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561A - 포고 핀 - Google Patents

포고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561A
KR20050120561A KR1020040083915A KR20040083915A KR20050120561A KR 20050120561 A KR20050120561 A KR 20050120561A KR 1020040083915 A KR1020040083915 A KR 1020040083915A KR 20040083915 A KR20040083915 A KR 20040083915A KR 20050120561 A KR20050120561 A KR 20050120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pogo pin
support
insertion rod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370B1 (ko
Inventor
추종철
Original Assignee
추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종철 filed Critical 추종철
Priority to KR102004008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70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포고 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 지지관(11), 내부가 비어 있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지지관(14),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 (14)의 내부에 각기 장착되어 일단부가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의 폐쇄된 제 2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스프링(13, 16),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각 제 1 지지관(11)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삽입봉(12),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각 제 2 지지관(1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스프링(16)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봉(15) 및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14)의 외주를 감싸고,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을 고정 지지하는 커버부(17)를 포함하고,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14)이 상호 번갈아가며 인접 배치되고, 제 2 지지관(14)의 제 1 단부가, 제 1 지지관(11)의 제 2 단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고 핀{POGO PIN}
본 발명은 포고 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복수의 지지관과 지지관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복수의 삽입봉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각 지지관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횡방향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포고 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탄성력을 필요로 하는 기구 또는 장치에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탄성부재는 그 형태에 따라 탄성력이 제한됨으로 인해 사용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탄성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탄성부재는 대체로 탄성력을 높일 경우 탄성부재의 크기(길이, 폭)이 증가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공간 또는 좁은 공간에 높은 탄성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선택 및 사용에 곤란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높일 경우 수축 및 이완시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안정적이지 못하여 장치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수축 및 이완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포고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탄성력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포고 핀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 지지관(11),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지지관(14),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14)의 내부에 각기 장착되어 일단부가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의 폐쇄된 제 2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스프링(13, 16),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각 제 1 지지관(11)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삽입봉(12),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각 제 2 지지관(1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스프링(16)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봉(15) 및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14)의 외주를 감싸고, 각 제 1 지지관 및 각 제 2 지지관을 고정 지지하는 커버부(17)를 포함하고, 각 제 1 지지관(11) 및 각 제 2 지지관(14)이 상호 번갈아가며 인접 배치되고, 제 2 지지관(14)의 제 1 단부가, 제 1 지지관(11)의 제 2 단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포고 핀이 각 제 1 삽입봉(12)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착되는 제 1 켑부(18) 및 각 제 2 삽입봉(15)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착되는 제 2 캡부(19)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고 핀이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을 각기 2개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을 나타낸 도로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pogo pin, 10)은, 내부에 스프링(13, 16)이 장착된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 각 지지관의 개방된 일단으로 각기 삽입 장착되어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삽입봉(12) 및 제 2 삽입봉(15), 그리고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의 외주를 감싸서 고정 지지하는 커버부(17)를 포함한다.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은 내부가 관통 형성된 통 형상의 구성부로서, 제 1 단부는 개방 형성되고 나머지 제 2 단부는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지지관(11)과 제 2 지지관(14)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제 1 지지관(11)의 제 1 단부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제 2 지지관 (14)의 제 2 단부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 1 지지관(11)과 제 2 지지관(14)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관끼리 인접하여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포고 핀을 안정적이고 균형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은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을 2개씩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의 내부에는 스프링(13, 16)이 각기 장착되며, 스프링의 일단은 지지관의 폐쇄된 제 2 단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제 1 삽입봉(12) 및 제 2 삽입봉(15)은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각기 삽입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각 삽입봉의 직경은 각 지지관의 직경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하도록 한다. 각 지지관(11, 1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삽입된 각 삽입봉(12, 15)의 단부는 스프링(13, 16)에 의해 각기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각 삽입봉이 지지관을 따라 횡방향으로 탄성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 삽입봉의 움직임에 따라 포고 핀(10)의 전체 길이가 횡방향으로 조절되게 된다.
한편, 각 삽입봉(12, 15)이 각 지지관(11, 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지지관에 삽입된 각 삽입봉의 일단부로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각 지지관의 제 1 단부로는 걸림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을 각기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17)는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각 지지관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의 인접 부위의 외주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고정함으로써, 각 지지관(11, 14)이 삽입봉(12, 15)의 움직임으로 인해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10) 전체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은 각 삽입봉(12, 15)의 노출된 나머지 일단부에 장착되는 캡부(18, 19)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캡부(18, 19)는 포고 핀(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구성부로서, 인접한 삽입봉을 서로 고정시켜 동일 방향의 삽입봉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다. 즉, 제 1 캡부(18)는 상호 인접한 각 제 1 삽입봉(12)의 단부를 함께 잡아주게 되므로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각 제 1 삽입봉이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캡부(19)는 각 제 2 삽입봉(15)의 단부를 함께 잡아주어 외력에 의해 각 제 2 삽입봉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제 1 캡부(18) 및 제 2 캡부(19)에 서로 반대방향의 힘, 즉 서로 마주보는 힘이 외부에서 가해지면 각각의 제 1 삽입봉(12) 및 제 2 삽입봉(15)은 제 1 지지관(11) 및 제 2 지지관(14)을 따라 각 지지관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각 삽입봉의 삽입된 일단과 각 지지관 내부의 스프링(13, 16)이 밀착한 상태이므로 스프링은 삽입봉이 삽입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1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후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3, 16)의 복원력에 의해 각 삽입봉(12, 15)을 외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각 삽입봉은 지지관을 따라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10)의 길이가 원래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된다. 한편, 삽입봉과 지지관의 결착 부위에는 각기 걸림돌기 및 걸림턱이 구비되므로, 삽입봉이 지지관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로서,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20)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3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3 변형례(40)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4 변형례(50)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12)과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 (15)의 갯수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20)는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12)과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을 각기 하나씩 구비하고, 도 3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30)는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 (12)을 각기 2개 구비하고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은 하나 구비한다.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30)의 경우 이와 대칭적인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12)을 하나 구비하고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을 2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3 변형례(40)는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12)을 3개 구비하고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을 2개씩 구비하며, 도 5 에 도시한 포고 핀의 제 4 변형례(50)는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 (12)과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을 각기 3개씩 구비한다. 포고 핀의 제 3 변형례(40) 역시 도 4 와 대칭적인 구조, 즉 제 1 지지관(11) 및 제 1 삽입봉 (12)을 2개 구비하고 제 2 지지관(14) 및 제 2 삽입봉(15)을 각기 3개씩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한 포고 핀의 각 변형례는 지지관(11, 14) 및 삽입봉 (12, 15)의 갯수를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포고 핀의 탄성력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은 탄성력을 갖는 경우에도 포고 핀의 탄성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사용 용도 또는 필요한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포고 핀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한 포고 핀의 변형례의 각 구성부는 상기 도 1 에 도시한 포고 핀(10)의 각 구성부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각 구성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한 포고 핀의 변형례 이외에도 지지관(11, 14) 및 삽입봉(12, 15)의 갯수와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사용 실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포고 핀을 핸드폰의 슬라이드 기구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핸드폰 슬라이드 기구는 슬라이딩 핸드폰의 수화부와 통화부 사이에 설치되어, 수화부를 위 아래로 움직여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핸드폰 슬라이드 기구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보이스(Voice) 입력부를 구비하는 통화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더(60)와 액정화면이 설치된 보이스 출력부를 구비하는 수화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슬라이더(70)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의 좌우 양 측면으로는 레일 샤프트(62)가 설치되어, 상부 슬라이더(70)가 하부 슬라이더에 결착한 상태에서 상하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은 하부 슬라이더(60)와 상부 슬라이더(70)에 양단부의 캡부(18, 19)가 결착됨으로써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60)와 상부 슬라이더(70)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는 포고 핀(10)의 양 캡부(18, 19)가 결착할 수 있도록 고정홈(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슬라이더는 상면의 일측면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부 슬라이더는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이 구비된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 즉 저면의 일측면에 고정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홈에 결착된 포고 핀(10)의 캡부(18, 19)가 각기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홈과 캡부의 결착부위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고 핀(10)은 상부 슬라이더(70)를 완전히 아래로 내린 상태(슬라이드 휴대폰을 닫은 상태) 또는 상부 슬라이더를 완전히 위로 올린 상태(슬라이드 휴대폰을 연 상태)에서 탄성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포고 핀의 스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하에서는, '정상 상태'라 한다.)가 되도록,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포고 핀(10)의 정상 상태의 길이가 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핸드폰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사용자가 수화부가 내려진 상태, 즉 슬라이딩 휴대폰이 닫혀진 상태에서 수화부를 위로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70)가 수화부에 이끌려 레일 샤프트(62)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더(60)의 고정홈에 결착된 포고 핀(10)의 제 1 캡부(18)는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부 슬라이더(70)의 고정홈에 결착된 제 2 캡부(19) 역시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부 슬라이더에 의해 이끌려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10)를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는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상태, 즉 포고 핀의 정상 상태의 길이와 같은 거리를 갖게 된다. 반면, 상부 슬라이더를 위로 올릴수록 양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10)의 양 캡부(18, 19)를 미는 외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 삽입봉(12, 15)이 지지관(11, 14)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 스프링(13, 16)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프링의 탄성력만큼 수화기를 올리는데 저항력을 받게 되므로, 상부 슬라이더(70)가 갑자기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70)와 하부 슬라이더(60)의 고정홈 사이의 거리는 중간 지점, 즉 양 고정홈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가장 짧으며, 이때 스프링(13, 16)이 최대로 압축되게 된다.
그러나, 상부 슬라이더(70)가 상기 중간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양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므로, 포고 핀(10)의 양 캡부(18, 19)에 가해졌던 외력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지지관(11, 14) 내에 삽입되었던 삽입봉(12, 15)는 스프링(13, 16)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서 나오게 되므로 포고 핀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70)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면 스프링 (13, 16)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 핀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부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부 슬라이더를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70)를 완전히 위로 올린 후에는, 포고 핀(10)의 걸림돌기와 걸림턱으로 인해 삽입봉(12, 15)이 지지관(11, 14)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더 이상 위로 올려지지 않게 되어 상부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삽입봉(12, 15)의 노출된 상태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화부를 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화부를 닫기 위해 사용자가 수화부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부 슬라이더(70)가 아래로 움직임으로 인해 제 2 캡(19)이 고정홈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삽입봉(12, 15)이 지지관(11, 14)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포고 핀(10)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즉, 스프링(13, 16)이 압축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70)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스프링(13, 16)의 복원력에 의해 삽입봉(12, 15)이 밀려 나오게 되고, 포고 핀(10)이 점차 길어지면서 상부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포고 핀으로 인해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의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10)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탄성력을 갖는 부재가 필요한 기구/장치에 별도의 제한없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상호 대향하는 외력을 통해 양 방향에서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부드럽게 횡방향의 탄성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길이의 포고 핀에 대하여 탄성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첫째로, 폭이 좁거나 같은 폭을 갖는 공간에서도 더 멀리 밀어올릴 수 있으므로 동작 스트로크(stroke)를 길게 할 수 있고,
둘째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관이 교대로 배치되므로 양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균형있게 스프링에 가할 수 있어, 포고 핀의 수축 및 이완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로, 지지관의 외주면을 커버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므로 포고 핀의 탄성 운동시 지지관이 이탈하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로, 양 단부의 캡부를 이용하여 동일 방향의 복수의 삽입봉을 함께 잡아주므로, 동일 방향의 삽입봉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섯째로, 핸드폰 슬라이드 기구에 적용할 경우 상부 슬라이더가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핸드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지지관 및 삽입봉의 수를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으므로, 탄성력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 가능할 수 있으므로, 탄성력이 있는 부재가 사용되는 다양한 기구/장치에 별다른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을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1 변형례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2 변형례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3 변형례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제 4 변형례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사용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20, 30, 40, 50 : 포고 핀
11 : 제 1 지지관 12 : 제 1 삽입봉
13, 16 : 스프링 14 : 제 2 지지관
15 : 제 2 삽입봉 17 : 커버부

Claims (3)

  1. 탄성력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포고 핀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 지지관(11);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개방되고 제 2 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지지관(14);
    상기 각 제 1 지지관(11) 및 상기 각 제 2 지지관(14)의 내부에 각기 장착되어 일단부가 상기 각 제 1 지지관 및 상기 각 제 2 지지관의 폐쇄된 제 2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스프링(13, 16);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제 1 지지관(11)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삽입봉(12);
    길쭉한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제 2 지지관(14)의 개방된 제 1 단부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16)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봉(15); 및
    상기 각 제 1 지지관(11) 및 상기 각 제 2 지지관(14)의 외주를 감싸고, 상기 각 제 1 지지관 및 상기 각 제 2 지지관을 고정 지지하는 커버부(17)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지지관(11) 및 상기 각 제 2 지지관(14)이 상호 번갈아가며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관(14)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지지관(11)의 제 2 단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이,
    상기 각 제 1 삽입봉(12)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착되는 제 1 켑부(18); 및
    상기 각 제 2 삽입봉(15)의 노출된 제 2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착되는 제 2 캡부(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 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이,
    상기 제 1 지지관(11) 및 상기 제 2 지지관(14)을 각기 2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 핀.
KR1020040083915A 2004-10-20 2004-10-20 포고 핀 KR10094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15A KR100946370B1 (ko) 2004-10-20 2004-10-20 포고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15A KR100946370B1 (ko) 2004-10-20 2004-10-20 포고 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208U Division KR200362198Y1 (ko) 2004-06-18 2004-06-18 포고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561A true KR20050120561A (ko) 2005-12-22
KR100946370B1 KR100946370B1 (ko) 2010-03-18

Family

ID=3729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15A KR100946370B1 (ko) 2004-10-20 2004-10-20 포고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58A2 (ko) * 2008-05-30 2009-12-03 Choo Jong Chul 슬라이드식 휴대폰용 탄성구조체
KR101106501B1 (ko) * 2009-10-12 2012-01-20 (주)아이윈 활주형 포고 핀 및 무삽입력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942Y1 (ko) 2003-10-18 2004-01-16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558A2 (ko) * 2008-05-30 2009-12-03 Choo Jong Chul 슬라이드식 휴대폰용 탄성구조체
WO2009145558A3 (ko) * 2008-05-30 2010-02-25 Choo Jong Chul 슬라이드식 휴대폰용 탄성구조체
KR101106501B1 (ko) * 2009-10-12 2012-01-20 (주)아이윈 활주형 포고 핀 및 무삽입력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370B1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1596B2 (ja) 携帯電話の開閉に対する摺動機構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362198Y1 (ko) 포고 핀
KR200437430Y1 (ko) 슬라이딩 휴대폰용 탄성장치
KR100946370B1 (ko) 포고 핀
KR100946369B1 (ko)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100921532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875851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90112550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12626B1 (ko)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KR100865671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726832B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핀
KR20070058733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60074862A (ko)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100956301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03347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200411611Y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KR200410324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51751B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200408307Y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핀
WO2009028882A2 (en)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100970471B1 (ko) 스윙 힌지모듈
KR100711560B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 및 이를 장착한 휴대폰 슬라이더
KR102369302B1 (ko) 압축 타입 힌지 스프링
KR200412902Y1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 및 이를 장착한 휴대폰 슬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