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319A -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319A
KR20060005319A KR1020050133570A KR20050133570A KR20060005319A KR 20060005319 A KR20060005319 A KR 20060005319A KR 1020050133570 A KR1020050133570 A KR 1020050133570A KR 20050133570 A KR20050133570 A KR 20050133570A KR 20060005319 A KR20060005319 A KR 2006000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ccount book
intern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13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319A/ko
Publication of KR2006000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유형/무형의 상품거래 및 각종 마일리지 현황등을 거래발생시 바로 가계부 형식으로 자동누적 합산하여 저장하고 북마크 기능이 있는 인스턴트메신저 형태로 윈도우창 또는 웹사이트에 띄어 인터넷 사용자가 웹서핑중 항상 지출 및 마일리지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1)사용자로 하여금 온라인 상품 구매시 누적지출금을 감안하여 충동구매를 사전에 방지하는 등의 효율적인 지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2)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계획된 가계부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개인의 총수입대비 지출계획을 일관성 있게 도시화시켜 제시하며, (3)웹상에서 발생되는 각종 마일리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수익증대를 도모하며 (4)은행사 및 카드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카드이용대금 및 결제일, 통장계좌의 입출금 내역 등을 가계부 브라우저를 통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5)사용자가 항상 거래상품 및 마일리지를 보고 해당사이트를 자주 찾도록 유도(가계부 북마크 기능)하여 사이트 광고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자주 찾는 사이트(쇼핑몰, 마일리지 사이트)를 가계부 브라우저에 설치되어 있는 가계부 북마크를 통해 빠르고 쉽게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6)사용자의 상품구매현황리서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컨설팅 및 광고제휴를 가능케 하는 등의 기능을 구사하는 특징이 있다.
가계부, 마일리지, 온/오프라인 통합

Description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System for Integrated Internet-based Household Account Book}
도 1은 인터넷 상의 기본적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한 브라우저 표시 방법과 가계부디스플레이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계부 브라우저의 서비스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카드사에 대한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의 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이다.
도 6은 은행에서의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 시스템의 적용.
도 7은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 시스템을 카드사에 적용하는 순서도 이다.
도 8은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시스템을 은행에 적용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인터넷 on/off line전자가계부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쇼핑몰, 카드사, 은행에서 발생된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 저장하는 순서도 이다.
도 11은 사용자가 본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은 가계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쇼핑을 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지금까지 자신의 구입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이다
도 13은 마일리지, 적립금이 발생하였을 때 그 정보를 보여주는 순서도와 기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on/off line 가계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상거래 및 마일리지 사이트 이용시 계획성 있는 지출 및 적립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주며, 대상사이트 및 거래 상품의 광고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구매현황리서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가계부는 비록 컴퓨터 상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고 온라인 거래보다는 주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지출이 주를 이루며, 전자상거래 및 마일리지 대상사이트에서 발생되는 거래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불편으로 인하여 가계부에 입력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향후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오프라인 외에 온 라인에서 지출되는 금액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가계부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종래 오프라인에서 작성되던 가계부는 웹상에서 수시로 발생되는 지출 및 마일리지 현황을 체계적인 통계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때 기입하기 힘든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관리소홀로 인해 유명무실해지기 쉽기 때문에 기존의 가계부시스템을 이용한 수입 및 지출계획을 수립하기가 어렵다.
사이트 및 상품광고 방법 또한 종래에 여러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항상 관심을 갖고 그 광고만을 유심히 들여다보기를 바라는 건 무리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했을 경우나 마일리지가 발생했을 때 대상사이트는 사용자를 고객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메일을 보내는 등 수시로 광고를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전자상거래 및 마일리지 대상사이트를 한두번 이용한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사이트를 항상 떠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광고를 해야하며, 또한 사용자를 고객으로 유지하기 위해 광고 이메일을 보내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웹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광고들 중 하나로 치유하여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이 또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웹상에서 수시로 발생되는 지출 및 마일리지 현황을 사용자가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북마크 기능이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 형태의 가계부를 윈도우창 또는 웹상에 제시하여 웹상에서 지출 및 마일리지 거래가 발생하는 즉시 자동으로 가계부에 누적합산 되도록 하여 온라인상에서 발생되는 모든 수입 및 지출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수립을 가능하게 하며, 2)은행사 및 카드사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를 자동으로 가계부에 정산처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카드이용대금 및 결제일, 통장계좌의 입출금 내역 등을 가계부 브라우저를 통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3)은행사 및 카드사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는 사용자의 지출입 거래 또한 가계부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에서 이루어진 거래와 합산 정리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각 개인의 총 수입 대비 지출 계획을 on/off line을 통합하여 일관성있게 도시화시켜 제시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생활계획을 가능케 하고자 하며, 4)사용자 자신의 가계부에 제시된 거래대상 사이트, 거래품목 및 금액, 마일리지 현황 및 대상사이트 등을 사용자가 항상 관심을 갖고 볼 수 있도록 하여 대상사이트 및 상품의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연상광고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며, 5)사용자로 하여금 자주 찾는 사이트(쇼핑몰, 마일리지 사이트)를 가계부 브라우저에 설치되어 있는 가계부 북마크를 통해 빠르고 쉽게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6)사용자의 상품구매리서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on/off line 가계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상거래 및 마일리지 사이트 이용시 계획성 있는 지출 및 적립계획을 수립하 도록 도와주며, 대상사이트 및 거래 상품의 광고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구매현황리서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자가계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본 사이트를 이용하는 모습과 본 사이트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는 인터넷 상의 기본적 구성도 이다.
기본적 구성도는 가계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본 사이트를 이용하는 모습과 본 사이트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사이트의 기본 구성은 가계부 데이터베이스 서버(1)를 지닌 사이트, 그에 협약하여 연결된 쇼핑몰, 카드사, 은행 데이터베이스(2), 그리고 인터넷 망(3)에 연결된 사용자(5)(6)가 사용하는 가계부 브라우저(4)와 가계부프로그램(7)으로 구성되어지는 방식이다.
쇼핑몰 데이터 베이스(2)에 저장된 사용자의 쇼핑정보를 본 사이트의 가계부 데이터 베이스 서버(1)에 저장한 후 인터넷 망(3)을 통하여 가계부 브라우저(4)나 가계부 프로그램(7)을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에 따른 동작을 사용자(5),(6)에 구현하는 방식의 인터넷 자동 가계부이다.
도 2는 본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한 브라우저 표시 방법과 가계부디스플레이 방법이다.
사용자는 가계부 전용브라우저(4)를 인터넷에서 쇼핑을 할 경우 자신의 화면 상단에 띄어 놓고 사용할 수 있고, 가계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 사항들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본 사이트와 협약된 쇼핑몰 데이터베이스(DB) 01과, 본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데이터베이스(DB) 02와 가계부 브라우저의 기능에 따른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DB) 03과, 가계부 브라우저 04와, 사용자 05와, 쇼핑정보 리서치 데이터베이스(DB) 06과, 비협약된 쇼핑몰 사이트 08과, 가계부 프로그램 09와 협약쇼핑몰 정보 데이터 베이스(DB) 20과 메일시스템 21, 카드사, 은행 22로 구성한다.
우선 본 사이트의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05 (여기서 사용자는 본 사이트의 회원으로 등록되어 그 사람의 정보가 우리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인터넷 쇼핑이나 웹에서의 금전적 행위를 하는 사람이다.)들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여러가지 금전적 활동을 영위할 경우, 본 사이트와 협약된 쇼핑몰 01은 사용자 05들의 쇼핑정보나 마일리지등의 정보를 본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에 보낸다.
본 사이트의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는 사용자 05들의 각각의 쇼핑정보를 확인한 후 분류코드를 매기고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를 구축한다. 상기 사용자 05의 정보는 각각 성격에 맞게 분류된 후 전체의 내용이 아닌 부분 부분 필요한 정보로 나뉘어져 브라우저 04와 사용자정보 데이터 베이스(DB) 02간의 서버통신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디렉토리 형식으로 만들어, 각각의 디렉토리에 사용자 정보를 연결시킨 후 그 정보를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DB) 03에 보내어 저장한다. 그리고 쇼핑몰을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그 해당 쇼핑몰이 링크되어 사용자가 어느 사이트에 있든지 수시적으로 인터넷에서 편하게 웹서핑을 할 수 있게 디렉토리 검색이동을 디렉토리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본 사이트와 비협약된 쇼핑몰 08에서는 사용자 05가 쇼핑몰 내에서 영위한 금전적 변경사항은 비협약 쇼핑몰 08에서 사용자 05가 카드나 계좌를 통해서 결제한 사항에 대한 대금을 받기 위해, 사용자 05들의 쇼핑정보를 카드사나 은행 22로 보낸다.
카드사나 은행에 보내어진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DB) 02에 저장되어지기 전 분류코드를 매기고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B) 02에 저장한다.
카드사나 은행에서 보내진 사용자 정보를 각각 성격에 맞게 저장하기 전에, 분류된 데이터중에서 쇼핑몰 이름 데이터를 추출하여, 협약된 쇼핑몰의 정보를 저 장해 놓은 협약쇼핑몰 정보 데이터 베이스 20의 쇼핑몰 이름과 추출된 쇼핑몰 이름과 비교한다.
협약된 쇼핑몰이면 사용자 05의 쇼핑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하고, 비협약된 쇼핑몰이면 쇼핑몰 이름에 나타내어진 쇼핑몰로 메일 시스템 21을 이용하여 메일을 보낸다. 그리고 비협약된 쇼핑몰로 판명된 정보도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에 비협약된 사이트와 협약을 하게되면 사용을 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되어진 비협약쇼핑몰 08의 사용자 정보는 그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저장되어지는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 03으로 각각 분류된 정보가 넘어갈 때, 쇼핑몰이름이나 링크기능 등, 쇼핑몰을 알릴 수 있는 사항들에 제약을 두어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 03에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05가 브라우저 04나 가계부 프로그램 09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를 확인 할 때, 비협약된 쇼핑몰의 정보와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없고, 단순히 품목과 가격 결제일 등에 관한 사항들을 볼 수 있다.
메일 시스템 21을 이용하여 비협약 쇼핑몰에 메일을 보낼 때, 가계부 기능의 장점을 피력하고, 쇼핑몰의 광고기능 등을 알려 본사이트와 협약을 하도록 유도하여 본사이트의 협약쇼핑몰을 계속하여 늘려 나간다.
또한 사용자 정보데이터베이스(DB) 02에 있는 쇼핑정보들은 리서치 형식으로 분류되어 쇼핑정보 리서치데이터베이스(DB) 06에 용도에 맞게 저장된다. 리서치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들은 쇼핑몰 컨설팅 및 자료제공 07로 이용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04와 가계부프로그램 09에는 각각의 기능에 맞게 쇼핑몰 정보에 대응하는 디렉토리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에는 서비스될 모든 쇼핑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DB) 03은 상기 쇼핑정보에 대응된 디렉토리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또한 쇼핑정보 리서치 데이터베이스(DB)에는 쇼핑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로부터 리서치 형식으로 분류 구성된 정보자료들이 저장되어 있게 된다. 브라우저 04와 가계부 프로그램 09는 디렉토리데이터베이스(DB) 03과 쇼핑몰데이터베이스(DB) 01의 저장되어진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렉토리는 사용자 05가 사용하는 브라우저 04의 기능에 맞춰서 사용자 05가, 언제 혹은 금일, 어느 쇼핑몰에서, 어떤 물건을, 얼마에 구입했는가, 사용자 05의 신용카드 결제일등과 같은, 사용자 05가 지금 까지 인터넷 상에서 영위한 상기 나열한 정보들에 대한 총괄적 정보를 날짜별로 검색하고, 사용자 05가 인터넷 사이트에서 얻은 상품정보나 마일리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상기 쇼핑정보 리서치 데이터베이스(DB) 06의 데이터는 사용자들의 밀접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05들에게 설문조사가 아닌 그들이 여러 인터넷 사이트에서 행한 인터넷 쇼핑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현실에 맞는 리서치 분류를 통한 정보를 의 미한다.
쇼핑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서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 06으로 사용자 정보가 넘어가면서 만들어지는 리서치 폼은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학력, 수입, 직업등 일련의 밀접한 정보뿐만이 아닌 시간, 날짜, 날씨, 구매패턴, 쇼핑몰에 머무른 시간, 방문시간 등 사용자가 회원을 가입할 때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어가며 기입을 원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인터넷 쇼핑을 하면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일련의 조건들로 리서치 폼을 구성한다. 본 사이트의 리서치는 사용자가 하나의 쇼핑몰에서만 구입활동을 한 사항이 아닌 인터넷 상의 다수의 쇼핑몰과 오프라인상의 거래활동 등 모든 것을 기반으로 리서치 정보가 작성된다.
리서치 정보는 연령, 성별 등의 하나 하나 개별적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를 낼 수 있고,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통계적 정보를 작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전체 쇼핑몰에 대한 통계적 정보도 얻을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나열된 여러 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쇼핑몰에, 어느 시간대, 어느 상황에서 많이 방문하게 되고 어떤 물품을 구입하는지의 총체적 정보를 리서치로 작성하여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울에 사는 20대 여성들은 날씨가 흐리면 A쇼핑몰에 2시에 자주 가서 B물품을 구입한다는 리서치 정보가 생성되면, 여성을 대상으로 판매를 하는 쇼핑몰들은 A쇼핑몰을 연구하여 자신들의 쇼핑몰의 사항들을 개선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쇼핑몰들도 하나의 계층을 타겟팅하여 판매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본 사이트의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 06에 있는 세세한 개별적, 비교적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사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05가 웹에 들어와 우리의 브라우저 04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설명을 하면 사용자는 우선 본 사이트의 가계부 브라우저 04를 실행시킨 후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가계부 브라우저 04(이하 브라우저라 함)를 웹서핑을 하는 동안 어느 사이트든지 항상 같이 다니며 자신의 쇼핑정보, 마일리지 또는 금전적 변동사항을 언제나 확인 할 수 가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에는 본 사이트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여 등록한 사용자 05의 각종 신상명세와 사용자 05가 받을 수 있는 인터넷 상에서의 쇼핑정보와 금전적 변동사항, 마일리지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0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브라우저 04의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이름, 사용자의 금일 금전적 변동사항, 사용자의 상품구입 내역, 사용자의 상품구입쇼핑몰, 신용카드 결제일, 과거부터의 인터넷 쇼핑정보, 마일리지 등의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맞춤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 05는 브라우저 04를 통하여 자신의 정보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05는 브라우저 04를 통하여 인터넷 상의 쇼핑몰을 검색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인터넷상의 쇼핑몰은 본 사이트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브라우저 04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 05들이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가계부프로그램 09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03에 있는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 상에서 가계부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다음 볼 수 있으며, 가계부 프로그램 09는 실생활과 같은 형태의 오프라인가계부 폼으로서 구성되어 이용된다.
가계부프로그램 09에서 온라인 상의 모든 금전적 사항은 자동으로 가계부에 맞춰서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DB) 03의 정보가 기입되어지고, 사용자는 자신이 오프라인에서 행한 일들만을 가계부에 기입한다. 가계부에 기입즉시 금액 등이 계산되어 사용자가 쉽게 가계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계부 브라우저 서비스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자동 가계부 서비스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05가 도 4의 101단계에서 브라우저 04를 실행시키고 인터넷 웹 서핑을 하면, 회원 로그인 단계에서 판별된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02에 저장되어진 사용자 05가 도 4의 102단계인 처음으로 쇼핑을 하거나 마일리지를 얻는 등의 쇼핑정보 행동을 하기 전까지의 축적된 정보와 쇼핑몰 이벤트나 행사 등의 사항을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03에 저장하여 브라우저 04의 기능별로 정보를 나누어 보여준다. 이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02는 사용자 05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입하거나 금전적 거래를 하는 도 4의 104단계의 정보가 들어오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쇼핑몰 데이터베이스 01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 여기서 협약된 쇼핑몰의 데이터베이스 01은 본 사이트의 사용자가 협약된 쇼핑몰에서 행하는 상품구입 마일리지 등의 정보를 사용자 05의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쇼핑정보 데이터베이스 02에 알려준다. 도 4의 104단계가 발생하면 쇼핑몰 데이터 베이스 02는 사용자 05의 도 4의 106단계를 통하여 쇼핑정보를 도 4의 108단계로 실행한다. 사용자의 쇼핑정보는 바로 리서치데이터베이스 06의 조건에 의해서 자료로 만들어지면서 110단계를 실행한 후 모아진 자료와 정보를 이용하여 111단계로 넘어가게 한다.
108 단계에 저장된 정보는 112단계로 넘어가 브라우저 04 기능에 따른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03에 각각 정보의 기능별로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가 분류 저장되고, 분류 저장된 디렉토리마다 쇼핑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안에 있는 쇼핑정보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다. 113단계에서는 브라우저 04의 항목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 05가 언제든지 자신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져 있고 113단계의 준비되어 있는 정보를 브라우저 04를 통해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115단계에서 선택된 브라우저 항목에 따른 쇼핑정보를 사용자 05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보여준다. 선택할 수 있는 브라우저 항목에는 116단계, 금일 여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구입정보 117단계, 지금까지의 총물품 구입정보 날짜별, 쇼핑몰별, 118단계의 마일리지 관리기능 등의 항목이 있어 그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 05는 수시로 확인 할 수 가 있다.
브라우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116단계,117단계,118단계 등 이외에도 사용자 05는 자신의 컴퓨터에 인스톨시켜 놓은 119단계의 가계부프로그램 09를 이용하여 자신의 쇼핑정보 사항을 오프라인에서 확인을 할 수 있다. 가계부프로그램 09도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 03에서 쇼핑정보 디렉토리를 제공받기 때문에, 브라우저 04나 가계부프로그램 09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의 자신의 쇼핑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가계부를 자동적으로 써놓는다.
119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가계부를 확인한 후 120단계의 오프라인 사항까지 기입을 하고 , 가계부프로그램 09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연결해서 가계부를 쓴다.
가계부프로그램 09는 오프라인 사항의 모든 계산이나, 정렬, 도표 등을 자동으로 사용하고 온라인의 쇼핑정보와 함께 가계부를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108단계에 저장된 사용자 각각의 쇼핑정보는 여러가지 리서치 사항들을 고려 한 쇼핑정보리서치 데이터베이스 06에 저장되며 110단계로 진행한다. 108단계에서 110단계로 넘어갈 때 사용자의 여러가지 기본사항(성별, 나이, 지역, 직업 등등)과 날씨, 계절, 요일, 날짜, 등의 조건에 맞춰서 쇼핑리서치가 작성되어 110단계로 저장한다.
110단계의 리서치정보는 111단계에서 향후 쇼핑몰 컨설팅이나 자료제공등과 같은 형태로 이용한다.
사용자가 101단계에서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웹서핑을 할 경우에 104단계를 행할 시 협약된 쇼핑몰데이터베이스 01에서 사용자의 쇼핑정보가 생성되어 발송되면, 사용자 각각의 쇼핑정보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는 쇼핑몰데이터베이스 02에 바로 104단계의 사항을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은 사항에서 웹서핑을 할 시에도 그 사용자의 쇼핑정보는 바로 바로 106단계, 108단계, 112단계, 110단계를 거치면서 본 사이트 안에 쇼핑정보데이터가 저장, 처리되어진다. 사용자 05가 협약된 쇼핑몰이 아닌 비협약된 쇼핑몰에서 103단계를 행할 시 브라우저는 협약쇼핑몰 데이터베이스 20에 저장되어진 쇼핑몰 리스트를 비교하여 협약된 쇼핑몰이 아니라고 메시지를 알려주고, 사용자 05의 비협약 쇼핑몰 08에서 103단계를 행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금전적 거래를 하게 되면 , 비협약 쇼핑몰은 사용자의 대금을 청구하기 위해 은행이나 카드사로 사용자의 구매정보를 보내어 사용자 05가 행한 사항에 대하여 금액을 요구하게 된다. 103단계에서 비협약 쇼핑몰을 통하여 105단계로 넘어간 본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는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보내지는 사용자 정보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는 사용자 쇼핑정보 데이터 베이스 02를 통하여 읽어오게 된다. 105단계에서 읽어온 사용자 정보는 108단계에서 사용자 쇼핑정보 데이터베이스 02에 저장되고 109단계에서 사용자 05의 쇼핑정보 속에 기입되어 있는 쇼핑몰 이름을 본사이트와 협약된 쇼핑몰 정보 데이터 베이스 20에 기입되어진 쇼핑몰과 비교하여 본사이트와 협약된 쇼핑몰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본 사이트와 협약된 쇼핑몰이 아닐 경우 109단계에서 본사이트의 메일시스템 21을 이용하여 비협약 쇼핑몰에 메일 공문을 보내어 본사이트와 협약을 체결하게 유도한다. 비협약 쇼핑몰에 우리의 장점을 나열하여 설명하고 비협약 쇼핑몰은 본 사이트의 가계부 브라우저 04나 가계부 프로그램 09에 쇼핑몰의 링크기능이 없이 쇼핑몰의 정보가 빠진 상태의 기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사용자가 브라우저 04를 실행하지 않고 비협약된 쇼핑몰에서 103단계를 행할 시, 본 사이트의 협약쇼핑몰 데이터베이스 20에 저장되어진 쇼핑몰의 url과 사용자가 들어간 쇼핑몰의 url을 비교하여 비협약 쇼핑몰일 경우 브라우저가 자동 활성화되어 사용자에게 비협약 쇼핑몰 임을 알려준다.
상기 설명한 인터넷 on/off line 통합 전자가계부 비즈니스 모델 시스템은 단순히 하나의 쇼핑몰에만 적용되는 모델이 아닌, 사용자의 신용카드나 전자지급 시스템, 지로, 통장의 계좌등 사용자의 금전적 활동사항이 데이터화하여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일련의 사항에 적용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금전적 영위활동 속에 저장 확인 할 수 있는 하나의 정보 저장 매개체가 존재할 시 , 상기 인터넷 on/off line 통합 전자가계부의 확장성은 은행, 카드사, 전자지급시스템 회사등에서 사용된다.
그에 대한 사항을 기본 시스템도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도 5는 카드사에 대한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의 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사용자 03, off line에서의 거래 13, 전자단말기를 이용한 현금서비스 14, 쇼핑몰 금전적 변동사항 15와, 쇼핑정보 데이터베이스 16, 대금 처리 시스템 17, 각각의 카드사 18, 대금처리 데이터베이스 19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행한 on/off line에서의 신용카드 이용 사항을 바탕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쇼핑정보 데이터 베이스 02를 이용하여 인터넷 on/off line 통합 전자가계부의 시스템 적용을 한다.
사용자는 오프라인사항에서 ATM단말기를 이용하여 현금서비스 14를 받으면 사용자의 카드번호, 날짜, 액수 등의 정보가 카드사 18로 전달되어 현금서비스가 처리되고 처리된 사용자의 정보는 카드사의 대금처리 데이터베이스에 보내져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 05가 오프라인 거래 13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정보는 거래처, 금액, 품목, 날짜등이 영수증에 기입된 정보형식으로 오프라인 상점이나 거래처들에서 카드사로 보내어 지고, 카드사는 대금청구에 대한 대금지급을 한 후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거래 정보를 카드사의 대금처리데이터베이스 19에 저장한다. 사용자 05가 인터넷 상의 쇼핑몰 15에서 물품구입을 하게되면 각각의 쇼핑몰 15는 자신들의 회원에 대한 정보를 쇼핑정보 데이터베이스 16에 저장시켜 놓는다.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여 물품을 구입했을 경우 쇼핑몰에서 처리해준 물품이나 금전적 사항은 각각 카드사로 대금 청구를 하기위해 카드번호와 품목 정보에 따른 사항을 대금처리 시스템 17을 이용하여 카드사 18에 청구하게 된다. 카드사는 청구된 사항에 대한 각각의 사용자 변동 사항을 대금처리 데이터베이스 19에 저장하고 청구된 사항에 대해 쇼핑몰에 대금을 지급하게 된다. 현금서비스 14, 오프라인 거래 13, 쇼핑몰 15등은 사용자나 회원이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구입이나 금전적 변동행동을 한것에 대한대금을 청구하기위해 카드사 18로 사용자의 세세한 정보를 보내고 카드사는 각각의 청구사항에 대해 대금을 지급한 후 자신들의 카드를 사용한, 사용자 대금처리 정보를 대금처리 데이터베이스 19에 저장시켜 놓는 것이다. 본 사이트의 인터넷 on/off line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은 카드사에서 보내온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02에 분류코드를 매기고 정보를 축적하게 한다. 동일 사용자의 중복된 정보는 분류코드를 매기는 단계에서 하나의 정보만을 선택하고 중복된 정보를 기존 동일한 정보에 흡수를 한다.
도 6은 은행에서의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 시스템의 적용.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나, 금전적 변동사항을 발생시키고 은행의 사용자 계좌에서 그 대금이 지출되고, 지로나 계좌이체 등의 정보처리 사항 이 나타나면, 은행은 사용자의 통장 데이터베이스에 그 사용자의 금전적 변동사항이 포함된 사용자의 계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사용자 계좌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계좌 정보는 본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보내지고 각각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사항이 분류, 정리 되어 각각의 사항에 맞게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02에 저장한다.
도 7은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 시스템을 카드사에 적용하는 순서도 이다.
사용자 05가 1)현금서비스를 받으려면 102단계를 행하면 사용자는 신용 카드 202 단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202단계에서 사용자의 정보와 금전변동 사항은 ATM단말기로 이동하게 된다. ATM 단말기에 Network로 저장된 사용자의 기존 신상정보와 카드 사용시 정보를 비교하여 ATM단말기로 현금을 지급하는 203 단계를 하게된다. 지급이 완료되면 지급 정보가 카드사로 통보된다.
2) 사용자 05가 오프라인 거래 205단계를 행한 후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카드를 사용해서 206 단계를 행하게 되면, 카드 단말기를 통하여 카드회사와 오프라인 상점 사이에 사용자 신용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카드에서 결제가 이루어진다. 카드결제가 되면 사용자의 거래정보는 카드사로 보내지고 사용자는 자신의 거래 사항에 대한 영수증을 발급 받는다.
오프라인 상점은 사용자의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카드사에 대금을 청구하기 위해 207 단계를 행하고, 실제 정보를 카드사에 알리는 208단계로 넘어가 대금을 청구한다.
3)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해 쇼핑몰에서 구매 또는 금전적 활동 210을 하면 사용자의 신용카드나 전자카드의 고유 정보가 전자쇼핑몰에 기입되고, 쇼핑몰은 그 정보를 카드사로 통보하여 올바른 사용자임을 검색한다. 그 후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물품이 발송되고, 사용자의 물품구입이나 금전적 변동사항에 따른 쇼핑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이 되어 211단계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행한 물품구입이나 금전적 변동사항에 따른 대금을 쇼핑몰의 대금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드사에 대금을 처우하는 212단계를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알리는 213단계를 수행한다. 구 후 214단계에서 카드사는 사용자 05가 수행한 현금서비스, 오프라인 거래, 쇼핑몰 이용등에서 청구된 금액 및 구매 정보와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할 때 카드사로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 한다. 215 단계에서 214단계의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카드사는 217단계에서 청구금액 지급 및 사용자의 대금처리된 사항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을 한다. 217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는 218단계의 브라우저나, 가계부에 맞는 형식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품에 맞게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8은 인터넷 on/off line 전자가계부시스템을 은행에 적용한 순서도이다.
카드사에서 사용자의 여러 거래에 대한 청구 금액을 지급하고, 사용자의 계좌와 지로등을 이용해서 대납 자금을 회수하게 된다. 302단계에서 카드사는 은행에 사용자 카드 대금을 요구하게 되고, 303 단계로 넘어와 사용자가 지정한 계좌에서 카드대금이 지급되거나 사용자는 지로를 이용해서 대금을 납부하게 된다. 304 단계에서 사용자는 여러 세금 납부, 입.출금 사용에 따른 수입, 계좌이체, 자동이체, 결제, 또는 홈뱅킹을 사용한 거래등의 사용자 정보가 나타나고, 기타의 여러 사항에 대하여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게 된다.
도 9는 상기 인터넷 on/off line전자가계부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구성도이다.
구성도 3, 5, 6, 7과 순서도 4, 8, 9를 모두 적용시켜 사용자의 정보가 발생되는 사회의 여러 가지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성되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도에 대한 설명은 상기 구성도 3, 5, 6, 7과 순서도 4, 8, 9에 나와있다.
도 10은 쇼핑몰, 카드사, 은행에서 발생된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에 분류 저장하는 순서도 이다.
401 단계에서 쇼핑몰, 은행, 카드사를 통해 본 사이트로 들어온 쇼핑, 금전 적 정보는 108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되기 전에 402 단계로 데이터 베이스 각각의 사항에 맞게 분류되어 기입된다. 403 단계에서 상기 쇼핑, 금전적 정보는 사용자 각각에 맞춰서 사용자가 금전적 행위를 한 쇼핑몰의 이름과 사용자가 기입한 쇼핑결제일, 오프라인 상점의 이름, 구매 활동을 한 날짜, 사용한 카드의 종류와 카드사의 이름, 구매를 한 시간, 사용자가 ATM기를 이용해서 현금서비스를 받은 기록과 인출내역, 사용자의 계좌로 들어오는 수입내역, 사용자의 계좌나 지로 등으로 빠져나가는 지출내역,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금전적 행위를 하거나 카드를 사용하면서 받은, 자신의 마일리지나 적립금 상황, 사용자가 구입한 물품의 종류와 명칭, 물품이나 온라인 사용료에 대한 가격, 통장에서 지로나 계좌이체로 발생되는 입출력 내용, 사용자가 구매행동을 한 시점에서의 날씨와 주변환경요건, 사용자가 이용한 은행명 둥 사용자의 가계부에 기입될 다수의 사항에 따라 각각 분류를 해서 108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을 할 때 각각 분류사항에 대하여 코드를 매기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108단계에서 112단계의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 03으로 넘어가기 전에 가계부나 브라우저 기능에 맞게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의 코드가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 03의 분류 방식으로 이동하여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02에 남아있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렉토리만 분류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의 정보가 발생되어 108단계에서 모든 정보의 분류, 코드, 저장 행위가 끝나면 저장된 정보 중 사용자가 이용한 쇼핑몰의 이름이나 이용한 카드사의 이 름등이 추출되어 협약쇼핑몰 데이터 베이스 20에 저장되어 있는 쇼핑몰들과 비교를 하게된다.
여기서 협약된 쇼핑몰로 판명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된 모든 내용들의 디렉토리가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 03의 분류에 맞게 사용자의 총 구입사항, 금일 구입사항, 사용자가 받은 마일리지, 사용자의 금전거래 사항등 브라우저의 기능에 맞는 정보로 분류 되서 112단계로 저장되거나 가계부 프로그램에 맞춰서 각각의 폼에 맞는 정보들로 분류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02의 정보가 디랙토리로 분류될 때 각각의 사항에 대하여 링크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자유롭게 자신이 이동하고 싶은 곳을 이동할 수 있게한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쇼핑몰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브라우저나 가계부 프로그램을 볼 때마다 항상 자신들의 쇼핑몰과 구입품목을 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에서 하는 광고보다는 커다란 효과를 창출한다.
만약 비협약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행한 정보가 들어보면 협약쇼핑몰 데이터 베이스 20에 저장되어 있는 쇼핑몰과 비교하여 112단계의 디렉토리 데이터 베이스로 사용자의 정보가 폼에 맞게 분류 저장될 때 쇼핑몰의 이름이나 링크기능, 쇼핑몰의 마일리지 정보 등이 사라지고 단순히 사용자가 자신이 구입한 물건과 가격, 기타의 금전적 거래 사항들을 본다.
가계부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에 모든 거래 사항과 결제일, 기타의 상기 사 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저장된 내용들이 405단계의 분류나 실생활 가계부와 같은 폼으로 구성되어진 가계부 프로그램의 사항에 따라 정보들이 표시된다.
405단계에서의 분류구성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항상 수시로 확인을 할 수가 있고 쇼핑몰의 정보, 카드사의 정보, 은행의 정보등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모든 사항들이 기입된다.
또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분류 저장되어진 사용자 정보는 110단계로 넘어가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 06에 저장되어 여러 쇼핑몰이나 카드사, 은행등 사회의 여러 곳에 컨설팅이나 마케팅을 하는 자료로 사용되어진다.
상기 사용자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 06으로 저장되기 전, 404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에 있는 사항들은 각각 리서치 폼에 맞게 분류 되어 여러 사항에 따라 리서치를 작성할 수 있게 끔 폼이 구성되어 진다. 406 단계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02의 정보는 리서치로 만들어지기 전에, 개별적 사항에 대하여 먼저 리서치 폼을 구성한다. 여기서 구성되어지는 리서치 폼은 사용자의 일반적 사항들 뿐만 아닌 사용자가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행한 모든 일련의 사항들로서 자동적으로 분류 기입되어진다.
407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구성되어진 리서치 폼은 결과 검색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확인 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20대 사람들의 통계 다음으로 이용 쇼핑몰, 이용 카드사 통계 선택, 지역적 통계 선택, 다음 날짜 선택, 다음 성별선택 이런 식으로 순차적으로 리서치를 검색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20대에 어느 지역에 사는 사람의 어느 쇼핑몰을 이용하여 어떤 카드를 쓴 것에 대한 몇 월 몇 일에 발생한 남성의 통계 식으로 세부적 리서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리서치 분류된 폼들이 하나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모든 세부적 통계사항을 바탕으로 여러 사업을 조사 분석하여 하나의 기초가 되는 세세한 사업 영역에 적용을 시키고 또는 통합적 하나의 통계사항을 보고 온라인, 오프라인에서의 사업방향을 설정하여 나갈 수 있다.
이렇게 407 단계에서 작성되어진 개별적, 통계적 리서치 폼은 110 단계의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 06에 저장되어 111단계에서 쇼핑몰, 카드사, 은행등에 자료를 제공하거나 컨설팅을 할 수 있는 기반으로 활용된다.
도 11은 사용자가 본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은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이용하여 웹쇼핑을 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인스톨 시켜 놓으면, 작은 아이콘 형태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계부 브라우저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클릭(s11)하는 과정과, 아이콘을 클릭(s11)했을 때 가계 부 부라우저 4가 디스플레이 되어 활성화(s12) 되는 과정과, 상기 가계부 브라우저 4가 활성화(s12)되었을 때 사용자 5,6의 정보를 입력(s13)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s13)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이용해서 쇼핑몰에서 쇼핑(s14)을 하는 과정과, 상기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물품을 구입하면 그 구입 내용이 본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되는 과정(s15)과, 상기 사용자가 오늘 구입하고 있는 물품을 확인하기 위해 today버튼(8)을 클릭(s16)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가계부 브라우저의 화면(9)에 디스플레이(s17) 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s17)되면 사용자 5,6은 브라우저 화면(9)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내용이 가계부 프로그램 7에 자동으로 입력(s19)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과정(s13)은 사용자가 운영자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서비스를 받으려고 본 사이트에서 가계부 브라우저 4를 다운받아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시켜 놓은 후, 어느 사용자가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이용해서 쇼핑을 하는지 확인을 하여 그 사용자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사용자가 우리의 협약된 쇼핑몰에서 쇼핑(s14)을 하고 있을 때 그 사용자가 물건을 구입하거나 기타의 금전적 행위를 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행한 행위가 쇼핑몰 데이터 베이스 2에 저장되면 그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쇼핑정보가 가계부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연동 기입(s03)되어 사용자 자신이 여러 쇼핑몰에서 여러 물품을 구입하더라도 항상 어디서 무엇을 얼마치 샀는지 바로 확인 할 수 있 는 화면 10을 통해서 자신의 구입 내용을 확인 할 수 가 있는 과정이다.
상기 사용자가 여러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입(s14)하게 되면 가계부 브라우저 10에 그 내용이 디스플레이(s17) 되는 동시에 본 사이트의 가계부 데이터베이스 1에 등록된 내용을 바로 가계부프로그램 7에 입력되어 모든 사항들이 우리가 실생활에서 가계부를 쓰듯이 자동으로 그 내용이 기입(s19)된다.
도 12는 사용자가 지금까지 자신의 구입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클릭(s11)하는 과정과, 아이콘을 클릭(s11)했을 때 가계부 브라우저 4가 디스플레이 되어 활성화(s12) 되는 과정과, 상기 가계부 브라우저 4가 활성화(s12)되었을 때 사용자 5,6의 정보를 입력(s13)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s13)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이용해서 쇼핑몰에서 쇼핑(s14)을 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모든 쇼핑내용을 데이터화해서 본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 1에 저장(s25)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총 구입한 물품을 확인하기 위해 total버튼 11을 클릭(s26)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가계부 브라우저의 화면 12에 디스플레이(s17) 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s17)되면 사용자 5,6은 브라우저 화면 12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상기 본 사이트의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여러 쇼핑몰에서 쇼핑이나 금전 적 행위를 하였을 경우에는 항상 그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s25)되어 언제라도 사용자가 원하면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쇼핑을 한 것에 대한 날짜별 쇼핑몰별 결제날짜별 금액별등 여러 사항을 자신이 지금 까지 행한 모든 사항을 일일이 따로 기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저장되어진 본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 1을 이용한 가계부 전용 브라우저 12를 사용하거나 본 사이트 안에서 언제든지 확인을 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쇼핑을 하거나 금전적 거래 또는 기타의 마일리지, 적립금이 발생하였을 때 그 정보를 보여주는 순서도와 기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클릭(s11)하는 과정과, 아이콘을 클릭(s11)했을 때 가계부 브라우저 4가 디스플레이 되어 활성화(s12) 되는 과정과, 상기 가계부 브라우저 4가 활성화(s12)되었을 때 사용자 5,6의 정보를 입력(s13)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s13) 가계부 브라우저 4를 이용해서 쇼핑몰에서 쇼핑(s14)을 하는 과정과, 상기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물품을 구입하거나 기타의 금전적 혹은 마일리지 형태의 데이터가 발생하면 본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되는 과정(s35)과,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마일리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일리지 버튼 17을 클릭하는 과정(s36)과, 상기 데이터가 가계부 브라우저의 화면 18에 디스플레이(s17) 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s17)되면 사용자 5,6은 브라우저 화면 18 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정보는 가계부프로그램에서도 확인(s19)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사용자의 경우 개인의 효율적인 자금운영(; 인터넷 전자상거래 및 마일리지 대상 사이트, 은행사, 카드사 등에서 발생하는 유형 및 무형의 모든 거래품목 및 금액이 본 전자 가계부에 누적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각 개인은 결재일까지 현재 지출된 총금액을 상시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전자 가계부는 북마크 기능이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 형식으로 윈도우창이나 인터넷 사이트맵내에 띄워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구매시 현재까지 지출된 총 금액을 감안한 계획성 있는 지출이 가능케 함., ;기존 가계부를 대체하여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계획된 가계부를 첨가할 수 있으므로 각 개인의 총 수입 대비 지출 계획을 on/off line을 통합하여 일관성 있게 도시화시켜 보여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생활계획을 가능케 함.)을 가능하도록 하며, 2)인터넷 거래확인 기능을 강화하며(인터넷 전자상거래상에서 유형 및 무형의 모든 상품거래 후 금융결제가 되면 곧바로 본 전자 가계부에 거래품목 및 금액이 저장되기 때문에 실거래사실을 재확인 가능함.), 3)은행계좌나 카드 지출내역 등이 가계부에 기재되므로 별도의 통장 및 카드관리가 불필요하며, 4)가계부 브라우저에 있는 북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 찾는 사이트(쇼핑몰, 마일리지 사이트)를 빠르고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5)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마일리지(전자화폐)의 지출 및 적립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각 개인에게 광고확인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현재까지의 총 마일리지 적립현황을 관련 사이트별로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홀하기 쉬운 전자화폐의 가치를 좀 더 현실적으로 구체화시키고 각 개인이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에 직접 방문하여 적립현황을 파악해야 하는 불편을 간소화 시켰으며, 각 개인이 잊고 자주 찾지 않는 관련 사이트를 적립금현황을 상시 보여줌으로 인해 다시 한번 더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으로 사이트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6)가계부에 제시된 거래대상 사이트, 거래품목 및 금액, 마일리지 현황 및 대상사이트 등을 사용자가 항상 관심을 갖고 볼 수 있으므로 대상사이트 및 상품의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연상광고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가계부 브라우져에 있는 북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 사이트를 자주 찾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4)구축된 사용자의 상품구매 리서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컨설팅 및 광고제휴를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가계부 프로그램;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계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에 설치하는 고객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가계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시키며, 상기 고객 단말에서 가계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카드사 및/또는 은행 서버와 연계하여 획득한 상기 고객의 카드이용대금 정보와 결제일 정보와 통장 계좌의 입출금 내역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가계부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객 단말에 설치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가 전송한 상기 고객의 카드이용대금 정보와 결제일 정보와 통장 계좌의 입출금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서버와 연계하여 획득한 상기 고객의 마일리지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가계부 프로그램으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에 설치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서버와 연계하여 획득한 상기 고객의 마일리지 정보를 더 전송시,
    상기 서버가 전송한 상기 고객의 마일리지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은행 서버 및/또는 전자지급시스템과 연계하여 획득한 상기 고객의 세금(또는 공과금) 납부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가계부 프로그램으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에 설치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에서 카드사 서버 및/또는 은행 서버 및/또는 전자지급시스템과 연계하여 획득한 상기 고객의 세금(또는 공과금) 납부 정보를 더 전송시,
    상기 서버가 전송한 상기 고객의 세금(또는 공과금) 납부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에 설치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기 고객 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객의 오프라인에서의 금전 입출금 내역을 더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에 설치된 가계부 프로그램은,
    상기 고객의 카드이용대금 정보와 결제일 정보와 통장 계좌의 입출금 내역 정보와, 상기 고객의 오프라인에서의 금전 입출금 내역 정보를 합산 처리하여, 상기 고객의 일정기간 동안 총 수입 및 총 지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총 수입 및 총 지출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KR1020050133570A 2005-12-29 2005-12-29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KR20060005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570A KR20060005319A (ko) 2005-12-29 2005-12-29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570A KR20060005319A (ko) 2005-12-29 2005-12-29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003A Division KR100759247B1 (ko) 2001-01-02 2001-01-02 가계부 운용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19A true KR20060005319A (ko) 2006-01-17

Family

ID=3711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570A KR20060005319A (ko) 2005-12-29 2005-12-29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47B1 (ko) * 2008-10-20 2009-10-07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가계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가계부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47B1 (ko) * 2008-10-20 2009-10-07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가계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가계부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on-line advertising
US109024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yalty programs
JP3440040B2 (ja) 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318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CA2627920C (en) Merchant funded rewards network implementing cardholder loyalty rebate program
US20010054006A1 (en) Points trad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20060036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community-orien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CN102498497A (zh) 用于定向广告投放的系统和方法
CN101536024A (zh) 个人化的消费者广告布置
CN102804219A (zh) 用基于交易的数据增强搜索数据的系统和方法
CN103098084A (zh) 具有cpe折扣的目标营销
EP1618541A2 (en) Electronic bill presentation and payment system
WO200400614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network of sellers and buyers
WO2008120836A1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online shopping mall
US20130332282A1 (en) System for the Acquisition of Local Goods and Services
JP6998677B2 (ja) 端数資金振替蓄積システム
CN114885611A (zh) 通过积分返还基于区块链的虚拟货币中介及流通系统
KR100760373B1 (ko) 전자가계부 기록매체
US20100161401A1 (en) Incentive providing system for increase of visitors on internet site and method thereof
KR20110080301A (ko) 지불 게이트웨이와 연동한 상품광고 중개 시스템
KR100759247B1 (ko) 가계부 운용서버
KR100760368B1 (ko) 전자가계부 제공방법
KR20060005319A (ko) 인터넷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가계부 시스템
KR20070034560A (ko) 쇼핑몰 결제내역 정보 제공방법
KR20010096333A (ko) 가상적립금을 통합하여 실거래에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