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298A -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298A
KR20060006298A KR1020040055234A KR20040055234A KR20060006298A KR 20060006298 A KR20060006298 A KR 20060006298A KR 1020040055234 A KR1020040055234 A KR 1020040055234A KR 20040055234 A KR20040055234 A KR 20040055234A KR 20060006298 A KR20060006298 A KR 2006000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gnetic force
sensing means
vertical axis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979B1 (ko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9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수단을 통하여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폴더부의 수직축을 중심으로한 회동시에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더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서 폴더부의 좌,우회동을 감지하면,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폴더부의 좌,우회동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입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될때 사용자의 실수에 따른 잘못된 입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력실수에 따른 단말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게된다.
스위블, 힌지, 자성체, 자력감지센서, 감지수단, 키패드

Description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having a swivel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가 90°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가 180°회전하여 닫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스위블힌지
30 : 폴더부 40 : 자성체
50 : 자력감지센서
본 발명은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 지수단을 통하여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폴더부의 수직축을 중심으로한 회동시에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또는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er type)으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플립형은 버튼등의 조작부를 단순히 감싸는 플립과 표시창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폴더형은 기기 본체에 폴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동되도록 연결시키는 힌지로 구성되며, 상기 폴더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힌지가 수평축뿐만 아니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스위블힌지가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도4 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10)와, 폴더부(120) 및 상기 본체(110)상에서 폴더부(120)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개폐시키고 수직축(Y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스위블힌지(130)를 포함한다.
즉, 폴더부(120)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오픈상태가 되거나 닫힌상태가 되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카메라장치(140)의 시야를 확보하게 되며, 상기 폴더부(120)가 180°회동된후 본체에 반전되게 닫힌 경우에는 폴더부(12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볼수 있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킬때,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사이드키를 사용자가 잘못누르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고, 이로인해 폴더부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메뉴 또는 화면이 표시되기 싶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폴더부가 180°회동된후 본체에 반전되게 닫힌 경우에 있어서는 잘못 표시된 정보 또는 화면을 수정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폴더부를 다시 원위치 시켜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지수단을 통하여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폴더부의 수직축을 중심으로한 회동시에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폴더부의 회동시에 불필요한 입력을 방지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서 폴더부의 좌,우회동을 감지하면,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폴더부의 좌,우회동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입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은 자성체와 자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자성체는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장착되고, 자력감지센서는 상기 자성체에 대향되는 위치의 폴더부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부의 좌,우 회동에 따른 자성체의 자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은 자성체와 자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자력감지센서는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장착되고, 자성체는 자력감지센서에 대향되는 위치의 폴더부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부의 좌,우 회동에 따른 자성체의 자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인식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가 단말기 본체로 전송되는 신호전송단계와, 신호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제조업체 또는 제조모델을 단말기 본체에서 인식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제조업체 또는 제조모델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를 단말기 본체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전송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신호는 3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전송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세종류 이상의 신호는 하이신호, 로우신호 및 다수개의 임의의 전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 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가 90°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가 180°회전하여 닫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 스위블힌지(20), 폴더부(30), 자성체(40), 자력감지센서(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12)가 장착되고,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이드키(14)가 구비되며, 키패드(12)의 하단에는 송화부인 마이크로폰(16)이 장착된다.
스위블힌지(20)는 수평축 힌지아암(22)과 수직축 힌지아암(24)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축 힌지아암(22)은 본체(10)의 전면부 상단에 형성된 사이드힌지아암(18) 사이에 양단이 축 결합되고, 수직축 힌지아암(24)은 수평축 힌지아암(22)의 중간부분에서 돌설되어 폴더부(30)에 수직으로 축설된다.
이때, 수평축은 본체(10)가 수평축"X"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때의 회전축을 의미하며, 수직축은 폴더부(30)가 오픈된 상태에서 수직축 "Y"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때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폴더부(3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를 구비하고, 디스플 레이부(32)의 상단에는 스피커(34)가 장착되며, 폴더부(30)의 케이스내부 하단 저면에는 자성체(40)가 장착되어 자력을 발생시킨다.
자력감지센서(50)는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된 사이드힌지아암(18)내에 자성체(40)에 대향되게 장착되며, 자성체(40)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에따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자력감지센서(50)에서 제공하는 신호에 따라 키패드(12)와 사이드키(14) 등의 입력을 제어한다.
이때, 폴더부(30)의 회동에 따라 자력감지센서(50)가 자성체(40)의 자력을 감지하지못하면 제어부(미도시)는 키패드(12) 또는 사이드키(14)의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30)가 수직축 "Y"를 회전축으로 회동되면 자력감지센서(50)가 자성체(40)의 자력을 감지하지 못하게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하여 제어부(미도시)가 본체(10)에 구비된 키패드(12)와 사이드키(14) 등을 통한 입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30)가 수직축 "Y"를 회전축으로 180°회동된 후 본체(10)에 반전되게 닫힌상태인 경우에는, 키패드(12)와 사이드키(14) 등을 통한 입력이 지속적으로 차단된 상태이며, 폴더부(30)의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를 볼수 있게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30)가 원위치되면, 자력감지센서(50)가 자성체(40)의 자력을 다시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하여 제어부(미도시)가 본체(10)에 구비된 키패드(12)와 사이드키(14) 등을 통한 입력이 다시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성체가 폴더부의 하단 저면에 장착되고, 자력감지센서는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서로 대향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력감지센서가 폴더부의 하단 저면에 장착되고, 자성체는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서로 대향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폴더부의 수직축을 중심으로한 회동시에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폴더부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될때 사용자의 실수에 따른 잘못된 입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력실수에 따른 단말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게된다.

Claims (3)

  1. 본체와, 폴더부를 이중으로 회동되게 체결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상기 폴더부의 좌,우회동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키패드나 사이드키를 통한 입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폴더부의 좌,우회동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입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자성체와 자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가 상기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자력감지센서는 상기 자성체에 대향되는 위치의 폴더부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부의 좌,우 회동에 따른 자성체의 자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자성체와 자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감지센서가 본체의 상단 사이드힌지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대향되는 위치의 폴더부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부의 좌,우 회동에 따른 자성체의 자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5234A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234A KR100606979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234A KR100606979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98A true KR20060006298A (ko) 2006-01-19
KR100606979B1 KR100606979B1 (ko) 2006-08-01

Family

ID=3711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234A KR100606979B1 (ko) 2004-07-15 2004-07-15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9B1 (ko) * 2006-12-28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 감지 장치를 갖는 스위블 타입휴대용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8633A (ja) * 2000-10-06 2002-04-19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9B1 (ko) * 2006-12-28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 감지 장치를 갖는 스위블 타입휴대용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감지 방법
US8228057B2 (en) 2006-12-28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vel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979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793B1 (ko)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US8441227B2 (en) Portable terminal
JP4517551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200402035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WO2007086333A1 (ja) 携帯電子機器
JP200211863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7321789B2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KR1006069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832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606839B2 (ja) 自動及び手動兼用折り畳み型携帯用無線端末機でのサブボディー開閉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JP4070221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30037286A (ko)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휴대폰
WO2005071926A1 (ja) 折畳式電子機器
KR1012332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통화방법
KR100641199B1 (ko) 터치스크린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3866662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304886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及びその開閉検出方法
KR100829255B1 (ko) 스위블 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57571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엘씨디 구동방법
KR20060033298A (ko) 스윙 폴더형 휴대폰의 회전 힌지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60124084A (ko) 폴더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자동 전환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85988B1 (ko) 2축 힌지를 가지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개폐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