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190A -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190A
KR20060002190A KR1020040051128A KR20040051128A KR20060002190A KR 20060002190 A KR20060002190 A KR 20060002190A KR 1020040051128 A KR1020040051128 A KR 1020040051128A KR 20040051128 A KR20040051128 A KR 20040051128A KR 20060002190 A KR20060002190 A KR 2006000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absolute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2190A/ko
Publication of KR2006000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계를 조율하도록 한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진기에서 발진한 주파수 레퍼런스를 인가받아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으로 분주시켜 주는 분주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조율하고자 하는 측정음을 입력받아 증폭시켜 주는 오디오 앰프와; 상기 오디오 앰프에서 증폭한 측정음을 상기 절대음과 비교할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주는 멀티플라이어와;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과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간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 크기를 구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에서 구한 위상차 크기를 저역 필터링하는 두 개의 LPF(Low Pass Filter)와; 상기 LPF에서 필터링한 위상차 크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측정음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독립적인 조율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적은 부품 가격으로 더욱 정밀하고 편리한 조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어 측정음이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며, 피아노의 조율뿐만 아니라 음색에 구애 없이 기타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조율에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un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음의 주파수와 옥타브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진기
20 : 분주기(Programmable Fractional Counter)
30 : 마이크(Mike) 40 :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50 : 멀티플라이어(Multiplier)
60 :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
71, 72 : LPF(Low Pass Filter)
80 :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본 발명은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계를 조율(Tuning)하도록 한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피아노 조율기의 경우에는, 단지 계명 '라' 음(즉, 'A' 음)만을 발생시키는 발생기를 이용한 일반 형태와, 최근 들어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디지털 주파수 검색기를 이용한 형태가 있다.
단지 'A' 음 발생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해당 'A' 음 이외의 음들은 조율하는 사용자가 직접 직관적으로 조율해야 하므로 초보자의 경우에 조율의 정확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조금 더 정밀한 조율기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디지털 주파수 검색기(즉, 디지털 조율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해당 디지털 조율기의 경우에 대부분이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디스플레이해 주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초보자가 직접 피아노나 기타 등을 조율하기 위해서는 전문 지식이 필요하며, 또한 비싼 디지털 장비의 경우에도 각음이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알기가 어려우며, 또한 디지털 조율기의 경우에 그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디지털 조율기의 경우에 단지 음의 주파수만을 측정한 후에 해당 측정된 주파수만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방식이므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다소 어려운 점이 있으며, 구매 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계를 조율하도록 한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계를 조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독립적인 조율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적은 부품 가격으로 더욱 정밀하고 편리한 조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음과 절대음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해당 해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금 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각음이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아노의 조율뿐만 아니라 음색에 구애 없이 기타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조율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진기에서 발진한 주파수 레퍼런스(Reference)를 인가받아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으로 분주시켜 주는 분주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조율하고자 하는 측정음을 입력받아 증폭시켜 주는 오디오 앰프와; 상기 오디오 앰프에서 증폭한 측정음을 상기 절대음과 비교할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주는 멀티플라이어와;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과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간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 크기를 구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에서 구한 위상차 크기를 저역 필터링하는 두 개의 LPF와; 상기 LPF에서 필터링한 위상차 크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측정음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AD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주기는 상기 발진기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레퍼런스를 분주시켜 임의의 한 옥타브의 절대음만 만들어 상기 위상 검출기로 인가해 주며, 상기 멀티플라이어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측정음을 해당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상기 위상 검출기로 인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이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보다 위상이 빠른 경우에는 해당 측정음이 낮은 음인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위상차 크기를 제1LPF로 인가해 주며,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이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보다 위상이 느린 경우 에는 해당 측정음이 높은 음인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위상차 크기를 제2LPF로 인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분주기에 인가하며, 상기 ADC에서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확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측정음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키패드 조율기 모드 선택 키의 입력을 상기 MSM에 통보하여 키패드 조율기 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의 선택 키의 입력을 상기 MSM에 통보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키패드(Keypad)와; 상기 MSM의 키패드 조율기 모드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10)와, 분주기(20)와, 마이크(30)와, 오디오 앰프(40)와, 멀티플라이어(50)와, 위상 검출기(60)와, 제1LPF(71)와, 제2LPF(72)와, ADC(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진기(10)는 슬립 크리스탈(Sleep Crystal)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가장 낮은 주파수 32.768(KHz)을 발진시켜 주파수 레퍼런스로 상기 분주기(20)로 출력해 준다.
상기 분주기(20)는 상기 분주기(20)로부터 주파수 레퍼런스를 인가받아 상기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으로 분주시켜 상기 위상 검출기(60)로 인가해 준다.
상기 마이크(30)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조율하고자 하는 음을 입력받고 해당 입력받은 측정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앰프(40)로 인가해 준다.
상기 오디오 앰프(40)는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측정음을 일정 레벨(Level)로 증폭시켜 상기 멀티플라이어(50)로 인가해 준다.
상기 멀티플라이어(50)는 상기 오디오 앰프(40)로부터 인가되는 측정음을 상기 분주기(20)를 통해 분주된 절대음과 비교할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상기 위상 검출기(60)로 인가해 준다.
상기 위상 검출기(60)는 상기 분주기(20)로부터 인가되는 절대음과 상기 멀티플라이어(50)로부터 인가되는 측정음간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구하며, 해당 절대음이 해당 측정음보다 위상이 빠른 경우에는 해당 위상차의 결과를 상기 제1LPF(71)로 인가해 주며, 해당 절대음이 해당 측정음보다 위상이 느린 경우에는 해당 위상차의 결과를 상기 제2LPF(72)로 인가해 준다.
상기 제1LPF(71)는 상기 측정음이 상기 절대음보다 낮은 음인 경우에 상기 위상 검출기(60)를 통해 인가되는 위상차 결과를 저역 필터링한 후에 상기 ADC(80)로 인가해 준다.
상기 제2LPF(72)는 상기 측정음이 상기 절대음보다 높은 음인 경우에 상기 위상 검출기(60)를 통해 인가되는 위상차 결과를 저역 필터링한 후에 상기 ADC(80)로 인가해 준다.
상기 ADC(80)는 상기 LPF(71, 72)에서 저역 필터링된 아날로그의 위상차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으로 통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측정음과 절대음간의 위상차를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 않았지만, MSM과, 메모리와, 키패드와, LC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MSM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동작(특히, 키패드 조율기 모드)을 제어하는데, 특히 상기 키패드로부터 통보되는 키패드 조율기 모드 선택을 확인하여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해 상기 LCD로 인가하며, 상기 키패드로부터 통보되는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의 선택을 확인하여 해당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분주기(20)에 인가해 주며, 상기 ADC(80)로부터 통보되는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측정음과 절대음간의 위상차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LCD(또는, 스피커)로 인가해 준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MSM의 제어 동작(특히, 키패드 조율기 모드)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해 준다.
상기 키패드는 사용자에 의한 키패드 조율기 모드 선택 키 및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의 선택 키의 입력을 확인하여 이를 상기 MSM에 통보해 준다.
상기 LCD는 상기 MSM의 제어에 따라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측정음과 절대음간의 위상차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계의 조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LCD 등을 이용하여 키패드 조율기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에서는 해당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해당 키패드 조율기 모드 선택을 확인한 후에, 키패드 조율기 모드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키패드 조율기 모드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MSM에서는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LCD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 LCD의 선택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보고 상기 키패드 를 이용하여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MSM에서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의 선택을 확인한 후에, 해당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분주기(20)에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가장 낮은 주파수의 발진기(10)인 슬립 크리스탈에서는 32.768(KHz)의 주파수를 발생시켜 주파수 레퍼런스로 상기 분주기(20)로 출력해 준다.
그리고, 상기 분주기(20)는 상기 MSM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진기(10)로부터 주파수 레퍼런스를 인가받아 상기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으로 분주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상 검출기(60)로 인가해 준다.
여기서, 상기 음계와 옥타브에 따른 절대음의 주파수를 예로 나타내면 도 2에 도시된 표와 같은데, 예를 들어 여덟 번째 옥타브의 계명 '라' 음(즉, 'A' 음)인 경우에 주파수는 7,040(Hz)이므로 분주비는 '32.768(KHz)/7.040(KHz) = 4.655(KHz)'가 된다.
도 2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음의 주파수와 옥타브간의 관계는 정확히 두 배로 비례한다. 그러므로, 조율기의 절대음은 1 옥타브부터 8 옥타브까지의 모든 음에 대해서 만들 필요가 없이, 임의의 한 옥타브(예를 들어, 마지막 8 옥타브)의 'C' 음부터 'B' 음까지의 절대음만 만들면 된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30)를 통해 측정된 음의 주파수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멀티플라이어(50)를 이용하여 임의의 한 옥타브(예를 들어, 8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하여 상기 측정음과 절대음을 비교하도록 하면 된다. 이때, 멀티플라이 팩터(Multiply Factor)는 '2^(8 - 자신의 옥타브)'가 되는데, 예를 들어 자신의 옥타브가 1 옥타브이면 멀티플라이 팩터는 '27 = 128'이 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조율하고자 하는 음을 연주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3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조율하고자 하는 음을 입력받고 해당 입력받은 측정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앰프(40)로 인가해 주는데, 즉 해당 입력받은 측정음을 코덱(Codec)을 통해 루프백(Loop-back)시킨 후에 해당 오디오 앰프(40)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오디오 앰프(40)는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측정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경로를 이용하여 일정 레벨(Level)로 증폭시킨 후에 상기 멀티플라이어(50)로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멀티플라이어(50)에서는 상기 분주기(20)를 통해 분주된 임의의 한 옥타브(예를 들어, 마지막 8 옥타브)의 절대음과 비교하기 위해서 상기 오디오 앰프(40)에서 증폭된 측정음을 임의의 한 옥타브(예를 들어, 8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하며, 상기 절대음과 비교할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된 측정음을 상기 위상 검출기(60)로 인가해 준다.
그러면, 상기 위상 검출기(60)는 상기 분주기(20)를 통해 분주된 절대음(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만들어진 절대음)과 상기 멀티플라이어(50)에서 변환된 측정음간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구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절대음이 해당 측정음 보다 위상이 빠른 경우에는 해당 측정음이 낮은 음인 경우이며, 반면에 해당 절대음이 해당 측정음보다 위상이 느린 경우에는 해당 측정음이 높은 음인 경우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상 검출기(6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구한 위상차의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1LPF(71) 또는 제2LPF(72)로 인가해 주는데, 즉 상기 절대음이 상기 측정음보다 위상이 빠른 경우에 상기 구한 위상차의 결과를 해당 제1LPF(71)로 인가해 주며, 반면에 상기 절대음이 상기 측정음보다 위상이 느린 경우에 상기 구한 위상차의 결과를 해당 제2LPF(72)로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LPF(71, 72)는 상기 위상 검출기(60)를 통해 인가되는 위상차 결과를 저역 필터링한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ADC(80)로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ADC(80)는 상기 LPF(71, 72)에서 저역 필터링된 아날로그의 위상차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데, 즉 상기 절대음과 측정음간의 위상차 크기를 디지털화해 줌으로써, 해당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정음이 상기 절대음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낮은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상기 ADC(80)는 해당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상기 MSM로 통보해 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MSM은 상기 ADC(80)로부터 통보되는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상기 LCD를 통해 화면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통보해 줌으로써, 상기 측정음이 상기 절대음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낮은지를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음과 절대음의 위상차 가 거의 근접한 경우를 찾아내도록 하면 음을 조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디지털 조율기의 경우에 단지 측정된 음의 주파수만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방식을 보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발생시킨 절대음과 해당 측정된 음을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음이 해당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조율하는 방식의 단순화를 꽤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가장 낮은 주파수의 발진기인 슬립 크리스탈을 주파수 레퍼런스로 하며, 해당 주파수 레퍼런스를 분주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절대음으로 발생시키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측정음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경로를 이용하여 오디오 앰프에서 증폭한 후에, 해당 증폭된 측정음을 해당 발생시킨 절대음과 비교하여 위상차를 구하게 되며, 해당 구한 위상차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측정음이 해당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간략하게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MSM의 슬립 크리스탈을 이용하여 측정음과 비교할 절대음을 생성한 후에, 해당 측정음을 멀티플라이(Multiply)하여 한 옥타브의 음으로 모든 옥타브의 음을 비교하며, 위상차의 비교 결과를 MSM의 ADC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발진기, 마이크 및 오디오 앰프를 이용하여 피아노의 조율뿐만 아니라 음색에 구애 없이 기타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조 율도 가능하도록 해 주는데,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요소인 LCD, 키패드 및 발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독립적인 조율기를 만드는 것에 비해 적은 부품 가격으로 더욱 정밀하고 편리한 조율기를 만들 수 있으며, 또한 MSM의 HKADC를 이용하여 측정한 음과 절대음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도록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를 이용하여 조금 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MSM의 슬립 크리스탈을 이용하여 측정음과 비교할 절대음을 생성한 후에, 해당 측정음을 멀티플라이하여 한 옥타브의 음으로 모든 옥타브의 음을 비교하며, 위상차의 비교 결과를 MSM의 ADC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종래의 독립적인 조율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적은 부품 가격으로 더욱 정밀하고 편리한 조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어 측정음이 절대음에 비해 높은지 낮은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며, 피아노의 조율뿐만 아니라 음색에 구애 없이 기타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조율에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진기에서 발진한 주파수 레퍼런스를 인가받아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으로 분주시켜 주는 분주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조율하고자 하는 측정음을 입력받아 증폭시켜 주는 오디오 앰프와;
    상기 오디오 앰프에서 증폭한 측정음을 상기 절대음과 비교할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주는 멀티플라이어와;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과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간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 크기를 구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에서 구한 위상차 크기를 저역 필터링하는 두 개의 LPF(Low Pass Filter)와;
    상기 LPF에서 필터링한 위상차 크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측정음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하고자 하는 음에 대한 절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분주기에 인가하며, 상기 ADC에서 디지털화한 위상차 크기를 확인하여 이동 통 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측정음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키패드 조율기 모드 선택 키의 입력을 상기 MSM에 통보하여 키패드 조율기 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율하고자 하는 음과 옥타브의 선택 키의 입력을 상기 MSM에 통보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키패드와;
    상기 MSM의 키패드 조율기 모드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기는 상기 발진기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레퍼런스를 분주시켜 임의의 한 옥타브의 절대음만 만들어 상기 위상 검출기로 인가해 주며, 상기 멀티플라이어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측정음을 해당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시켜 상기 위상 검출기로 인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이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보다 위상이 빠른 경우에는 해당 측정음이 낮은 음인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위상차 크기를 제1LPF로 인가해 주며, 상기 분주기에서 분주한 절대음이 상기 멀티플라이어에서 변환한 측정음보다 위상이 느린 경우에는 해당 측정음이 높은 음인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위상차 크기를 제2LPF로 인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40051128A 2004-07-01 2004-07-01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0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128A KR20060002190A (ko) 2004-07-01 2004-07-01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128A KR20060002190A (ko) 2004-07-01 2004-07-01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190A true KR20060002190A (ko) 2006-01-09

Family

ID=3710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128A KR20060002190A (ko) 2004-07-01 2004-07-01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2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228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저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228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9655B2 (en) Drum and drum-set tuner
EP2573761B1 (en) Displaying content in relation to music reproduction by means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dependent of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US6965067B2 (en) Guitar tuner
US10242697B2 (en) Pitch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pitch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EP1775713B1 (en) Tu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in
JP2010025972A (ja) コード名検出装置及びコード名検出用プログラム
KR20060002190A (ko) 조율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30150319A1 (en) Musical tone generating apparatus, musical ton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1318677A (ja) 携帯電話機
US6653544B1 (en) Play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und gener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KR20050074574A (ko) 오디오 성분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248945B2 (ja) チューニング装置
JP5577629B2 (ja) 電子音楽装置
JP7270736B2 (ja) 音響機器および自己発振判定プログラム
JP2713101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における周波数特性表示装置
JPS61289391A (ja) キヤリブレ−シヨン機能付調律器
JP2018156040A (ja) 偏差表示機
JP3830396B2 (ja) カラオケ制御装置
KR100497356B1 (ko)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노래선곡방법 및 장치
JPH03283073A (ja) 予約情報表示装置
Zhongming et al. The design of musical instrument tuning system based on stm32f103 microcomputer
WO2022018718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KR100613874B1 (ko) 가야금 소리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8976A (ko) 악기 조율장치및 그 제어방법
JP2008216871A (ja) 電子鍵盤楽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