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025A -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025A
KR20050123025A KR1020040072305A KR20040072305A KR20050123025A KR 20050123025 A KR20050123025 A KR 20050123025A KR 1020040072305 A KR1020040072305 A KR 1020040072305A KR 20040072305 A KR20040072305 A KR 20040072305A KR 20050123025 A KR20050123025 A KR 20050123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ccentric
shaft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354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휴먼메덱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메덱스텍 filed Critical (주)휴먼메덱스텍
Publication of KR2005012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육을 수축 및 이완을 통하여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편심부; 및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편심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시소운동을 하는 운동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운동부를 시소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운동부에 연결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EXERCISING APPARATUS FOR BODY LIPOLYSIS AND STRENGTHENING MUSCLES}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육을 수축 및 이완을 통하여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기구란 사용자가 근육을 수축 및 이완을 통하여 운동을 하는 기구를 말한다. 그리고 운동기구로는 아령 또는 덤벨 등은 물론, 러닝 머신(Running machine), 헬스자전거(stationary bicycle), 스텝퍼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통상 사용자가 근력을 사용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발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수반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종래의 운동기구의 경우 능동적인 움직임을 요구함으로써 운동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능동적으로 움직일 없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필요 없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 또는 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시소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 또는 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하왕복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편심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편심축은 상기 동심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운동부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부의 시소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부는 그 중앙의 저면이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결합부와 상기 저면부에 설치되어 보조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의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상기 편심부 사이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심부, 운동부 및 구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심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축과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동심축은 회전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벨트방식 및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부는 상기 운동부의 양쪽 끝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 운동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된 편심부의 동심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상기 운동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편심된 제 1 편심축을 가지는 제 1 회전축과;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2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1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1 링크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회전축지지브라켓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결합부와 상기 저면부에 설치되어 보조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양끝단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편심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제 1 편심축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3 편심축을 추가로 포함하며,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4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3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3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2 링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4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2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동심축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편심축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편심축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편심된 제 4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3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편심축 및/또는 제 4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시소운동을 하는 운동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운동부를 시소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운동부에 연결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온열부는 사용자의 몸 둘레에 착용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부는 사용자의 몸을 조여줄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의 발열방식은 직류 및/또는 교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은 제어부에 의하여 발열량의 변화를 미리 설정하여 발열량이 설정된 변화에 따라서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200); 구동축(310)이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운동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축(3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3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동심축(410)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410)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410)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410)과 편심된 편심축(420)과; 상기 동심축(410)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430)을 포함하는 편심부(400); 및 상기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편심부(400)의 편심축(4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200)와 연결된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 편심부(400) 및 연결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운동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형성된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면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측에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운동부(200)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설치된 포스트(130)가 연결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140)의 설치 위치는 설계자의 편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에는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버튼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141)와, 사용자의 체중 등 신체조건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회로부(미도시), 상기 운동부(200)의 동작상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운동량(칼로리 소모량)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2), 상기 구동부(300) 및 제어부(14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스위치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운동부(200)의 상측면에 발 등을 올려 놓고 운동할 때 사용자가 의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에 연결설치된 제 1 손잡이부(151) 또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설치된 제 2 손잡이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손잡이부(151) 및 제 2 손잡이부(152)는 동시에 설치되거나,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부(20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덮개부(110)의 개구부(111)에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패널(210)로 구성된다.
상기 운동패널(210)는 후술할 지지부(6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나사(213)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212)이 형성되고, 양쪽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후술할 연결부(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215)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패널(210)의 상측면에는 상기 결합공(212, 214)들을 외부에 가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발 또는 손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피복부(220)로 복개된다.
또한 상기 피복부(220)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발 또는 손의 지압효과를 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부(2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부(2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의 저면이 지지부(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부(200)의 중앙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운동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결합부(610)와 상기 저면부(120)에 설치되어 보조결합부(6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결합부(6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6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봉(612)과, 상기 결합봉(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611a)이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200)의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611)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611)는 상술한 나사(213)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611b)이 형성되며, 상기 운동부(2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620)에는 상기 결합봉(61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621)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공(621)에는 베어링(6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62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브라켓(620)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봉(62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620)들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부(120)의 상측면에 상기 운동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 즉 상기 운동부(20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일반적으로 전기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모터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구동 및 제어될 수 있도록 전원선 및 신호전달선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기어방식 또는 벨트방식으로 구성된 회전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상기 동심축(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부(200) 및 본체부(10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310)의 끝단에는 제 1 풀리(3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동심축(410) 중 하나의 끝단은 그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그 끝단에 제 2 풀리(411)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풀리(320) 및 제 2 풀리(411)는 벨트(330)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0)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이 상기 동심축(410)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력전달장치는 벨트방식외에도 기어방식 등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풀리(320)의 반경은 회전력의 감소를 위하여 상기 제 2 풀리(411)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부(4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축(410), 편심축(420) 및 지지브라켓(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심축(410)은 상기 구동축(310)으로부터 편심축(4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편심축(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편심축(420)의 양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동심축(410) 중 하나는 상기 구동축(310)과 연결 설치된다.
특히 상기 구동축(310)과는 커플러(311)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축(310) 및 상기 구동축(310)과 연결되는 동심축(410)에는 결합키(312, 412)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311)에는 상기 결합키(312, 412)가 삽입될 수 있는 키홈(311a)이 형성된다.
한편 동심축(410)은 지지브라켓(430)에 설치될 때 축방향의 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홈(441)을 형성하고 상기 링홈(441)에는 'C'형상의 링(440)이 삽입된다. 또한 후술할 밸런스 웨이트(450)의 거동도 방지하기 위하여 링홈(441)을 형성하고 상기 링홈(441)에는 'C'형상의 링(440)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3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부(120)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심축(4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4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431)에는 상기 동심축(4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43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43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부(120)에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설치된다.
한편 상기 편심축(420)은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동심축(410)과 편심되게 설치되는데,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심축(4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중 미설명 부호인 C는 구동축(310) 및 동심축(410)의 회전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편심축(420) 및 동심축(410)은 제작이 용이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물론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을 상기 운동부(200)에 올려 놓았을 때, 그 하중에 의한 역토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축(310)과 상기 편심부(400) 사이에는 도 2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4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450)은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중심과 이심된 무게중심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된 원반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축(420)과 상기 운동부(200)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200)를 시소운동을 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부(200)의 저면과 결합된 결합부재(510)와, 상기 결합부재(510)에 형성된 결합공(511)에 삽입되는 힌지핀(520)과, 일단은 상기 편심축(420)이 삽입되는 삽입공(531)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힌지핀(520)이 삽입되는 삽입공(53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510)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로드(5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운동부(200)의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510)는 상기 운동부(200)의 저면과 결합될 때, 상기 운동부(200)의 나사(215)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공(51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500)은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심부(400), 운동부(200) 및 구동부(300)는 상기 운동부(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손 또는 발을 상기 운동부(200)의 상측에 올려 놓게 된다.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부(14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작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150)를 잡고 균형을 잡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300)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310)에 연결된 동심축(4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심축(41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편심축(4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축(420)에 연결된 연결부(500)는 상기 연결부(500)가 연결된 운동부(200)를 상하로 이동케 함으로써 상기 운동부(200)가 양끝단이 상대적으로 시소운동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은 상기 운동부(200)에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능동적인 움직임 없이 수동적으로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 등의 운동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하반신 불수 등 신체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특히 수동적 운동 효과를 줌으로써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운동부의 시소운동을 구동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구동축에 연결된 주편심축과 상기 편심축과 대응되는 보조편심축 및 상기 주편심축 및 보조편심축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1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200); 상기 운동부(20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구동축(310)이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운동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축(3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310)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310)과 편심된 제 1 편심축(341)을 가지는 제 1 회전축(340)과; 한 쌍의 동심축(810)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810)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810)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810)과 편심된 제 2 편심축(820)과; 상기 동심축(810)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830)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800); 상기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200)와 연결된 제 1 연결부(500); 일단이 상기 제 1 편심축(34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편심축(34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심축(820)을 회전시키는 제 1 링크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 운동부(200) 및 기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부(200)는 그 중앙의 저면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지지부(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340)은 양끝단이 상기 브라켓(6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 1 회전축(340)은 상기 지지부(600)의 브라켓(620)에 지지되지 않고 별도로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회전축지지브라켓(미도시)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3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624)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공(624)에는 상기 제 1 회전축(3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40)이 끼워지는 베어링(6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34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축(3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340)은 상기 구동축(3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343)등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310)과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부(3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상기 제 1 편심축(341)이 끼워지는 삽입공(3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편심축(34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삽입공(351)에는 베어링(35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부(350)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편심축(820)이 끼워지는 삽입공(35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편심축(8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삽입공(353)에는 베어링(35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편심부(800) 및 제 1 연결부(500)가 상기 운동부(200)의 일측만이 아닌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축(340)은 도 11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편심축(341)과 상기 제 1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180°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제 1 편심축(341)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3 편심축(342)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동심축(910)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910)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910)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910)과 편심된 제 4 편심축(920)과; 상기 동심축(910)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930)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900); 상기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9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200)와 연결된 제 2 연결부(500); 일단이 상기 제 3 편심축(34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9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3 편심축(34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920)을 회전시키는 제 2 링크부(3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운동부(200)의 일단에 설치된 제 1 연결부(500) 하나만 구비할 수 있으나, 상기 운동부(200)의 타단에 설치된 제 2 연결부(5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편심축(341)와 제 3 편심축(3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이 상기 제 1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는 그 중심의 위치가 상기 제 1 편심축(341)와 제 3 편심축(342)과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제 4 편심축(920)은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부(360)의 구성은 상기 제 1 링크부(35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 각각에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부하에 의하여 발생되는 역 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밸런스웨이트(4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는 상기 제 2 편심축(820) 또는 제 4 편심축(920)에 복수개로 설치되게 되며,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부(350) 및 제 2 링크부(36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편심축(820) 또는 제 4 편심축(920)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연결부(500)만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연결부(500) 만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 모두 설치된 경우에도 적어도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3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4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1 편심축(341) 및 제 3 편심축(342)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1 편심축(341) 및 제 3 편심축(34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편심축(341) 및 제 3 편심축(342)에 결합된 제 1 링크부(350) 및 제 2 링크부(360)는 상기 제 1 편심축(341) 및 제 3 편심축(342)와 결합된 부분이 각각 상하 거동을 하면서 제 1 링크부(350) 및 제 2 링크부(360)의 상하거동을 각각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는 제 1 링크부(350) 및 제 2 링크부(360)의 상하거동에 의하여 각각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 각각에 결합된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5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에 결합된 운동부(200)는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의 상하거동에 따라서 각각의 끝단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동작상태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운동부(200)의 중앙부분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제 1 편심부(800) 또는 제 2 편심부(900) 중 어느 하나에 그 동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340)은 상기 제 1 편심부(800)의 동심축(810)에 대응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8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200); 한 쌍의 동심축(810)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810)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810)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810)과 편심된 제 2 편심축(820)과; 상기 동심축(910)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830)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800); 구동축(310)이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운동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1 편심부(800)의 동심축(810)에 연결되는 구동부(300); 상기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200)와 연결된 제 1 연결부(500); 한 쌍의 동심축(910)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910)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910)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편심된 제 4 편심축(920)과; 상기 동심축(910)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930)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900); 상기 운동부(2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9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200)와 연결된 제 2 연결부(500);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9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편심축(9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920)을 회전시키는 제 3 링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부(200)는 그 중앙의 저면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처럼 지지부(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 3 링크부(37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상기 제 2 편심축(820)이 끼워지는 삽입공(3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편심축(8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삽입공(371)에는 베어링(37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링크부(370)의 타단에는 상기 제 4 편심축(920)이 끼워지는 삽입공(373)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편심축(8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삽입공(373)에는 베어링(37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 각각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부하에 의하여 발생되는 역 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밸런스웨이트(4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링크부(37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편심부(800)의 동심축(8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심축(8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2 편심축(820)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편심축(8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심축(820)에 결합된 제 3 링크부(370)는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결합된 부분이 상하 거동을 하면서 제 3 링크부(370)의 상하거동을 제 4 편심축(92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4 편심축(920)은 제 3 링크부(370)의 상하거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심축(820)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은 상기 제 2 편심축(820) 및 제 4 편심축(920) 각각에 결합된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5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에 결합된 운동부(200)는 제 1 연결부(500) 및 제 2 연결부(500)의 상하거동에 따라서 각각의 끝단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동작상태를 도 22에 도시하였다.
한편 사용자가 뛰거나 기구 등을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능동적인 운동을 요하는 운동기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땀을 흘리게 하여 인체 내부의 노폐물 등을 배출하여 운동효과 및 체지방 분해 효과를 가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운동효과를 부여하게 되어 땀을 흘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땀을 흘릴 수 있도록 온열벨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땀을 흘릴 수 있도록 하여 운동 및 체지방 분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시소운동을 하는 운동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운동부(200)를 시소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300)와 운동부(200)에 연결 설치된 연결부(4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 운동부(200) 및 연결부(4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운동부(20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0), 운동부(200) 및 연결부(400)는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 운동부(200) 및 연결부(400)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도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온열부(700)는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온열부(70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배) 둘레에 착용되는 벨트부(710)와, 상기 벨트부(710)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720)와, 상기 발열부(720)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710)는 천과 같은 섬유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땀 등에 의한 오염 및 흡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땀이 흡수되지 않는 비흡수성 재질이 보다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몸을 조여줄 수 있도록 탄성부재(71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71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와 같은 탈착부(712)를 구비한다.
상기 발열부(720)는 발열방식에 있어서 직류 및/또는 교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발열량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140)는 발열량의 변화를 미리 설정하여 발열량이 설정된 변화에 따라서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4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720)의 발열량을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발열량 조절을 위한 발열량조작부(72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운동부(200)에 발 또는 손을 의지한 상태로 상기 발열부(720)를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를 작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운동부(200)는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된 연결부(400)에 의하여 시소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운동부(200)의 시소운동에 의하여 능동적인 움직임 없이 운동효과를 받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발열부(720)의 착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운동부(200)의 운동과 함께 발열부(7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사용자는 땀을 흘리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선택에 의하여 발열부(720)를 미리 설정된 변화량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게 하여 보다 극대화된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운동부(200)의 운동효과와 함께 발열부(7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땀을 흘림으로써 운동 효과 및 땀의 배출에 의하여 체지방 분해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운동부의 운동에 따라 운동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운동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 또는 상하왕복운동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간단한 운동매커니즘을 가짐으로써 운동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발열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땀 배출의 효과를 가지게 되어 몸 내부의 노폐물 배출 효과를 추가로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지지부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운동기구의 편심부, 구동부 및 연결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운동기구의 구동부가 본체부의 중앙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운동기구의 회전력전달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운동기구의 회전력전달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연결부를 가지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A-A 방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11의 운동기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운동기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서 B-B 방향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운동기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2은 도 18의 운동기구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운동기구의 발열부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10 : 덮개부
111 : 개구부 120 : 저면부
130 : 포스트 140 : 제어부
141 : 조작부 142 : 표시부
150 : 손잡이부 152 : 제 2 손잡이부
200: 운동부 210 : 운동패널
212 : 결합공 220 : 피복부
221 : 돌기부 300 : 구동부
310 : 구동축 311 : 커플러
312 : 결합키 400 : 편심부
410 : 동심축 412 : 결합키
420 : 편심축 430 : 지지브라켓
450 : 밸런스 웨이트 500 : 연결부
510 : 결합부재 511 : 결합공
520 : 힌지핀 530 : 연결로드
600 : 지지부 610 : 보조결합부
620 : 브라켓 611 : 결합부재
612 : 결합봉 622 : 베어링
623 : 연결봉

Claims (2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편심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은 상기 동심축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운동부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의 시소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부는
    그 중앙의 저면이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결합부와 상기 저면부에 설치되어 보조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운동부의 저면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과 상기 편심부 사이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 운동부 및 구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축과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동심축은 회전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벨트방식 및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는 상기 운동부의 양쪽 끝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 운동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된 편심부의 동심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3.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상기 운동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편심된 제 1 편심축을 가지는 제 1 회전축과;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2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1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1 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회전축지지브라켓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부의 중앙 저면과 결합되고 상기 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결합부와 상기 저면부에 설치되어 보조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양끝단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6. 제 13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8. 제 13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편심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의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제 1 편심축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3 편심축을 추가로 포함하며,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4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3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3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2 링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4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운동부;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동심축과 편심된 제 2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편심부;
    구동축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운동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동심축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한 쌍의 동심축들과; 상기 한 쌍의 동심축들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동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편심축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편심축과 180°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편심된 제 4 편심축과; 상기 동심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편심부;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동부와 연결된 제 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2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편심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4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 3 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링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편심축 및/또는 제 4 편심축에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4.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시소운동을 하는 운동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운동부를 시소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와 운동부에 연결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 설치되고 사용자의 몸 둘레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에 열을 가하는 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부는
    사용자의 몸 둘레에 착용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사용자의 몸을 조여줄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방식은 직류 및/또는 교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은 제어부에 의하여 발열량의 변화를 미리 설정하여 발열량이 설정된 변화에 따라서 발열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비흡수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040072305A 2004-06-24 2004-09-09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0609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13 2004-06-24
KR20040047813 2004-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025A true KR20050123025A (ko) 2005-12-29
KR100609354B1 KR100609354B1 (ko) 2006-08-09

Family

ID=3729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05A KR100609354B1 (ko) 2004-06-24 2004-09-09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79B1 (ko) * 2006-04-05 2007-09-14 진방호 운동용 진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59B1 (ko) 2004-11-16 2007-07-02 (주)휴먼메덱스텍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79B1 (ko) * 2006-04-05 2007-09-14 진방호 운동용 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354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012B1 (ko)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440088B1 (ko) 어깨걸이 안마기
US9717639B2 (en) Enhanced biomechanical stimulation device
KR100609354B1 (ko) 체지방 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
JP2008253674A (ja) マッサージ装置
KR20110049101A (ko) 헬스기구
US20070287939A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body lipolysis and strengthening muscles
KR101021647B1 (ko) 마사지 기능이 마련된 다리 스트레칭 장치
KR100394568B1 (ko) 진동 시소운동기구
KR100392064B1 (ko) 다리 운동장치
KR101074921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0609352B1 (ko) 운동기구
JP2001000496A (ja) マッサージ器
JP3221504U (ja) フィットネス装置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JP2612120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797611B1 (ko) 허리 운동기구
KR20040089408A (ko) 근력강화용 전신운동 장치
KR200337159Y1 (ko) 운동용 승마기구
KR200144082Y1 (ko) 폐달식 전신 운동기구
KR0146951B1 (ko) 자유 운동기구
KR20050009411A (ko) 운동용 승마기구
KR200261708Y1 (ko) 다리 운동장치
KR200417053Y1 (ko) 발판진동용 운동기구
JP2005515803A (ja) 全身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