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286A - Harvest apparatus of bulb - Google Patents

Harvest apparatus of bul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286A
KR20050121286A KR1020040046356A KR20040046356A KR20050121286A KR 20050121286 A KR20050121286 A KR 20050121286A KR 1020040046356 A KR1020040046356 A KR 1020040046356A KR 20040046356 A KR20040046356 A KR 20040046356A KR 20050121286 A KR20050121286 A KR 2005012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frame
main frame
egg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2562B1 (en
Inventor
김순길
Original Assignee
김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길 filed Critical 김순길
Priority to KR102004004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562B1/en
Publication of KR2005012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5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7/00Devices for loosening soil compacted by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F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알뿌리 채취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줄기 제거수단과, 줄기 제거수단의 후방에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줄기제거수단에 의해 절단된 줄기를 취출하고,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줄기 취출수단과, 상기 취출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작물이 매립된 땅을 들뜨게 하는 경작수단과, 상기 경작수단에 의해 경작된 땅 속으로부터 알 뿌리를 채취하는 포크를 포함하는 채취수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t extrac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rame, the stem removing means for removing the stem of the crop is installed on the frame, the rear of the stem removing means is installed to be lifted relative to the frame is cut by the stem removing means A stem taking-out means for taking out the stems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frame, arable mean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ake-out means to lift the land in which the crops are embedded, and roots from the ground cultivated by the cultivating means. It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means including a fork for collecting.

Description

알 뿌리 채취기{harvest apparatus of bulb} Egg Root Harvester {harvest apparatus of bulb}

본 발명은 알 뿌리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땅속 작물인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알 뿌리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gg root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gg root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crops such as garlic, onion, potato sweet potato, which are ground crops.

일반적으로 지면하(地面下)에 열매(실과)를 맺는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인삼, 도라지, 약초류와 같은 구근(球根), 괴근(塊根), 괴경(塊莖)의 경우 경작부의 땅을 파고 수확하게 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bulbs, tubers, tubers such as garlic, onion, potato, sweet potato, ginseng, bellflower, and herbs that bear fruits (fruit) under the ground, Digging and harvesting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일부 농가에서는 작업 인력이 모자라는 관계상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채취하고 있으나 로터리 회전날이나 쟁기에 의해 이들 농작물이 손상을 입게 되므로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Some farms are harvesting crops using agricultural managers due to lack of workforce. However, these crops are damaged by rotary rotary blades or plows.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 공개 제 95-22349호(감자 채취기),동 제 93-17479호(약초 채취기), 동 제 90-4242호(농산물 채취기), 동 제 1990-012590호(마늘 채취기)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실용신안등록 제20-0145492호에는 땅속작물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some of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22349 (Potato Harvester), 93-17479 (Medicinal Herb Harvester), 90-4242 (Agricultural Harvester), and 1990- 012590 (garlic harvester) and the like are disclosed,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45492 discloses a ground crop harvester.

개시된 땅속작물 수확기는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농작물의 열매를 수용하고 있는 토양을 퍼올리는 평판형의 굴착판과, 굴착판에 의해 퍼 올려진 토양을 트랙터의 동력원에 의해 상하로 진폭 운동하는 핑거로 진동시켜 땅속 작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The disclosed ground crop harvester is used in connection with a tractor, which is a flat type of excavation plate for spreading soil containing the fruit of the crop, and the soil spread by the excavation plate is amplitude-moved up and down by the power source of the tractor. It is configured to vibrate with a finger to separate ground crops.

이와 같이 구성된 땅속 작물 수확기는 땅속작물을 수용하는 토양을 트랙터를 이용하여 퍼 몰리게 되므로 깊게 심긴 작물을 수확할 수 없거나 상기 토양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농작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땅속작물 수확기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농작물 재배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마늘, 양파 등의 재배지는 잡초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비닐, 종이 등으로 재배지를 덮고 있는데, 상기 작물 수확기의 수확하는 과정에서 비닐 또는 종이를 제거할 수 없으며, 마늘 또는 양파 등의 줄기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harvest a deeply planted crop because the soil containing the ground crops is spread using a tractor, or the crop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soil.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crop harvester is towed by a tractor,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in a relatively narrow crop plantation. On the other hand, plantations such as garlic and onions cover the plantations with vinyl, paper, etc. in order to suppress the growth of weeds, the vinyl or paper can not be removed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of the crop harvester, the stems such as garlic or on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remov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물의 줄기와 이를 덮고 있는 비닐을 제거한 후 작물의 수확이 가능한 알 뿌리 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provide an egg root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the crop after removing the stem and the vinyl covering the cro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늘, 양파, 감자 등과 같이 알 뿌리의 종류 및 묻힌 깊이에 따라 선택적인 채취가 가능하며, 작물의 수확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알 뿌리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ective harvesting, depending on the type and buried depth of egg roots, such as garlic, onions, potatoes, etc., to provide an egg root harvester that can reduce the labor maneuver according to the harvest of the cro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알 뿌리 채취기는 Egg root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작물 줄기 제거수단과, A frame and crop stem re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frame to remove the stem of the crop;

상기 줄기 제거수단의 후방에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줄기제거수단에 의해 절단된 줄기를 취출하고,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줄기 취출수단과, A stem extracting means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stem removing means so as to elevate the frame and extracting a stem cut by the stem removing means, and being installed at an elevating r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상기 취출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작물이 매립된 땅을 들뜨게 하는 경작수단과;Arable mean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takeout means to lift the land in which the crops are embedded;

상기 경작수단에 갈린 땅으로부터 알뿌리를 채취하는 포크를 구비하여 된 채취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lecting means provided with a fork for collecting the roots from the ground ground to the tilling mea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줄기 제거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칼날을 구비한 칼날 유니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수단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롤러들과, 외주면에 취출돌기들이 형성된 벨트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re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lade unit having a rotary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bearing portion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transport to the frame, and at least one blad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ry shaft. The take-out means may include a sub-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a pair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b-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belt having ejec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rame And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ubfram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rollers.

그리고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경작수단에 의해 들뜬 땅의 내부로 소정깊이 삽입되며 채취하는 알뿌리의 걸러낼 수 있는 살을 가지는 포크와, 상기 포크의 살을 타고 이동되는 알뿌리를 가이드 하여 배출하는 배출슈트와, 상기 포크를 좌우로 진동시켜 들뜬 흙으로부터 알 뿌리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한다. And the collec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xcavated land by the cultivating means and the fork having a filterable flesh of the harvesting roots, discharge chute for guiding and discharging the roots moving on the flesh of the fork and , Vibrating means for vibrating the fork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take out of the root of the egg from the excited soil can be made smoothl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 뿌리 채취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gg root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알 뿌리 채취장치는 땅속 작물인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을 채취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로 도 1 에 나타내 보였다. Egg root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ground crops garlic, onion, potatoes, sweet potatoes, etc., a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알 뿌리 채취장치(10)는 차체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줄기 제거수단(20)과, 상기 줄기 제거수단(20)의 후방에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줄기제거수단(20)에 의해 절단된 줄기 취출하는 줄기 추출수단(30)과, 상기 취출수단(30)의 후방에 설치되어 표면에 덮인 비닐, 종이 등을 벗겨내는 박피수단(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박피수단의 후단부에 메인프레임(11)에 대해 승강수단(50)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12)과, 상기 보조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작물 채취를 위한 경작지를 갈아 땅이 들뜨게 하는 경작수단(70)과 상기 보조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경작수단(70)에 의해 갈린 땅으로부터 알뿌리를 걸러 채취하는 채취수단(8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ot extracting device 10 is a main frame 11 forming a vehicle body, the stem removing means 2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 to remove the stem of the crop, and the stem removing means Stem extracting means 30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1 at the rear of the 20 and cut out by the stem removing means 20,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tracting means 30. And a peeling means 40 for peeling off the vinyl, paper or the like covered on the surface. And an auxiliary frame 12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eeling means by the elevating means 50 relative to the main frame 11, and the arable land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12 for harvesting the crop It comprises a harvesting means (80) installed on the cultivation means 70 and the auxiliary frame (12) for grinding the ground to filter the roots from the ground ground by the cultivation means (70).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경작지의 골폭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바퀴들을 가진 구름수단(90)과 상기 구름수단(90)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미도시)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in frame includes a rolling means 90 having wheels whose positions var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arable land, and an engine (not shown) for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wheels of the rolling means 9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알 뿌리 채취장치(10)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mponent of the root extracting devic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메인프레임(11)은 통상적인 경작자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전면 양측에는 작물의 줄기 또는 넝쿨 등을 상기 줄기 제거수단(20) 측으로 모아주기 위한 가이드 패널(13)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irst, the main frame 11 is preferably manufactured to have a relatively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a conventional farmer. In addition, guide panels 13 may be further provid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11 to collect a stem or a vine of the crop toward the stem removing means 20.

상기 줄기 제거수단(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축받이(21)와 상기 축받이(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에 설치되는 칼날 유니트(23)를 구비한다. 이 칼날 유니트(23)는 강철로 이루어진 칼날(23a)들이 회전축(22)의 단부에 고정된 회전바디(23b)에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지게 설치되어 줄기를 다단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칼날 유니트(2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 칼라 유니트(24)는 회전축(22)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판부재(24a)와, 상기 회전판부재(24a)에 방사 상으로 설치되어 줄기의 절단을 위한 와이어(24b)들을 구비한다. 상상기 회전판부재(24a)는 복수층으로 형성하여 줄기가 다단으로 절삭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은 제1구동부(15)에 의해 구동된다. 이 제1구동부(25)는 별도의 유압모터(25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15)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엔진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축과 체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줄기 제거수단(20)은 줄기의 종류에 따라 그 절삭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축받이를 승강 및 좌우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메인 프레임(11)에 대해 줄기 제거수단(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11)에 대해 축받이를 승강시킬 수 있는 볼스크류 또는 별도의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줄기제거수단의 축받이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가이드레일 등에 의해 승강 및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and 2, the stem removing means 20 includes a bearing 21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 and a rotating shaft 22 rotatably installed on the bearing 21, and the rotating shaft. The blade unit 23 provided in the 22 is provided. The blade unit 23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blades 23a made of steel are ste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to the rotating body 23b fix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22 to cut the stem in multiple stages. Do.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lade unit 24. The collar unit 24 includes a rotary plate member 24a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ry shaft 22 and wires 24b radially installed on the rotary plate member 24a for cutting the stem. The imaginary rotating plate member 24a is preferably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so that the stem can be cut in multiple stages.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2 is driven by the first driving unit 15. The first driving unit 25 is composed of a separate hydraulic motor 25a. The first driving unit 15 may be formed by a power shaft and a chain transmitted by an engin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tem removing unit 20 may adjust its cutting he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stem.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earing furth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means can lift the stem removing means 20 relative to the main frame 11, it may be made of a ball screw or a separate actuator that can lift the bearing relative to the main frame 11, in this case Naturally, the stem of the stem removing means should be installed to be elevated and transported by a guide rail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상기 줄기 취출수단(30)은 상기 줄기 제거수단(20)에 의해 절삭된 줄기를 수확하고자 하는 경작지 즉, 두럭으로부터 양측의 골 부위로 취출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The stem extracting means 30 is to extract the stem cut by the stem removing means 20 from the cultivated land to be harvested, that is, from the thick to both bone sites, one embodiment of which is shown in FIGS. 1 and 4. Seemed.

상기 줄기 추출수단(30)은 서브프레임(31)과 이 서브 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롤러(32)(33)들과, 상기 롤러(32)(33)들에 걸리는 줄기 취출밸트(34)를 구비한다. 상기 줄기 취출밸트(34)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취출날개(35)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롤러(32)(33)중 적어도 하나는 제2구동부(3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2구동부(36)은 유압모터 또는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스프로킷과 체인들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31)은 메인프레임(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37)의 단부와 브라켓(38)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서브 프레임(31)과 메인 프레임(11) 또는 브라켓(38)과 메인프레임(31)의 사이에는 복수개이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승강시 또는 작업시 요동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stem extracting means 30 includes a subframe 31 and a pair of rollers 32 and 33 rotatably mounted to the subframe 31 and stems that are caught by the rollers 32 and 33. A take-out belt 34 is provided. The stem extraction belt 34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xtraction wings 35 extending radial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llers 32 and 33 is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unit 36. The second driving unit 36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by a drive shaft, a sprocket, and chains rotated by a hydraulic motor or an engine. In addition, the subframe 31 has a configuration connected by the bracket 38 and the end of the screw 37 which is installed to be elevated on the main frame 1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bframe 31 and the main frame 11 or the bracket 38 and the main frame 31 so that they do not swing during lifting or working. Do.

상기 박피수단(40)은 상기 서브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1)(42)들과, 상기 롤러(41)(42)에 걸려 비닐을 벗겨내기 위한 박피 밸트(43)와, 상기 롤러(41)(42)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44)를 구비한다. 상기 박피밸트(43)의 외주면에는 비닐을 벗겨 내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돌기(43a)들이 형성되고, 상기 박피 밸트(43)의 출구측에는 걸림돌기(43a)에 걸린 비닐을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퍼(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박피수단(40)이 롤러(41)(42)들과 줄기취출수단(30)의 롤러(32)(33)와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하더라도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peeling means 40 includes rollers 41 and 42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b-frame 31, a peeling belt 43 for peeling off the vinyl by the rollers 41 and 42. And a third driving part 44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rollers 41 and 42.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43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eling belt 43, and a scraper 45 for separating the vinyl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43a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peeling belt 43. It may be further provided. Even if the peeling means 40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rollers 41 and 42 and the rollers 32 and 33 of the stem extracting means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peeling means 40 can be driven independently. .

한편, 상기 추출수단과 박피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컨데, 줄기취출수단과 박피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이 서브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스프로킷들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리는 취출체인을 구비하며, 이 취출체인에는 각각의 링크에 절단된 줄기의 배출을 위한 날개 또는 배출돌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돌기는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플랙시블한 포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박피수단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로킷들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려 비닐을 벗겨내기 위한 박피 체인을 구비하는데, 상기 박피체인의 각 링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로킷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ion means and the peeling means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constructing the stem extracting means and the peeling means, the extrac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procket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bframe, and an extracting chain that catches the sprocket, and the extracting chain has a respective link. Wings or discharge protrusions for discharging the cut stem may be installed. The discharge protrusion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have a flexible fork shape. In addition, the peeling means has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b-frame, and a peeling chain for peeling off the plastic hooked to the sprocket, each link of the peeling chain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s as described above Can be. The sprockets may be driven by a hydraulic motor as described above.

상기 경작수단(70)과 채취수단(80)은 메인프레임(11)에 승강수단(50)에 의해 승강 및 회동되는 보조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The tilling means 70 and the collecting means 80 are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12 which is lifted and rotated by the lifting means 50 on the main frame 11. 6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경작수단(70)은 보조 프레임(12)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2)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축받이부(72)와, 상기 축받이부(7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73)과, 상기 회동축(73)의 단부에 설치되는 굴삭부재(74)와, 상기 회동축(73)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75)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축(73)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굴삭부재(74)는 땅속의 알 뿌리가 손상되지 않고 땅속이 들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버선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전면부를 유선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ultivation means 7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frame 12, a plurality of bearing portion 72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frame 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bearing portion A rotation shaft 73 rotatably provided at 72, an excavating member 74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73, and a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73 at a predetermined angle ( 75). Excavating member 74 is installed on the end side of the pivot shaft 73 so that the ground in the ground can be raised without damage to the roots of the ground,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taboo, the front portion is formed in a streamline This is preferred.

상기 회동축(73)에 지지되는 굴삭부재(74)는 상호간의 간격은 알 뿌리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으며 알 뿌리가 심긴 땅속을 헤집을 수 있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75)은 상기 회동축(73)의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5a)와, 상기 각 연장부(75a)와 힌지 연결되는 이송부재(75b)와, 상기 이송부재(75b)를 왕복 이송시키는 액튜에이터(75c)를 포함한다. 이송부재(75b)를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75c)는 상기 이송부재(75b)와 링크(75d)에 의해 연결된 편심캠(75e)와, 상기 편심캠(75e)를 회전시키는 제 4구동부(75f)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75f)는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편심캠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프로킷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Excavation member 74 is supported on the rotation shaft 73, the spacing between each other is preferably able to pass through the roots of the eggs can be cultivated in the ground planted egg roots. The rotation means 75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75a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73, a transfer member 75b hinged to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75a, and the transfer member. And an actuator 75c for reciprocally conveying 75b. The actuator 75c for reciprocating the transfer member 75b includes an eccentric cam 75e connected by the transfer member 75b and a link 75d, and a fourth driving portion 75f for rotating the eccentric cam 75e. ) May be provided. The fourth driving unit 75f may be formed of a sprocket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engine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eccentric cam, and a chain connecting them, or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motor.

상기 취출수단(80)은 상기 보조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굴삭수단에 의해 들뜬 땅으로부터 알 뿌리를 채취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12)에 진동수단(81)에 의해 좌우로 진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흙속에 묻힌 알뿌리를 채취하는 것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살(82)들을 가지는 포크부재(83)와, 상기 포크부재(83)의 단부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채취된 알뿌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85)와, 상기 가이드 부재(85)와 연결되어 알뿌리를 배출하기 위한 슈트(8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85)에는 상기 알뿌리를 상기 슈트(86)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87)이 더 구비된다. The take-out means 80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frame 12 to collect the egg roots from the ground raised by the excavating means, as shown in Figure 6 vibrating means 81 in the auxiliary frame 12 By collecting the roots buried in the soil by vibrating from side to side by the fork, the fork member 83 having the flesh 82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oots collected extending from the end side of the fork member 83 Guide member 85 for guiding the guide member, and the chute 86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85 for discharging the roots. The guide member 85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means 87 for transferring the egg root to the chute 86.

상기 포크 부재(83)는 땅속에서 왕복 진동하면서 흙은 배출하고 마늘, 양파등과 같은 알 뿌리를 걸러 채취하는 것으로, 살(82)의 간격은 채취하고자 하는 알뿌리가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포크 부재(83)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수단(81)은 포크부재(83)를 지지하며 보조 프레임(12)에 대해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81a)과, 상기 지지브라켓(81a)과 적어도 하나의 링크(81b)에 의해 연결되는 편심캠(81c)과, 상기 편심캠(81c)을 구동시키는 제5구동부(81d)를 구비한다. 상기 제5구동부(81d)는 제4구동부와 같이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에 의해 스프로킷과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기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크부재는 프레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ork member 83 is a reciprocating vibration in the ground and the soil is discharged and collected by filtering the roots of the egg, such as garlic, onion, etc., the interval of the flesh 82 has a gap so as not to escape the root to be collected. . In addition, the vibrating means 81 for vibrating the fork member 83 supports the fork member 83,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81a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rame 12, and the support bracket 81a. ) And an eccentric cam 81c connected by at least one link 81b, and a fifth driving part 81d for driving the eccentric cam 81c. The fifth driving unit 81d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motor like the fourth driving unit, and may be transmitted by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sprocket and a chain by a rotation shaft driven by an engine. Here, the fork member may be made of a steel wir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이송수단(87)은 상기 가이드 부재(85)에 설치되어 상기 포크부재(83)에 의해 채취된 알뿌리를 상기 슈트(86)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85)에 장공(87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85)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87a)으로 출몰되는 이송편(87b)을 가지는 회전부재(87c)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87)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송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들이 형성된 밸트와, 외주면에 격판이 설치되어 상기 포크 부재(83)의 단부측과 슈트(86)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fer means 87 is installed in the guide member 85 to move the roots collected by the fork member 83 to the chute 86, the long hole 87a in the guide member 85 It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85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87c) having a conveying piece (87b) to go out of the guide long hole (87a). The conveying means 87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conveyed and a belt having protrus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diaphragm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end side and the chute 86 of the fork member 83 are separated. It may be made of a rotating body and the like installed between.

한편, 상기 취출수단(80)의 가이드 부재(85)와 슈트(86)의 사이에는 포크에의해 채집된 알뿌리와 흙이 미처 분리되지 않았을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과 마늘을 분리하는 분리수단(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guide member 85 and the chute 86 of the take-out means 80, when the roots and soil collected by the fork is not separated, soil and garlic as shown in Figure 7 and 8 Separation means 100 for separating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분리수단(100)은 가이드 부재(85)와 슈트의 설치되는 분리채(101)와 상기 분치체(10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102)와, 상기 분리체(101)에 의해 흙과 분리된 알뿌리를 슈트(86)로 넘기는 알뿌리 이동부(110)를 구비한다. The separating means 100 is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02 for vibrating the separating member 101 and the separating body 101 is installed of the guide member 85 and the chute, and the soil by the separator 101 An egg root moving unit 110 for passing the separated roots to the chute 86 is provided.

상기 분리체(101)는 격자상의 틀(101a)에 알뿌리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강선(101b)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부(102)는 상기 틀(101a)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이 바이브레이터는 상품화 된 것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 separating body 101 is provided in the lattice-shaped frame 101a side by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ots and has steel wires 10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02 is composed of at least one vibrator installed in the frame (101a). Since this vibrator can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알뿌리 이동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101a)의 출구측의 하부에 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1)과, 상기 회전축(111)에 설치되며 상기 강선(101b)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축(111)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날개(112a)들을 구비하는 이동부재(112)와, 상기 회전축(111)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113)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112)의 날개의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알뿌리를 이동하고 한 후 틀(101a)에 걸리어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root root moving part 110 is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111 and the rotary shaft 11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eel wire at the lower side of the exit side of the frame (101a) as shown in FIG. And rotated by the rotary shaft 111 positioned between the steel wires 101b, the movable member 112 having a plurality of wings 112a, and the hydraulic motor 113 driving the rotary shaft 111. It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of the wing of the movable member 112 and to be separated by being caught by the frame 101a after moving the root.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에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한쌍의 박퀴(91-94)들이 구동축(95)(96)에 의해 지지되다. 상기 구동축(95)(96)은 적어도 이분할되어 상호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수확하고자 하는 밭의 폭 또는 골의 폭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과정에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스플라인 결합된 구동축(95)(96)은 인입 및 인출가능하가 설정된 길이 만큼 인출된 후 분리되지는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출되는 구동축의 외주면에 디스크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디스크와 접촉되는 스토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frame 11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pair of bakku (91-94) driven by the engine (not shown) as shown in Figures 1 and 9 by the drive shaft (95, 96). The drive shafts 95 and 96 are preferably at least bisected and spline-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rive shafts 95 and 96 can be pulled in and out in the process of being drive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idth or valley width of the field to be harvested. Here, it is obvious that the spline-coupled drive shafts 95 and 96 should not be separated after being drawn out and drawn out by a set length. To this end, a disk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n drive shaft, and a stopper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의 길이 방향으로는 제1,2,3,4,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회전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동부에서 언급된 동력전달수단인 체인이 걸리는 스프로킷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각 구동부의 유압모터에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 rotation shafts rotated by an engine to transmit power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driving units may be installed. The sprockets hooking the chain, the mentioned power transmission means,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ydraulic pump driven by the engine for supplying hydraulic oil to the hydraulic motor of each drive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알 뿌리 채취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tion of the egg root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과 같은 알뿌리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크 부재(83)의 살(82) 사이의 간격이 채취하고자 하는 작물에 적당한 것으로 교환하거나 살(82)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줄기 제거수단의 칼날 유니트(23)의 높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승강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71)을 하강시켜 채취하고자 알뿌리의 묻힌 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깊은 위치에 포크부재(83)와 굴삭부재(74)가 위치되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이때에 상기 구동을 위한 바퀴들은 작물을 채취하고자하는 영역의 외측 즉, 골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collect the roots such as garlic, onions, potatoes, sweet potatoes, etc., the spacing between the flesh 82 of the fork member 83 is replaced with one suitable for the crop to be harvested or the spacing between the flesh 82 is adjusted.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lade unit 23 of the stem removing means and lowering the auxiliary frame 71 by using the lifting means 50 to collect the fork member at a position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buried roots ( 83) and the height of the excavation member 74 is adjus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s for driving may be located outside the region to be harvested, that is, the bone.

이 상태에서 알뿌리 채취장치(10)가 이동되면서 알뿌리를 채취하게 되는데, 알뿌리중의 하나인 마늘의 채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is state, the root extracting device 10 is moved while collecting the roots, which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llecting garlic, which is one of the roots.

먼저 상기 알뿌리 채취장치(10)는 소정의 속도로 이송되며, 상기 줄기 제거수단(20)의 회전축(22)의 단부에 설치된 칼날 유니트(23)의 칼날(23a)들에 의해 줄기가 절단된다. 이 때에 상기 칼날 유니트(23)의 칼날(23a)들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기가 다단으로 절단되는데, 상기 칼날 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줄기의 절단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다. First, the egg root collecting device 10 is transported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the stem is cut by the blades 23a of the blade unit 23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22 of the stem removing means 20. At this time, since the blades 23a of the blade unit 23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he stem is cut in multiple stages, and the cutting length of the stem from the groun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lade unit.

상기와 같이 칼날 유니트에 의해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절단이 완료되면 이의 후방에 위치되는 줄기 취출수단(30)에 의해 절단된 줄기가 외측으로 취출된다. 즉, 상기 제2구동부(36)에 의해 롤러(33)가 회전되면 이에 걸린 취출밸트(3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외주면에 설치된 취출날개(35)에 의해 절단된 줄기가 외측으외측 즉, 두럭 사이의 골 부위로 이송된다. When the cutting of the crop to be harvested by the blade uni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stem cut by the stem extracting means 30 positioned at the rear thereof is taken out. That is, when the roller 33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36, the extraction belt 34 caught therein rotates so that the stem cut by the extraction blade 35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outside the outside, that is, between the two. Is transferred to the bone area of the.

상기 줄기 취출수단이 서브프레임의 양측에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킷에 걸린 체인과, 이 체인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취출날개로 이루어진 경우 취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취출에 따른 영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줄기가 지면 측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stem take-out means is composed of a chain caught on the sprocket driven by the drive unit on both sides of the subframe, and a take-out wing installed in the chai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ake-out can be made more smoothly, the area according to the take-out Since the stem can be reduced, the ste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to the ground side.

상기와 같이 줄기 취출수단에 의해 줄기의 취출이 완료되면 박피수단(40)에 의해 두럭에 덮인 비닐을 벗겨 내게 된다. 상기 박피수단(40)에 의한 비닐의 제거는 상기 제3구동부(44)에 의해 롤러(41)(42)가 회전되고 이에 걸린 박피밸트(4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걸림돌기(43a)들에 의해 비닐이 걸리어 찢겨지면서 벗겨지게 되고, 이 벗겨진 비닐은 출구측에 설치되는 스크래퍼(45)에 의해 걸림돌기(43a)에 걸린 비닐이 제거된다. When the extraction of the stem is completed by the stem extract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vinyl covered by the peeling means 40 is peeled off. The removal of the vinyl by the peeling means 40 is performed by the third driving part 44 on the engaging protrusions 43a which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eling belt 43 which is rotated by the rollers 41 and 42. The vinyl is caught and torn off, and the peeled vinyl is removed by the scraper 45 provided on the outlet side.

상기와 같이 두럭에 덮인 비닐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경작수단(70)에 의해 작물인 마늘이 심긴 땅을 들뜨게 된다. 즉, 상기 굴삭부재(74)는 소정의 깊이로 땅에 박힌 상태에서 회동수단(75)에 의해 좌우로 회동됨과 아울러 바퀴(91-94)들에 의한 이송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므로 알뿌리인 마늘들이 들뜨게되고, 땅의 흙들이 잘게 부서지게 된다. 상기 회동수단(75)에 의한 굴삭부재(74)의 회동은 제4구동부(75f)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캠(75e)과 링크(75d)와 연결된 이송부재(75b)가 왕복이송됨으로써 이와 연장부(75a)에 의해 연결된 회동축(73)이 회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When the removal of the covered vinyl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 planted with garlic as a crop is lifted by the cultivation means 70. That is, the excavating member 74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means 75 in the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dvances by the transfer force by the wheels 91-94, so that the garlic that is the roots It will be lifted up, and the soil will be crushed finely. The rotation of the excavating member 74 by the rotating means 75 is extended by the eccentric cam 75e rotated by the fourth driving part 75f and the conveying member 75b connected to the link 75d by reciprocating. The rotation shaft 73 connected by 75a is rotated.

상기 경작수단(70)에 의해 땅이 들뜬 상태에서 상기 채취수단(80)에 의해 마늘이 채취된다. 즉, 마늘의 채취는 땅에 박힌 포크 부재(83)가 좌우로 진동하면서 이동됨으로써 알뿌리인 마늘을 걸러 내게 되고, 이 걸러진 마늘은 상기 포크부재(83)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채취된 마늘은 가이드 부재(85)에 마련된 이송수단(87)에 의해 슈트(86)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수단(87)에 의한 마늘의 이송은 회전부재(87c)에 설치된 이송편(87b)이 상기 장공(87a)으로부터 출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취되어 슈트(86)로 이송된 마늘은 회수되어 포장된다. Garlic is collected by the collecting means 80 in a state where the ground is excited by the tilling means 70. That is, the collection of garlic is filtered out of the root of the garlic by moving the ground fork member 83 is vibrated from side to side, the filtered garlic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rk member 83. The garlic collected in this way is transferred to the chute 86 by the transfer means 87 provided on the guide member 85. The conveying of garlic by the conveying means 87 may be performed by the conveying piece 87b installed on the rotating member 87c coming out of the long hole 87a. The garlic collected in this way and transferred to the chute 86 is recovered and packaged.

한편, 도 7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85)와 슈트(86)의 사이에 흙과 마늘을 분리하는 분리수단(10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흙과 마늘이 분리체(101)로 이동되는데, 상기 분리체(101)는 진동발생부(102)에 의해 진동되므로 강선들의 사이로 흙은 취출되고 강선에 지지된 마늘은 상기 이동부(101)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강선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이송부재(112)의 날개(112a)에 의해 슈트(86)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means 100 for separating the soil and garlic is installed between the guide member 85 and the chute 86 as shown in Figure 7 and Figure 7 the soil and garlic separator (101) Is moved to, the separation body 101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02, so the soil is taken out between the steel wires and the garlic supported on the steel wir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ving unit 101 and located between the steel wires It is supplied to the chute 86 by the wing 112a of the conveying member 1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 뿌리 채취 장치는 마늘, 양파, 고구마, 감자등의 작물을 줄기를 제거한 후 연속하여 채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알 뿌리의 채취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수확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gg root extracting device can harvest crops such as garlic, onion, sweet potato, potato, etc. after removing the stem, and thus can continuously harvest the roots of the egg roots, and greatly reduce the productivity of harvesting. Can increa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농산물의 알 뿌리 채취기의 일부절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excision of the root harvester of agricultural products,

도 2는 줄기 제거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tem removing means,

도 3은 줄기 제거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m removing means,

도 4는 줄기 취출수단과 박피수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m extraction means and the peeling means,

도 5은 경작수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lling means,

도 7은 채취수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lecting means,

도 8은 알뿌리 채취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ot extractor,

도 9는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driv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Claims (10)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작물의 줄기를 제거하는 줄기 제거수단과, A main frame, a stem re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to remove the stem of the crop; 줄기 제거수단의 후방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줄기제거수단에 의해 절단된 줄기를 취출하고,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줄기 취출수단과, A stem extracting mean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tem removing means so as to elevat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to take out the stem cut by the stem removing means, and the stem extracting means installed at the ele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상기 취출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작물이 매립된 땅을 들뜨게 하는 경작수단과;Arable mean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takeout means to lift the land in which the crops are embedded; 상기 경작수단에 의해 경작된 땅 속으로부터 알 뿌리를 채취하는 포크를 포함하는 채취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And a collecting means comprising a fork for collecting the egg root from the ground cultivated by the till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물 제거수단은 The crop removing means is 상기 메인프레임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칼날을 구비한 칼날 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Egg root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ade unit having a rotary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bearing portion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transport to the main frame, and at least one blad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ry shaf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취출수단은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롤러들과, 외주면에 취출돌기들이 형성된 벨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The take-out means includes a sub-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pair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b-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belt having ejec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main frame. And an elevating means installed on the frame to elevate the sub-fram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roll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취출수단의 후방에 상기 경작지의 비닐을 벗기기 위한 박피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Egg extra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eling means for peeling off the vinyl of the arable land further behind the extraction means.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박피수단은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롤러들과, 외주면에 취출돌기들이 형성된 밸트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롤러들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The peeling means may include a sub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pair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subframe, a belt having ejec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rame And an elevating means installed in the elevating sub-fram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roll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작수단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굴삭부재와, 상기 굴삭부재의 회동축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The tilling means may include an auxiliary fram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by an elevating means, an excavating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pivoting shaft installed in the auxiliary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ivoting shaft of the excavating member. Egg root extract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at an angl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각 연장부와 힌지 연결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왕복 이송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The pivot means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a transfer member hinged to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n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transfer member.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채취수단은 상기 경작수단에 의해 들뜬 땅을 내부로 소정깊이 삽입되며 채취하는 알뿌리의 걸러낼 수 있는 살을 가지는 포크와, 상기 포크의 살을 타고 이동되는 알뿌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인접되게 설치되는 슈트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어 채취된 마늘을 슈트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포크를 좌우로 진동시켜 들뜬 흙으로부터 알 뿌리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The collecting means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root of the fork and the fork to move through the flesh of the fork,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excreted by the cultivating means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A chute which is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a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collected garlic to the chute, and vibration means for smoothly taking out the root of the egg from the excited soil by vibrating the fork from side to side. Egg root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이드 부재와 쉬트의 사이에 마늘과 흙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 뿌리 채취장치. Egg root extra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garlic and soil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sheet.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분리수단은 가이드 부재와 슈트의 설치되는 분리체와, 상기 분리체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분리체에 의해 흙과 분리된 알뿌리를 슈트로 넘기는 알뿌리 이동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채취장치.The sepa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member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and a chute, a vibration generating part installed in the separating body to generate a vibration, and an rooting moving part for passing over the roots separated from the soil by the separating body to the chute. Egg roo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46356A 2004-06-22 2004-06-22 harvest apparatus of bulb KR100562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56A KR100562562B1 (en) 2004-06-22 2004-06-22 harvest apparatus of bul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56A KR100562562B1 (en) 2004-06-22 2004-06-22 harvest apparatus of bul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86A true KR20050121286A (en) 2005-12-27
KR100562562B1 KR100562562B1 (en) 2006-03-22

Family

ID=3729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356A KR100562562B1 (en) 2004-06-22 2004-06-22 harvest apparatus of bul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5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934A (en) * 2020-10-26 2022-05-03 김기현 a vibration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94B1 (en) 2014-01-17 2016-04-04 이권재 harvest apparatus of bulb
KR101893057B1 (en) * 2017-05-23 2018-08-30 이권재 Root crops harvesting device
CN108575255A (en) * 2018-04-02 2018-09-28 昆明理工大学 A kind of greenhouse rail mounted rhizome Chinese medicinal crop harvester
KR102022832B1 (en) 2019-05-21 2019-09-18 이시환 Functional crop stem cut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934A (en) * 2020-10-26 2022-05-03 김기현 a vibration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562B1 (en)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3B1 (en) Tractor attached root-harvester for crops
KR20160025861A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KR20200079615A (en) a self-propelled pull out type garlic harvester
KR100835667B1 (en) Underground crop harvesting apparatus
US5588494A (en) Crop inve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562562B1 (en) harvest apparatus of bulb
US4921050A (en) Plant extractor and cultivating apparatus
KR20170055732A (en) A Bulb crops harvester
KR20180072141A (en) A Bulb crops harvester
KR100835669B1 (en) Underground crop bundle harvesting apparatus
WO2019231340A1 (en) An agricultural implement
CN212487304U (en) Taro harvester
KR100464958B1 (en) Pulling type carrot harvester
EP1951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pping vegetables
JP6750965B2 (en) Foliage processing machine
JP3863898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JP3076781B2 (en) Harvester
KR102638831B1 (en) eleocharis harvest
JP3822749B2 (en) Harvester
GB2479059A (en) Method and machine for lifting a material layer from above a crop
KR101938782B1 (en) Underground crop harvester
JP3863897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JP3863900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JPH11253060A (en) Transplanter
JPS581128Y2 (en)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