부터의 비교 결과신호에 의해 주변 광량 레벨이 기준 광량 레벨 이상으로 되는 광량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17), 상기 광량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음 활성화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경보음 활성화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단계 S14로 재진행하여 상기 경보음 발생부(18)에서 경보음을 재차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 17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6)에서는 ??당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변화가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경보음 발생 모드를 해제하게 된다(단계 S20).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기기의 주변 광량 저하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해당 휴대형 기기가 분실되어 어두운 구석에 장시간동안 방치되어 있는 상태를 자체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휴대형 기기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다른 수단을 강구하여 분실된 휴대형 기기를 찾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지 않고서도 해당 휴대형 기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휴대형 기기에 있어서,
    방치 상태를 감지하는 방치 감지수단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 수단 및,
    상기 방치 감지수단의 방치상태 감지에 따라 상기 경보음 발생 수단을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치 감지수단은, 주변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되는 주변 광량의 광레벨을 측정하는 광레벨 측정부, 상기 측정되는 광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레벨 비교부에서 비교되는 주변 광량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로 저하된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설정시간으로 경과되면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에서 경보음이 발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에서 일정시간동안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광량의 변화가 없는 조건에서 경보음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KR1020040057523A 2004-07-23 2004-07-23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KR20060008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523A KR20060008673A (ko) 2004-07-23 2004-07-23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523A KR20060008673A (ko) 2004-07-23 2004-07-23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73A true KR20060008673A (ko) 2006-01-27

Family

ID=3711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523A KR20060008673A (ko) 2004-07-23 2004-07-23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6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008A (zh) * 2017-03-28 2017-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的定位方法、装置和设备
KR102011462B1 (ko) * 2018-04-18 2019-10-21 김다영 리모콘 및 그의 분실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008A (zh) * 2017-03-28 2017-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的定位方法、装置和设备
KR102011462B1 (ko) * 2018-04-18 2019-10-21 김다영 리모콘 및 그의 분실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737B1 (en) Smoke detector testing
KR101164559B1 (ko) 휴대전자기기 및 무선통신장치
US20090280872A1 (en) Mobile apparatus
JP2018151886A (ja) 環境センサ
US80360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nsitivity adjustment of an acoustic detector
KR20060008673A (ko) 휴대형 기기의 분실 경보 장치
JP2006527953A (ja) モバイル電子装置用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KR20110133143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18151264A (ja) 環境センサ
KR1003658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80096358A (ko) 진동 발생 장치의 동작 알림 장치 및 그 알림 방법
KR1006088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격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16208612A (ja) 電池アダプタ
KR20080063674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44840B1 (ko) 분실시 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75404A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충전 커넥터 및 그커넥터를 이용한 도난 방지 방법
US11750042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witching method
TW201317762A (zh) 電子裝置及其啟動方法
KR100842560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2132977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使用方法
KR100790684B1 (ko) 휴대 기기용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829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차단전압 제어방법
KR20090120618A (ko) 도어락의 배터리 용량 표시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KR20070081986A (ko)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세기 조절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