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658A -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 Google Patents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658A
KR20050121658A KR1020057003913A KR20057003913A KR20050121658A KR 20050121658 A KR20050121658 A KR 20050121658A KR 1020057003913 A KR1020057003913 A KR 1020057003913A KR 20057003913 A KR20057003913 A KR 20057003913A KR 20050121658 A KR20050121658 A KR 2005012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housing
opening means
elongated
flui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038B1 (ko
Inventor
게리 자우어
Original Assignee
게리 자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리 자우어 filed Critical 게리 자우어
Priority to KR102005700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0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용기 내부에 밀봉된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용기 내부에 완전히 밀봉된 자기 함유 개방 수단을 갖는 가늘고 긴 밀봉 용기가 기술된다.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에서 또는 부근에서 상기 가늘고 긴 밀봉 용기를 압착하거나 또는 굽힘으로써 조작하여 상기 가늘고 긴 밀봉 용기 내에 밀봉된 유체는 그 적용을 위해 방출된다. 손실될 느슨한 부품들이 없고 모든 구성 부품들은 용기 내에 완전하게 밀봉된다.

Description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Sealed container with enclosed opening mea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기 내부에 밀봉된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용기 내부에 에워싸인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개방 수단이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존재한다. 대부분의 개방 수단은 스크류식 캡(screw-on cap) 또는 스냅식(snap-on) 캡의 형태이다. 몇몇 개방 수단은 용기에서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 또는 스코어 라인(score line ; 잘린 흔적)의 형태이고 용기의 내용물을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 또는 스코어 라인의 파열시 용기에서 방출되게 한다. 이들 모든 개방 수단은 스크류식 캡 및 스냅식 캡과 같은 용기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용기 상에서 부서지기 쉬운 밀봉부 또는 스코어 라인과 같은 용기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개방 수단 중 어느 것도 유체를 용기 내에 밀봉하기 위해 용기 내부에 에워싸이도록 설계된 것이 없어서, 아직까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유체를 방출할 수 없었다. 개방 수단을 사용할 시에 효과적이고 용이한 유용성은 특히 작은 단면적을 갖는 작은 가늘고 긴 용기에서는 불충분하다.
도 1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6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8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10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12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14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16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폐쇄 상태에 있는 개방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방출될 밀봉 용기 내의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도 18의 개방 수단을 개방 위치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밀봉된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용기 내부에 완전히 에워싸인 자기 함유 개방 수단을 갖는 가늘고 긴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에서 또는 부근에서 가늘고 긴 밀봉 용기를 압착하거나 또는 굽힘으로써 조작할 수 있다. 에워싸는 개방 수단이 개방되자마자, 가늘고 긴 밀봉 용기 내부에 밀봉된 유체는 그 적용을 위해 방출된다. 가늘고 긴 밀봉 용기가 작은 횡단면을 가질 경우에, 용기 내부의 유체가 그 표면 장력으로 인해 방출되지 않으므로, 모세 작용을 향상시키고 유체의 표면 장력을 극복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가 사용되어 유체를 가늘고 긴 용기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손실될 느슨한 부품들이 없고 모든 구성 부품들은 용기 내에 완전하게 밀봉된다.
도 1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는 밀봉 단부(2)와 개구 단부(3)를 갖는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을 포함한다. 밀봉 단부(2) 부근에서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부에 유체(4)가 밀봉된다.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측에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이 배치되어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부에 유체(4)를 밀봉한다. 개방 수단(5)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에서 또는 부근에서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을 압착하거나 또는 굽힘으로써 조작된다.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이 작은 횡단면을 갖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유체(4)가 그 표면 장력으로 인해 개방 수단(5)을 간단히 개방하여도 방출되지 않으므로, 유체(4)의 모세 작용을 향상시키고 유체(4)의 표면 장력을 극복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6, 7)가 이용되어,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유체(4)를 방출시킨다.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일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주체(8)를 포함하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로부터 유체(4)까지 작은 유로를 한정한다. 유체(4) 부근의 단부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원주체의 직경보다 작고,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원주체로부터 분리되는 가늘고 긴 돌출부(9)를 갖는다. 가늘고 긴 돌출부(9)는 원주체(8) 내에 작은 유로를 밀봉하여,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부의 유체(4)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이 가늘고 긴 돌출부(9)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원주체와의 사이의 접합부 부근에서 굽혀질 경우에, 가늘고 긴 돌출부(9)는 원주체로부터 분리되고, 작은 유로가 노출되어, 유체(4)를 가늘고 긴 하우징(1)으로부터 상기 개방 수단(5)을 통해 방출시킨다.
도 4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는 작은 횡단면을 갖고 밀봉 단부(2)와 개구 단부(3)를 갖는 가늘고 긴 굽힘성 관형 하우징(1)을 포함한다. 밀봉 단부(2) 부근에서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에 유체(4)가 밀봉된다.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측에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이 배치되어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 내부에 유체(4)를 밀봉한다.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유체(4)를 향한 개구 단부(11)와 가늘고 긴 부재(12)를 갖는 밀봉 단부를 구비하는 중공 원주체(10)를 포함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12)는 중공 원주체(10)로부터 가늘고 긴 굽힘성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를 향해 연장하여 가늘고 긴 굽힘성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 부근에서 종료된다. 중공 원주체(10)의 외부면상에 스코어 라인(score line ; 잘린 흔적)으로 형성된 부서지기 쉬운 단면(13)이 중공 원주체(10)의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중공 원주체(10)상에 형성된다.
관형 하우징(1)이 개방 수단(5)의 중공 원주체(10)의 부서지기 쉬운 단면(13)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에, 중공 원주체(10)의 밀봉 단부는 유체(4)로부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까지 관통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 원주체(10)의 개구 단부(11)로부터 분리된다. 가늘고 긴 굽힘성 관형 하우징(1)의 작은 횡단면으로 인해, 유체(4)는 유체(4)의 표면 장력에 의해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출되지 않는다. 유체(4)는 가늘고 긴 부재(12)를 향해 유체(4)를 가압하여 유체(4)를 수용하고 있는 관형 하우징(1)의 부분을 압착함으로써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유체(4)가 가늘고 긴 부재(12)에 도달하면, 가늘고 긴 부재(12)는 유체(4)의 모세 작용을 향상시키고 관형 하우징(1) 내부의 유체(4)의 표면 장력을 극복하여 이들 유체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외부로 자유롭게 유출시킬 수 있다.
개방 수단(5)의 개방시 유체(4)의 즉시 방출이 요구되면, 제 2 가늘고 긴 부재(14)는 관형 하우징(1)의 밀봉 단부(2)에 고정되고 원주체(10)의 개구 단부(11) 부근까지 연장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4)의 모세 작용을 향상시키고 유체(4)의 표면 장력을 극복하여 이들 유체(4)를 압착함 없이 개방 수단(5)의 개방시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즉시 방출할 수 있다.
도 6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과 이 직경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변형가능한 컵(15)을 포함한다. 변형가능한 컵(15)은 관형 하우징(1) 내부에 유체(4)를 밀봉하기 위해 관형 하우징(1)에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수단(5)에서 또는 부근에서 관형 하우징(1)을 굽힐시 또는 압착시에, 변형가능한 컵(15)은 변형되고, 유체 유로가 노출되어 유체(4)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플라스틱 중공 볼과 같은 변형가능한 구체(sphere)가 또한 변형가능한 컵(15)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방 수단(15)에서 관형 하우징(1)을 굽히거나 또는 압착시에, 변형가능한 구체는 변형되고 유체 유로가 형성되어 유체(4)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도 8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굽힘시 파열 면(17)에서 두 부분으로 파열가능한 플러그(16)를 포함한다. 플러그(16)는 플러그(16)의 각 단부로부터 파열 면(17)을 통해 연장하나 플러그(16)의 다른 단부를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홀(hole)(18)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6)에서 또는 부근에서 관형 하우징(1)의 굽힘시, 플러그(16)는 파열 면(17)에서 두 단면으로 분리되고, 하나 이상의 유체 유로들은 유체(4)로부터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까지 이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16)는 관형 하우징이 개방 수단(5)에서 비틀릴시에 유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비틀려질시에 파열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관형 하우징은 플러그(16)에 함께 나사 체결되는 두 단면으로 형성되어, 관형 하우징을 비틀시에 플러그(16)를 두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감소된 외경 웨이스트(waist) 단면(20)과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두 단부들(21)을 구비하는 원주형 단면(19)을 포함한다. 원주형 단면(19)은 그 축방향으로 관통 홀(22)을 갖고 유체(4)로부터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까지 유체 유로를 형성한다. 밀봉 단부(22)에 가늘고 긴 부재(23)가 고정되어 원주형 단면(19)에서 홀(2)안으로 연장하며, 이에 의해 상기 홀(22)과 유체 유로를 밀봉한다. 관형 하우징(1)이 원주형 단면(19)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 가늘고 긴 부재(23)는 원주형 단면(19)에서 홀(22)로부터 당겨지고, 유체(4)로부터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까지의 유체 유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그런 다음, 유체(4)는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12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작은 횡단면과 관형 하우징(1) 내측으로 플립핑(flipping)하는(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두께를 갖는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을 포함한다. 각 원형 디스크(24, 25)는 두개의 원형 디스크(24, 25)가 관형 하우징(1)내에 서로에 대해 배치되면, 각 원형 디스크 내의 홀들(26, 27)이 다른 디스크에 의해 커버되고, 따라서 양 원형 디스크들(24, 26) 내의 모든 홀들(26, 27)이 다른 원형 디스크에 의해 밀봉되도록 위치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들(26, 27)을 갖는다. 관형 하우징(1)이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에, 관형 하우징(1)의 변형은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이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유체 유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4)로부터 관형 하우징(1)의 개구 단부(3)까지 형성된다.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 사이의 분리는 관형 하우징이 유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개방 수단(5)에서 비틀려진다면 관형 하우징을 비틀므로써 또한 형성될 수 있다. 관형 하우징은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 사이의 계면에 함께 나사 체결되는 두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관형 하우징이 비틀려질시에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24, 25)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4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은 관형 하우징(1)의 내측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길이를 갖는 원주형 단면(28)을 포함한다. 원주형 단면(28)은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대각선적으로 형성된 대각선 슬릿(29)과, 원주형 단면(28)의 두개의 반부들을 연결하고 원주형 단면(28) 뒤에서 관형 하우징(1)내에 유체(4)를 밀봉하는 박편 재료(30)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형 단면(28)이 관형 하우징(1)을 압착함으로써 압축될 때에, 상기 원주형 단면(28)의 두개의 반부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하여 함께 가압되고, 이에 의해 원주형 단면(28)의 횡단면을 축소한다. 따라서, 유체 유로가 원주형 단면(28)의 외측과 관형 하우징(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어서 유체(4)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시킨다.
도 16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에워싸는 개구 수단(5)은 그 중간 단면(32) 부근에서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단면 재료(31)를 포함한다. 단면 재료(31)의 제 1 단부(33)는 핸들로써 작용하는 두개의 쇠스랑(prong) 형태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힘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적용된다. 단면 재료(31)의 제 2 단부(34)는 관형 하우징(1)의 내경 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고, 제 2 단부(34)로부터 1 단부(33)에서 두개의 쇠스랑들이 접합되는 위치 부근까지 파열 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쇠스랑들이 관형 하우징(1)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압착될 때에, 단면 재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파열 면(35)을 따라 두개의 반부로 파열되고, 유체 유로가 단면 재료(31)를 통해 개구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4)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도 18은 에워싸는 개방 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에워싸는 개구 수단(5)은 관형 하우징(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과, 이 직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컵(36)을 포함한다. 가늘고 긴 컵(36)의 폐쇄 단부(37)는 가늘고 긴 돌출부에서 종료되고, 가늘고 긴 돌출부가 파열될 때에 가늘고 긴 컵(36)의 폐쇄 단부(37)에 개구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가늘고 긴 컵(36)을 따라 위치 결정된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 주위에 파열 선(38)이 형성된다. 가늘고 긴 컵(36)은 관형 하우징(1) 내부에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관형 하우징(1)에 삽입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컵(36)의 폐쇄 단부(37) 부근에서 관형 하우징(1)을 굽힐 시에, 가늘고 긴 돌출부는 파열 선(38)에서 가늘고 긴 컵(36)을 따라 파열되고, 유체 유로가 노출되어 유체(4)를 관형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많은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되고, 이들은 단지 본 발명의 몇몇 적합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와 그 합법적인 등가물은 첨부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9)

  1. 밀봉 단부와 개구 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과,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밀봉된 유체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밀봉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조작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한정하는 원주체와, 상기 원주체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유체 부근에서 상기 원주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돌출부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향해 배치된 개구 단부와 가늘고 긴 부재를 갖는 밀봉 단부를 구비하는 중공 원주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중공 원주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구 단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중공 원주체의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중공 원주체상에 부서지기 쉬운 단면이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컵을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구체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파열 면에서 파열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파열 면을 통해서 연장하나 상기 플러그의 다른 단부를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에서 또는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굽힘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파열 면에서 파열되고, 하나 이상의 유체 유로들이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방 단부까지 이어지게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개방 수단에서 비틀릴시에 상기 유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비틀려질시에 파열가능하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감소된 외경 웨이스트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두 단부들을 구비하는 원주형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밀봉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홀 내로 연장하며, 이에 의해 상기 홀과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은 그 축방향으로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지거나 또는 당겨질 때에,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상기 홀로부터 당겨지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상기 유체 유로는 노출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횡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 플립핑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두께를 갖는 두개의 원형 디스크를 포함하고,
    각 원형 디스크들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가 상기 관형 하우징내에 서로에 대해 배치되면, 각 원형 디스크들 내의 홀들이 다른 디스크에 의해 커버되고, 이에 의해 양 원형 디스크들 내의 상기 모든 홀들이 다른 원형 디스크에 의해 밀봉되도록 위치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에, 상기 관형 하우징의 변형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상기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 사이의 상기 분리는 상기 관형 하우징을 비틀므로써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길이와,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대각선적으로 형성된 대각선 슬릿을 갖는 원주형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뒤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는 박편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압축될 때에,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하여 함께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원주형 단면의 횡단면을 축소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외측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유체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그 중간 단면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단면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1 단부는 핸들로써 작용하는 두개의 쇠스랑 형태로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힘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인가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2 단부는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에서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접합되는 부근까지 파열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압착될 때에, 상기 단면 재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파열 면을 따라 두개의 반부들로 파열되고, 상기 단면 재료를 통해서 유체 유로를 개구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과, 상기 직경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컵을 포함하며,
    상기 컵의 폐쇄 단부는 가늘고 긴 돌출부에서 종료되고,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가 파열될 때에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을 따라 위치 결정된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 주위에 파열 선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늘고 긴 컵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관형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을 굽힐시에,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는 상기 파열 선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으로부터 파열되고, 유체 유로가 노출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4. 밀봉 단부와 개구 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과,
    상기 밀봉 단부에 고정된 가늘고 긴 부재와,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밀봉된 유체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조작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한정하는 원주체와, 상기 원주체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유체 부근에서 상기 원주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돌출부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향해 배치된 개구 단부와 가늘고 긴 부재를 갖는 밀봉 단부를 구비하는 중공 원주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중공 원주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구 단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중공 원주체의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중공 원주체상에 부서지기 쉬운 단면이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컵을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구체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파열 면에서 파열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파열 면을 통해서 연장하나 상기 플러그의 다른 단부를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에서 또는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굽힘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파열 면에서 파열되고, 하나 이상의 유체 유로들이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방 단부까지 이어지게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개방 수단에서 비틀릴시에 상기 유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비틀려질시에 파열가능하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감소된 외경 웨이스트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두 단부들을 구비하는 원주형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밀봉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홀 내로 연장하며, 이에 의해 상기 홀과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은 그 축방향으로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지거나 또는 당겨질 때에,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상기 홀로부터 당겨지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상기 유체 유로는 노출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횡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 플립핑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두께를 갖는 두개의 원형 디스크를 포함하고,
    각 원형 디스크들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가 상기 관형 하우징내에 서로에 대해 배치되면, 각 원형 디스크들 내의 홀들이 다른 디스크에 의해 커버되고, 이에 의해 양 원형 디스크들 내의 상기 모든 홀들이 다른 원형 디스크에 의해 밀봉되도록 위치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에, 상기 관형 하우징의 변형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상기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 사이의 상기 분리는 상기 관형 하우징을 비틀므로써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길이와,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대각선적으로 형성된 대각선 슬릿을 갖는 원주형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뒤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는 박편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압축될 때에,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하여 함께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원주형 단면의 횡단면을 축소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외측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유체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그 중간 단면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단면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1 단부는 핸들로써 작용하는 두개의 쇠스랑 형태로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힘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인가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2 단부는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에서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접합되는 부근까지 파열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압착될 때에, 상기 단면 재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파열 면을 따라 두개의 반부들로 파열되고, 상기 단면 재료를 통해서 유체 유로를 개구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과, 상기 직경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컵을 포함하며,
    상기 컵의 폐쇄 단부는 가늘고 긴 돌출부에서 종료되고,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가 파열될 때에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을 따라 위치 결정된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 주위에 파열 선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늘고 긴 컵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관형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을 굽힐시에,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는 상기 파열 선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으로부터 파열되고, 유체 유로가 노출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7. 밀봉 단부와 개구 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과,
    상기 밀봉 단부에 고정된 가늘고 긴 부재와,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밀봉된 유체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부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부재를 갖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조작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한정하는 원주체와, 상기 원주체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유체 부근에서 상기 원주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돌출부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유체를 향해 배치된 개구 단부와 가늘고 긴 부재를 갖는 밀봉 단부를 구비하는 중공 원주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중공 원주체로부터 상기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구 단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중공 원주체의 상기 밀봉 단부 부근에서 상기 중공 원주체상에 부서지기 쉬운 단면이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컵을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변형가능한 구체를 포함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파열 면에서 파열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파열 면을 통해서 연장하나 상기 플러그의 다른 단부를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에서 또는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굽힘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파열 면에서 파열되고, 하나 이상의 유체 유로들이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상기 개방 단부까지 이어지게 형성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개방 수단에서 비틀릴시에 상기 유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해 비틀려질시에 파열가능하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감소된 외경 웨이스트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두 단부들을 구비하는 원주형 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밀봉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홀 내로 연장하며, 이에 의해 상기 홀과 상기 유체 유로를 밀봉하는 가늘고 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은 그 축방향으로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유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지거나 또는 당겨질 때에,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상기 원주형 단면에서 상기 홀로부터 당겨지고,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관형 하우징의 개구 단부까지 상기 유체 유로는 노출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횡단면과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 플립핑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두께를 갖는 두개의 원형 디스크를 포함하고,
    각 원형 디스크들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가 상기 관형 하우징내에 서로에 대해 배치되면, 각 원형 디스크들 내의 홀들이 다른 디스크에 의해 커버되고, 이에 의해 양 원형 디스크들 내의 상기 모든 홀들이 다른 원형 디스크에 의해 밀봉되도록 위치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관형 하우징이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에서 또는 부근에서 굽혀질 때에, 상기 관형 하우징의 변형은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상기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원형 디스크들 사이의 상기 분리는 상기 관형 하우징을 비틀므로써 형성되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한 길이와,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대각선적으로 형성된 대각선 슬릿을 갖는 원주형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뒤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는 박편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원주형 단면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압축될 때에, 상기 원주형 단면의 두개의 반부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하여 함께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원주형 단면의 횡단면을 축소하고, 상기 원주형 단면의 외측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유체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그 중간 단면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단면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1 단부는 핸들로써 작용하는 두개의 쇠스랑 형태로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힘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인가되며, 상기 단면 재료의 제 2 단부는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고,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에서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접합되는 부근까지 파열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두개의 쇠스랑이 상기 관형 하우징을 압착함으로써 서로를 향해 압착될 때에, 상기 단면 재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파열 면을 따라 두개의 반부들로 파열되고, 상기 단면 재료를 통해서 유체 유로를 개구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3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워싸는 개방 수단은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과, 상기 직경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컵을 포함하며,
    상기 컵의 폐쇄 단부는 가늘고 긴 돌출부에서 종료되고,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가 파열될 때에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을 따라 위치 결정된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 주위에 파열 선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늘고 긴 컵은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상기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관형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늘고 긴 컵의 폐쇄 단부 부근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을 굽힐시에, 상기 가늘고 긴 돌출부는 상기 파열 선에서 상기 가늘고 긴 컵으로부터 파열되고, 유체 유로가 노출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관형 하우징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KR1020057003913A 2005-03-07 2003-09-25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KR10068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913A KR100680038B1 (ko) 2005-03-07 2003-09-25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913A KR100680038B1 (ko) 2005-03-07 2003-09-25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44U Division KR200386098Y1 (ko) 2005-03-07 2005-03-07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658A true KR20050121658A (ko) 2005-12-27
KR100680038B1 KR100680038B1 (ko) 2007-02-07

Family

ID=3729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913A KR100680038B1 (ko) 2005-03-07 2003-09-25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038B1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884A (en) Disposable perfume stick
US4664257A (en) Method and capsule for storing and mixing the two co-operative basic materials of dental amalgam and method in manufacturing the capsule
KR0155372B1 (ko) 밀봉장치
US20070116508A1 (en) Sliding piston opening means
JPS632625B2 (ko)
KR100680038B1 (ko)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KR200386098Y1 (ko) 에워싸는 개방 수단을 갖는 밀봉 용기
JP2004189265A (ja) チューブ形検体容器用の栓
US20050067316A1 (en) Sealed container with enclosed opening means
CA2469553C (en) Sealed container with enclosed opening means
US7198421B2 (en) Enclosed opening means
WO2005040033A2 (en) Sealed container with enclosed opening means
EP1701853A1 (en) Enclosed opening means
US20060020238A1 (en) Applicator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US7056049B2 (en) Shock resistant applicator for non-evaporative liquid
KR100802789B1 (ko) 봉입형 개방 장치
WO2005035371A2 (en) Retained enclosed opening means
JP2001171762A (ja) 混合型エアゾール用容器
KR200416571Y1 (ko) 튜브용기 마개
US20050161474A1 (en) Container with push-pull opening means
WO2005034795A2 (en) Adjustable angle eye dropper
KR200458641Y1 (ko) 튜브용기 압착구
KR20070028298A (ko) 슬라이딩 피스톤을 갖는 개구수단
WO2005082547A1 (en) Container with push-pull opening means
ZA200605352B (en) Enclosed open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