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157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157A
KR20060003157A KR1020040051956A KR20040051956A KR20060003157A KR 20060003157 A KR20060003157 A KR 20060003157A KR 1020040051956 A KR1020040051956 A KR 1020040051956A KR 20040051956 A KR20040051956 A KR 20040051956A KR 20060003157 A KR20060003157 A KR 2006000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board
scree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157A/ko
Publication of KR2006000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Idle Screen)에서 사용자에게 메모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아이들 화면을 두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의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별도의 버퍼에 저장하여 편집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에서도 정보를 메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언제나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Method of Servicing Memo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 있어 화이트 보드 메뉴(White Board Menu) 및 항목 선택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2에 있어 아이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2에 있어 화이트 보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 입력부 20 : 제어부
30 : 메모리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버퍼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Idle Screen)에서 사용자에게 메모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시에 아이들 화면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접하는 화면이지만,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이었다.
즉,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허용하는데, 이것은 전화나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으로서만 허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해당 입력으로서 가능한 것으로는 숫자와 이미 기능화된 키(예를 들어, 통화 버튼, 전화번호 저장 버튼 등)의 입력만을 허용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기존의 기능들 중에서 메모 기능이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확인을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동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게 되므로, 해당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어떤 메모 기능을 제공하고 이것을 저장한다는 개념의 기능은 있지만, 사용자에게 특별한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언제나 확인이 가능하고 메모할 수 있는 개념의 것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메모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시켜 사용자에게 편집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에서도 정보를 메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언제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아이들 화면을 두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의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별도의 버퍼에 저장하여 편집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은 키패드를 통해 전환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정보 입력을 위한 커서의 위치를 전환시켜 상기 분리된 영역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영역 분리 과정은, 상기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화이트 보드 메뉴를 메뉴 항목에 추가시키고 키패드를 통해 해당 화이트 보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화이트 보드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하는 항목 선택 메뉴를 미리 설정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에서 키패드를 통해 메뉴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화이트 보드 메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 보드 메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항목 선택 메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항목 선택 메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선택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아이들 화면의 아이들 화면 영역을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과정은 상기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화이트 보드 기능 해제 시까지 별도의 버퍼에 보관하여 편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 사용자가 화이트 보드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사용자가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아이들 화면의 키 입력은 숫자 및 문자 모두를 입력 가능하도록 해 주며, 해당 입력되는 정보를 별도의 버퍼에 저장시켜 기능 해제 시까지 보관하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를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0)와, 제어부(20)와, 메모리부(30)와, 디스플레이부(40)와, 버퍼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버튼 입력,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화이트 보드 기능 선택,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선택 버튼 입력, 숫자 키 및 문자 키의 입력,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간의 전환을 위한 전환 버튼의 입력 등을 상기 제어부(20)에 통보해 준다.
상기 제어부(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로의 전환을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아이들 화면 정보를 판독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하며,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메뉴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화이트 보드 메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인가하며,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화이트 보드 기능 선택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항목 선택 메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인가하며,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선택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화이트 보드 화면 정보를 판독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인가하며,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버퍼부(50)에 저장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로 인가해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해당 편집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하며,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전환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정보 입력을 위한 커서의 위치를 전환시켜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간의 전환을 수행해 준다.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제어부(2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한 아이들 화면 정보, 화이트 보드 메뉴와 항목 선택 메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이트 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한 화이트 보드 화면 정보, 편집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아이들 화면 정보에 따라 아이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화이트 보드 메뉴에 관한 정보에 따라 화이트 보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항목 선택 메뉴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항목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화이트 보드 화면 정보에 따라 화이트 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준다.
상기 버퍼부(50)는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화이트 보드 기 능 해제 시까지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이트 보드 메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메뉴 항목에 추가시켜 주며, 사용자가 해당 화이트 보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도록 하는 항목 선택 메뉴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30)에 미리 저장해 둔다.
이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개방시키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종료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로의 전환을 확인한 후에(단계 S1),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켜 주는데,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한 아이들 화면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된 아이들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아이들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아이들 상태로 전환해 준다(단계 S2). 여기서, 해당 아이들 화면은 아이콘 표시 영역, 아이들 화면 영역 및 소프트 키(Soft Key)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아이들 화면에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10)를 통해 메뉴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한 메뉴 버튼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20)에게 통보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메뉴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단계 S3)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어 있는 화이트 보드 메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이트 보드 메뉴를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4).
그런 다음에, 사용자는 상기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된 화이트 보드 메뉴를 보고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한 화이트 보드 기능의 선택을 상기 제어부(20)에게 통보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화이트 보드 기능의 선택을 통보받아(단계 S5)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어 있는 항목 선택 메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항목 선택 메뉴를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6).
그런 후에, 사용자가 상기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된 항목 선택 메뉴를 보고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 수행 선택 버튼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20)에게 통보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취소 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 수행 취소 버튼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20)에게 통보한다.
이에,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기능 수행 취소 버튼의 입력을 통보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상기 제2단계(S2)로 복귀하여 원래의 아이들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한다(단계 S7).
그리고,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기능 수행 선택 버튼의 입력을 통보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단계 S8) 도 4와 같은 아이들 화면 중에서 아이들 화면 영역을 두 개의 화면 영역(즉,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이트 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한 화이트 보드 화면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된 화이트 보드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화이트 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단계 S9).
여기서, 해당 화이트 보드 화면은 아이콘 표시 영역, 화이트 보드 화면 영 역, 호출 화면 영역 및 소프트 키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해당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에서는 숫자 키 및 문자 키 모두를 입력 가능하도록 하여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이때 해당 화이트 보드 화면상에서 입력되는 정보는 언제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버퍼, 즉 버퍼부(50)에 저장시켜 기능 해제 시까지 보관하도록 해 준다. 해당 호출 화면 영역에서는 기존의 아이들 화면 영역과 동일한 기능만을 제공하도록 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제9단계(S9)에서 디스플레이된 화이트 보드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숫자 키 및 문자 키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단계 S10) 상기 버퍼부(50)에 저장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줌으로써,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단계 S11).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화이트 보드 기능 해제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저장 버튼 입력에 의해 해당 편집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제9단계(S9)에서 디스플레이된 화이트 보드 화면에서 분리된 두 개의 화면 영역(즉,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간의 전환이 가능한데, 즉 사용자가 해당 두 개의 화면 영역간의 전환을 위한 전환 버튼(예를 들어, 앤드 키(End Key)))을 상기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전환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단계 S12) 정보 입력을 위한 커서의 위치를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에서 호출 화면 영역으로(또는, 호출 화면 영역에서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으로) 전환시켜 해당 두 개의 화면 영역간의 전 환을 수행해 준다(단계 S1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에서 화이트 보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에서도 정보를 메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언제나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아이들 화면을 두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의 화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별도의 버퍼에 저장하여 편집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를 통해 전환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정보 입력을 위한 커서의 위치를 전환시켜 상기 분리된 영역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영역 분리 과정은, 상기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화이트 보드 메뉴를 메뉴 항목에 추가시키고 키패드를 통해 해당 화이트 보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화이트 보드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하는 항목 선택 메뉴를 미리 설정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상태에서 키패드를 통해 메뉴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화이트 보드 메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트 보드 메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화이트 보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항목 선택 메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항목 선택 메뉴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선택 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아이들 화면의 아이들 화면 영역을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과 호출 화면 영역으로 분리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과정은 상기 화이트 보드 화면 영역상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화이트 보드 기능 해제 시까지 별도의 버퍼에 보관하여 편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KR1020040051956A 2004-07-05 2004-07-0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KR20060003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56A KR20060003157A (ko) 2004-07-05 2004-07-0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56A KR20060003157A (ko) 2004-07-05 2004-07-0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157A true KR20060003157A (ko) 2006-01-10

Family

ID=3710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956A KR20060003157A (ko) 2004-07-05 2004-07-0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31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3B1 (ko) * 2007-04-11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3B1 (ko) * 2007-04-11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5569B1 (en) Phone displaying alternative functionality menu
JP4494533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ダイヤルシャトルを用いたオプション選択方法
JP5074767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電話帳
JP4795194B2 (ja) 携帯端末
US20050085215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in a touch screen mobile phone from a touch screen and keypad lock active state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JP4180617B2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WO2008032486A1 (fr) Terminal portable, procédé d'affichage, programme de détermination de mode d'affich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KR20010054523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및 키패드 설정 방법
WO2007062579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une operation de numerotation rapide
KR200500791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WO200709745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言語選択方法
KR2006000315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모 서비스 방법
JP3865009B2 (ja) 通信端末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20030030616A (ko) 다이얼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JP524677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66584B2 (ja) 端末装置、スクロール開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019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JPH11184602A (ja) アイコン表示自動変更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28677B1 (ko) 메모입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907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