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906A - 자동차 내장용 기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용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906A
KR20060005906A KR1020040054906A KR20040054906A KR20060005906A KR 20060005906 A KR20060005906 A KR 20060005906A KR 1020040054906 A KR1020040054906 A KR 1020040054906A KR 20040054906 A KR20040054906 A KR 20040054906A KR 20060005906 A KR20060005906 A KR 2006000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interior
automobile
cor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오영찬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906A/ko
Publication of KR2006000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기재에 관한 것으로서,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심재의 적어도 일측에 적층되어 심재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체 경량화를 도모하며 재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용 기재{BASE FOR INTERIOR OF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기재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기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내장용 기재 20 : 심재
30 : 보강재 41 : 이송롤러
45 : 예열롤러 51 : 냉각롤러
55 : 절단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기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재가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자동차 내장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용 기재는 도어트림(door trim), 헤드라이너(head liner), 선바이저(sunvisor), 패키지트레이(package tray), 커버링셀프(covering shelf) 등에 적용된다.
종래에 있어서 자동차 내장용 기재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는 천연섬유 강화 보드, 레진펠트(resin felt), 페이퍼보드(paper board), 우드화이버(wood fib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레진펠트와 우드화이버의 경우, 페놀수지 등이 함침되어 제조된 것으로써, 경화제인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의 축합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일종으로 페놀수지의 소각시 미반응 또는 소각시의 불완전 연소에 기인하여 방출되는 페놀 및 알데히드가 작업환경을 포함한 생활환경의 공해물질로 작용하게 되어 폐기 소각 처분시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여 공해를 일으킨다.
천연섬유 강화보드의 경우, 천연섬유(황마, 아마, 저마, 사이잘마 등)와 바인더 역할을 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한 것으로, 기재 하중이 비교적 무거우며, 열성형시 천연섬유 탄화에 의한 냄새를 유발하고, 원재료의 수입에 따른 원거리 운송시 적재되어 있는 천연섬유의 부패, 세균,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 처리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발암물질을 유발시킨다.
한편, 근래의 자동차 내장용 기재는 내충격성과 흡차음성 및 단열성, 형상유지성과 같은 기능적인 특징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경량화에 의한 엔진의 연비 향상을 통하여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차량 폐차시 폐기물에 대한 재활용성을 높이고 자원절약과 환경보호적인 기여에 대한 특성을 필수적인 요구사항의 하나로 반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차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경량화를 도모하며 재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기재에 있어서,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상기 심재의 적어도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심재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1.5∼2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짐으로써, 강도, 형태안정성, 흡음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밀도는 0.05∼0.15g/cm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는 올레핀계 시이트, 폴리에스터계 부직포, 우레탄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써, 강도 및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금형과의 이형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기재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동차 내장용 기재(10)는 심재(20)와, 심재(20)에 적층되어 심재(20)를 보강하는 보강재(30)를 가진다.
심재(20)는 물리 화학적인 결합을 하지 않으며 압출 안정성이 우수한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미세한 기포형상의 발포 셀(cell)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기재(10)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심재(20)에 화학적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아 인체에 비교적 무해하며, 성형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심재(20)를 이루는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발포 배율은 1.5∼20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발포 배율이 1.5배 미만인 경우 흡음성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발포 배율이 20배를 초과하는 경우 흡음성은 향상이 되지만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배의 발포 배율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심재(20)를 이루는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밀도는 0.05∼0.15g/cm3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0.12g/cm3 의 밀도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심재(20)의 두께는 3∼6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심재(20)의 양측에는 보강재(30)가 적층되어 있다. 보강재(30)는 올레핀계 시이트, 폴리에스터계 부직포, 우레탄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강도 및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금형과의 이형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2본 이상의 압연롤을 사용한 카렌더(calender) 공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기재(10)의 제조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송롤러(41)에 의해 심재(20)가 이송되고, 보강재(30)는 예열롤러(45)에 의해 예열되어 이송되는 심재(20)의 양측면에 점착된다.
심재(20)와 결합되어진 보강재(30)는 이송되면서 냉각롤러(51)에 의해 냉각 및 압착과정을 거치며 성형된다.
그리고, 성형된 심재(20)와 보강재(30)는 절단장치(55)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트리밍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기재(1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심재의 적어도 일측에 보강재를 적층함으로써, 차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에 따른 열수축이 작아, 제품 수축 문제에 대한 치수안정성, 탄성률 또는 유연성과 같은 기계적 성능이 향상되고, 발포시킨 수지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충격에너지와 흡차음 성능이 향상되며, 가공시 내수성이 뛰어나 습기에도 물성 변동이 거의 없으며, 열전도율이 작아 단열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의 제조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불량발생품 또는 폐기물의 폐기시 심재와 기재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강재는 심재의 양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보강재는 심재의 일측에만 적층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경량화를 도모하며 재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가 제공된다.

Claims (4)

  1. 자동차 내장용 기재에 있어서,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상기 심재의 적어도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심재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1.5∼20배의 발포 배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밀도는 0.05∼0.15g/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올레핀계 시이트, 폴리에스터계 부직포, 우레탄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
KR1020040054906A 2004-07-14 2004-07-14 자동차 내장용 기재 KR20060005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06A KR20060005906A (ko) 2004-07-14 2004-07-14 자동차 내장용 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06A KR20060005906A (ko) 2004-07-14 2004-07-14 자동차 내장용 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06A true KR20060005906A (ko) 2006-01-18

Family

ID=3711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06A KR20060005906A (ko) 2004-07-14 2004-07-14 자동차 내장용 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2B1 (ko) * 2006-06-20 2007-10-12 에스엔케이폴리텍(주) 복층 구조의 폴리우레탄 폼 또는 엘라스토머 시트
KR100920823B1 (ko) * 2008-08-26 2009-10-0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천정재용 적층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2B1 (ko) * 2006-06-20 2007-10-12 에스엔케이폴리텍(주) 복층 구조의 폴리우레탄 폼 또는 엘라스토머 시트
KR100920823B1 (ko) * 2008-08-26 2009-10-0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천정재용 적층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718B1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KR20090008575A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US98057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board part having excellent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soundproofing board part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543600B1 (ko) 경량성 다층 복합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7777B1 (ko) 경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차량 내장재용 기재
US20130341120A1 (en) Soundproof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KR101108874B1 (ko)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US20030124314A1 (en) Structurally enhanced sound and heat energy absorbing liner and related method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690B1 (ko)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567772B1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KR20070096565A (ko) 차량용 천장재 구조물
EP3335871B1 (en) A multilayer structure and automotive component made thereof
KR100883033B1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KR102388488B1 (ko)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용 섬유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의 제조방법
KR20060005906A (ko) 자동차 내장용 기재
KR20080097324A (ko) 친환경성 차량 내장용 천정재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823B1 (ko)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KR101016029B1 (ko) 허니컴 적층 구조물
KR101092382B1 (ko) 친환경적인 차량 내장재용 적층 구조물 및 차량 내장재
KR20070091742A (ko) 자동차 내장용 기재
KR100884210B1 (ko)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
KR100939035B1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703049B1 (ko)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KR20070091745A (ko)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