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611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611A
KR20060006611A KR1020040055717A KR20040055717A KR20060006611A KR 20060006611 A KR20060006611 A KR 20060006611A KR 1020040055717 A KR1020040055717 A KR 1020040055717A KR 20040055717 A KR20040055717 A KR 20040055717A KR 20060006611 A KR20060006611 A KR 2006000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andy
key
activated
fun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769B1 (ko
Inventor
안현주
윤종관
리둥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69B1/ko
Priority to CNB2005100052187A priority patent/CN100340956C/zh
Publication of KR2006000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중문 입력 시 엘리먼트(Elements)와 캔디디트(Candidate)를 핫 키와 넘버 키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음 엘리먼트 입력 시 그 문자로 시작하는 엘리먼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기능키(*, #)에 대응시켜 엘리먼트 입력화면 하단에 표시하고, 상기 해당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할 경우, 그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선택되어 입력창(Input contents)에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방향키 이동에 의해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캔디디트 선택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된 넘버 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선택하여 해당 캔디디트가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CHINESE LET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 입력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문 입력 시 엘리먼트(Elements)와 캔디디트(Candidate)를 핫 키와 넘버 키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문 입력 시 중요한 것은 엘리먼트(Elements) 입력과 캔디디트(Candidate)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종래 캔디디트를 핫 키(Hotkey)로만 선택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기구적으로 숫자 키 이외의 별도의 핫 키가 반드시 있어야만 적용이 가능하며, 키의 배치위치에 따라 운지 거리가 가변적이고 멀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숫자로 선택하는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캔디디트만 선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넘버 키로만 캔디디트를 선택하는 방식은, 쇼트 키(Short Key) 동작 방식의 경우 병음 엘리먼트를 입력하는 중에는 캔디디트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롱 키(Long key) 동작 방식의 경우에는 롱 키 동작 방식이 직관적이지 않아 사용이 어렵고 숙련자의 입력속도 향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중문 입력 시 엘리먼트(Elements)와 캔디디트(Candidate)를 핫 키와 넘버 키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음 엘리먼트 입력 시 그 문자로 시작하는 엘리먼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기능키(*, #)에 대응시켜 엘리먼트 입력화면 하단에 표시하고, 상기 해당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할 경우, 그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선택되어 입력창(Input contents)에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방향키 이동에 의해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캔디디트 선택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된 넘버 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선택하여 해당 캔디디트가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 입력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키(*, #)를 단축키로 활용하여, 엘리먼트를 입력하는 중에도 캔디디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핫 키가 필요 없도록 하고, 모델마다 가변적이었던 운지 거리를 비교적 짧은 거리로 안정화시킨다.
즉, 도1의 (a)와 같이 화면 중단의 팝업 창을 통해 병음 엘리먼트를 입력할 경우, 그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엘리먼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추천 단어)가 기능키(*, #)에 대응하여, 엘리먼트 입력화면 하단에 표시된다.
예컨대, 중문은 그 발음 기호를 영문으로 입력해서 해당하는 중문으로 변환하는데, 처음 입력한 영문(예:W)으로 시작하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여 화면 중단의 캔디디트 선택 팝업창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할 경우, (b)와 같이 그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선택되어 입력창(Input contents)에 입력된다.
상기 (b)와 같이 병음 엘리먼트를 입력한 후에는 커서가 캔디디트 선택 화면에서 깜박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방향키(우측 방향키)를 눌러 이동해 가면, (c)와 같이 상기 입력된 엘리먼트로 시작하는 관련된 캔디디트가 넘버키에 대응하여 활성화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활성화된 넘버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d)와 같이 해당 캔디디트가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된다.
즉, 처음 병음 엘리먼트를 입력할 경우에는 기능키(*, #)만 활성화되고, 넘버키는 비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넘버 키의 활성화 여부 제어), 입력이 번거롭지 않도록(영문이 넘버 키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하고, 기능키에 대응된 단어가 없을 경우 넘버키를 활성화시켜, 그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a)의 병음 엘리먼트 입력 화면에서 하단의 확인(OK) 버튼을 누르거나 아래쪽 방향키를 누를 경우, (e)와 같이 입력된 병음 엘리먼트에 해당하는 캔디디트 선택 화면에서 커서가 깜박이고 있으며, 해당하는 캔디디트가 없을 경우 방향키(우측)를 눌러 이동해 가면, (f)와 같이 넘버 키가 활성화되고, 그에 대응하는 캔디디트가 넘버 키의 하단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캔디디트에 해당하는 넘버 키를 눌러, (g)와 같이 그 넘버에 해당하는 캔디디트가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엘리먼트 입력 시 선택할 수 있는 캔디디트를 기능 키에 대응하여 즉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입력된 엘리먼트로 시작하는 단어의 캔디 디트를 입력하거나, 기능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가 없을 경우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캔디디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무조건 넘버 키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필요시에만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그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은 단축키나 숫자키(넘버키) 중 하나만을 활용하여, 엘리먼트와 캔디디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병음 입력하는 상황을 분석하여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상황과, 캔디디트를 선택하는 상황을 구분하여, 범용 단축키와 캔디디트 선택만을 위한 숫자키(넘버키)를 동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은 중문 입력 시 엘리먼트(Elements)와 캔디디트(Candidate)를 핫 키와 넘버 키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먼트 입력 상황과 캔디디트 입력 상황을 구분하여, 숫자 단축키 방식을 병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캔디디트를 단축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자의 경우 입력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병음 엘리먼트 입력 시 그 문자로 시작하는 엘리먼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기능키(*, #)에 대응시켜 엘리먼트 입력화면 하단에 표시하고,
    상기 해당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할 경우, 그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선택되어 입력창(Input contents)에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을 경우, 방향키 이동에 의해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보다 많은 캔디디트 선택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된 넘버 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선택하여 해당 캔디디트가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 엘리먼트 입력 화면에서 하단의 확인(OK) 버튼을 누르거나 아래쪽 방향키를 눌러, 커서를 넘버키에 의한 캔디디트 선택 화면으로 이동시켜 넘버 키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대응하는 캔디디트가 넘버 키의 하단에 표시될 때, 원하는 캔디디트에 해당하는 넘버 키를 눌러 해당하는 캔디디트를 입력창(Input contents)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 엘리먼트 입력창은 그 하단에 캔디디트 선택창을 구비하고, 상기 캔디디트 선택창은 기능키(*, #)와 넘버 키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구분하고, 추천 단어가 대응되는 기능키는 상시 활성화시켜 엘리먼트 입력중에서 즉시 입력이 가능하게 하고, 기능키에 대응하지 않는 추가적인 캔디디를 선택해야할 때 넘버 키를 활성화시켜 그에 대응하는 캔디디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KR1020040055717A 2004-07-16 2004-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KR10058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17A KR100585769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CNB2005100052187A CN100340956C (zh) 2004-07-16 2005-02-01 一种移动通信终端的中文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17A KR100585769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11A true KR20060006611A (ko) 2006-01-19
KR100585769B1 KR100585769B1 (ko) 2006-06-07

Family

ID=3591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17A KR100585769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5769B1 (ko)
CN (1) CN10034095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12B1 (ko) * 2002-03-28 2007-05-18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문자 입력용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98965B (zh) * 2008-02-02 2010-12-15 嘉兴高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键盘汉字拼音输入方法
CN101303628B (zh) * 2008-07-09 2010-06-0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利用数字键盘进行字词输入的方法和装置
CN101634927B (zh) * 2008-12-04 2012-10-2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字符输入过程中展现候选项的方法及装置
CN101989128B (zh) * 2009-08-03 2014-07-2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在固定位置展现候选词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541A (en) 1997-01-24 1999-09-14 Tegic Communications, Inc. Disambiguating system for disambiguating ambiguous input sequences by displaying objec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nput sequences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f use
CN100334530C (zh) * 1997-09-25 2007-08-29 蒂吉通信系统公司 简化键盘多义性消除系统
CN1121004C (zh) * 2000-12-21 2003-09-1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小键盘的汉字输入方法
CN1412656A (zh) * 2001-10-19 2003-04-23 陈永康 一种文字输入方法
CN1367420A (zh) * 2002-02-23 2002-09-04 蒋子刚 数码键盘中文输入方法及其键位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12B1 (ko) * 2002-03-28 2007-05-18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문자 입력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2068A (zh) 2006-01-18
CN100340956C (zh) 2007-10-03
KR100585769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13910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1005857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 입력 방법
EP170124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nd selection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0286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nd selection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KR10162425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A2538636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word corr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029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JP6676985B2 (ja) 電子機器
EP170124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0641185B1 (ko) 휴대 단말기의 세벌식 한글 입력 방법
KR20170114649A (ko) 터치기반 이동단말기의 숫자입력용 확장키보드 변환방법 및 장치
KR10086619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20090130486A (ko) 온 스크린 키패드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39281B1 (ko)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JP2004199642A (ja) デジタル情報処理装置に文字を入力する方法
KR20040066978A (ko) 리모콘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KR200000201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