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823B1 -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823B1
KR100603823B1 KR1020050014519A KR20050014519A KR100603823B1 KR 100603823 B1 KR100603823 B1 KR 100603823B1 KR 1020050014519 A KR1020050014519 A KR 1020050014519A KR 20050014519 A KR20050014519 A KR 20050014519A KR 100603823 B1 KR100603823 B1 KR 10060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tructure
vehicle
vehicle interior
shelf
foa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특히,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 또는 커버링 쉘프(covering shelf)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차량의 리어시트와 백글래스 사이에 장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조물은 무가교(non-crosslinked)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가교, 패키지 트레이, 커버링 쉘프

Description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Shelf for vehicle interi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패키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커버링 쉘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구조물의 재료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리어 시트
3 ... 백글래스 4 ... 패키지 트레이
5 ... 커버링 쉘프 6 ... 테일 게이트
100 ...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10 ... 수용부
20 ...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 30 ... 보강재층
40 ... 표피층 RD ... 리어 데크
m ...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재료
본 발명은 차량의 내장용 선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선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크게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와 커버링 쉘프(covering shelf)로 구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이러한 통상의 선반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패키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커버링 쉘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 이다.
상기 선반구조물 중 패키지 트레이(4)는 차량(1)의 리어시트(2)와 백글래스(3)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 내부공간과 트렁크를 분리시키며, 이 패키지 트레이(4)는 그 상부에 휴지, 방향제 등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어 선반 기능을 수행한다. 이 패키지 트레이(4)는 차량(1)에 고정되는 반면, 상기 커버링 쉘프(5)는 상하로 회동되며 이동된다. 즉, 상기 커버링 쉘프(5)는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패키지 트레이(4)와 동일하지만, 일반적으로 해치백 스타일의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테일 도어(6, tail door)를 상하로 개폐시 함께 상하로 이동되어 접철된다는 점에서 상기 패키지 트레이(4)와 구별된다.
이러한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재료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레진펠트(Resin Felt), 천연섬유가 첨가된 강성 보드, 가교(crosslinked) 폴리올레핀계 발포 시트(sheet) 등이 사용되었다.
상기 레진펠트는 페놀수지 등이 함침되어 제조된 것이다. 경화제인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의 축합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경화성수지의 일종으로서, 페놀수지의 소각시 미반응 또는 소각시의 불완전 연소에 기인하여 방출되는 페놀 및 알데히드는 작업환경을 포함한 생활환경의 공해물질로 작용하며, 폐기 소각 처분시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천연섬유 강화보드의 경우 천연섬유(황마, 아마, 저마, 사이잘마 등)와 바인더 역할을 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한 것으로, 기재 하중이 비교적으로 무거우며, 열성형시 천연섬유 탄화에 의한 냄새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 니라, 원재료의 수입에 따른 원거리 운송시 발생할 수 있는 천연섬유의 부패, 세균, 곰팡이 발생을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된 방부제 처리에 기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교 폴리올레핀계 발포 시트는 무가교(NON-CROSSLINKED) 폴리올레핀계 발포 시트(sheet)에 비해 제조공정 시간 및 가격이 상승되며, 가열 치수 변화율이 크고, 화학 발포제를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며, 가교가 되어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재활용(Recycle)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자동차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재료는 방음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지 못했으며 단가가 높고 비교적 고중량이며 장기간 사용시 변형되기 쉽고, 인체에 유해하며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료의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을 통하여 배기 가스를 저감 시키면서도 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 폐기시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특징을 갖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차량의 리어시트와 백글래스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선반구조물은 무가교(non-crosslinked)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발포 시트를 심재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폐시 상하로 접철되는 리어 커버링 쉘프(rear covering shelf) 또는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은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2배율 이상 6배율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양측에는 표피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피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계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양측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재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재층은 폴리올레핀계 시트 또는 폴리 에스터계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구조물의 재료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3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상기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차량(1)의 리어 시트(2)와 백글래스(3) 사이에 배치된다. 이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상기 리어 시트(2) 후방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렁크와 차량 내부 공간을 상호 차단시켜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이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위에 차량에 필요한 물건들 예컨대 휴지, 방향제 등을 놓을 수 있어 선반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에 따라서는 이 선반구조물(100)에 스피커나 아이스 박스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오목한 수용부(10)를 형성하여 차량이 급제동 또는 급가속하거나 요철을 지나는 경우에도 물건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선반구조물(100)은 크게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와 리어 커버링 쉘프(rear covering shelf)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패키지 트레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특히 차량(1)의 리어 데크(미도시, rear deck)에 고정되어 위치이동 되지 않는 것으로서, 세단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상기 리어 커버링 쉘프는 차량(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일 게이트(6)의 회동 개폐시 함께 회동하여 상하로 접철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해치백 스타일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커버링 쉘프의 일단은 상기 차량(1)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테일 도어(6)에 연결끈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선반구조물(100)은 출원번호 제1996-05834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또는 등록번호 제20-016133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에 의하여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그 형상이나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라 상기 패키지 트레이 또는 리어 커버링 쉘프 등의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의 재료(m)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무가교(non-crosslinked)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발포 시트(20)를 포함한다.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이른바 발포 압출법으로 제조된 발포체로서, 미세한 기포 형상의 발포 셀(CELL)을 가지며 강도, 형태안정성, 단열성,흡음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무가교 발포체는 기존의 가교(crosslinked) 발포체에 비해 화학적 발포제 및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혹은 전자선 가교용 가교조제(co-agent)가 포함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며, 성형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교 발포체에 비하여 재활용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는 이미 알려진 것으로서 예컨대, 출원번호 제10-1999-0031034호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압출발포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열분해형 발포제, 폴리프로필렌 수지등의 필수 성분의 혼합물을 호퍼로 장입하는 단계와, 수지 용융물과 발포제를 분해하는 단계 및 수지와 발포제를 압출기내에서 혼합/분산하는 단계와, 혼합물을 발포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와, 혼합물이 발포되도록 다이로부터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와, 압출물을 냉각/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20)를 구성하는 재료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호모폴리머, 하이멜트 스트렝쓰 폴리프로필렌 (hir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각각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 등으로 제조된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는 무가교 (non-crosslinked)성이므로 재활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미세한 발포 셀(CELL)구조를 가지며, 2~6배율의 발포 시트(sheet)를 적용 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기존의 가교(crosslinked) 발포체의 제조공정에 비해 단순한 공정에서 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절약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구조물(100)의 재료가 되는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의 발포 배율은 2배 내지 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포배율이 2배 미만인 경우 무가교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의 흡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중량이 비교적 높으며, 발포배율이 6배를 초과하는 경우 흡음성 및 경량성은 향상이 되나 강도,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정한 치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그 두께는 3mm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의 양측에는 보강재층(30)이 적층된다. 상기 보강재층(30)은 폴리올레핀계 시트(polyolefin sheet)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계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재료들을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의 양측에 적층시킴으로써 선반구조물(100)의 강도와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터계 프라스틱 시트나 폴리올리핀계 시트(30)가 적층된 상태에서 금형내에서 성형을 하면 금형과의 이형성이 좋아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의 양측에 적청되어 있는 보강재층(30)들에는 각각 표피층(40)이 적층된다. 이 표피층(40)은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계 부직포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를 심재로 하여 보강재층(30)과 표피층(40)을 순차로 적층시켜 제조된 재료를 금형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렇게 제조된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치수안정성과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경량일 뿐만 아니라, 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할 때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상기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은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에 보강재층(30)과 표피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에 보강재층(30) 또는 표피층(40)만 적층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재(30)층이 제거되고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에 표피층(40)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만이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로 이루어진 표피층(40)을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에 적층시킬 때, 용제형 접착제나 핫멜트형(hot melt type)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열에 의한 용융접착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매우 간소해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할 때 발생했던 악취 등의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심재로 사용된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20)와 표피층(40)으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는 동일한 계열의 재료이므로,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폐차시에 표피층(40)과 심재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절약적이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가교 발포체를 이용한 제조공정에 비하여 단순한 공정으로 생산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를 심재로 이용함으로써 열수축이 적으며 이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충격에너지와 흡차음 성능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반구조물을 폴리프로필렌계의 재료로만 구성할 경우 불량품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폐차시에 매우 간단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차량의 리어시트와 백글래스 사이에 장착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조물은 무가교(non-crosslinked)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발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발포 배율은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2배율 이상 6배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폐시 상하로 접철되는 리어 커버링 쉘프(rear covering shel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은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양측에는 표피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폴리에스터계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양측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재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은 폴리올레핀계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조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은 폴리 에스터계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조물.
KR1020050014519A 2005-02-22 2005-02-22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KR10060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19A KR100603823B1 (ko) 2005-02-22 2005-02-22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19A KR100603823B1 (ko) 2005-02-22 2005-02-22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823B1 true KR100603823B1 (ko) 2006-07-24

Family

ID=3718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19A KR100603823B1 (ko) 2005-02-22 2005-02-22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160B1 (ko) * 2005-10-2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커버링 쉘프 장착구조
KR101305679B1 (ko) * 2011-11-23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진용 복합소재
WO2016025594A1 (en) * 2014-08-12 2016-02-18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KR20160022996A (ko) 2014-08-20 2016-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음장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7A (ja) * 1992-06-18 1994-01-11 Jsp Corp 自動車内装用成形天井材
JPH0740484A (ja) * 1993-07-26 1995-02-10 Ikeda Bussan Co Ltd 内装基材
KR0139043B1 (ko) * 1995-10-24 1998-05-15 김두성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6981A (ko) * 1998-08-03 2000-03-25 고사이 아끼오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7A (ja) * 1992-06-18 1994-01-11 Jsp Corp 自動車内装用成形天井材
JPH0740484A (ja) * 1993-07-26 1995-02-10 Ikeda Bussan Co Ltd 内装基材
KR0139043B1 (ko) * 1995-10-24 1998-05-15 김두성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6981A (ko) * 1998-08-03 2000-03-25 고사이 아끼오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시이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6000907
0704048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160B1 (ko) * 2005-10-2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커버링 쉘프 장착구조
KR101305679B1 (ko) * 2011-11-23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진용 복합소재
WO2016025594A1 (en) * 2014-08-12 2016-02-18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US10207656B2 (en) 2014-08-12 2019-02-19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KR20160022996A (ko) 2014-08-20 2016-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음장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718B1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US5866235A (en) All synthetic fiber interior trim substrate
KR101567777B1 (ko) 경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차량 내장재용 기재
KR20090008575A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US98057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board part having excellent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soundproofing board part manufactured by the same
US20130153330A1 (en) Soundproof sheet for vehicl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ash silencer for vehicles using soundproof sheet
KR100603823B1 (ko) 차량 내장용 선반구조물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215328A1 (en) Twin sheet belly pan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567772B1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KR20070096565A (ko) 차량용 천장재 구조물
KR101134295B1 (ko)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KR100328722B1 (ko) 자동차 천정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EP3335871B1 (en) A multilayer structure and automotive component made thereof
KR100598520B1 (ko) 차량용 흡차음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7324A (ko) 친환경성 차량 내장용 천정재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3033B1 (ko)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기재
KR20100020714A (ko) 허니컴 적층 구조물
KR100703049B1 (ko)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KR20070091745A (ko) 차량 내장재용 기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장재
KR20130031996A (ko) 차량 내장용 천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2669A (ko)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소재
KR20080111917A (ko)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
CZ178097A3 (cs) Samolepící ztužující materiál pro textilní vlákenná rouna
KR102440836B1 (ko) 차량용 복합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