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236A -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236A
KR20060007236A KR1020040056012A KR20040056012A KR20060007236A KR 20060007236 A KR20060007236 A KR 20060007236A KR 1020040056012 A KR1020040056012 A KR 1020040056012A KR 20040056012 A KR20040056012 A KR 20040056012A KR 20060007236 A KR20060007236 A KR 2006000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int
user
intak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435B1 (ko
Inventor
김윤수
정희준
김도균
김영섭
안성원
정효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량, 식단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체중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체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운동 포인트와 제1 섭취 포인트와 제1 체중을 입력 받는 단계;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제1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1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1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1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제1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1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웰빙, 체중 관리 시스템, 가중치, 식단, 운동량

Description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weigh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가중치 분석 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가중치 분석 단계(S4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 흐름도.
도 5는 순소비 칼로리와 체중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체중 측정기 20 : 운동량 측정기
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0 : 체중 관리 시스템
110 : 체중 입력 모듈 120 : 운동량 입력 모듈
130 : 식단 입력 모듈 140 : 가중치 분석 모듈
150 : 처방 모듈 170 : 메모리
180 : 제어 모듈 190 : 기본 정보 입력 모듈
본 발명은 체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량, 식단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체중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체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웰빙(well-being)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웰빙은 말 그대로 건강한 인생을 살자는 의미이며,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이나 문화 코드로 새롭게 해석되고 있다. 근래에 웰빙과 관련하여, 식품, 의류, 피부관리, 체중 관리 등 다양한 상품이 보급되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중에서, 체중 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한 체중을 목표로 처방된 식단 및 운동량을 준수함으로써 원하는 체중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시스템이다. 체중 관리 시스템은 실제적인 일간 체중 감량 계획을 가능하게 하고, 개인의 체중, 섭취 칼로리, 운동 칼로리, 및 일반 활동 칼로리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종래의 체중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나이, 키, 몸무게 등의 기본 신체 정보를 포함한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목표 체중을 포함한 설문에 답한다. 그러면, 체중 관리 시스템은 적정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를 계산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정 식단 처방과 운동 처방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시한 적정 운동 프로그램과 적정 식단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식생활과 여가 생활에 반영하고, 섭취한 식단 정보와 소비한 운동 정보와 측정한 체중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한다. 체중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저장 하고 시스템에서 제시된 수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수치를 비교하여 체중, 섭취 칼로리, 소비 칼로리 등의 그래프로 보여준다.
종래의 체중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단, 체중, 및 운동량의 세가지 사항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체중 입력의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하루 중에도 하루 중에도 가변적으로 증가, 감소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정확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체중계를 이용한다. 따라서, 측정 순간의 정확한 체중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량 입력의 경우에는, 식단 입력에 비하여 종류가 적고 단위가 명확하며 보조적으로 가속도계, 심박계, 충격량계 등의 운동량 측정기를 이용할 수 있어 비교적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식단 입력은 식재료의 종류, 식재료로부터 조리된 음식의 종류, 및 음식을 담는 용기의 종류가 다양하다. 그리고, 시스템이 제시하는 기준과 사용자가 인식하는 기준이 일치하지 않고 정확한 계수화가 어렵기 때문에 식단의 양을 측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처방 기간의 시작에서 종료시까지 사용자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체중을 관리하게 됨으로써 원하는 목표 체중에 도달하기 어렵다.
종래의 체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1999-0068633호는 전자 저울과 운동 기구가 결합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이어트 관리 프로그램이 전자 저울에 내장되어 있다. 이 기술은 하루 전 체중과 당일 체중을 비교하여 체중 증감을 계산하고, 색인표를 이용하여 체중 증감으로부터 운동과 식단을 처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체중에만 의존하여 처방을 하며 다이어트 관리의 실패 원인이 운동 처방 또는 식단 처방과 사용자의 인식과의 오차에서 기인한 경우에 대한 적응적 조치를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섭취한 식단의 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체중 변화량 및 운동량으로부터 역으로 산출해낼 수 있는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의 양을 비교 분석하여, 식단 및 운동량에 대한 보다 정확한 처방을 내림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체중에 보다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의 양의 상관 관계를 식단 입력시에 반영하여 산출된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의 양의 차이를 줄이고, 식단 처방을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시스템이 제시하는 수치와 사용자가 인식하는 수치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중 관리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제1 운동 포인트와, 제1 섭취 포인트와, 제1 체중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1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1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1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1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제1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1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체중 관리 방법은,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섭취 포인트와, 제2 운동 포인트와, 제2 체중을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2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2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2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2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2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2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계산된 제2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2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 및 상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는 일별로 계산되며, 관계식 "산술 섭취 포인트 = 기초 대사량 + 운동 포인트 - 체중 변화량×변환 상수 / 경과 기간" 에 따라서 역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1 체중과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기초 대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제1 운동 포인트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1 운동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일별 제1 운동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상기 계산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2 체중과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기초 대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제2 운동 포인트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2 운동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일별 제2 운동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상기 계산된 체중 변화량,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2 섭취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곱합으로써 제1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제1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2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가중치는,
Figure 112004031823195-PAT00001
에 따라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가중치는,
Figure 112004031823195-PAT00002
에 따라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단계 또는 상기 (e)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체중을 입력받았을 때, 소정의 재처방 임계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환 상수는 체중 구간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체중 관리 시스템(100)은 체중 입력 모듈(110)과, 운동량 입력 모듈(120)과, 식단 입력 모듈(130)과, 가중치 분석 모듈(140)과, 처방 모듈(150)과, 메모리(170)와, 제어 모듈(180)과,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중 관리 시스템(100) 이외에, 체중 관리 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체중 측정기(10), 운동량 측정기(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0)가 존재한다. 체중 입력 모듈(110), 운동량 입력 모듈(120), 및 식단 입력 모듈(130)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또는 자동으로 각 데이터를 수시로 입력하게 되며, 이 세 모듈을 합하여 '데이터 입력 모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체중 측정기(10)는 사용자의 체중을 수시로 측정하고 체중 입력 모듈(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한 체중을 전송한다. 그리고, 운동량 측정기(20)는 사용자 의 운동량을 수시로 측정하고 운동 입력 모듈(106)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한 운동량을 전송한다. 운동량 측정기(20)에서 사용자 운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각 운동기기 마다 별도의 측정 기준, 예컨대, 달린 거리나 들어 올린 무게 등 각 기기가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통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 기기와 무관하게 운동하는 사용자 자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가속도계를 이용하는 방법, 심박계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충격량계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체중 입력 모듈(110)은 체중 측정기(1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체중 측정기(10)에서 측정된 사용자 체중을 수신하여 제어 모듈(180)에 전달한다. 그리고, 운동량 입력 모듈(120)은 운동량 측정기(2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운동량 측정기(20)에서 측정된 사용자 운동량을 수신하여 제어 모듈(180)에 전달한다.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상 정보 및 관리 목표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180)에 전달한다. 이러한 신상 정보에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체중 등이 포함되며, 관리 목표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체중 관리 기간, 목표 체중 등이 포함된다.
식단 입력 모듈(1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 및 식단별 섭취량을 수신하여 제어 모듈(180)에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사용자로부터 식단 정보, 즉 식단 및 식단별 섭취량을 입력받아 이를 식단 입력 모듈(130)에 전송하며, 처방 모듈(150)로부터 처방 받은 내용 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패드 등의 입력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입력된 신상 정보와, 입력된 식단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체중, 및 입력된 사용자 운동량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제어 모듈(18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 모듈(180)에 제공한다.
제어 모듈(180)은 체중 관리 시스템(100) 내의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다른 모듈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메모리(170)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여 상기 다른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체중 입력 모듈(170)을 통하여 체중이 입력되면 재처방 임계 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재처방 임계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가중치 분석 모듈(140)에 가중치 분석을 명령한다. 이러한 재처방 임계 기간은 재처방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소한 경과 기간으로서, 예를 들어 일주일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체 체중 관리 기간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재처방 임계 기간과 체중 관리 기간이 같다면 체중 관리 기간 동안에는 재처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체중 관리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새로운 목표 체중이 설정될 때 재처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중치 분석 모듈(140)은 제어 모듈(18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체중 입력 정보, 식단 입력 정보, 운동량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분석한다. 가중치 분석 모듈(140)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처방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운동량 및 상기 분석된 가중치를 반영한 식단을 처방한다. 목표 체중에 도달하는가 여부는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의 차이, 즉 순소비 칼로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순소비 칼로리가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이 및 성별에 따라서 특정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운동량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 운동량에 따른 소비 칼로리를 처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기본 정보 입력을 할 때 희망하는 식단과 희망하는 운동량 중 하나를 이상을 입력하거나 희망하는 식단과 희망하는 운동량의 비중을 선택 또는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체중 측정기(10)에서 측정된 체중 값이 체중 입력 모듈(110)로 전달되는 경로나, 운동량 측정기(20)에서 측정된 운동량이 운동량 입력 모듈(120)로 전달되는 경로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가 처방 모듈(150) 또는 식단 입력 모듈(130)과 통신하는 경로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무선 LAN(wireless LAN), 무선 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직접 케이블 연결(serial, parallel) 등 어떠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체중 측정기(10), 운동량 측정기(2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도 1에서와 같이 체중 관리 시스템(100)이 사용자에 대하여 원격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체중 관리 시스템(100)과 별도로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체중 관리 시스템(100)이 사용자와 근거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체중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체중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가중치 분석 모듈(14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가중치 분석 모듈(140)은 체중 변화량 계산 모듈(141)과, 운동 포인트 계산 모듈(142)과, 기초 대사량 계산 모듈(143)과, 산술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4)과, 입력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5)과, 추정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6)과, 가중치 계산 모듈(1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트(point)'라는 용어는 섭취 식단에 따라서 증가하는 에너지, 또는 운동에 의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수화하여 표현한 용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포인트로는 대표적으로 칼로리(calorie), 킬로 칼로리(kilo-calorie), 주울(Joule) 등의 에너지 단위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에너지를 계수화할 수 있는 어떠한 단위라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포인트의 일 예로서 '칼로리(calorie)'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체중 변화량 계산 모듈(141)은 체중 입력 모듈(110)을 통하여 입력된 체중과 메모리(170)에 저장된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한다. 즉 체중 변화량은 현재 체중에서 이전 체중을 뺀 값이 된다. 여기서, 초기 체중이란 체중 관리를 시작할 때의 체중, 또는 특정 처방이 있은 후 측정한 최초의 체중을 의미한다.
그리고, 운동 포인트 계산 모듈(142)은 운동량 입력 모듈(120)을 통하여 수시로 입력된 운동량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일별 운동 포인트를 계산한다.
기초 대사량 계산 모듈(143)은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성별, 체중, 키, 나이 등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일별 기초 대사량을 계산한다. 일별 기초 대사량을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기로 한다. 여기서, W는 체중(단위: kg)을 의미하고, H는 키(단위: cm)를 의미하며, A는 나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결과인 기초 대사량의 단위는 cal(포인트)이다.
남자의 일별 기초 대사량 = 66.47 +13.75×W +5×H -6.76×A
여자의 일별 기초 대사량 = 655.1 + 9.56×W +1.85×H -4.68×A
한편, 산술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4)은 계산된 일별 운동 포인트와,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계산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는 방법으로 소모 포인트와 체중 변화량이 비례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순소모(net comsumption) 포인트와 체중 변화량이 비례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수학적, 통계적 방법으로 스프레드시트의 추세선과 유사한 관계식을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할 것이다.
순소모 포인트와 체중 변화량이 비례 관계를 형성한다는 가정하에서, 순소모 포인트와 체중 변화량 간에는 다음의 수학식 2의 관계를 만족한다. 여기서 변환 상수는 kg당 포인트를 의미하며, -7700 Cal/kg (또는 kcal/kg 또는 cal/g)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변환 상수가 음의 값을 갖는 이유는 순소모 포인트가 양수일 때, 체중 변화량은 음수(체중 감량)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경과 기간이란 체중 변화가 발생한 동안의 기간을 의미한다.
순소모 포인트 = 체중 변화량×변환 상수
여기서, 순소모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면 수학식 3과 같다.
일별 순소모 포인트 = 순소모 포인트 / 경과 기간 = 체중 변화량×변환 상수 / 경과 기간
그리고, 일별 순소모 포인트는 달리 표현하여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일별 순소모 포인트 = 일별 소모 포인트 - 일별 섭취 포인트
= 일별 기초 대사량 + 일별 운동 포인트 - 일별 섭취 포인트
따라서, 수학식 3과 수학식 4의 관계로부터 산술적으로 계산되는 일별 섭취 포인트, 즉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역산된다.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 = 일별 기초 대사량 + 일별 운동 포인트 - 체중 변화량×변환 상수 / 경과 기간
여기서, 일별 기초 대사량은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남자와 여자에 있어 그 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만, 일별 기초 대사량과 일별 운동 포인트는 수학식 5와 같이 별도의 파라미터로 하여 계산되기도 하지만, 이를 포괄하는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계산될 수도 있는데, 이를 '소모 포인트'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모 포인트는 실제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서 활동 포인트라고 표현되기도 하고, 일별 활동 포인트와 일별 운동 포인트의 합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편, 입력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5)은 식단 입력 모듈(130)을 통하여 입력되는 섭취 식단으로부터 섭취 포인트를 계산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공기밥 10공기, 쇠고기 500g 등과 같이, 통상 자신의 섭취한 식단과 식단별 섭취량을 입력하게 된다. 입력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5)은 각 식품당 포인트를 테이블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식품당 포인트와 섭취량을 곱하고 이를 사용자가 섭취한 전체 식품에 대하여 합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으로부터 섭취 포인트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식단의 형태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여 입력한다면 본 모듈(145)은 생략될 수 있다.
추정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6)은 계산된 섭취 포인트에 가중치를 곱합으로써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한다. 초기 처방시에는 가중치를 고려하여 처방을 하지 않으므로, 제1차 재처방시에는 입력되는 섭취 포인트가 그대로 추정 섭취 포인트가 된다. 마찬가지로 그 이후의 재처방시에는 그 이전 재처방시에 계산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섭취 포인트에 그 이전 재처방시 사용된 가중치를 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섭취 포인트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추정 섭취 포인트에서 '추정'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사용자가 식단 내지 섭취 포인트에 대하여 갖는 오류의 패턴이 그 이 전의 패턴들과 어느 정도 유사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가중치 계산 모듈(147)은 상기 계산된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산술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4)에서 역산된 산술 섭취 포인트를 비교하여, 현재의 가중치를 계산한다. 가중치를 사용하는 기본 전제는 사용자는 섭취한 식단 및 식단별 섭취량에 대하여 인식하는 오류가 예측 가능한 추세를 갖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자신이 100을 섭취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120을 섭취하는 것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B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100을 섭취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80을 섭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A는 주어진 처방대로 했는데도 목표한 만큼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다고 불평할 것이고, 사용자 B는 주어진 처방대로 했는데 체중이 과도하게 감소하였다고 불평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사용자나 시스템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식재료의 종류, 식재료로부터 조리된 음식의 종류, 음식을 담는 용기의 종류, 또는 개인마다 갖는 흡수력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가중치를 처방시마다 수시로 계산함으로써 식단에 대한 정확한 계수화가 어려운 점을 보정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추정 섭취 포인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섭취 포인트에 단지 그전의 가중치를 곱한 결과가 잘 맞을 것이라고 추정한 것이지만, 사용자가 이전과는 상이한 오류를 범하거나 사용자에게 새로운 식습관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이전의 패턴과는 다소 달라질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다시 가중치에 의하여 보정되어 처방되어야 할 것이다.
가중치 계산 모듈(147)은 다음의 수학식 6에 따라서 새로운 가중치를 계산한다. 여기서, α는 0에서 1사이의 실수 값을 갖는 상수이며, n은 처방 횟수를 의미한다.
Figure 112004031823195-PAT00003
수학식 5와 같이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은 기존의 가중치에 대한 히스토리를 반영하기 위함이며, α가 클수록 현재의 변화를 보다 잘 반영하게 된다. 만약, α가 1인 경우에는 직전 가중치는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변화만을 반영한다는 의미가 된다. 만약, 첫번째 재처방을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직전 가중치는 존재하지 않거나, 단순히 1로 초기화되어 신뢰할 수 없는 값일 것이므로 그 때에는 α는 1이 된다.
그러면, 처방 모듈(150)은 잔여 체중 변화량 및 잔여 체중 관리 기간을 수학식 3에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에 각각 대입함으로써 일별 순소모 포인트를 계산한다. 계산된 일별 순소모 포인트는 수학식 4에 따라서 일별 기초 대사량과 일별 운동 포인트의 합에서 일별 섭취 포인트를 뺀 값이 된다.
여기서, 잔여 체중 관리 기간 동안 처방되는 일별 운동 포인트는, 초기 처방에서와 마찬가지로 나이, 성별 및 체중에 따라서 권장되는 적정한 운동량 수치를 따라 처방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초기 처방에서 정한 것과 동일한 운동량을 그대로 처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잔여 기간 동안 일별 기초 대사량도 수학식 1에 의 하여 간단히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순소모 포인트에서 상기 결정된 일별 운동 운동 포인트 및 상기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를 빼면 잔여 체중 관리 기간 동안 적정 일별 섭취 포인트가 계산된다.
이러한 적정 일별 섭취 포인트를 그대로 처방한다면, 예전과 같이 사용자가 식단을 계산함에 따른 오류가 그대로 반복될 것이다. 따라서, 처방 모듈(150)은 상기 적정 일별 섭취 포인트를 그대로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가중치 분석 모듈(140)에서 계산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이다. 처방되는 일별 섭취 포인트는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된다.
처방되는 일별 섭취 포인트 = 적정 일별 섭취 포인트 / 계산된 가중치
처방 모듈(150)은 상기 처방되는 일별 운동 포인트 및 일별 섭취 포인트에 따라서 운동량 및 식단을 각각 처방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software componen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class)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task)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processes), 함수들(functions), 속성들(properties), 프로시저들(procedures), 서브루틴들(sub-routines),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의 세그먼트들(segments), 드라이버들(drivers), 펌웨어(firmwares), 마이크로코드(micro-codes), 회로(circuits), 데이터(data), 데이터베이스(databases), 데이터 구조들(data structures), 테이블들(tables), 어레이들(arrays), 및 변수들(variables)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에 표시된 항목에 해당하는 신상 정보와 관리 목표를 입력한다(S10). 이러한 신상 정보로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체중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관리 목표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체중 관리 기간, 목표 체중 변화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입력된 신상 정보를 유무선을 통하여 체중 관리 시스템(100) 내의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에 전송하고, 제어 모듈(180)은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로부터 신상 정보를 전달 받아 메모리(17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처방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나이, 성별에 따라서 특정 체중을 감량하기 위하여 적정한 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운동량에 따른 일별 운동 포인트,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로부터 입력된 체중 관리 기간, 및 목표하는 체중 변화량을 수학식 5에 적용함으로써 적정 일별 섭취 포인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운동량과 상기 결정된 적정 일별 적정 섭취 포인트에 따른 식단을 사용자에게 초기 처방하고(S15),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통하여 표시한다(S20). 이와 같은 초기 처방 또는 후술하는 재처방시에는, 운동량 및 식단을 처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에 대응하는 일별 운동 포인트 및 일별 식단 포인트를 처방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그 후, 사용자는 처방된 운동량과 식단을 준수하도록 노력하면서 수시로 자신이 섭취한 식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를 통하여 입력한다(S26). 반면에, 운동량은 사용자가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량 측정기(20)를 통하여 체중 관리 시스템(100)에 자동으로 입력되며(S27), 마찬가지로 체중은 사용자가 체중 측정기(10)를 이용함으로써 체중 관리 시스템(100)에 자동으로 입력된다(S30).
만약, 상기 3가지 입력 항목 중 체중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 모듈(180)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재처방 임계 기간'이 경과하였는가를 먼저 체크하여(S35), 경과하지 않았으면(S35의 아니오) 위와 같이 3가지 항목을 입력받는 동작을 계속하고, 경과하였으면(S35의 예) 가중치 분석 모듈(140)이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가중치 분석 모듈(140)은 제어 모듈(180)의 명령에 따라서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고 계산된 가중치를 구한다(S40).
그 후, 처방 모듈(150)은 적정 운동량 내지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고, 잔여 체중 변화량, 잔여 체중 관리 기간, 및 처방된 운동량에 따라서 적정 일별 섭 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여기에 계산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일별 섭취 포인트 내지 이에 따른 식단을 재처방한다(S5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0)를 이용하여 재처방 결과를 표시한다(S55).
다음으로, 제어 모듈(30)은 체중 관리 기간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60), 종료되지 않았으면(S60의 아니오), 상기 3가지 항목을 입력받는 동작을 계속한다.
도 4는 가중치 분석 단계(S4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체중 변화량 계산 모듈(141)은 체중 입력 모듈(110)을 통하여 입력된 체중과 메모리(170)에 저장된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한다(S41)
그리고, 기초 대사량 계산 모듈(143)은 기본 정보 입력 모듈(19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성별, 체중, 키, 나이 등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일별 기초 대사량을 계산한다(S42). 일별 기초 대사량의 계산은 일 예로서,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운동 포인트 계산 모듈(142)은 운동량 입력 모듈(120)을 통하여 수시로 입력되는 운동량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일별 운동 포인트를 계산한다(S43).
그러면, 산술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4)는 계산된 일별 운동 포인트와,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계산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한다(S44). 이러한 일별 산술 섭취 포인트는 예를 들어 수학식 5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5)은 식단 입력 모듈(130)을 통하여 입력되는 섭취 식단으로부터 섭취 포인트를 계산한다(S45).
그러면, 추정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6)은 계산된 섭취 포인트에 가중치를 곱합으로써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한다(S46).
마지막으로, 가중치 계산 모듈(147)은 상기 계산된 추정 섭취 포인트와 산술 섭취 포인트 계산 모듈(144)에서 계산된 산술 섭취 포인트를 비교하여, 현재의 가중치를 계산한다(S47). 이러한 가중치는 예를 들어 수학식 6에 따라서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순소비 칼로리와 체중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체내에 축적된 칼로리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세로축은 체중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로축에서 두 지점 간의 거리는 순소비 칼로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에서 두 지점 간의 거리는 체중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순소비 칼로리와 체중 변화량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에 보다 가까운 모델에서는 순소비 칼로리와 체중 변화량이 서로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 패턴 자체는 비례하는 패턴을 나타내며 다만 그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을 뿐이다. 따라서, 비선형 그래프를 도 5와 같이 소정의 구간으로 세분화한다면 그 구간 내에서는 선형적으로 근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각 구간에서 이루는 기울기는 서로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변환 상수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체중이 [w2, w3] 구간에 존재할 때의 변환 상수와, 체중이 [w1, w2] 구간에 존재할 때의 변환 상수는 서로 다른 값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치로 표현되는 실제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로서 나이, 키, 체중이 동일한 남성 M1, M2, M3가 있고, 이들의 나이, 키, 체중은 각각 30세, 170cm, 70kg이라고 하고, 이들은 모두 체중 관리 기간인 100일 동안 5kg을 감량하여 65kg에 도달하기를 희망한다고 한다. 그리고 체중 관리 시스템(100)은 일별 운동 칼로리를 1,000 cal로 고정적으로 처방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세 남성 M1, M2, M3의 일별 기초 대사량, 일별 순소모 칼로리, 일별 섭취 칼로리는 다음의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일별 기초 대사량 = 66.47 + 13.75 × 체중 + 5 × 키 - 6.76 × 나이 = 66.47 + 13.75 × 70 + 5 × 170 - 6.76 × 30 = 66.47 + 962.5 + 850 - 202.8 = 1,676.17 ≒ 1,676 일별 소모 칼로리 = 목표 감량 체중 × 7,700 cal/kg / 체중 관리 기간 = 5 kg × 7,700 cal/kg / 100 일 = 38,500 cal / 100 일 = 385 cal/일 일별 섭취 칼로리 = (일별 기초 대사량 + 일별 운동 칼로리) - 일별 소모 칼로리 = (1,676 + 1,000) - 385 = 2,291 cal/일
그리고, 이들은 처방 받은대로 100일간 매일 1,000 cal의 운동량과 2,291 cal의 음식량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처방 기간이 끝나서 체중을 측정한 결과, 각각 68 kg, 65 kg, 62 kg으로 체중 감량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고 하자.
그런데 앞서 전제한 바와 같이, 체중과 운동량은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므로, 체중 감량 효과가 서로 달랐다고 한다면 그 원인은 섭취 칼로리가 개인마다 달랐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차이를 알기 위해 가중치를 다음의 표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M1의 일별 산술 섭취 칼로리 = (일별 기초 대사량 + 일별 운동 칼로리) - (기존 체중 - 도달 체중) × 7,700 cal/kg / 100일 = (1,676 cal + 1,000 cal) - (70 kg - 6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2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15,400 cal / 100일 = 2,676 cal - 154 cal = 2,522 cal M2의 일별 산술 섭취 칼로리 = (1,676 cal + 1,000 cal) - (70 kg - 65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5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38,500 cal / 100일 = 2,676 cal - 385 cal = 2,291 cal M3의 일별 산술 섭취 칼로리 = (1,676 cal + 1,000 cal) - (70 kg - 62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8 kg × 7,700 cal/kg / 100일 = 2,676 cal - 61,600 cal / 100일 = 2,676 cal - 616 cal = 2,060 cal
그리고, 각자의 가중치는 다음의 표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 섭취 칼로리는 초기에는 가중치가 디폴트 값으로 1이므로 입력된 섭취 칼로리가 그대로 가중 섭취 칼로리가 될 것이다. 다만, 이 경우 α=1로 채택하기로 한다.
M1의 가중치 = 산술 섭취 칼로리 / 가중 섭취 칼로리 = 2,522 cal / 2,291 cal ≒ 1.1 M2의 가중치 = 2,291 cal / 2,291 cal ≒ 1.0 M3의 가중치 = 2,060 cal / 2,291 cal ≒ 0.9
여기서 사용자 M2는 이미 목표 체중에 도달했기 때문에 재처방이 필요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중치 역시 1.0이기 때문에 또 다른 목표로, 예를 들어 60 kg로 재처방을 받더라도 가중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처방은 동일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 A와 C는 목표 체중에 못 미쳤거나 목표 체중 이하로 떨어졌고, 가중치는 각각 1.1, 및 0.9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이 처음의 목표 체중으로 재처방을 받을 때, 또는 새로운 목표 체중으로 재처방을 받을 때 시스템은 가중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처방을 내리게 된다.
목표 체중을 60 kg로 재설정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가중치를 사용하지 않고 재처방을 내리게 되면 사용자 M1, 및 M3에 대한 재처방 결과는 표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M1의 일별 기초 대사량 = 66.47 + 13.75 × 68 + 5 × 170 - 6.76 × 30 = 66.47 + 935 + 850 - 202.8 = 1,648.67 ≒ 1,649 M1의 일별 순소모 칼로리 = 8 kg × 7,700 cal/kg / 100 일 = 61,600 cal / 100 일 = 616 cal M1의 일별 섭취 칼로리 = (1,649 + 1,000) - 616 = 2,032 cal M3의 일별 기초 대사량 = 66.47 + 13.75 × 62 + 5 × 170 - 6.76 × 30 = 66.47 + 852.5 + 850 - 202.8 = 1,566.17 ≒ 1,566 M3의 일별 순소모 칼로리 = 2 kg × 7,700 cal/kg / 100 일 = 15,400 cal / 100 일 = 154 cal M3의 일별 섭취 칼로리 = (1,566 + 1,000) - 154 = 2,412 cal
목표 체중을 60kg로 재설정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은 가중치를 사용하고 재처방을 내리게 되면 사용자 M1, 및 M3에 대한 재처방 결과는 표 5와 같이 계산된다.
M1의 일별 섭취 칼로리 = 2,033 / 1.1 = 1,848 M3의 일별 섭취 칼로리 = 2,412 / 0.9 = 2,680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M1와 M3의 음식 섭취 정보에는 오차가 각각 1.1, 0.9의 비율로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 M1, M3가 표 4와 같이 가중치를 사용하지 않은 처방을 따라 음식 섭취를 하고 그 오류의 추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하면, 실제로는 실제로는 다음의 표 6와 같이 섭취하게 될 것이고, 목표 체중과는 여전히 격차가 생기게 된다.
M1의 실제 섭취 칼로리 = 2,032 × 1.1 = 2,236 M3의 실제 섭취 칼로리 = 2,412 × 0.9 = 2,170
표 5에서와 같이 가중치를 사용한 처방에 따라 음식 섭취를 할 경우도 그 오 류 추세는 그대로 유지 된다고 하면, 오차는 각각 1.1, 0.9이므로 실제로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섭취하게 될 것이다.
M1의 실제 섭취 칼로리 = 1,848 × 1.1 = 2,032 M3의 실제 섭취 칼로리 = 2,680 × 0.9 = 2,412
따라서, 산술 섭취 칼로리와 입력 섭취 칼로리가 일치하지 않고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그 오차를 보정하지 않고 재처방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 처방을 따른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동일한 오차가 발생하므로 목표 체중에 도달하지 못한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가중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정 섭취 칼로리를 가중치로 나눈 섭취 칼로리를 처방하고, 만약 오류의 추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사용자는 실제로 적정 섭취 칼로리를 섭취하게 되어, 목표로 하는 체중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오류 추세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 즉 처음에는 오류의 비율이 1.1이어서, 가중치를 1.1로 하여 재처방하였는데, 그 후 재처방에 따른 체중 관리 과정에서는 오류의 비율이 1.1이 아닌 값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체중에 도달할 수 없지만 다시 재처방을 할 때 그 오류 추세의 변화를 고려하여 수학식 6과 같이 가중치를 계산한다면 재처방 회수가 증가할수록 처방시 예측한 섭취 칼로리와 실제 사용자가 체중 관리 과정에서의 섭취 칼로리의 오차는 줄어들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체중 관리를 통하여 원하는 체중 목표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 변화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요소에 대하여 그 수치를 적응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7)

  1. (a) 사용자로부터 제1 운동 포인트와, 제1 섭취 포인트와, 제1 체중을 입력 받는 데이터 입력 모듈;
    (b)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1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가중치 분석 모듈; 및
    (c)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1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1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1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제1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1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처방 모듈을 포함하는, 체중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제2 섭취 포인트와, 제2 운동 포인트와, 제2 체중을 입력 받고,
    상기 가중치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2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2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2 가중치를 계산하며,
    상기 처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2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2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2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계산된 제2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2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체중 관리 시스템.
  3. (a) 사용자로부터 제1 운동 포인트와, 제1 섭취 포인트와, 제1 체중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1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1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1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1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제1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1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섭취 포인트와, 제2 운동 포인트와, 제2 체중을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사용자의 체중 변화량 및 상기 제2 운동 포인트로부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를 역산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2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2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제2 관리 목표에 따라서 제2 적정 운동 포인트 및 제2 적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적정 섭취 포인트에 상기 계산된 제2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 및 상기 제2 적정 운동 포인트를 처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키, 나이, 및 체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목표는 목표 체중 변화량, 및 체중 관리 기간을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술 섭취 포인트 및 상기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는 일별로 계산되며,
    산술 섭취 포인트 = 소모 포인트 - 체중 변화량 × 변환 상수 / 경과 기간에 따라서 역산되는데,
    상기 소모 포인트는 기초 대사량과 운동 포인트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1 체중과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기초 대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제1 운동 포인트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1 운동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일별 제1 운동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상기 계산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제1 섭취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제1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1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2 체중과 초기 체중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체중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본 신체 정보로부터 기초 대사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제2 운동 포인트의 누적값을 해당 일수로 나눈 평균을 구함으로써 상기 제2 운동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일별 제2 운동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일별 기초 대사량, 상기 계산된 체중 변화량, 및 경과 기간을 이용하여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를 일별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2 섭취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곱합으로써 제1 추정 섭취 포인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제1 추정 섭취 포인트와 상기 계산된 제2 산술 섭취 포인트로부터 제2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Figure 112004031823195-PAT00004
    에 따라서 계산되는, 체중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는,
    Figure 112004031823195-PAT00005
    에 따라서 계산되는데, 상기 α는 0에서 1사이의 실수값을 갖는, 체중 관리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목표는 잔여 목표 체중 변화량, 및 잔여 체중 관리 기간을 포함하는데, 상기 잔여 목표 체중 변화량은 제1 관리 목표에서의 목표 체중 변화량 중 이미 달성된 체중 변화량을 제외한 나머지 목표 체중 변화량을 의미하고, 상기 잔여 체중 관리 기간은 제1 관리 목표에서의 체중 관리 기간 중 이미 경과한 경과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의미하는, 체중 관리 방법.
  12.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체중을 입력받았을 때, 소정의 재처방 임계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행되는, 체중 관리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체중을 입력받았을 때, 소정의 재처방 임계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행되는, 체중 관리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상수는 체중 구간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갖는, 체중 관리 방법.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값들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받는, 체중 관리 방법.
  1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로 표시된 용어는 칼로리(calorie)를 의미하는, 체중 관리 방법.
  17.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56012A 2004-07-19 2004-07-19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5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12A KR100654435B1 (ko) 2004-07-19 2004-07-19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12A KR100654435B1 (ko) 2004-07-19 2004-07-19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36A true KR20060007236A (ko) 2006-01-24
KR100654435B1 KR100654435B1 (ko) 2006-12-06

Family

ID=3711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012A KR100654435B1 (ko) 2004-07-19 2004-07-19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4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46A1 (ko) * 2016-07-20 2018-01-25 정광철 음식물 섭취량 및 체중 변화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시스템
WO2019039819A1 (ko) * 2017-08-22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 강도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14656B1 (ko) * 2020-02-26 2020-05-25 주식회사 급시우 목표 체중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596936A (zh) * 2020-12-04 2022-06-07 广州伽德罗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体型计划定制方法及相关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46A1 (ko) * 2016-07-20 2018-01-25 정광철 음식물 섭취량 및 체중 변화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관리 시스템
CN109477756A (zh) * 2016-07-20 2019-03-15 郑光喆 用于测量食物摄入量和体重变化量的智能托盘以及重量管理系统
US11443844B2 (en) 2016-07-20 2022-09-13 Kwang-Cheol Jeong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WO2019039819A1 (ko) * 2017-08-22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 강도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10506B2 (en) 2017-08-22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xercise intensity on basis of user activity information
KR102114656B1 (ko) * 2020-02-26 2020-05-25 주식회사 급시우 목표 체중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596936A (zh) * 2020-12-04 2022-06-07 广州伽德罗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体型计划定制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435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709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331051B2 (en) Analysis of glucose median, variability, and hypoglycemia risk for therapy guidance
US10019554B2 (en) Glycemic risk determination based on variability of glucose
US6095949A (en) Health management device
EP2627251B1 (en) Handheld diabetes management device with bolus calculator
Shei et al. Wearable activity trackers–advanced technology or advanced marketing?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CN110692105A (zh) 用于计算、显示、修改和使用反映消费品的最佳数量和质量的单膳食摄入量评分的系统和方法
RU2712395C1 (ru) Способ выдачи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поддержанию здорового образа жизни на основе параметров ежеднев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отслеживаемых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KR102330705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CN107106029A (zh) 用于向受检者提供健康建议的系统、设备、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20220005580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basing on daily activity parameters of user, automatically tracked in real time,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0654435B1 (ko) 체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4098658A (zh) 一种健康状态的监测方法及装置
KR20160034199A (ko)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6224879A (ja) 身長予測方法および体重予測方法
CN109390042A (zh) 健康报告生成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005787A (zh) 一种基于智能手表的卡路里管理系统
WO2004097708A2 (en) Method of managing weight using control cycle and period
KR100525773B1 (ko)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20230148910A1 (en) Lifestyle activity detection for diabetes management
KR102484399B1 (ko) 빅데이터 기반 클라우드 연동 플랫폼을 이용한 그룹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121602A1 (ja) 肌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4010857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2027801A (ja) 血糖値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