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364A -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364A
KR20060005364A KR1020057019299A KR20057019299A KR20060005364A KR 20060005364 A KR20060005364 A KR 20060005364A KR 1020057019299 A KR1020057019299 A KR 1020057019299A KR 20057019299 A KR20057019299 A KR 20057019299A KR 20060005364 A KR20060005364 A KR 2006000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wire
toe
bone
metata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캬 클라우에
한스 츠비프
패트릭 크로니어
앤드류 케이. 샌즈
Original Assignee
신테스 아게 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테스 아게 츄어 filed Critical 신테스 아게 츄어
Priority to KR102005701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364A/ko
Publication of KR2006000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2Joints for wrists or ankles; for hands, e.g. fingers; for feet, e.g.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08Flexible pins, e.g. ENDE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91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for small bones, e.g. in the foot, ankle, hand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재료로 되고 내경(d)을 갖는 튜브(1)로 구성된,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 특히 추상족지(hammertoe) 또는 다른 발가락 기형의 시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외경(D ≤d)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2)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발가락 볼의 바닥 접촉을 회복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생분해성, 발가락, 와이어, 튜브, 절단

Description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DEVICE FOR THE TEMPORARY SPLINTING OF TOE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 특히 추상족지(hammertoe) 또는 다른 발가락 기형의 시술에 사용된다.
이러한 적용을 위한 종래 기술은 치료 시기(연한 부위의 치료 및 뼈의 치료) 동안의 키르쉬너 와이어(kirschner's wire)-고정술 인데, 이때 와이어는 발가락 끝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의 단점은 환자가 임의의 "완충부"(예를 들어 경질의 부목)를 지녀야 하기 때문에 거의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가장 빈번한 수술은 기절골의 지절간(interphalangeal) 관절의 관절 고정, 즉, 뼈 유착이며, 유감스럽게도 종종 관절 절제술만이 행해진다(소위 호만(hohmann)식 수술). 말절골의 건(tendon)이 기절골 상으로 전이되는 기능적인 수술도 추천된다(소위 거들스톤(girdlestone)식 및 테일러(taylor)식 수술 1947년). 이러한 두 수술 방식은 6 내지 8주의 역학적인 안정 기간을 필요로 한다.
미국 특허 공보 제5,207,712호에는 발가락 기형 위치의 교정을 위한 흡수 가 능한 임플란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장치의 단점은 직선 형상 및 캐뉼라 삽입부(cannulation)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미국 특허 공보 제5,207,712호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단점은 많은 부분의 뼈가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가락 볼의 바닥 접촉을 복원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a) 이식된 생분해성(bio-absorbable) 튜브의 수술 후 제거가 생략된다.
(b) 발가락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로 인한 6 내지 8주 간의 환자의 "근무 장애"가 해소된다.
(c) 6 내지 8주 후에 최종적으로 유착되지 않는 천관절단(transfixed)된 관절이 관절해리(arthrolysis) 될 수 있다. 이때, 생분해성 튜브가 의사에 의해 바람직하게 절단되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튜브는 평면 내에 놓인 만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실질적으로 치료 시기 동안 발가락 볼의 바닥 접촉이 약간 탄성적으로 된다는 것인데, 다시 말해 약간의 "예압"이 만곡부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의 만곡부는 S자 형태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성형될 발가락의 해부학적으로 바람직한 굴곡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튜브의 단부는 점차 좁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점차 좁아진 단부는 첨부에서 종단된다. 이로써, 튜브는 용이하게 이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가 직선이므로, 드릴과 함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생분해성 재료는 파단 신장력
Figure 112005057216796-PCT00001
= (△l x 100/L) < 10% 을 갖는다. 이러한 재료의 장점은 개선된 흡수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의 길이는 고유 위치에서 5cm이다.
생분해성 재료는 특히 L-폴리액티드(L-polyactide) 또는 카프로락톤(caprolactone)이다. 이러한 재료는 활액(synovial fluid)을 통해 더 빨리 흡수되는 장점을 갖는다.
튜브의 외부면은 상이한 실시예에서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외측 나사산이 제공되며, 외측 나사산을 통해 더 큰 축방향 작용력이 뼈로부터 임플란트 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개선안은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여러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내골수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 및 생분해성 튜브를 갖는 발가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횡 단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와이어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후의, 내골수에 삽입된 생분해성 튜브를 갖는 도 1에 따른 발가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내골수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 및 생분해성 튜브를 갖는 발가락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발가락, 특히 추상족지 또는 다른 발가락 기형의 시술을 위한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는 실질적으로, 흡수 가능한 재료(L-폴리액티드)로 형성되고 내경(d)을 갖는 튜브(1) 및 금속으로 형성되고 외경(D ≤d)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로 구성된다. 튜브(1)는 발가락 면 내에 놓인 S자 형태의 만곡부를 포함한다. 튜브(1)의 내경(d)은 1.15mm, 벽 두께는 0.25mm, 튜브(1)의 길이는 4.5cm 이다. 튜브(1)의 표면은 완전히 매끄럽다. 발가락 내로 안내되도록 결정된 튜브(1)의 일 단부는 점차 좁게 구성되어 첨부(11)로 종단된다.
도 4에는 튜브(1)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이는 튜브(1)의 표면에 외측 나사산(10)이 제공되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간단한 수술 보고서가 설명된다. 수술 접근은 발가락 윗쪽의 중앙선에서 행해진다. 기절골 지절간 관절은 절개되고 관절면은 노출된다. 전체 연골은 제거되고 중절골의 기부는 3.5mm 드릴로 관통된다. 기절골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절단된다. 이렇게 약간 짧아진 발가락은 경직된 추상족지 변형이 곧게 펴지고 기절골은 실험을 위해 중절골 내로 삽입된다. 이제 금속 가이드 와이어가 3.5mm 구멍을 통해 축방향으로 전체 발가락을 관 통하여 발가락 볼을 통해 미부로 회전된다. 드릴은 미부에서 돌출된 가이드 와이어에 고정되고, 그 끝이 중절골의 기부에서 겨우 보이도록 가이드 와이어는 더 당겨진다.
기절골은 최종적으로 중절골 내로 연장되고 교정된 중족지골 관절 위치에서 손으로 보유된다. 가이드 와이어는 드릴에 의해 내골수적으로 올바르게 위치된 중족지골 관절을 통해 중족골 내까지 회전된다. 드문 경우지만, 가이드 와이어는 기절골의 기부까지 회전될 수도 있다. 생분해성 캐뉼러(cannular) 와이어 또는 임플란트는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되기 직전에, 임플란트는 발가락 볼에서 특수 단부 컷팅 니퍼를 이용하여 절단된다. 튜브는 튜브 램과 함께 가이드 와이어를 지나 피부 아래에서 수 밀리미터로 그리고 말절골의 뼈 첨부까지 가압된다.
다른 적용 기술에서, 수술 I 단계 중에 안내 와이어(2) 및 튜브(1)는 중족골 헤드(6) 내까지 삽입되는데, 이는 특히 중족지골 불안정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다른 적용 기술에서, 수술 I 단계 중에 안내 와이어(2) 및 튜브(1)는 기절골의 기부까지 회전된다.
다른 적용 기술에서, 튜브(1)의 성공적인 이식 후 6 내지 8주 후에 튜브는 발가락의 굽힘성을 회복하기 위해 중족지골 관절의 높이에서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된다.

Claims (20)

  1. 생분해성 재료로 되고 내경(d)을 갖는 튜브(1)로 구성된,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 특히 추상족지(hammertoe) 또는 다른 발가락 기형의 시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경(D ≤d)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튜브(1)는 평면에 놓인 만곡부, 바람직하게는 S자 형태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튜브(1)의 적어도 일 단부는 점차 좁아지고 바람직하게는 첨부(11)에서 종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와이어(2)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는 실질적으로 부서지기 쉽고 깨지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는 파단 신장력
    Figure 112005057216796-PCT00002
    = (△l x 100/L) < 10%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는 L-폴리액티드 또는 카프로락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내경(d)은 0.5mm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mm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내경(d)은 1.6mm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1.3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벽두께는 0.1mm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0.15mm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벽두께는 0.5mm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0.4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길이는 3 내지 6c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는 매끄러운 외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는 외측 나사산(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 특히 추상족지 또는 다른 발가락 기형의 시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기절골 지절간 관절이 절개되고 관절면이 노출되는 단계와,
    (b) 전체 연골이 제거되는 단계와,
    (c) 중절골의 기부가 3.5mm 드릴로 관통되는 단계와,
    (d) 기절골의 말단부가 뾰족하게 절단되는 단계와,
    (e) 약간 짧아진 발가락이 경직된 추상족지 변형이 곧게 펴지는 단계와,
    (f) 기절골이 실험을 위해 중절골 내로 삽입되는 단계와,
    (g) 금속 가이드 와이어가 3.5mm 구멍을 통해 축방향으로 전체 발가락을 관통하여 발가락 볼을 통해 미부로 회전되는 단계와,
    (h) 드릴이 미부에서 돌출된 가이드 와이어에 고정되는 단계와,
    (i) 가이드 와이어의 끝이 중절골의 기부에서 겨우 보이도록 가이드 와이어가 더 당겨지는 단계와,
    (k) 기절골이 최종적으로 중절골 내로 연장되고 교정된 중족지골 관절 위치 에서 손으로 보유되는 단계와,
    (l) 가이드 와이어가 드릴과 함께 내골수적으로 올바르게 위치된 중족지골 관절을 통해 중족골 내까지 회전되는 단계와,
    (m) 튜브(1)가 튜브 램과 함께 가이드 와이어(2)를 통해 뼈 내로 삽입되는 단계와,
    (n) 발가락 볼에서 튜브(1)를 절단하는 단계와,
    (o) 발가락 끝의 피부 아래에서 튜브(1)의 말단부까지 도달될 때까지 튜브(1)를 더 삽입하는 단계와,
    (p) 가이드 와이어(2)를 발가락으로부터 말단부로 당기는 단계와,
    (q) 실로 발가락 끝 피부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수술 I 단계 중에 안내 와이어(2)는 중족골 헤드(6) 내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수술 I 단계 중에 튜브(1)는 중족골 헤드(6) 내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수술 I 단계 중에 안내 와이어(2)는 기절골의 기부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수술 I 단계 중에 튜브(1)는 기절골의 기부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1)의 성공적인 이식 후 6 내지 8주 후에 튜브는 발가락의 굽힘성을 회복하기 위해 중족지골 관절의 높이에서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19299A 2005-10-10 2003-04-10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KR20060005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299A KR20060005364A (ko) 2005-10-10 2003-04-10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299A KR20060005364A (ko) 2005-10-10 2003-04-10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64A true KR20060005364A (ko) 2006-01-17

Family

ID=3711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299A KR20060005364A (ko) 2005-10-10 2003-04-10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3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986B2 (en) Device for temporarily splinting toes
US109256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the mid-foot region via an intramedullary nail
US8979846B2 (en) Flexible nail assembly for fractures of long bones
US9907584B2 (en) Orthopedic fastener device
US6660009B1 (en) Fracture fixation system
US6203544B1 (en) Fixation element
US4212294A (en) Orthopedic fracture fixation device
KR20080018164A (ko) 골접합 장치
ITRM20010123A1 (it) Fissatore interno a fascia per fratture e protesi ossee.
US10687952B2 (en) Flexible, cannulated implants for the hand and foot and methods of implanting flexible implants
EP3116456A1 (en) Orthopedic fastener device
ENGEL et al. A comparison between K-wire and compression screw fixation after arthodesis of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US20120016366A1 (en) Proximal Radius Locking Plate
RU2324450C2 (ru) Спица для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го армирования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KR20060005364A (ko) 발가락의 일시적인 부목을 위한 장치
RU2332963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олого бедрен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эндопротеза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EP3737299B1 (en) Flexible, cannulated implants for the hand and foot
RU2362504C1 (ru) Штифт для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локтевой кости
RU2816022C1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эластичного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го стержня
RU589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костномозговой полости сломанного пол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гвоздя
Basiony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Results of Fixation of Unstable Metacarpal Fractures Using Bouquet Technique Versus Mini-plate and Screws
RU20148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вертельных переломов
CN117398165A (zh) 一种用于拇指外翻矫形手术的复位固定装置
Ender Treatment of problem fractures and nonunion of the scaphoid
Rosenberg et al. A self-locking pin for fixation of small bones and phalanges: a preliminary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