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00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006A
KR20060008006A KR1020040057644A KR20040057644A KR20060008006A KR 20060008006 A KR20060008006 A KR 20060008006A KR 1020040057644 A KR1020040057644 A KR 1020040057644A KR 20040057644 A KR20040057644 A KR 20040057644A KR 20060008006 A KR20060008006 A KR 20060008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bration
movement
pattern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006A/ko
Publication of KR2006000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가속도를 감지하여 일련의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고, 그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별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알아냄으로써,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도 단말기 진동을 통해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며, 반대로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보다 약한 단말기 진동으로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 뿐만 아니라 진동 패턴이나 착신 모드 자체를 자동 변경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진동 모드, 가속도, 움직임 레벨, 움직임 패턴, 진동 세기 조절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bration Contro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 및 각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 정보와, 각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기록, 저장한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가속도 감지부 12 : 신호 처리부
13 : 패턴 정보 저장부 14 : 단말 진동부
15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가속도를 감지하여 일련의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고, 그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PCS 폰이나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면 그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 모드로는 진동 모드와 착신음 모드가 있다.
여기서, 진동 모드(또는 매너 모드)는 직장이나 공연장(극장) 또는 대중교통수단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단말기의 착신음이 발생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설정된 모드이고, 착신음 모드는 착신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착신 모드는 주변 상황에 따라 그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착신음 모드의 경우 주변의 밝기나 소음을 감지해서 그에 따라 착신음 세기를 변경해 주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 착신 모드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도서관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조용한 장소에서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 지나치게 강한 진동이 울려 깜짝 놀라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단말기 사용자가 임의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빠른 보행 또는 달리기 등과 같이 움직임이 많은 상황에서는 그 단말기 진동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의 본래 의도와는 달리 호출에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속도 센서를 장착하여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알아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알아냄으로써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움직임이 많은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강한 단말기 진동을 통해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주고, 반대로 움직임이 거의 없는 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는 약한 단말기 진동으로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하고, 또한 착신 모드 자체를 자동 변경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전달해 주는 가속도 감지부와; 상기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일련의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생성한 후에 그 신호 레벨 크기에 따라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와; 각각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정보 저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결정된 주기적인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패턴 정보 저장부에 기록, 저장하며, 일정시간 동안에 상기 패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한 후에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 수단을 구동시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그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해 주거나 그 진동 패턴을 조절해 주는 단말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 감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속도 센서는 1차원, 2차원 및 3차원의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가속도를 주 기적으로 감지하여 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결정된 각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기록, 저장하면서 단말기 움직임 패턴 결정을 위한 단위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현재까지 주기적으로 기록, 저장된 각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결정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결정된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을 제어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속도 감지 기능을 추가하여 그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그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11)와, 그 가속 도 감지부(1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12)와, 일련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각각의 발생빈도 수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정보 저장부(13)와, 실제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해 주는 단말 진동부(14)와, 일정시간 동안에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고,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 진동부(14)의 진동 세기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가속도 감지부(11)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져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일련의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가속도 감지신호를 신호 처리부(12)로 전달해 준다. 이때 가속도 센서는 1차원, 2차원 및 3차원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정확도와 센서 크기 및 가격을 고려하여 원하는 가속도 센서를 단말기에 장착하여 이용하게 된다.
신호 처리부(12)는 가속도 감지부(11)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일련의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생성한 후, 그 움직임 신호를 일련의 신호 레벨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움직임 레벨을 결정한 후에 그 움직임 레벨 정보를 제어부(15)로 전달해 준다.
제어부(15)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기록, 저장하며, 일정시간 동안에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된 각각의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한 후에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 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를 결정하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면 앞에서 결졍된 진동 세기에 따라 단말 진동부(14)를 제어한다.
단말 진동부(14)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진동 수단을 구동시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그 단말기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해 준다.
이때, 신호 처리부(12)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그 신호 레벨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움직임 레벨 분류 정보를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제어부(15)는 움직임 패턴 결정시 참조가 되는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와, 각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 정보를 관리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일련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진 가속도 감지부(11)에서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가속도 감지신호를 신호 처리부(12)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21).
그러면, 신호 처리부(12)에서는 가속도 감지부(11)로부터 전달되는 가속도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에 포함된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일련의 디지털 변환 작업을 통해 가속도 감지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인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이렇 게 생성된 움직임 신호의 신호 레벨 크기를 기설정된 움직임 레벨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현재의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스텝 S22).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신호 처리부(12)는 가속도 감지부(11)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가속도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게 되며, 이렇게 결정되는 주기적인 단말기 움직임 레벨 정보를 제어부(15)로 전달해 주게 된다.
이때, 제어부(15)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레벨 정보를 체크하여 각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한 후에 이를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기록, 저장하여 관리하게 되며(스텝 S23), 이와 동시에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단위시간이 되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24).
즉, 제어부(15)는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단말기 움직임 변화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에 감지되는 주기적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계속적으로 카운트하여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기록,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5)는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시간 동안에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된 각각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기설정된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게 되며(스텝 S25), 이렇게 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한 후에는 기설정 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를 결정하게 된다(스텝 S26).
그리고, 상술한 진동 세기 결정 동작은 일정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으로, 이렇게 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가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5)는 현재 결정된 진동 세기에 따라 단말 진동부(14)를 제어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단말기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해 주게 된다(스텝 S27).
예를 들어, 움직임 패턴 결정시 참조가 되는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와, 각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 정보가 첨부한 도면 도 3의 (가)에 도시한 표와 같이 설정되어 있고, 일정시간 동안에 단말기 움직임 변화에 따라 감지되는 주기적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패턴 정보 저장부(13)에 기록, 저장한 결과 도 3의 (나)와 같은 패턴 정보가 저장되었다고 가정하면, 이때의 진동 세기 조절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즉, 도 3의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움직임 패턴은 '정지 상태', '도보 이동', '교통 수단 이동', '빠른 도보 이동', '달리기 이동' 상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움직임 패턴에 대한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를 살펴보면, '정지 상태'는 움직임 레벨 1의 발생빈도 수가 '3'회 이하이고 움직임 레벨 2~5의 발생빈도 수가 '0'회인 움직임 패턴을 갖는 경우이며, '교통 수단 이동' 상태는 움직임 레벨 2,3의 발생빈도 수가 '5'회 이상이고 움직임 레벨 2의 발생빈도 수가 움직임 레벨 3의 발생빈도 수보다 많은 움직임 패턴을 갖는 경우이며, '달리기 이동' 상태는 움직임 레벨 4,5의 발생빈도 수가 '5'회 이상이고 움직임 레벨 4의 발생빈도 수가 움직임 레벨 5의 발생빈도 수보다 적은 움직임 패턴을 갖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3의 (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움직임 레벨이 감지되었다면, 즉 일정시간 동안에 총 18회의 가속도 감지를 통해 대응하는 각각의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측정한 결과, 움직임 레벨 1은 '3'회, 움직임 레벨 2는 '8'회, 움직임 레벨 3은 '5회, 움직임 레벨 4는 '2'회씩 각각 발생되었다면, 이는 앞에서 설명한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보면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은 '교통 수단 이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며, 따라서 '교통 수단 이동' 상태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3단계 진동(진동 3)으로 단말기 진동 세기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 단말기 사용자가 교통 수단을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 보도로 이동하게 되면, 단말기 움직임은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움직임이 적어지게 될 것이고, 만약 도 3의 (다)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움직임 레벨이 감지되었다면, 즉 움직임 레벨 1은 '8'회, 움직임 레벨 2는 '6'회, 움직임 레벨 3은 '3회, 움직임 레벨 4는 '1'회씩 각각 발생되면, 이는 앞에서 설명한 표준화된 움직임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보면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은 '도보 이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며, 따라서 '교통 수단 이동' 상태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3 단계 진동에서 2단계 진동(진동 3)으로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시간 단위로 단말기 진동 세기를 결정하여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면 그 때의 단말기 진동 세기에 따라 단말 진동부(14)를 제어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단말기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조절되는 단말기 진동 세기로 인해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상태를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때 진동 세기 뿐만 아니라 움직임 패턴에 따라 진동 패턴(진동 주기(진동-정지-진동-정지...))을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움직임이 적은 상태(정지 상태, 도보 이동 상태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진동 시간이 짧아지도록 진동 패턴을 조절(예컨대, 1초 진동-3초 정지-1초 진동-3초 정지...)하고, 반대로 움직임이 많은 상태(교통 수단 이동, 빠른 도보 이동, 달리기 이동 상태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진동 시간이 길어지도록 진동 패턴을 조절(예컨대, 3초 진동-1초 정지-3초 진동-1초 정지...)하도록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진동 패턴을 조절하는데 있어, 움직임 패턴에 따라 진동 시간을 다르게 조절하는 방법 이외에 그 진동 주기 자체를 불규칙적으로 조절(예컨대, 1초 진동-3초 정지-2초 진동-2초 정지-...)하도록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움직임 패턴에 따라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하는 방법 이외에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착신 모드 자체를 진동 모드에서 착신음 모드로 자동 변경하여 전화나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는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하다가 움직임이 상당히 많은 상태(달리기 이동 상태 등)에서는 진동이 아닌 착신음으로서 전화나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주도록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에서 착신음 모드로 변경하여 그 착신음의 크기나 패턴을 조절하도록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움직임 패턴에 따라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하고, 또는 착신 모드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법들을 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별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알아냄으로써,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도 단말기 진동을 통해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며, 반대로 단말기 사용자의 움직 임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보다 약한 단말기 진동으로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 세기 뿐만 아니라 진동 패턴이나 착신 모드 자체를 자동 변경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문자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전달해 주는 가속도 감지부와;
    상기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가속도 감지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일련의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생성한 후에 그 신호 레벨 크기에 따라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와;
    각각의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정보 저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결정된 주기적인 단말기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패턴 정보 저장부에 기록, 저장하며, 일정시간 동안에 상기 패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한 후에 그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 수단을 구동시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그 단말기 진동 세기를 조절해 주거나 그 진동 패턴을 조절해 주는 단말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감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속도 센서는 1차원, 2차원 및 3차원의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4.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그 단말기 가속도에 대응하는 움직임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결정된 각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카운트하여 기록, 저장하면서 단말기 움직임 패턴 결정을 위한 단위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현재까지 주기적으로 기록, 저장된 각 움직임 레벨에 대한 발생빈도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단말기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결정된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 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여 결정된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에 따라 단말기 진동을 제어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도록 단말기 진동 세기나 진동 패턴을 조절해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방법.
KR1020040057644A 2004-07-23 2004-07-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08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44A KR20060008006A (ko) 2004-07-23 2004-07-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44A KR20060008006A (ko) 2004-07-23 2004-07-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006A true KR20060008006A (ko) 2006-01-26

Family

ID=3711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644A KR20060008006A (ko) 2004-07-23 2004-07-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00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28B1 (ko) * 2010-10-06 2012-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인식을 통해 진동량을 조절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가인식을 통해 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US8131252B2 (en) 2006-12-01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226845B1 (ko) * 2006-02-14 201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세기 조절 방법 및 장치
US9460398B2 (en) 2012-03-29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activity
US10599219B2 (en) 2015-11-06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a haptic eff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4125095A (zh) * 2020-08-31 2022-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振动噪音的控制方法、装置及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45B1 (ko) * 2006-02-14 201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세기 조절 방법 및 장치
US8131252B2 (en) 2006-12-01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104028B1 (ko) * 2010-10-06 2012-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인식을 통해 진동량을 조절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가인식을 통해 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US9460398B2 (en) 2012-03-29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activity
US10599219B2 (en) 2015-11-06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a haptic eff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4125095A (zh) * 2020-08-31 2022-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振动噪音的控制方法、装置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412B1 (ko) 관성센서를 구비한 휴대단말의 알람기능 제어방법 및 장치
US8131205B2 (en) Mobile phone detection and interruption system and method
US70960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3988608B2 (ja) バイブレータ制御機能付き無線電話機及び無線電話機のバイブレータ制御方法
US2008022925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detection
KR101259920B1 (ko) 이동 전화기
JP2009206868A (ja) 携帯通信端末、着信報知方法
KR200600080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05891B1 (ko) 배터리 전원 소모 경고장치 및 방법
JP2006509431A (ja) 周囲環境に順応させた携帯機器の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JP2015073303A (ja) 携帯通信端末、着信報知方法
KR1011174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JP5657630B2 (ja) 携帯通信端末、着信報知方法
JP2008148156A (ja) 携帯端末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KR10122684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세기 조절 방법 및 장치
CN110751771A (zh) 门体异常告警方法及相关产品
JPH1118709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KR100672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터 점검장치
KR200600968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드롭 사전 통보 방법
KR10069075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호 착신알림모드 전환방법
KR200306311Y1 (ko) 휴대폰 분실 방지장치
US20090111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dible Indication of an Active Wireless Link
JP5223640B2 (ja) 移動体端末、移動体端末の着信動作制御方法、移動体端末の着信動作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