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45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451A
KR20060002451A KR1020040051496A KR20040051496A KR20060002451A KR 20060002451 A KR20060002451 A KR 20060002451A KR 1020040051496 A KR1020040051496 A KR 1020040051496A KR 20040051496 A KR20040051496 A KR 20040051496A KR 20060002451 A KR20060002451 A KR 2006000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terminal
message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772B1 (ko
Inventor
임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7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idle) 상태일 때에 메시지 통신 모드를 기본 통신 모드로 설정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특정 키 입력을 통해 음성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키 입력이나 메뉴 선택을 하지 않고도 바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메시지 통신 편의성 및 그 시간 절약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키 입력을 통해 단말기 통신 모드를 자동 전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없이 통신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를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들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음성 통화, 메시지 전송, 통신 모드 전환, 대기 상태, 기본 통신 모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통신 모드 운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화면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통신 모드 전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idle) 상태일 때에 메시지 통신 모드를 기본 통신 모드로 설정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특정 키 입력을 통해 음성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발전으로 휴대폰, 인터넷폰, IMT-2000, PDA 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메시지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전달할 내용이 간단한 경우나 음성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또한 학생이나 젊은 세대들은 통신 요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 통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의 경우 대기(idle) 상태에서 단축키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통화 버튼만 누르게 되면 그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메시지 통신을 위해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몇 단계의 키 입력 및 메뉴 선택 동작을 수행한 후에야 메시지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여 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통화의 경우 간단히 이용할 수 있으나, 메시지 통신의 경우에는 몇 단계의 키 입력 및 메뉴 선택을 통한 일련의 메시지 통신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해야만 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경우 메시지 통신을 이용할 때마다 전술한 모드 전환 동작을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 및 서비스 자체에 대해 불만족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들을 위해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키 입력이나 메뉴 선택을 하지 않고도 바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키 입력을 통해 단말기 통신 모드를 자동 전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없이 통신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를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들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그 키 버튼에 대응 하는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해 주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에 그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받고,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로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단말기 초기화시에 메시지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자동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단말기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패턴을 확인하여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메시지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통신 모드 전환 키로 정의된 특정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현재 단말기 통신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고, 음성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 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와 같이 간단히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대기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기설정해 놓은 특정 키 입력을 통해 단말기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그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일반적인 단말기 구성과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신 모드 운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게 되는데(스텝 S11), 이는 단말기 초기화시에 메시지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자동 설정되도록 구현하거나, 단말기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패턴을 확인하여,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도록 구현하게 된다. 즉,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게 되며, 반대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의 기본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 화면에는 기존의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와 같이 즉, 첨부한 도면 도 2의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바탕화면과 현재 일시 등이 표시되며, 이때 단말기는 음성 호나 문자 메시지에 대한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주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단말기 키 버튼부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키 버튼이 눌려지는지 확인하게 된다(스텝 S12).
이때,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것이 확인되면, 주 제어부는 기본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 화면에 도 2의 (나)에 예시한 바와 같은 일련의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예컨대, 'ㄱ'에 대응하는 키 버튼이 눌려진 경우)해 주게 되며, 이때 그 메시지 입력창에 현재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13).
이후, 단말기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창을 보면서 키 버튼을 조작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게 되고, 이때 주 제어부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들 즉,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14).
이렇게 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특정 버튼(도 2의 (나)에서 '확인'에 대응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때 주 제어부는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며(스텝 S15),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이 문자 메시지 작성 완료를 나타내는 버튼임을 인식하게 되는 경우 단말기 화면에 도 2의 (다)에 예시한 바와 같은 일련의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창을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16).
그리고, 주 제어부는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앞에서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최근 송수신 목록 검색 또는 전화번호부 검색 등을 통해 상대방 전화번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그 전화번호 입력창에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17).
이렇게 하여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에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 완료 또는 메시지 전송 실행을 나타내는 특정 버튼(도 2의 (다)에서 '확인'에 대응하는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주 제어부는 앞에서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해 줌으로써(스텝 S18), 단말기 사용자가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통신을 위해 별도의 키 입력이나 메뉴 선택을 하지 않고도 바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 입력을 통해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의 통신 모드를 자동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특정 키 버튼을 통신 모드 전환 키로 정의하고, 그 키 버튼이 일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경우 이를 통신 모드 전환 키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해 놓음으로써, 특정 키 버튼 입력만으로 단말기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 또는 메시지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스텝 S31), 주 제어부는 키 버튼부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키 버튼이 일정시간 이상 눌려지는지 확인하게 되고(스텝 S32), 이때 통신 모드 전환 키로 정의된 특정 키 버튼이 일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 단말기 통신 모드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33).
만약, 현재 단말기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킴으로써(스텝 S34),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바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단말기 통신 모드가 음성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킴으로써(스텝 S35),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바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대기 상태에서 주 제어부는 키 버튼부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키 버튼이 눌려지는지 확인하게 되고, 이때 통신 모드 전환 키로 정의된 특정 키가 일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것이 확인되면, 현재의 단말기 통신 모드인 메시지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단말기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에서 음성 통신 모드로 전환된 후에는 종래의 음성 통화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통화 버튼을 눌러 상대방을 호출함으로써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키 입력이나 메뉴 선택을 하지 않고도 바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메시지 통신 편의성 및 그 시간 절약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키 입력을 통해 단말기 통신 모드를 자동 전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없이 통신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를 주로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들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일 때의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그 키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해 주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에 그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받고,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로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단말기 초기화시에 메시지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자동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은, 단말기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패턴을 확인하여 메시지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메시지 통신 모드가 기본 통신 모드로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통신 모드 전환 키로 정의된 특정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현재 단말기 통신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통신 모드가 메시지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음성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고, 음성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단말기 통신 모드를 메시지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1020040051496A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10061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96A KR100618772B1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96A KR100618772B1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451A true KR20060002451A (ko) 2006-01-09
KR100618772B1 KR100618772B1 (ko) 2006-09-01

Family

ID=3710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496A KR100618772B1 (ko) 2004-07-02 2004-07-0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78B1 (ko) * 2007-04-09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78B1 (ko) * 2007-04-09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772B1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24234A (ja) 電話機
KR1015208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른 이벤트 표시 방법
JP2001245037A (ja) 携帯電話機
JP4190125B2 (ja) 携帯無線端末および携帯無線端末におけるデータ表示方法
KR100618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2008007559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 수행 방법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229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된 이벤트의 처리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722269B1 (ko) 메신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92001B1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실행 방법
KR100598963B1 (ko)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363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2004004849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가동방법
KR101119419B1 (ko) 착신 모드별 착신 허용 자동변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722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JP2000278751A (ja) 携帯通信端末
KR100598065B1 (ko) 키 입력 시간에 따른 메뉴 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31945B1 (ko) 회신 또는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아이콘에 의한 표시 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200300136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자메일전송방법
KR1007626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