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387A - 스피커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피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387A
KR20050122387A KR1020040047482A KR20040047482A KR20050122387A KR 20050122387 A KR20050122387 A KR 20050122387A KR 1020040047482 A KR1020040047482 A KR 1020040047482A KR 20040047482 A KR20040047482 A KR 20040047482A KR 20050122387 A KR20050122387 A KR 2005012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diaphragm
light emitting
speaker assembly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387A/ko
Publication of KR2005012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변환시킴으로써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스피커의 진동판 내측에 설치되며, 전기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피커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다수의 스피커중에서 어느 스피커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피커의 동작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조립체{SPEAKER ASSEMBLY}
본 발명은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다수의 스피커중에서 어느 스피커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 조립체(Speaker assembly)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변환시킴으로써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진동판이 공기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직접 복사형은 보통 라디오나 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동전형(動電型), 전자기형(電磁氣型), 정전형(靜電型), 유전체형(誘電體型), 자기왜형(磁氣歪型) 등이 있다. 음악재생용이나 음성용으로서는 성능이 좋은 동전형("다이내믹형"이라고도 함)이 널리 쓰인다. 동전형은 영구자석의 자기장 내에 있는 코일(보이스코일)에 음성신호 전류를 흘리면 그 전류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전자기형은 영구자석 끝에 설치한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 보내어 코일 사이에 있는 철편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을 레버에 의해 진동판에 전하여 소리를 방사한다. 취급이 간단하므로 가정용 라디오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고역특성(高域特性)이 나쁘고 일그러짐이 많아 점차 사용이 줄고 있다. 정전형은 고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유전체형, 자기왜형은 가청주파수가 아닌 20 kHz 이상의 초음파 영역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가청주파수용 스피커 중에서 특히 고역주파수대(10 kHz 이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트위터(tweeter)라고 하는데 혼형, 원뿔형 종류가 있으며, 진동계의 무게가 작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조립체는 스피커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스피커의 본체나 중간 이음매에 금형으로 제작한 몰드물로 삽입되는 반사경 등으로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조립체는 반사경만으로는 그 동작여부를 외부에서 제대로 파악하기란 힘들며, 특히 스피커가 단일로 사용되기보다는 여러 개가 한 조로 사용되는 경우 어느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어느 스피커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청각이 아닌 시각적으로 파악하기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다수의 스피커중에서 어느 스피커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피커의 동작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스피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변환시킴으로써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스피커의 진동판 내측에 설치되며, 전기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0)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판(210)이 마련되는 스피커(200)와, 스피커(200)의 진동판(210) 내측에 설치되는 발광소자(300)를 포함한다.
스피커(2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변화시킴으로써 진동판(210)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킨다. 스피커(200)는 발광소자(300)가 설치되는 제 1 자성체(220)와, 제 1 자성체(220)가 내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제 1 자성체(220) 외측면과의 사이에 장착홈(231)이 형성되는 제 2 자성체(230)와, 제 2 자성체(230)의 장착홈(231)에 삽입되는 삽입부(211)가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비닐 등과 같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판(210)과, 진동판(210)의 삽입부(211)에 감겨지는 보이스코일(240)과, 제 2 자성체(230)의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250)를 포함한다.
제 1 자성체(220)와 제 2 자성체(230)는 자성을 가지며, 발광소자(3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진동판(210) 내측에 고정되도록 각각 삽입홀(221,233)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소자(300)는 제 1 및 제 2 자성체(220,230)의 삽입홀(221,233)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발광소자(300)와 제 1 및 제 2 자성체(220,230)와의 간극(260)은 몰딩 처리되며, 양단에 전기신호 입력을 위한 단자(310)가 제 2 자성체(230)의 하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인출된다.
제 2 자성체(230)는 상부 내측에 제 1 자성체(22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주면과 제 1 자성체(2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의 장착홈(231)이 형성되며, 장착홈(231) 내측에 자성을 가지는 자성유체(232)가 채워진다.
진동판(210)은 제 2 자성체(230)의 장착홈(231)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원형관 형상의 삽입부(211)가 형성되며, 지지부재(250)에 접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212)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진동판(210)은 내측에 위치하는 발광소자(3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보이스코일(240)은 진동판(210)의 삽입부(211)에 복수로 감겨져서 양단이 지지부재(250)의 접속단자(25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지부재(250)는 제 2 자성체(23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진동판(210)의 접착부(212)가 접착제나 그 밖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며,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52) 하측에 한 쌍의 접속단자(251)가 고정되고, 접속단자(251) 각각에 보이스코일(240)의 끝단이 각각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광소자(300)는 스피커(200)의 진동판(210) 내측에 설치되며, 스피커(2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나 스피커(200)에 전기신호가 인가시 공급되는 별도의 전기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한다. 발광소자(300)는 램프와 같이 광을 출력하는 다양한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비교적 전력소모가 적음과 아울러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0)의 설치를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고정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00)는 지지부재(250)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진동판(210)이 노출되도록 관통홀(420)이 형성되며, 스피커(200)가 설치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400)는 지지부재(250)에 고정되기 위하여 지지부재(25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253)와 각각 스크루(S)로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보스(410)가 후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스피커(200)가 설치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미도시) 또는 기타 부재에 스크루로 고정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430)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400)는 진동판(210)을 통과하는 발광소자(300)의 광이 투사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관통홀(420)의 주위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피커 조립체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접속단자(251)를 통해 보이스코일(240)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240)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자성체(220,230)의 자기장을 변화시키게 됨으로써 진동판(210)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킨다. 이 때, 보이스코일(240)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나 보이스코일(240)로 전기신호가 인가시 공급되는 또 다른 전기신호가 단자(310)를 통해 발광소자(300)로 공급됨으로써 발광소자(300)는 광투과성 재질의 진동판(210)을 통해 외측으로 광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300)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의해 사용자는 스피커(200)의 동작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스피커(200)가 다수 사용되더라도 현재 동작중인 스피커(200)를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300)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도 발광이 가능하며, 크기도 작아 진동판(210)내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발광소자(300)는 보이스코일(240)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전기신호의 세기를 변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재 스피커(200)에서 발생되는 음의 세기나 크기를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3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고정플레이트(400)의 투광부(440)로 투사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또한, 고정플레이트(400)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스피커(2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300)의 발광으로 인해 스피커(200)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피커(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다수의 스피커(200)중에서 어느 스피커(200)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피커(200)의 동작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는 스피커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다수의 스피커중에서 어느 스피커가 현재 음을 출력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피커의 동작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스피커 210 : 진동판
211 : 삽입부 212 : 접착부
220 : 제 1 자성체 230 : 제 2 자성체
231 : 장착홈 232 : 자성유체
240 : 보이스코일 250 : 지지부재
251 : 접속단자 253 : 결합부
300 : 발광소자 310 : 단자
400 : 고정플레이트 410 : 고정보스
420 : 관통홀 440 : 투광부

Claims (6)

  1.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장을 변환시킴으로써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 내측에 설치되며, 전기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소자
    를 포함하는 스피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1 자성체가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자성체 외측면과의 사이에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자성유체가 채워지는 제 2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삽입부에 감겨지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제 2 자성체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이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보이스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스피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자성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전기신호 입력을 위한 단자가 상기 제 2 자성체로부터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진동판이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의 주위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KR1020040047482A 2004-06-24 2004-06-24 스피커 조립체 KR20050122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82A KR20050122387A (ko) 2004-06-24 2004-06-24 스피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82A KR20050122387A (ko) 2004-06-24 2004-06-24 스피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87A true KR20050122387A (ko) 2005-12-29

Family

ID=3729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482A KR20050122387A (ko) 2004-06-24 2004-06-24 스피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2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71B1 (ko) * 2007-12-13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음압을 이용한 스피커 무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71B1 (ko) * 2007-12-13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음압을 이용한 스피커 무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5965U (ja) デュアル周波数イヤホン構造
CN111164989B (zh) 混合扬声器
US9774956B2 (en) Speaker
WO2012093058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209787426U (zh) 一种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US9497547B2 (en) Speaker structure
US8611583B2 (en) Compact coaxial crossover-free loudspeaker
WO2023155564A1 (zh) 扬声器及电子设备
CN109275078B (zh) 等化器扬声装置
JP2005277874A (ja) 同軸スピーカー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77876A (ja) スピーカー装置
KR20050122387A (ko) 스피커 조립체
US7515724B2 (en) Loudspeaker driver
CN110418259B (zh) 发声装置单体、发声模组及电子终端
KR100576266B1 (ko) 양면 보이스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US10149027B2 (en) Speaker box
CN111371930A (zh) 屏幕发声装置和电子设备
JP2005277866A (ja) 樹脂フレーム、スピーカー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ー装置
KR100495905B1 (ko) 발광 스피커
KR200287568Y1 (ko) 발광 스피커
WO2023160141A1 (zh) 扬声器及电子设备
CN212392989U (zh) 一种密闭式发声装置
KR101913157B1 (ko)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한 복합형 동축 마이크로 스피커
CN214177564U (zh) 平衡电枢式扬声器
US20160227327A1 (en) Speak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