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728B1 -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728B1
KR100627728B1 KR20040059355A KR20040059355A KR100627728B1 KR 100627728 B1 KR100627728 B1 KR 100627728B1 KR 20040059355 A KR20040059355 A KR 20040059355A KR 20040059355 A KR20040059355 A KR 20040059355A KR 100627728 B1 KR100627728 B1 KR 10062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update
virtual machine
short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5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594A (ko
Inventor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5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접속망, 데이터 코어망,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여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가입자가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코어망,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가상머신, 애플케이션, 업데이트

Description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Virtual Machine Application by Using Data Cor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무선 접속망
130 : 이동통신 교환국 14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50 : 데이터 코어망(DCN) 160 : 인터넷
170 : 정보 제공 서버 180 :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Download)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가상머신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Data Core Network)을 통해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음성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문자,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사업자는 무선 인터넷의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 사용을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는 전자 메일(E-mail), 카드, 게임, 지리 정보, 생활 정보, 학습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 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제한된 길이의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80 Byte(한글 40자, 영문 40자) 내외의 문자를 전송할 수 있어 개인적인 용도 또는 기업형 용도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최근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단순한 개인간 메시지 전송의 차원을 넘어, 그룹 간 전송 예약 전송, 이메일 도착 통보, 개인 정보 관리, 증권 정보 알림, 상품 정보 알림, 금융 정보 알림, 콜백(Call Back) 단문 메시지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전송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와 발신자의 전화번호만을 단순하게 전송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버튼만 누르면 해당 URL을 갖는 무선 인터넷 웹페이지로 자동적으로 접속하는 기능 등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게임,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업체(CP : Contents Provider)가 등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였다.
이에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자바(Java)언어로 제작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기반의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 제공업 체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가상머신을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가상머신은 WAP 방식의 단점을 일부 보완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고 필요한 정보만 사용자가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상머신이란 컴파일된 바이너리 코드와, 실제로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가상머신이 일단 한 플랫폼에 제공되면, 바이트 코드라고 불리는 어떠한 자바 프로그램도 그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자바는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들이 각각의 플랫폼에 맞게 재 작성되거나,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모든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이러한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여 컨텐츠 제공업체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들을 이러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한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컨텐츠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다운로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하기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일부 수정되면 수정된 가상머신 애플 리케이션 전체를 새롭게 다운로드하여야 했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수정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무선 접속망,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Call Back Short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 어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b)의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d)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제 2 목적에 의하면, 무선 접속망,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자체 내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e)의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 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저장하는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Call Back Short Message)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중계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하여금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중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 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망의 콜백(Call Back)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Data Core Network)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칭함)(140),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150), 인터넷(160), 정보 제공 서버(170),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 (170)로 접속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정보 제공 서버(170)에 의해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시도되는 경우에는,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정보 제공 서버(17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수신하여 단말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수신 모드 상태를 저장하고 수신 모드를 묵음(Mute) 모드로 전환하고 콜백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제공 서버(17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판독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경유하여 데이터 코어망(150)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접속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며, 수신모드를 저장되어 있는 수신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 제어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보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말한다. 수신 모드 상태를 묵음으로 전환하는 이유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알려서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다운로드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중에 업데이트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한 정보와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정보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하고,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와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 확인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업데이트 정보를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완료하였음을 정보 제공 서버(170)로 통보하기 위한 정보로서, 정보 제공 서버(170)가 업데이트를 완료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위해 다시 중복해서 업데이트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70)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 하여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자체적으로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며, 업데이트 수행이 필요한 경우에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 모드를 묵음모드로 전환하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하며,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서 삭제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미도시),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미도시), 및 중계기(Cell Enhancer : 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미도시)는 무선 인터페이스 처리, 주파수 변환, 채널 자원 및 RF(Radio Frequency) 자원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7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는 다수의 기지국 전송기(미도시)를 제어 및 관리하면서 음성 데이터 압축, 핸드 오프 제어, 전력 제어, 반향 제거, 이동통신 교환국(130)/데이터 코어망(150) 등과의 정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하고, SMSC(140)와 무선접속망(120) 사이의 단문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접속망(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통제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C(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 및 데이터 코어망(15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C(14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데이터 코어망(150)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미도시),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미도시),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미도시) 및 망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속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서비스, 가상 사설망(VPN : 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서비스, 심플(Simple) IP 및 모바일(Mobile) IP 서비스, PPP(Point-to-Point Protocol) 인증, 과금 및 패킷 압축 기능 등을 수행한다. 데이터 코어망(15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코어망(15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정보 제공 서버(170) 간의 단문 메시지 또는 콜백 단문 메시지를 중계하 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16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거쳐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내부 인트라넷망이 될 수 있고, 공용으로 사용되는 인터넷이 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인터넷(1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정보 검색 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인터넷(160)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70)는 자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시도하는 경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고 일정한 시간에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정보 제공 서버(170)의 URL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를 SMSC(140)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수행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업데이트를 완료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는 정보 제공 서버(170)의 제어에 따라 정보가 데이터로 저장되며, 이동통신 가입자가 정보 검색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170)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할 대상을 내부적으로 지정한다. 예를 들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나타나는 초기화면이 'SKtelecom'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초기화면을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하고 가상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는 매번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된 정보를 별도로 읽어 들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일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에 정보 제공 서버(170)가 업데이트할 대상으로 설정한 초기화면에 대한 정보를 'SKtelecom' 대신에 '안녕하세요'로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로 변경하고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망의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망 운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예를 들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 시간)이 되면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목록을 확인하여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선택한다(S210).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선택이 끝나면,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한다(S220).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 다면 단계 S210으로 진행하여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업데이트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게 된다.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단계 S24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이라면 단계 S210으로 진행하여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업데이트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게 된다. 단계 S240의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이 아니라면 비로소 업데이트하기 위한 절차 수행되어 정보 제공 서버(170)는 단말기 제어 정보와 정보 제공 서버(170)의 URL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를 데이터 코어망(150)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코어망(150)은 SMSC(14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50).
단계 S250의 콜백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우선 콜백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250의 콜백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수신 모드 상태 자체 내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S260).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콜백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제공 서버(170)의 URL을 확인하여 무선 접속망(120) 및 데이터 코어망(150)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접속하고 정보 제공 서버(17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기 전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며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업데이트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S270).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부터 단계 S260에서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280). 수신 모드를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완료하였다는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경유하여 데이터 코어망(150)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코어망(150)은 SMSC(140)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S290).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정보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250에서 업데이트를 위해 수신한 콜백 단문 메시지와 단계 S290에서 업데이트 완료를 통보하기 위해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삭제한다(S294).
정보 제공 서버(170)는 이와 같은 절차로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목록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예를 들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 시간)이 되면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 정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한다(S31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계 S320의 판단 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다면 단계 S310으로 진행하여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한다. 단계 S320의 판단 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다면 데이터 코어망(150)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70)에 접속한다(S33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접속한 정보 제공 서버(170)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를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40).
정보 제공 서버(170)는 업데이트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단계 S350의 판단 결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310으로 진행하고, 단계 S350의 판단 결과,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데이터 코어망(150) 및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60).
단계 S360에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우선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360의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 상태를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S370).
수신 모드를 묵음으로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내의 데이터 저장부(미도 시)에 저장된 해당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기 전의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업데이트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S380).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부터 단계 S370에서 수신 모드 상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S390). 수신 모드를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완료하였다는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데이터 코어망(150)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코어망(150)은 SMSC(140)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170)로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394).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394에서 전송한 업데이트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서 삭제한다(S396).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와 같은 절차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정보 제공 서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직접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는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접속망,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Call Back Short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b)의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 및 상기 단계 (d)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a2)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
    (a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a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6) 상기 단계 (a5)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URL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2) 상기 데이터 코어망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URL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URL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URL 주소 정보가 지시하는 URL 주소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4)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5)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단계 (c1)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신 모드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코어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2) 상기 데이터 코어망로부터 상기 단계 (d1)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8. 무선 접속망,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정보 제공 서버 및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자체 내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계 (e)의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는,
    (a1)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업데이트 주기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a1)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주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b2)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묻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b4) 상기 단계 (b3)의 판단 결과,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a)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모드를 묵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d2)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가 지정하는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1)은,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수신 모드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3)는,
    상기 수신 모드를 상기 단계 (d1)에서 자체 내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신 모드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e1) 상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2) 상기 데이터 코어망에서 상기 단계 (e1)의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16.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저장하는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콜백 단문 메시지(Call Back Short Message) 및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중계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하여금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중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정보 제공 서버 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데이터 코어망(DCN : Data Core Network)
    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을 작성하여 상기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시스템.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운용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시간에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 상기 업데이트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 제어 정보 및 자신의 URL 주소 정보를 상기 콜백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완료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확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모드를 전환하고,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시스템.
KR20040059355A 2004-07-28 2004-07-28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9355A KR100627728B1 (ko) 2004-07-28 2004-07-28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9355A KR100627728B1 (ko) 2004-07-28 2004-07-28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94A KR20060010594A (ko) 2006-02-02
KR100627728B1 true KR100627728B1 (ko) 2006-09-25

Family

ID=3712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59355A KR100627728B1 (ko) 2004-07-28 2004-07-28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3549T5 (de) 2007-06-19 2010-04-29 Byung Hun Lee Aufbau von Schuhoberteilen, Herstellungsverfahren für Schuhe und Aufbau von Schuh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1409B2 (en) * 2006-05-22 2012-10-16 Microsoft Corporation Updating virtual machine with patch on host that does not have network access
CN103139738B (zh) * 2011-11-30 2015-10-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短信网关装置、短信传送方法及系统
US8830913B1 (en) 2013-11-13 2014-09-09 Google Inc. Location-based software updates
WO2017081864A1 (en) * 2015-11-10 2017-05-18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3549T5 (de) 2007-06-19 2010-04-29 Byung Hun Lee Aufbau von Schuhoberteilen, Herstellungsverfahren für Schuhe und Aufbau von Schu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94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520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assive data effectively on multi-mode terminal
CN100553380C (zh) 用于提供无线数据通讯业务的方法和系统
US2009011143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KR100754829B1 (ko) 일정 관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7860931B2 (en) Permission-based electronic mail delivery system
KR100723672B1 (ko)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28B1 (ko) 데이터 코어망을 이용한 가상머신 애플리케이션의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JP2009296100A (ja) メッセージ通信処理方法、メッセージ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674705B1 (ko) 무선 커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77B1 (ko) 이동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머신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KR1008147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완료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101001409B1 (ko) 이동통신데이터망을 이용한 국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국제메시징센터, 로컬메시징게이트웨이, 다운로드센터,이동통신 단말 및 시스템
KR100621332B1 (ko)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9296099A (ja) 電話通信処理方法、電話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90001145A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00438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30028588A (ko)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악편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JP5011210B2 (ja) 通信システム
JP5011209B2 (ja) 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646401B1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자 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5011208B2 (ja) 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