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788A -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788A
KR20060007788A KR1020040057165A KR20040057165A KR20060007788A KR 20060007788 A KR20060007788 A KR 20060007788A KR 1020040057165 A KR1020040057165 A KR 1020040057165A KR 20040057165 A KR20040057165 A KR 20040057165A KR 20060007788 A KR20060007788 A KR 2006000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platform
support
launch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485B1 (ko
Inventor
신주영
조엄준
Original Assignee
휘선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선건설(주) filed Critical 휘선건설(주)
Priority to KR102004005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공사에 이용되는 케이슨을 케이슨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차를 이용하여 케이슨 진수대로 케이슨을 운반시킨 후, 플렛폼을 이용하여 케이슨을 진수시킨 후 예인선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로 예인시켜 안착시키는 케이슨 진수대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진수대는 케이슨제작장(A)과 연장되어 수중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경사초입에 플렛폼승강수단이 설치된 경사진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렛폼은 대차로부터 옮겨 실려진 프레임구조체로써, 실려진 케이슨과 함께 플렛폼승강수단에 의하여 경사진수대를 따라 승강되는 케이슨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 의하여 비교적 케이슨 규격이 큰 경우에 있어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진수부위에 있어서도 별도의 준설작업없이도 용이하게 케이슨을 예인하여 설치할 수 있어 케이슨 설치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케이슨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케이슨, 플렛폼,진수대,바지선

Description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Caisson launching spot and the caisson launch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부력브라켓이 형성된 케이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케이슨이 경사진수대에 대차에 의하여 운반되어 상기 진수대를 이용하여 진수시키고 부력바지선에 의하여 예인되는 과정을 도시한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사진수대에 형성된 블록아웃된 승강홈에 설치되는 플렛폼승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렛폼승강수단을 구성하는 경사지지대와 플렛폼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는 본 발명의 플렛폼승강수단을 이용한 플렛폼의 승강 및 하강모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지지대의 연결플레이트에 의한 길이조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도 7b,도 7c, 도 7d, 도 7e 및 도 7f는 본 발명의 케이슨, 경사진수대,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설치방법의 단계들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케이슨제작장 B:대차
100:케이슨 100:부력브라켓
200:경사진수대 210:경사진수대
300:플렛폼 400:플렛폼승강수단
410:양단지지대 420:경사지지대
430:수평지지대 430a:상부 수평지지대
430b:하부 수평지지대 440:가압수단
450:승강홈 500:부력바지선
600:연결구 700:연결플레이트
800:슬립패드 900:가이드수단
본 발명은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항만공사에 이용되는 케이슨을 케이슨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차를 이용하여 케이슨 진수대로 케이슨을 운반시킨 후, 플렛폼을 이용하여 케이슨을 진수시킨 후 예인선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로 예인시켜 안착시키는 케이슨 진수대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은 대형 박스형 구조물로서, 무게는 수백 톤에서 수천 톤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케이슨은 미리 케이슨 제작장에서 제작되며, 대차를 이용하여 케이슨을 진수대(launching spot)까지 운반시키고, 진수대를 이용하여 케이슨을 진수시켜 부력에 의하여 수중에 띄운 후, 예인선을 이용하여 케이슨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에 예인시켜 안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케이슨을 진수대로부터 진수시킬 때 케이슨이 그 부력에 의하여 수중에 뜰 만큼의 수심이 확보되어야 예인선으로 소정의 위치로 예인 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만약 진수부위의 수심이 낮은 경우에는 케이슨의 수중 부상을 위한 부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케이슨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수심이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해안의 경우에 더더욱 케이슨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수부위를 별도로 준설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준설로 인한 공기의 지연 및 공사비 상승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큰 케이슨에 있어서도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하거나 진수부위의 수심이 낮더라도 케이슨이 수중에 뜰수 있도록 보조부력수단을 제공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케이슨을 소정의 위치로 예인시킬 수 있는 케이슨 진수대 및 케이슨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슨제작장(A)으로부터 케이슨(100)을 진수대(400) 근처까지 대차(B)를 이용하여 운반하되, 상기 진수대로써 소정의 진수부위까지 경사져 형성된 경사진수대(200)를 형성시키고, 케이슨이 경사진수대(200) 초입에 설치된 플렛폼(300)에 옮겨 실은 상태에서,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플렛폼(300)을 소정의 위치까지 수중에 진수시키되, 단계적으로 안전하게 경사진수대의 상부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진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렛폼승강수단(400)을 경사진수대에 형성된 승강홈(450) 설치시켜 플렛폼승간수단에 연결된 플렛폼이 점진적으로 진수되도록 하고, 수중에 진수된 케이슨이 수심이 낮아 자체 부력에 의하여 뜨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케이슨(100) 측벽에 부력브라켓(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부력바지선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에 부력이 전달되어 수심이 낮은 진수부위서도 케이슨(100)을 수중에 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케이슨 진수대는,
케이슨제작장(A)에 대차(B)를 이용하여 케이슨(100)을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300)까지 운반 후 진수시키는 케이슨 제작 및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케이슨제작장(A)과 연장되어 수중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경사초입에 플렛폼승강수단(400)이 설치된 경사진수대(200)를 포함하는 진수대 및
대차로부터 옮겨 실려진 케이슨을 지지하는 케이슨지지대로써, 실려진 케이 슨과 함께 플렛폼승강수단(400)에 의하여 경사진수대(220)를 따라 승강되는 플렛폼(300)을 포함한다.
케이슨(100)이 제작되는 케이슨 제작장(A)은 통상 케이슨 진수대의 주변 부지에 케이슨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장 및 케이슨 이동수단이 구비된 대차를 포함한 설비시스템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몰드장에서 소정의 케이슨을 제작하고, 이동레일과 대차를 이용하여 제작된 케이슨을 케이슨 진수대에 이동시킨 후, 케이슨이 상기 케이슨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200)에 의하여 수중에 진수되도록 한다.
이때 대차(B)는 케이슨(100)이 실려지는 사각 판 형태의 프레임구조물로써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부에는 케이슨 제작장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 또는 휠을 포함한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대차(B)는 케이슨을 본 발명의 케이슨 진수대까지 정확하게는 경사진수대(200) 초입까지 케이슨이 운반되도록 작동되며, 케이슨(100)이 케이슨 진수대를 구성하는 플렛폼(300)에 옮겨지면 다시 회수되어 새로운 케이슨을 운반하기 위한 위치로 세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슨(100)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케이슨(100)은 형성 높이가 다를 뿐, 대개 사각박스형태로 제작되며 내부는 격판에 의하여 구분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케이슨의 측벽부에는 부력브라켓(110)이 다수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110)은 후술되는 부력바지선(500)에 의한 부력이 케이슨(100)에 전달되 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써, 일종의 걸림구의 역할을 하게된다.
그 설치 개수는 부력바지선의 크기, 케이슨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정하면되고, 그 형상은 상기 걸림구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본 발명의 브라켓에 포함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케이슨 진수대에 플렛폼(300)이 설치되어 케이슨이 옮겨져 실린 상태에서 수중으로 진수되어 부력바지선(500)이 접근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진수대는 케이슨 제작장(A)로부터 운반되어진 브라켓(110)이 부착된 케이슨(100)을 수중에 진수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대차(B)에 실려진 케이슨을 진수대 초입(C)까지 운반시킨 후, 케이슨을 진수시키려면 일단 케이슨(100)이 실려져 함께 진수되는 플레폼(300)에 옮겨 실은 후 최소한 케이슨의 하부 일부만이라도 수중에 잠겨지도록 수중으로 진수키킬 유도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케이슨 제작장(A)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진수대(2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경사진수대(200)는 플렛폼(300)에 안착된 케이슨(10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필요한 경우, 경사면을 충분히 다짐시키거나 기초파일을 먼저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로 마감처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진수대(200)는 경사초입(C)에는 본 발명의 플렛폼(300)이 설치된 다.
상기 플렛폼(300)은 일종의 케이슨이 실려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진 케이슨지지대이다. 대차에 실려진 케이슨(100)을 진수시키기 위하여 케이슨이 실려지는 받침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2a와 같이 경사진수대(200)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수평지지대(320) 및 상기 수평지지대(32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310)을 포함하여 구성시킬 수 있으며, 수직지지대(320)는 경사진수대(200)의 경사도 및 수평지지대의 면적을 고려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지지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슨(100)이 경사진수대(200)에 설치된 플렛폼(300)에 실려진 상태에서는 일단 슬라이딩을 구속시켜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플렛폼(300)이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일시에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그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수단이 본 발명의 플렛폼 승강수단(400)이며, 도 3은 상기 플렛폼 승강수단(4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플렛폼승강수단(400)은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블록아웃된 승강홈(220)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로써,
높이조절대(411)에 지지되어 수평지지대(430)가 사이에 설치된 양단지지대(410);
플렛폼에 연결되는 경사플레이트로써, 상기 경사플레이트에는 구멍(421)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430a,430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지지대(420); 및
상기 경사지지대(420)가 중간을 관통하며, 상기 양단지지대(410) 사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경사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경사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431a)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430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440)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양단지지대 사이로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431b)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430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렛폼 승강수단(400)은 경사진수대(200)의 경사초입(C)으로부터 약간 아래에 설치되도록 도 2c에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경사진수대(200)의 상부쪽에 설치하여 플렛폼(300)의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경사진수대(200)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경사진수대(200)에는 본 발명의 플렛폼승강수단(400)을 설치할 수 있는 승강홈(450)이 경사진수대를 따라 다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블록아웃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홈(450)은 일종의 플렛폼승강수단(400)의 수용홈의 기능을 가지며, 플렛품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그 돌출높이를 줄여 플렛폼의 슬라이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 및 후술되는 플렛폼승강수단의 경사지지대를 1 스트로크 씩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작업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승강홈의 상부 즉, 경사진수대의 경사초입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400)를 구성하는
상기 양단지지대(410)는 도 3과 같이 경사진수대(410)의 경사면 정확하게는 승강홈(450) 하부 내면에 하부가 고정된 높이조절대(411) 상부에 지지되어 수평지지대(430)가 사이에 설치되도록 이격 되어 설치된 지지대로써, 상기 높이조절대와 함께 H 형강 등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높이 조절대의 형성 높이에 따라 양단지지대의 높이가 결정되는데 이는 플렛폼(300)의 이동속도 조절작업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정하면 되고, 경사진수대(200)의 경사면으로부터 약간만 노출되어 플렛폼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430)는 양단지지대(4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가압수단(440)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된 상부 수평지지대(430a) 및 하부 수평지지대(4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수평지지대(430b)의 양 단부는 양단지지대(410)에 고정되어 가압수단(440)의 지지대 역할을 하게되고, 상부 수평지지대(430a)는 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한 신장에 따라 양단지지대(410) 사이에서 승강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지지대에 고정되지 않고 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사지지대(420)는 케이슨지지대에 연결되는 경사플레이트로써, 상기 경사플레이트에는 구멍(421)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430a,430b)의 개략 중간부위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경사지지대(420)의 역할은 플렛폼(300)과 연결되어 플렛폼(300)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면서, 상기 구멍(421)에 삽입되는 핀에 의하여 1 스트로크씩 승강됨으로써 연결된 플렛폼(300)이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먼저, 경사지지대(430)와 플렛폼(300)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구(6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경사지지대(420)의 단부를 상,하로 겹쳐진 연결구멍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610)를 핀과 같은 고정구(620)로 먼저 연결시킨 후, 상기 연결플레이트(61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연결구멍에 역시 핀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지지플레이트(630)를 연결시킴과 더불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플렛폼(300)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렛폼(300)의 선단(D) 하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경사지지대에 의하여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플렛폼(300)이 도 2a와 같이 경사진수대(200) 초기 설치 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경사지지대(430)와 연결플레이트(610) 및 지지플레이트(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슬라이딩이 구속된 플렛폼(300)은 경사지지대(420)가 1 스트로크(경사지지대에 형성된 구멍과 구멍 간격)씩 승강되면서 1 스트로크 씩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승강된다.
이때, 경사진지대(200)에 설치된 플렛폼 승강수단(400) 사이사이에는 슬립패드(800)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렛폼(300)이 경사진수대(200)를 슬라이딩 될 때, 경사진수대(200)의 상부면과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하여 강판과 같은 슬립패드(8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슬립패드(800)과 플렛폼(300)이 서로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시 발생되는 마찰력은 역으로 급작스러운 슬라이딩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5a 내지 도 5f는 플렛폼 승강수단(400)에 의하여 플렛폼(300)의 승강모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사진수대(20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렛폼의 진수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레일과 같은 가이드수단(900)이 경사진수대(200)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5a와 같이 하부 수평지지대(430b)에 지지된 가압수단(440)에 의하여 상부 수평지지대(430a)는 지지되는데, 이는 가압수단(440)인 유압잭의 지지압력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상부 수평지지대(430a)에 설치된 상부 핀지지구(450)에 의하여 경사지지대(42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제 1핀(470a)의 하부가 상기 상부 핀지지구(450)에 의하여 지지되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플렛폼(300)도 초기 설치 위치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고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수평지지대(430a,430b) 사이의 경사지지대(420)의 구멍에 제 2핀(470b)이 1 스트로크 하강길이를 고려하여 삽입되어 있다.
도 5b와 같이 가압수단(440)인 유압잭을 하강시키면 제 2핀(470b)이 하부 수평지지대(430b)에 설치된 하부 핀지지구(46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플렛폼이 연결된 경사지지대(420)는 유압잭을 하강시킨 만큼(1 스트로크) 하강되어 지지 된 상태가 되며 결국, 상기 경사지지대(420)와 도 4와 같이 연결된 플렛폼(300)이 1 스트로크 만큼 하강된다.
도 5c와 같이 제 1핀(470a)을 경사지지대(410)에서 빼 낸 후, 최종적으로 유압잭을 최종 하강시켜 1 스트로크의 하강이 완성되도록 한다.
도 5d 내지 도 5f는 경사지지대(420)가 수평지지대(430a,430b)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수단(440)인 유압잭을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승시킴에 따라 플렛폼(300)도 함께 상승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d와 같이 하부 수평지지대(430b)에 지지되며 하강작동된 가압수단(440)에 의하여 상부 수평지지대(430a)는 지지된 상태가 유지됨과 더불어 하부 수평지지대(430b)에 설치된 하부 핀지지구(460)에 의하여 경사지지대(41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제 2핀(470b)의 하부가 상기 하부 핀지지구(46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수평지지대(430a) 상부의 경사지지대(410)의 구멍에는 제 1핀(470a)이 1 스트로크 상승높이를 고려하여 삽입되어 있다.
도 5e와 같이 가압수단(440)인 유압잭을 상승시키면 제 1핀(470a)이 상부 수평지지대(430a)에 설치된 상부 핀지지구(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플렛폼이 연결된 경사지지대는 유압잭을 상승시킨 만큼(1 스트로크) 상승되어 지지된 상태가 되며 결국, 플렛폼이 1 스트로크 만큼 상승된다. 이때 경사지지대가 상부 수평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약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여지가 남겨진 상태에서 1 스트로크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제 2핀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의 구멍에서 빼낼 수 가 있다.
도 5f와 같이 제 2핀(140b)을 경사지지대(420)에서 빼 낸 후, 최종적으로 1 스트로크의 상승이 완성되도록 한다.
만약 경사지지대(420)의 길이가 케이슨(300)을 진수시키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700)를 이용하여 경사지지대의 길이를 도 6과 같이 연장시킬 수 있다.
즉, 경사지지대(42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구멍(421)에 핀을 삽입하되 좌, 우 양쪽에 상기 연결플레이트(700)를 맞대어 양 경사지지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경사진수대(420)를 이용하여 케이슨(100)을 진수시킨 후 부력바지선(500)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예인시키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a와 같이 케이슨제작장(A)에서 제작한 케이슨(100)을 경사진수대(200)의 경사초입(C)에 설치된 플렛폼(300)에 옮겨 실게 된다.
이때 경사진수대(200)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400)에 의하여 플렛폼(300)의 슬라이딩이 구속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 경사진수대(A)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도 3과 같은 플렛폼승강수단(400)이 설치되어 있어 1 스트로크 씩 진수부위(D)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수부위의 수위는 케이슨(100)의 자체부력에 의하여 수중에 띠워지지 않을 소지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2c 및 도 7a와 같이 양단수직부(510)에 의하여 케이슨 수용공간(S)가 형성되며, 양단수직부(510)을 지지하는 몸 체부(520)를 포함하는 부력바지선(500)을 이용한다.
부력바지선(500)은 물을 채우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520)의 하부 일부만 수중에 잠겨져 있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물을 채우면 도 7b와 같이 몸체부(520)의 대부분이 수중에 잠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c와 같이 부력바지선(500)을 케이슨(100)이 진수된 위치까지 예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S)에 케이슨(100)이 위치하도록 예인시키게 된다.
즉, 케이슨과 부력바지선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도 7c와 같이 부력바지선의 양단수직부가 케이슨(100)에 설치된 브라켓(110) 하부에 걸리도록 한다.
결합된 케이슨(100)을 수중에 띄우기 위하여, 부력바지선(500)에 채워진 물을 양수시키면 그 무게만큼 부력바지선은 부상하려는 부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부력은 상기 브라켓(110)에 전달되어 도 7d와 같이 케이슨(100)이 부력바지선(500)과 함께 수중에 뜰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7e와 같이, 케이슨과 함께 결합되어 수중에 띄워진 부력바지선을 케이슨(100)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까지 예인시켜 케이슨(100)이 수중 저면에 안착되면
다시 부력바지선(5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부력바지선(500)은 몸체부 대부분이 수중에 잠기면서 자연스럽게 안착된 케이슨(100)과 분리된다.
케이슨과 분리된 부력바지선(500)은 도 7f와 같이 근처에 예인시킨 후, 물을 양수시키게 되면 부력바지선(500)은 몸체부(520)의 일부만 잠겨 뜬 상태가 된다.
이러한 부력바지선(500)은 다시 진수된 케이슨(100)을 예인시키기 위하여 진 수대로 예인된다.
본 발명의 케이슨 진수대에 의하여 비교적 케이슨 규격이 큰 경우에 있어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진수부위에 있어서도 별도의 준설작업없이도 용이하게 케이슨을 예인하여 설치할 수 있어 케이슨 설치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케이슨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케이슨제작장(A)에 대차(B)를 이용하여 케이슨(100)을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300)까지 운반 후 진수시키는 케이슨 제작 및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수대는 케이슨제작장(A)과 연장되어 수중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경사초입에 플렛폼승강수단(400)이 설치된 경사진수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렛폼(300)은 대차로부터 옮겨 실려진 케이슨을 지지하는 케이슨지지대로써, 실려진 케이슨과 함께 플렛폼승강수단(400)에 의하여 경사진수대(220)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400)은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블록아웃된 승강홈(220)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로써,
    높이조절대(411)에 지지되어 수평지지대(430)가 사이에 설치된 양단지지대(410);
    플렛폼에 연결되는 경사플레이트로써, 상기 경사플레이트에는 구멍(421)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대(4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지지대(420); 및
    상기 경사지지대(420)가 중간을 관통하며, 상기 양단지지대(410) 사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경사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경사지지대에 형 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431a)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430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440)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양단지지대 사이로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431b)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430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은
    경사진수대(200)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수직지지대(310); 및
    상기 수직지지대(310) 상부면에 지지되어 설치된 수평지지대(32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 상부에 케이슨이 옮겨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와 플렛폼은
    플렛폼(300)에 고정된 지지프레이트(630); 및
    구멍(421)이 형성된 경사지지대(420)의 단부와 연결구멍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며, 고정구(620)로 경사지지대와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킨 연결플레이트(610);
    를 포함하는 연결구(6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420)는
    연결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구멍에 핀을 끼움으로서 분절된 경사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700)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수대(200) 상부면에 플렛폼승강수단(400) 사이사이로 슬립패드(8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수대(200)의 측면에서는 플렛폼(300)의 진수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9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8. 케이슨제작장(A)로부터 대차(B)를 이용하여 진수대(200)에 설치된 플렛폼(300)까지 측면에 부력브라켓(110)이 부착된 케이슨(100)을 이동시킨 후,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400)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슨(100)을 진수시키고,
    상기 진수된 케이슨(100)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이 양단수직부(510)에 의하여 형성된 부력바지선(500)에, 물을 채워 상기 케이슨이 위치한 장소까지 예인시키되 케이슨의 부력브라켓(110)이 상기 양단수직부(520)에 얹어져 설치되도 록 위치시키고,
    상기 부력바지선(500)에 채워진 물을 비워 발생된 부력에 의하여 케이슨을 부력바지선과 함께 수중에 띄우고,
    케이슨과 일체화된 부력바지선을 소정의 위치까지 예인한 후, 다시 부력바직선에 물을 채워 케이슨이 부력바지선과 분리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수대는 케이슨제작장(A)과 연장되어 수중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경사초입에 플렛폼승강수단(400)이 설치된 경사진수대(200)를 포함하며,상기 플렛폼(300)은 대차로부터 옮겨 실려진 프레임구조체로써, 실려진 케이슨과 함께 플렛폼승강수단(400)에 의하여 경사진수대(220)를 따라 승강되는 케이슨지지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400)은
    경사진수대(200)를 따라 블록아웃된 경사홈(450)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로써,
    높이조절대(411)에 지지되어 수평지지대(430)가 사이에 설치된 양단지지대(410); 플렛폼에 연결되는 경사플레이트로써, 상기 경사플레이트에는 구멍(421)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430a,430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지지대(420); 및
    상기 경사지지대(420)가 중간을 관통하며, 상기 양단지지대(410) 사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경사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경사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431a)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430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440)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양단지지대 사이로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431b)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430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KR1020040057165A 2004-07-22 2004-07-22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KR10066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65A KR100668485B1 (ko) 2004-07-22 2004-07-22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65A KR100668485B1 (ko) 2004-07-22 2004-07-22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030U Division KR200366910Y1 (ko) 2004-07-23 2004-07-23 케이슨 진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788A true KR20060007788A (ko) 2006-01-26
KR100668485B1 KR100668485B1 (ko) 2007-01-15

Family

ID=3711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165A KR100668485B1 (ko) 2004-07-22 2004-07-22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064B1 (ko) 2021-12-24 2023-09-01 현대건설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플로팅 도크가 필요 없는 케이슨 진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485B1 (ko) 200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713B2 (en) Structure for transporting, commissioning and decommissioning of a deck of a fixed oil platfor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tructure
US20080131209A1 (en) Structure For Transporting, Commissioning and Decommissioning the Elements of a Fixed Oil Platfor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uch a Structure
US20100150660A1 (en) Offshore oil production platform
JP2012180088A (ja) 風力タービンを洋上サイトに輸送するための船舶およびそれを設置する方法
JP2007523011A (ja) 陸上で建造された船舶の横方向進水工法とその装置
US4002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erection of offshore towers
KR20120120216A (ko) 유니버설 인양 및 진수 시스템과 작동 방법
US20090324342A1 (en) Structure for the transport,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an oil rig deck and method for using one such structure
KR100940795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WO2013045640A1 (en) A structure for offshore operation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US8888410B2 (en) Modular heavy lift system
KR20170107629A (ko) 해양구조물 설치장비
KR100668485B1 (ko)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KR200366910Y1 (ko) 케이슨 진수대
US5237949A (en) Floating platform shallow draft hull/deck mating
KR100705209B1 (ko) 케이슨의 제작 이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3123936A (ja) 自己昇降式台船の支持脚補強装置及び支持脚補強方法
KR100336071B1 (ko) 케이슨의 제작 이동 장치 및 그 방법
KR102447802B1 (ko) 피어(pier)에 연결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선박 리프트 플랫폼
JP6890178B2 (ja) 港湾プラント、及び港湾プラントに浮体を係留するための方法
JP2007321475A (ja) 橋梁施工用台船及び橋梁撤去工法
KR100525710B1 (ko)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KR20130117171A (ko) 탑 사이드 데크 콘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338570B1 (ko) 해양석유생산플래트폼과 이러한 플래트폼을 석유생산지에설치하는 방법
KR20200137622A (ko) 잭업 레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