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496A -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496A
KR20060006496A KR20040055560A KR20040055560A KR20060006496A KR 20060006496 A KR20060006496 A KR 20060006496A KR 20040055560 A KR20040055560 A KR 20040055560A KR 20040055560 A KR20040055560 A KR 20040055560A KR 20060006496 A KR20060006496 A KR 2006000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information
update
virtual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5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977B1 (ko
Inventor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가입자가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가상머신, 애플케이션, 업데이트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Virtual Machine Application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무선 접속망
130 : 이동통신 교환국 136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40 : 망간 연동 장치(IWF) 150 : WAP 게이트웨이
160 : 인터넷 170 : 정보 제공 서버
180 :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202 : 프로그램 메모리
204 : 데이터 저장부 206 : 키입력부
208 : LCD 표시부 210 : 진동부
212 :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 214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6 : 마이크로프로세서 21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20 : 베이스밴드 변환부 222 : 스피커
224 : 마이크로폰 226 : RF 신호 처리부
228 :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Download)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가상머신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음성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문자,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게임,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업체(CP : Contents Provider)가 등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였다.
이에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자바(Java)언어로 제작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기반의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가상머신을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가상머신은 WAP 방식의 단점을 일부 보완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고 필요한 정보만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상머신이란 컴파일된 바이너리 코드와, 실제로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가상머신이 일단 한 플랫폼에 제공되면, 바이트코드라고 불리는 어떠한 자바 프로그램도 그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자바는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들이 각각의 플랫폼에 맞게 재 작성 되거나,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모든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이러한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여 컨텐츠 제공업체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들을 이러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한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컨텐츠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다운로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하기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일부 수정되면 수정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새롭게 다운로드하여야 했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수정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에서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러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0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 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계 (b)의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d)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제 2 목적에 의하면,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활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c)의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e)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저장하는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활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비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업데이트 정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읽어(Read) 상기 가상머신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저장하는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수신 모드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원격 업데이트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칭함)(136),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 칭함)(140),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하 'WAP'이라 칭함)게이트웨이(150), 인터넷(160), 정보 제공 서버(170),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접속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며,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통해 현재 수신 모드를 저장하고 수신 모드를 묵음(Mute) 모드로 전환하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저장되어 있는 수신 모드로 다시 전환한다.
또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하고,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와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와 연결할 수 있도록 중계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SMSC(136)와 무선접속망(120) 사이의 단문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MSC(136)는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C(136)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C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와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IWF(140)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IWF(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직접 연결되 어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150)는 유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50)는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상호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인터넷(160)에 연결된 정보 제공 서버(170)와 WAP 게이트웨이(150) 사이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WAP 게이트웨이(150) 사이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WAP 게이트웨이(150)는 WA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웹사이트 주소(URL) 요청을 HTTP 요청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160)을 통해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 제공 서버(170)에 웹사이트 주소(URL)를 요청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50)는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컨텐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달한다. WAP 게이트웨이(150)를 경유한 데이터는 이진 코드로 변환되기 때문에 데이터 양이 적어지고 이동통신망으로 전송시 부담이 경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인터넷(16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내부 인트라넷망이 될 수 있고, 공용으로 사용되 는 인터넷이 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인터넷(1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정보 검색 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인터넷(160)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7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일정한 시간에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SMSC(136)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는 정보 제공 서버(170)의 제어에 따라 정보가 데이터로 저장되며, 사용자가 정보 검색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데이터 저장부(204), 키입력부(206), LCD 표시부(208), 진동부(210),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 가입자 정보 저장부(214), 마이크로프로세서(216), 디지털 신호 처리부(218), 베이스밴드 변환부(220),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 RF 신호 처리부(226) 및 안테나(2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다수의 메뉴 중 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202)에는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해서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구현할 수 있는 가상머신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본 운영 체제가 자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자바 가상머신을 탑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가상머신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는 매번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된 정보를 별도로 읽어(Read) 들인다.
데이터 저장부(204)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키입력부(206)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수신된 문자나 이미지 또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204)는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 및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 업데이트 확 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키입력부(206)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간편하게 무선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도록 된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LCD 표시부(208)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무선 인터넷에 접속이 된 경우 정보를 LCD 창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진동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화가 걸려오거나 수신한 음성 또는 데이터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의 하나로서 바이브레이터(Vibrator)로 이루어져 마이크로프로세서(216)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한다.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화가 걸려오거나 수신한 음성 또는 데이터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진동 모드, 소리 모드 또는 묵음 모드 등의 수신 모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214)에는 가입자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등록 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4)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6)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202) 내의 자바 가상머신을 불러와서 실행시켜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사실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LCD 표시부(208)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제어하고, 즉시 실행하지 아니하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202)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216)는 키입력부(206)에 의해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가 선택되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고, 이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전송한다(TX DAT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216)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여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에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정되어 있는 수신 모드(예를 들면 소리 모드) 상태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 상태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모드(예를 들면 묵음 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수신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204)에 저장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216)는 입력된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하고 업데이트 주기인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170)로 가상머신 업데이트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18)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RF 신호 처리부(226)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18), 스피커(222) 및 마이크로폰(22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스피커(222)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4)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226)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26)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26)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안테나(228)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226)는 안테나(228)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처리부(226)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170)에서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할 대상을 내부적으로 지정한다. 예를 들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나타나는 초기화면이 'SKtelecom'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초기화면을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하고 가상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는 매번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된 정보를 별도로 읽어 들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일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에 정보 제공 서버(170)가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한 초기화면에 대한 정보를 'SKtelecom' 대신에 '안녕하세요'로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16)는 데이터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로 변경하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데이터 저장부(204)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망 운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예를 들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 시간)이 되면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확인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 션을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선택한다(S310).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선택이 끝나면,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한다(S320).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단계 S33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 S310으로 진행하여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업데이트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게 된다. 단계 S33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단계 S34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이라면 단계 S310으로 진행하여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업데이트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게 된다. 단계 S34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이 아니라면 비로소 업데이트하기 위한 절차 수행되어 정보 제공 서버(170)는 단말기 제어 정보와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SMSC(136)로 하여금 단말기 제어 정보와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50).
본 발명에서 단말기 제어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보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 는 제어 신호를 말한다.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으로 전환하는 이유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이동통신 단말기(110)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알려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다운로드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중에 업데이트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한 정보와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정보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된다.
단계 S350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우선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350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에 저장한다.(S360)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의 데이터 저장부(204)에 저장된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기 전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데이터 저장부(204)에 업데이트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S370).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부터 단계 S360에서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에 저장된 수신 모드 상태로 전환한다(S380). 수신 모드 상태를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완료하였다는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국은 SMSC(136)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S390).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350에서 업데이트를 위해 수신한 단문 메시지와 단계 S390에서 업데이트 완료를 통보하기 위해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394).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와 같은 절차로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목록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예를 들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 시간)이 되면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정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한다(S41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단계 S420의 판단 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다면 단계 S410으로 진행하여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한다. 단계 S420의 판단 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다 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한다(S43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접속한 정보 제공 서버(170)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를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440).
정보 제공 서버(170)는 업데이트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단계 S450의 판단 결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10으로 진행하고, 단계 S450의 판단 결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이 SMSC(136)을 이용하여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60).
단계 S460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우선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460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에 저장한다(S470).
수신 모드를 묵음으로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의 데이터 저장부(204)에 저장된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기 전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데이터 저장부(204)에 업데이트한 가상머신 애플리케 이션을 저장한다(S480).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 모드로부터 단계 S470에서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212)에 저장된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490). 수신 모드를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완료하였다는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국은 SMSC(136)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S494).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460에서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와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및 단계 494에서 전송한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데이터 저장부(204)에서 삭제한다(S496).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와 같은 절차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직접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는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23)

  1.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계 (b)의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d)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a2)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
    (a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a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6) 상기 단계 (a5)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단말 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4)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c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가 지정하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c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단계 (d1)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d1)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4)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b)의 수신한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d)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8.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활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c)의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e)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주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b2)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묻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단계 (b3)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a)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4)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d2)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가 지정하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1)은,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e1)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e2)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단계 (e1)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e3)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단계 (e2)의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4)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b)의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e)의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17.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저장하는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상기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운용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시간에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단문 메 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시스템.
  23.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활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비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업데이트 정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읽어(Read) 상기 가상머신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저장하는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판독하여 상기 수신 모드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5560A 2004-07-16 2004-07-16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60A KR100706977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60A KR100706977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96A true KR20060006496A (ko) 2006-01-19
KR100706977B1 KR100706977B1 (ko) 2007-04-11

Family

ID=3711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60A KR100706977B1 (ko) 2004-07-16 2004-07-16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487A (ko) * 2010-03-31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9769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136B1 (fr) * 1998-10-21 2000-11-24 Cit Alcatel Procede de mise a jour a distance du logiciel d'un terminal radiotelephonique
KR20010090304A (ko) * 2000-03-24 2001-10-18 김주혁 휴대폰 단말기를 위한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KR20020009741A (ko) * 2000-07-26 2002-02-02 황보영철 휴대전화단말기의 오퍼레이팅 기반환경 구축장치 및 이를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의 무선 업그레이드 방법
KR20020034228A (ko) * 2000-10-31 2002-05-09 구자홍 Ota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7461A (ko) * 2002-08-21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버전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487A (ko) * 2010-03-31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9769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977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18B1 (ko)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269638B2 (en) Display of service provider identity during download
US20030167230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ling payment of downloadable content
KR2005012272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77B1 (ko)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646356B1 (ko)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627728B1 (ko)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04324A (ko) 캐릭터 합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514658B1 (ko) 위치 기반 지능형 캐릭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08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100668621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9015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아바타 다운로드하는 방법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316472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20080013112A (ko) Url을 포함하는 콜백 sms 메시지를 활용한 컨텐츠선물 방법
KR20030028588A (ko)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악편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KR100590509B1 (ko) 다양한 sms 메시지 샘플을 이용하여 회신 sms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23708B1 (ko) 착신 호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80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97131B1 (ko) 오프라인 무선인터넷 서핑 방법 및 시스템
KR10099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확인방법
KR20070035679A (ko)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