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991A -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991A
KR20060007991A KR1020040057627A KR20040057627A KR20060007991A KR 20060007991 A KR20060007991 A KR 20060007991A KR 1020040057627 A KR1020040057627 A KR 1020040057627A KR 20040057627 A KR20040057627 A KR 20040057627A KR 20060007991 A KR20060007991 A KR 2006000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crew shaft
housing
strain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구
Original Assignee
박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구 filed Critical 박학구
Priority to KR102004005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991A/ko
Publication of KR2006000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한쌍의 분쇄롤로 구성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스크류 샤프트로 이루어진 탈수부로 구성된 음식물 처리장치로써,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에 조립된 출수관에 내설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걸름망; 상기 걸름망의 선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출수관에 끼워지도록 하되, 걸름망의 이동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막힘 방지구; 상기 걸름망이 조립되는 전면판에 구비되고, 걸름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갖추어진 것으로, 여기서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림망에 적체되어 끼워졌을 때, 스크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적체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걸름망에 작용하여 이 걸름망이 상기 유동부의 유동 거리만큼 이동하여 걸름망과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처리기, 분쇄부, 탈수 장치, 스크류 샤프트

Description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protecting the clogg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가 정상적인 가동하는 상태로 막힘 방지부의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 음식물이 막혔을 때 막힘 방지부가 동작하여 배출 경로가 확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트랩 100 : 하우징
110 : 전면판 200 : 분쇄부
210,220 : 분쇄롤 300 : 탈수부
310 : 스크류 샤프트 311 : 스크류
312 : 경사부 400 : 전동부
500 : 막힘 방지부 510 : 원통관
본 발명은 일반 유흥 업소나 혹은 일반 가정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탈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 및 탈수 과정에서 단단한 물질, 예를 들어 소라 껍질, 게의 등껍질, 바다 가재, 대합 등의 갑각류, 혹은 기타 단단한 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걸름망체가 이동하여 이들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갑각류 이외에 외부의 이물질 혹은 응고 현상에 의해 단단하게 굳어진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처리도 가능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이나 업소에서 싱크대 즉,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고 이를 탈수시키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하천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이를 걸러내어 분쇄 및 탈수과정을 통해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9783호의 음식물 처리장치를 살펴보면, 틀체내의 상측에 호퍼를 설치하고, 이의 외측에 편심캠을 갖는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하측에 분쇄기를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하되, 이 분쇄기의 하측에 트위스트 절편을 갖고 테이퍼진 스크류샤프트를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사프트의 일측부에 배출공과 배출구를 갖는 레듀셔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공의 외부측으로 여과망과 물받이통을 설치하되, 상기 레듀셔와 스크류샤프트의 압축부분 및 호퍼의 일측부에 발효균용약액통을 연결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를 살펴보면, 수분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음식물에 대해서는 처리가 가능하나, 단단한 음식물 예를 들어 게 껍질, 바다 가재, 소라 껍질 등과 같은 갑각류의 음식물 혹은 호두, 땅콩 등과 같이 껍질이 단단한 음식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음식물은 대다수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분쇄 및 탈수 과정을 거치면서 부피가 감소하나, 상기한 음식물들은 탈수 후에도 그 체적을 유지함으로써, 스크류 샤프트와 걸름망 사이에 끼워져 막히게 되고, 그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에 부하가 걸리게 되며 고장의 원인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단단한 물질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도중 갑각류와 같은 단단한 음식물, 땅콩이나 호두 혹은 섬유질, 단단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이들이 걸림망의 선단부에 적체 되었을 때 걸림망체가 이동하며 배출 공간을 가변시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막힘 방지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 과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기계적인 고장을 감소시키고, 음식물의 종류에 관계 없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막힘 방지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한쌍의 분쇄롤로 구성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스크류 샤프트로 이루어진 탈수부로 구성된 음식물 처리장치로써,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에 조립된 출수관에 내설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걸름망; 상기 걸름망의 선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출수관에 끼워지도록 하되, 걸름망의 이동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막힘 방지구; 상기 걸름망이 조립되는 전면판에 구비되고, 걸름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갖추어진 것으로, 여기서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림망에 적체되어 끼워졌을 때, 스크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적체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걸름망에 작용하여 이 걸름망이 상기 유동부의 유동 거리만큼 이동하여 걸름망과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 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단단한 물질 혹은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탈수 후 부피가 감소하지 아니하여 걸름망체의 선단 즉, 배출 부재가 막혔을 때 걸름망체가 이동하며 배출 공간을 확장시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기로 바다 가재, 게 껍질, 소라, 대합 등과 같은 갑각류와 땅콩, 호두와 같이 껍질이 단단한 나무 열매 및 및 솔잎, 나무껍질과 같이 탈수 후에도 체적이 감소하지 아니하는 음식물은 물론, 동물 뼈, 껍데기 등을 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음식물들 이외에 세척 과정 혹은 고의, 실수로 버려지는 다른 단단한 물질 예컨데, 석재, 금속 조각 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2)의 싱크볼 일측 혹은 중앙에 위치하는 배수구(3)와 연결되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에 내설되어 싱크대에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부(200)와,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를 압축하여 수분을 제 거하는 탈수부(300) 및 이들을 구동시키는 전동부(400)로 구성되며, 여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하며 수분은 빠져나가도록 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되도록 하는 탈수망체(500)와 이 탈수망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막힘방지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단에 씽크대(2)와 연결되는 배수트랩(10)이 구비되고, 이 배수트랩의 직하부측에 형성된 공간(102)에 후술하는 전동부(40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쌍의 분쇄롤(210)(220)과 탈수부(300)가 적층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102)의 하부는 유로(120)와 연결되어 분쇄 및 탈수부로 낙하 이송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유출되도록 하되, 상기 유로의 일단은 집수부(122)와 연결되어 수분이 집수되도록 하며, 상기 유로는 출수관(130)과 연통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전면판(110)이 설치되고, 이 전면판의 전방측으로 출수관(130)이 조립되는데, 이 출수관(130)이 조립되는 위치에 상기 유로(120)와 연통하는 수분 유출공(112)이 형성되어 탈수시 걸름망체를 통해 출수관(130)에 낙하되는 수분이 이 유출공(112)을 통해 유로(120)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출수관은 단부에 걸림턱(131)을 구비하여 끼워맞춤으로 전면판(110)에 조립되도록 하되, 경우에 따라 패킹 및 용접을 하여 누수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0)는 한쌍의 분쇄롤(210)(220)과, 이 각각의 분쇄롤을 긁어 음식물의 찌꺼기가 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크레이퍼(230)(240)로 구성되며, 각 분쇄롤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분쇄롤이 전동부(400)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연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전동수단 즉 감아걸기 전동장치로써, 체인(430)과 스프로켓(420)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모터의 구동축(411)에는 복수의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이중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부(200)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탈취부(300)의 스크류 샤프트(310)와 연결되어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쇄부의 스크레이퍼(230)(240)는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이 분쇄롤(210)(220)의 파쇄날 사이 사이에 끼워져 이들 사이에 점착되는 음식물이 탈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출수관에 설치되는 탈취부(30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걸름망체(500)와 막힘 방지부(53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샤프트(310)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310)는 금속 혹은 합성수지재가 사출 성형된 구성으로, 전방측에 경사부(312)가 구비되고, 그 대향측은 전동부(400)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되 외주연에는 나선의 스크류(31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311)는 피치가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갈 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성으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피치의 간격에 의해 가압되어 탈수가 일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스크류 샤프트(310)가 내설되는 걸름망체(500)는 원통망(510)과 테이퍼망(520)으로 구성되며, 이 테이퍼망(520)의 선단부에는 막힘 방지부(530)가 구비되고, 망체들의 후단부는 이들 망체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540)가 갖추어진 구성된다.
상기 망체(510)(520)들은 각각에 다수의 구멍(511)(5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 원통망에 형성된 구멍은 전방측 구멍의 내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구성으로, 그 내측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점차 가압되며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테이퍼망(520)은 스크류 샤프트의 경사부(312)의 각도 보다 크게 구성되어 경사부가 끼워졌을 때 경사부(312)의 대략 중앙 부위와 테이퍼망(520)의 단부가 근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막힘에 의해 망체들이 이동했을 때 이들 사이의 간격(t)이 벌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막힘 방지구(53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 혹은 실리콘 등에 의해 제작되며, 선단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테이퍼망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하는 배출구(531)로 이루어지며, 이 배출구의 후단부에 상기 출수관(130)의 걸림턱부(131)에 걸려 조립되고, 망체들에 의해 눌리면서 이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동부(532)를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탄력을 갖을 수 있도록 유동부의 내측에 공간(533)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안내부(540)는 전면판(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망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조립되는 플랜지(512)의 조립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랜지(512)에는 등간격으로 안내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540)는 전면판에 형성되어 탈수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공(140)의 외주연에 돌출되며, 전방측에는 상기 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41)이 돌출되고, 이 방지턱과 전면판 사이에 플랜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공간(542)이 제공됨과 아울러, 이 이동공간에 상기 안내홈(513)이 끼워지는 가이드판(543)이 갖추어져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실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형태로 조립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은 플랜지의 이동을 안내하고, 원통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50은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망체들이 이동하며 음식물이 테이퍼망과 스크류 샤프트의 경사부에 사이에 적체되었을 때 망체들이 이동하여 이들 사이의 간격(t)을 확대시켜 적체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씽크대(2)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배수트랩(10)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롤(210)(220)에 의해 분쇄된 상태에서 탈수부(300)측으로 낙하되어 유입공(140)을 통해 원통망(510)으로 유입된다.
원통망(510)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샤프트(310)에 의해 이동하며 가압되어 탈수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망체 (510)(520)가 막히게 된다.
다시 말해, 음식물 쓰레기 중 분쇄 과정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았거나 혹은 섬유질이 많은 음식물, 땅콩 호두 및 갑각류와 같은 단단한 물질들은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그 체적이 감소하지 않고 점차 테이퍼망(520)과 스크류 샤프트(310)의 경사부(312) 사이에 적체되어 이들을 막게 된다.
테이퍼망(520)의 선단부가 막히게 되면, 스크류(31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과 적체된 힘이 상충하게 되고, 결국 적체적 음식물 쓰레기가 망체들 당겨 전방측으로 순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망체들은 테이퍼망의 선단에 위치하는 유동부(532)를 누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테이퍼망(520)의 단부가 스크류 샤프트(310)의 경사부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들 사이에 도 3b와 같이 간격(t)이 벌어지게 되고,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는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배출 후 유동부의 탄력에 의하여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안내부에 복원 스프링(600)을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강제로 이동된 관체들을 당겨 원활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단단한 물질 예를 들어 갑각류와 같이 껍질이 단단한 음식물, 땅콩이나 호두 등의 껍질 혹은 섬유질 그 리고, 기타 외부적인 요인 즉, 고이 혹은 실수로 버려진 단단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이들이 걸림망의 선단부에 적체 되었을 때 걸림망체가 이동하며 스크류 샤프트의 경사부와 테이퍼망 사이에 배출 공간이 확보되도록함으로써,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탈수 과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기계적인 고장을 감소시키고, 음식물의 종류에 관계 없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단한 음식물 이외에 다른 현상에 의한 막힘시에도 동일하게 기능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싱크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한쌍의 분쇄롤로 구성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스크류 샤프트로 이루어진 탈수부로 구성된 음식물 처리장치로써,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에 조립된 출수관에 내설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관통 설치되도록 하는 걸름망;
    상기 걸름망의 선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출수관에 끼워지도록 하되, 걸름망의 이동 및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막힘 방지구;
    상기 걸름망이 조립되는 전면판에 구비되고, 걸름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갖추어진 것으로,
    여기서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림망에 적체되어 끼워졌을 때, 스크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적체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걸름망에 작용하여 이 걸름망이 상기 유동부의 유동 거리만큼 이동하여 걸름망과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전방측에 경사부가 구비하되, 상기 걸름망체은 원통망과 이 원통망의 선단부에 조립되는 테이퍼망으로 구성되어 망체의 이동시 경사 각도를 달리하는 테이퍼망과 경사부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의 후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에 등간격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에는 탈수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의 외주연에 안내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이 안내부는 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과, 이 방지턱과 전면판 사이에 형성되어 플랜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공간과, 이 이동 공간에 상기 안내홈이 끼워지는 가이드판이 갖추어 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40057627A 2004-07-23 2004-07-23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07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27A KR20060007991A (ko) 2004-07-23 2004-07-23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27A KR20060007991A (ko) 2004-07-23 2004-07-23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77U Division KR200366486Y1 (ko) 2004-07-26 2004-07-26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991A true KR20060007991A (ko) 2006-01-26

Family

ID=3711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627A KR20060007991A (ko) 2004-07-23 2004-07-23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9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57B1 (ko) * 2012-04-04 2013-12-13 박노춘 음식물 여과장치
KR102268016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CN113668783A (zh) * 2021-09-24 2021-11-19 浙江豪城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排水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57B1 (ko) * 2012-04-04 2013-12-13 박노춘 음식물 여과장치
KR102268016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CN113668783A (zh) * 2021-09-24 2021-11-19 浙江豪城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10064267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클러치
KR1018414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0193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KR20100041989A (ko) 음식물 및 하수 처리장치
KR20060114885A (ko) 폐비닐의 재활용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5992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장치
KR101425904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439863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녹즙찌꺼기 분리장치
KR20070038082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CN109226178A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060007991A (ko)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93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물 및 음식물 분리 장치
KR200366486Y1 (ko)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037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99424A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9011293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거름망 소제장치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51585A (ko) 음식물 쓰레기 분해 여과장치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985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0147Y1 (ko)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압축탈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