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580A -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580A
KR20060002580A KR1020040051682A KR20040051682A KR20060002580A KR 20060002580 A KR20060002580 A KR 20060002580A KR 1020040051682 A KR1020040051682 A KR 1020040051682A KR 20040051682 A KR20040051682 A KR 20040051682A KR 20060002580 A KR20060002580 A KR 2006000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fan
fan housing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2580A/ko
Priority to JP2005185204A priority patent/JP4891573B2/ja
Priority to DE102005029419.7A priority patent/DE102005029419B4/de
Priority to US11/165,514 priority patent/US7465327B2/en
Priority to GB0512938A priority patent/GB2415398B/en
Priority to MXPA05007008A priority patent/MXPA05007008A/es
Publication of KR2006000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 본체(20)의 상면에 공기청정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청정기(200)에는, 흡입구(I)와 토출구(O)가 구비되는 케이스(210)와,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220)와,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필터부(220)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토출하는 송풍장치(23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장치(230)를 구성하는 크로스플로우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팬하우징(232)의 전후면에는 각각 배출부(232a)와 유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팬하우징(232)과 상기 케이스(210) 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측면가이드부(213)와 저면지지부(214) 사이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2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로가 짧아지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고르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 공기청정기, 크로스플로우팬, 측면가이드부, 저면지지부

Description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ir-clea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커버를 제거하고 그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커버를 제거하고 그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하우징이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냉장고 200: 공기청정기
210: 케이스 212: 송풍케이스
212a: 안착부 212b:체결보스
213: 가이드부 213a: 안착홈
214: 지지부 215: 진동흡수부
216: 필터케이스 216a: 안착부
216b: 지지부 217: 체결편
217a: 체결공 218: 데코판넬
220: 필터부 222, 223,224,225: 필터
226: 바스켓도어 228: 필터바스켓
230: 송풍장치 232: 팬하우징
232a: 배출부 234: 에어가이드
234a: 개구부 240: 음이온발생장치
250: 데코하우징 252: 필터관통개구
253: 장착플랜지 253a: 장착공
254: 체결편 254a: 체결공
256: 조작부 258: 표시부
259a: 판넬안착단 259b: 바스켓도어안착단
260: 장착브라켓 I: 흡입구
O: 토출구 A: 흡입유로
B: 토출유로 G: 흡입그릴
M1: 구동모터 P: 결합핀
Ph: 헤드부 Pb: 바디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시켜서 신선함을 유지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전자제품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병립되게 형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 type)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의 상면에는 공기청정기(10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기청정기(100)는, 공기가 입출되는 흡입구(I)와 토출구(O)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송풍장치(130)와,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토출되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양단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의 송풍케이스(112)와,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양단에 각각 연통되는 한쌍의 필터케이스(116)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전면에는 상기 토출구(O)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송풍장치(130)와 음이온발생장치(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저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상면에 구비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0a)(10b)이 삽입되는 한쌍의 가이드홈(110a)(1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토출구(O)를 개폐하는 동시에 토출구(O)를 통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루버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116)의 외측단부에는 각각 흡입구(I)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1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케이스(116)는 상기 송풍케이스(112)에 끼워진 상태로 각각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116)의 저면에는 상기 송풍케이스(112)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1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부(11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I)에는 이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걸름망이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G)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116)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부(120)의 착탈을 위한 필터장착개구(116h)와 가이드리브(116L)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120)는, 대략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인출부(126)의 내부에 공기중의 각종 세균,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하는 항균필터(122)와 집진필터(123), 탈취필터(124)가 그 외측단부에서부터 각각 차례로 구비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필터인출부(126)는 상기 필터장착개구(116h)를 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116)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리브(116L)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필터인출부(126)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122)(123)(124)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부(128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송풍장치(130)는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송풍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하우징(132)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팬하우징(132)은 상 기 송풍케이스(112)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보스(미도시)에 스크류(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132)은 상기 송풍팬이 구동하면 그 하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장치(130)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내부는 상기 에어가이드(134)에 의하여 흡입유로(a)와 토출유로(b)로 구획된다.
한편 상기 음이온발생장치(140)는 상기 송풍장치(130)에 인접하는 상기 토출유로(B)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발생장치(140)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상기 송풍장치(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함께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2)에 인접하는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청정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54)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의 축방향인 상기 팬하우징(132)의 저면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하우징(132)으로 유입되는 유로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공 기청정기(100)의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132)의 저면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132)의 전면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토출구(O)의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132)의 전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O)의 중앙을 향하여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가이드(134)에 의하여 안내되더라도 실내로 고르게 토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132)은 상기 송풍케이스(112)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보스에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팬하우징(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이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팬하우징(132)과 보스를 통하여 상기 공기청정기(100) 및 냉장고로 전달되어 실내에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청정기(100) 또는 냉장고를 구성하는 부품이 손상되거나 결합된 부분이 헐거워져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비교적 짧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된 공기가 고르게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정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크로스플로우팬(cross flow fan)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하우징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좌우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팬안착부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안착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면 상단 또는 하단 및 이에 인접하는 전후면 상단 또는 하단 일부에 밀착되는 측면가이드부와;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측면가이드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장치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공기청정기 및 냉장고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하우징과 상기 측면가이드부 및 저 면지지부 사이와, 상기 팬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 또는 바닥면 사이에 진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모터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가 구비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측면가이드부에는 상기 팬모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짧아지는 동시에 실내로 고르게 토출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하우징이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저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가 동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20)의 상면에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10)는,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O)가 구비되는 송풍케이스(212)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I)가 구비되는 한쌍의 필터케이스(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케이스(212)는 상면과 전면 및 양단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상면은 케이스커버(미도시)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저면에는 안착부(212a)와 다수개의 체결보스(212b)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12a)는 아래에서 설명할 장착브라켓(260)이 안착되는 곳으로, 대략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저면 전단 중앙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212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데코하우징(250)의 체결공(254a)을 관통한 체결구(미도시)가 체결된다.
상기 토출구(O)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전면에 구비되는 데코하우징(25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O)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데코판넬(218)이 구비된다. 상기 데코판넬(218)은 상기 토출구(O)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토출구(O)보다 상대적으로 좌우로 넓게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O)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O)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데코판넬(218)의 동작을 위하여, 한쌍의 스텝모터(미도시)와 기어(미도시), 랙(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기어가 회동하면, 상기 데코판넬(218)의 이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에 기어물림된 랙이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데코판넬(218)이 상기 토출구(O)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216)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육면체형상으로, 상 기 송풍케이스(212)의 양단에 각각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16)는 상면과 전면 및 양단이 개구되는데,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상면은 케이스커버(미도시)에 의하여 각각 차폐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16) 각각의 내측단부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고, 각각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흡입구(I)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I)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이 구비되는 흡입그릴(G)이 장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저면에도 장착브라켓(260)의 안착을 위한 안착부(216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16a)는 상기 필터케이스(216)가 상기 송풍케이스(2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송풍케이스(212)의 안착부(212a)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에 해당하는 필터케이스(216)의 저면 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저면 외측단부 및 후단에는 지지부(216b)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16b)는 상기 공기청정기(200)가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본체(2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개구된 전면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부(22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내측단부 하단에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와 필터케이스(216)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편(21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217)은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바닥면 내측단부에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체결편(217)에는 체결공(217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217a)을 관통한 체결구(미도시)가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20) 상면의 좌우폭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210)의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부(220)는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부(220)는, 다수개의 필터(222)(223)(224)(225)와, 상기 필터(222)(223)(224)(225)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바스켓(228)과, 상기 필터바스켓(228)에 체결되어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바스켓도어(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스켓도어(226)는 아래에서 설명할 데코하우징(250)의 바스켓도어안착단(259b)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도어(226)가 상기 필터바스켓(228)에 체결된 상태로 서랍식으로 인출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관통개구(25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내부에는 송풍장치(23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장치(230)는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부(220)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송풍장치(230)는, 후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 로우팬(미도시)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하우징(232)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M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팬하우징(232)은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팬하우징(232)의 후면에는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32)의 전면에는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팬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에 의하여 가압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32a)가 구비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232)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케이스(212) 내부의 바닥면에는 한쌍의 측면가이드부(213)와 다수개의 저면지지부(214)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부(213)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팬하우징(232)의 양측면 하단 및 이에 인접하는 전후면 하단 일부에 밀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지지부(214)는 상기 측면가이드부(21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저면지지부(214)에는 상기 측면가이드부(213)에 양측면 및 전후면 일부가 밀착된 팬하우징(232)의 저면이 지지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2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가이드부(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안착홈(213a)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213a)은 상기 팬하우징(23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모터(M1)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측면가이드부(213)의 일부가 상기 구동모터(M1)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232)의 양단 테두리에는 진동흡수부(215)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흡수부(215)는 상기 송풍장치(23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천장과 상기 측면가이드부(213) 및 저면지지부(214)에 밀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내부에는 에어가이드(234)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234)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내부를 흡입유로(A)와 토출유로(B)를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유로(A)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팬하우징(232)의 유입부로 안내되고, 상기 토출유로(B)에 의하여 상기 팬하우징(232)의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O)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234)의 일측에는 상기 팬하우징(232)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개구부(23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토출유로(B)에 해당하는 상기 송풍케이스(212)의 내부에는 음이온발생장치(240)가 구비된다. 상기 음이온발생장치(240)에서 발생된 음이온은 상기 송풍장치(23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전단에는 데코하우징(250)이 구비된다. 상기 데코하우징(250)은 상기 송풍케이스(212) 및 필터케이스(21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10)의 개구된 전면 및 전단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전면부와 상하면부, 양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데코하우징(250)의 전면부에는 상기 토출구(O)와 필터장착개구(25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O)는 상기 토출유로(B)의 전단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장착개구(252)를 통하여 상기 바스켓도어(226)가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코하우징(250)의 전면부에는 판넬안착단(259a)과 한쌍의 바스켓도어안착단(259b)이 구비된다. 상기 판넬안착단(259a)과 바스켓도어안착단(259b)은 각각 상기 데코판넬(218)과 바스켓도어(226)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판넬안착단(259a)에는 상기 토출구(O)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판넬(218)이 안착되고, 상기 바스켓도어안착단(259b)에는 상기 필터바스켓(228)이 상기 필터케이스(216)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도어(226)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하우징(250)의 상하면에는 상기 데코하우징(250)을 상기 케이스(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미도시)가 관통하는 체결공(254a)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편(25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O)와 필터장착개구(25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데코하우징(250)의 전면부 일측에는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256)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데코하우징(250)의 하면 후단에는 장착플랜지(25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플랜지(253)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258)가 장착되는 장착공(235)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58)는 그 전면이 상기 본체(20) 및 상기 장착플랜지(253)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도어(2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258)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상기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25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전면 외관의 통일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데코판넬(218)과 바스켓도어(226), 데코하우징(250)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데코판넬(218)과 바스켓도어(226), 데코하우징(250)을 동일한 에이비에스(ABS)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상기 본체(20)에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브라켓(26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60)이 상기 공기청정기(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결합핀(P)의 헤드부(Ph)가 상기 장착브라켓(26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공기청정기(200)가 상기 본체(20)에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210)의 안착부(212a)(216a)에 상기 장착브라켓(260)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핀(P)을 상기 장착브라켓(26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청정기(200)가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지지부(216b)가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청정기(200)가 지지된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조작부(256)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텝모터에 의하여 상기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기어에 기어물림된 상기 랙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데코판넬(218)이 상기 케이스(2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O)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230)가 동작하여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G)에 의하여 공기중의 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큰 먼지 등이 걸러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222)(223)(224)(2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222)(223)(224)(2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A)에 의하여 상기 송풍장치(23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필터(222)(223)(224)(2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232) 후면의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230)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팬하우징(232)의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232)의 배출부(232a)로 배출되고, 다시 상기 토출유로(B)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음이온발생장치(240)에서 발생된 음이온과 함께 토출되는데, 상기 데코판넬(218)의 이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그런데 상기 팬하우징(232)의 유입부 및 배출부(232a)는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팬하우징(232)의 후면과 전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I)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하우징(232)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로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또한 상기 팬하우징(232)의 배출부(232a)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장치(230)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232)과 상기 측면가이드부(213) 및 저면지지부(214)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흡수부(215)에 의하여 상기 송풍장치(230)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흡수된다. 특히 상기 팬하우징(232)이 상기 저면지지부(214)에 지지되므로, 상기 송풍케이스(212)와 팬하우징(232)이 밀착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230)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210) 및 냉장고 본체(20)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거나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256)를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풍장치(230)의 동작이 정지되어 상기 흡입구(I)를 통한 공기의 흡입 및 상기 토출구(O)를 통하여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가 상술한 상기 데코판넬(218)을 상기 케이스(2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따른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랙이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판넬(218)이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O) 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공기청정기의 내외부로 공기를 흡입, 토출시키는 송풍팬으로 크로스플로우팬을 사용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형상에 따라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도 좌우로 길게 형성되므로, 공기청정기의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좌우로 넓게 전달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고르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플로우팬 및 구동모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에 소음이 발생하거나 공기청정기 또는 냉장고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소정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크로스플로우팬(cross flow fan)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하우징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좌우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팬안착부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안착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직교되게 돌출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면 상단 또는 하단 및 이에 인접하는 전후면 상단 또는 하단 일부에 밀착되는 측면가이드부와;
    상기 팬하우징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측면가이드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공기청정기 및 냉장고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하우징과 상기 측면가이드부 및 저면지지부 사이와, 상기 팬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천장 또는 바닥면 사이에 진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가 구비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측면가이드부에는 상기 팬모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20040051682A 2004-06-25 2004-07-02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20060002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82A KR20060002580A (ko) 2004-07-02 2004-07-02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JP2005185204A JP4891573B2 (ja) 2004-06-25 2005-06-24 空気清浄機を備えた冷蔵庫
DE102005029419.7A DE102005029419B4 (de) 2004-06-25 2005-06-24 Kühlschrank mit einer Luftreinigungseinrichtung
US11/165,514 US7465327B2 (en) 2004-06-25 2005-06-24 Refrigerator having air-cleaner
GB0512938A GB2415398B (en) 2004-06-25 2005-06-24 Refrigerator having air-cleaner
MXPA05007008A MXPA05007008A (es) 2004-06-25 2005-06-27 Refrigerador con purificador de a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682A KR20060002580A (ko) 2004-07-02 2004-07-02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580A true KR20060002580A (ko) 2006-01-09

Family

ID=3710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682A KR20060002580A (ko) 2004-06-25 2004-07-02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25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707B2 (en) Refrigerator having air-cleaner
JP4891573B2 (ja) 空気清浄機を備えた冷蔵庫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02580A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6892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필터바스켓
KR101336717B1 (ko) 공기조화기
KR101087912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6893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6894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6307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0756459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4001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4003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4000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20070077408A (ko)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36895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20060109161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 장치
KR20060015151A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0797154B1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101554657B1 (ko) 공기조화기
CN107152838A (zh) 具有空气净化器的冰箱用过滤器托架
KR1005414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9002209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