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136A -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 Google Patents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136A
KR20050120136A KR1020040045371A KR20040045371A KR20050120136A KR 20050120136 A KR20050120136 A KR 20050120136A KR 1020040045371 A KR1020040045371 A KR 1020040045371A KR 20040045371 A KR20040045371 A KR 20040045371A KR 20050120136 A KR20050120136 A KR 2005012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retard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쳉요-청
시에치아-린
Original Assignee
옵티맥스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맥스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옵티맥스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004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136A/ko
Publication of KR2005012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에 있어서,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이 칼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에 배치되고,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이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배치된다. 싱기 편광막의 편광도가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고, 그 상응하는 투과율이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고투과율 편광막은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방출하는 광의 필요한 편광효과를 얻는데 사용되고,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당초의 경제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은 상기 편광막에 의해 일부분 흡수되고; 그리고 상기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의 위상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외부 간섭광은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이 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또 다시 변형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간섭광을 개선하도록 상기 편광막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Description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LIGHT-POLARIZING FILM WITH HIGH PERMEABILITY FOR IMPROVING AN INTERFERENCE LIGHT OF A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컬러(color) 오엘이디(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섭광을 흡수 및 반사함으로써 필요한 편광효과를 얻고, 컬러 오엘이디가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컬러 오엘이디가 당초의 경제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투과율 편광막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이 구비된 종래의 티브이(TV) 화면에서 높은 컬러 밀도의 현행 TFT 패널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품질과 수량이 첨단 기술분야에서 증가할 뿐만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시장에서 더욱 기대되고 요구된다. 최근에, 국내의 많은 유명 회사들은 그들의 목표를 변경하여 양질의 차세대 패널 디스플레이에서 응용할,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이하, "OLED"라 칭함)와 폴리머 발광 다이오드(polymer light emitting diode: PLED)를 개발하여왔다.
상기 OLED의 구조 및 발광원리는 발광다이오드의 구조 및 발광원리와 유사하고, 상기 OLED는 자기발광, 경량 및 소형, 단순한 구조, 낮은 구동전압, 넓은 시야각 등과 같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자기발광의 장점은 상기 OLED가 백라이트 모듈 대신하여 단독으로 발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경량 및 소형의 장점은 상기 OLED의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상기 OLED의 두께가 1.5㎜ 미만이라는 것이다. 상기 단순한 구조의 장점은 상기 OLED의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상기 OLED의 수명이 길다는 것이다. 상기 낮은 구동전압의 장점은 상기 낮은 작동 전압이 10V 미만이고, 일반적으로 상기 낮은 작동 전압은 전력을 절감하도록 상기 OLED를 구동하기 위한 5V의 미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상기 넓은 시야각의 장점은 상기 넓은 시야각이 상하 좌우 160도를 초과한다는 것이다. 상기 OLED는 양호한 화질을 얻도록 양호한 조도, 높은 휘도 및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의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OLED는 빠른 응답속도가 10㎲ 미만이거나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단지 1㎲ 미만에 불과하다. 상기 OLED는 폭넓게 응용하도록 RGB 형광물질 또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풀(full) 컬러의 목표를 달성한다. 상기 OLED는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현하도록 플라스틱(plastic) 기판을 사용하여 연성의 장점을 얻는다. 상기 OLED의 온도는 -40℃에서 60℃까지의 넓은 범위 내에서 있을 수 있다.
상기 컬러 OLED는 자기발광원이다. 외부 광원이 광을 하부 알루미늄판으로 방출한 후에는 패널 상에 뚜렷한 반사 영상(image)이 존재하고, 이로써, 입사광을 필터링하고, 상기 입사광을 편광막을 통과하는 일부분의 광과, 흡수, 반사 및 산란에 의해 차단하는 나머지 광으로 분리하기 위한 편광막(또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편광막의 투과율 및 편광도는 현행 편광막의 투과율 및 편광도보다 낮아서 종래의 편광막을 구비한 OLED의 조도 및 콘트라스트는 낮다. 예를 들면, 대만국 특허번호 500931호는 편광막이 35%보다 큰 투과율과 90%보다 큰 편광도를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번호 59-159109호는 또한 편광막이 30%보다 큰 투과율을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투과율이 낮고, 이로 인하여 상기 OLED의 조도가 충분하지 못하다. 상기 조도와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OLED의 전력을 증가시켜야만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OLED의 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OLED의 수명은 단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OLED의 조도와 수명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조도를 0.6(600㏅/㎠) 이내에서 제어하면, 조도는 상기 OLED의 경제적인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조도를 1(1000㏅/㎠)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조도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게 될 것이고, 경제적인 수명은 기껏해야 2500시간이다. 덧붙여, 미국 특허번호 6356376 및 미국 특허번호 6512624호는 또한 여러 분야에 폭넓게 응용되는 것을 보여주도록 하기 위해 백미러에 외부 광원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편광막이 응용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OLED에 효과적으로 응용되는 편광막에 관한 상세한 연구가 없다. 반짝임(glisten)과 반사광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편광막에 대한 설명 또한 없다. 상기 OLED가 상기 반짝임과 반사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면, 상기 OLED는 추가적인 안경(goggle)이 구비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투과율 편광막에 대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 OLED가 고콘트라스트와 고휘도를 얻기 위해 고투과율 편광막과 위상 지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이 상기 칼라 OLED 상에 배치되고,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이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막의 편광도가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고, 그 상응하는 투과율이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고투과율 편광막이 상기 컬러 OLED 자체의 방출하는 광의 필요한 편광효과를 얻는데 사용되고, 상기 컬러 OLED는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상기 컬러 OLED는 당초의 경제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은 상기 편광막에 의해 일부 흡수되고, 상기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의 위상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외부 간섭광은 상기 컬러 OLED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이 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또 다시 변형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간섭광을 개선하도록 상기 편광막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할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용이하게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광학적 경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20)이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0) 상에 배치되고,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30)이 위상 지연판(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OLED는 알루미늄 음극층(11), 발광(EL)층(12) 및 인듐틴옥사이드(ITO)층(13)을 포함한다. 상기 OLED 자체에 의해 생성된 광은 위상 지연판(20)과 편광막(30)을 통과할 수 있고,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된다. 하지만, 외부 광은 먼저 고투과율 편광막(30)을 통과한다. 편광막(30)은 편면 또는 양면 부착한, 편광 부재(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의 보호막(트리아세틸-셀룰로스: TAC)으로 구성된다. 편광막(30)은 또한 적층형 위상 지연판으로 구성된다. 편광막(30)의 편광도는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고, 그 상응하는 투과율은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다. 상기 외부 광은 편광막(30)에 의해 흡수되어 굴절되고, 그 다음에 외부 광의 투과 가능한 부분의 위상은 위상 지연판(20)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위상 지연판(20)은 1/2λ또는 1/4λ의 단층 또는 서로 적층된 다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막(30)의 편광도는 70%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고, 편광막(30)의 투과율은 50%와 55% 사이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은 컬러 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20)을 컬러 OLED(10) 상에 배치하고, 그 다음에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30)을 위상 지연판(20) 상에 배치한다. 컬러 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외부 광이 먼저 편광막(30)을 통과하고, 광 벡터 분포로 처리될 때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는 상기 편광막(30)의 편광도와,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는 그 상응하는 투과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외부 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입사각을 편광효과에 의해 변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위상을 위상 지연판(20)에 의해 첫 번째로 변형하고, 그 다음에 간섭광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을 컬러 OLED(10)으로 입사하여 반사를 일으키는 단계;
(C). 상기 간섭광이 반사된 후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위상을 위상 지연판(20)에 의해 두 번째로 변형하고, 그 다음에 상기 간섭광을 편광막(30)으로 입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간섭광이 광 벡터 분포에 의해 처리된 후 편광막(30)을 사용하여 상기 간섭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상기 간섭광의 나머지 부분의 입사각을 편광효과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상기 외부 광에 의해 반사되는 간섭광을 감소시키고, 상기 OLED 자체의 방출하는 광과 상기 간섭광 사이의 보간(interlacing) 또는 중첩(overlapping)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에 화질을 개선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단계.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짝임, 반사 및 정전기를 방지하는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추가적인 기능 막(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40)은 편광막(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40)이 구비된 OLED(10)의 반사광은 반짝임과 반사를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뚜렷하게 감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광막(30)과 위상 지연판(20) 사이에 부착되는 추가적인 투명막(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투명막(50)은 광의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OLED(10)의 패널의 휘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차이점을 기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비교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상이한 편광막들의 투과율과 편광도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편광도는 주위의 입사광과, 편광막의 투과광 사이의 광 편광도로 정의된다. OLED(10)에는 No.1-No.9의 상이한 투과율의 편광막(30)이 구비되고, 투과율과 편광도의 상관관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투과율이 증가함에 따라 편광도는 점차 감소한다. 고휘도와 고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하여, 투과율과 편광도는 균형을 이루어야만 한다. 종래에는, 투과율이 약 30%로 설정되고, 그 상응하는 편광도가 90%보다 높다. 편광도가 더욱 양호하다고 할지라도, 너무 낮은 투과율은 충분한 조도가 없는 OLED(10)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편광도는 70%~80%의 범위로 설정하고, 그 상응하는 투과율은 50%~55%의 범위로 설정한다. 상기 범위는 No.7과 No.8의 편광막(30)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편광막이 구비된 OLED의 외부 광의 잔존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컬러의 광이 상기한 9개의 편광막(30)에 배치하고, 상기 OLED의 외부 광의 잔존율을 포토 리서치(PR-650)에 의해 측정한다. 여기서, No.0은 편광막이 구비되지 않은 OLED이고, No.7과 No.8은 본 발명의 편광막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1 내지 No.6 편광막의 외부 광의 잔존율은 OLED(10)에 실제적으로 응용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많이 변화한다. No.9 편광막에 따르면, 상기 편광도가 다른 편광막의 편광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외부 광의 잔존율은 약간 증가한다. 본 발명(No.7 및 No.8)의 외부 광의 잔존율은 편광막이 없는 OLED 또는 다른 편광막을 배치하는 OLED의 외부 광의 잔존율보다도 낮다. 특히, 적색 광의 파장(약 670nm)이 타색 광들보다 길고, 적색 광의 투과율이 타색 광들보다 낮고, 적색 광의 반사율이 타색 광들보다 높기 때문에 적색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명백하다. 적색 광원을 사용하는 광학적 분석도를 읽는 것이 명백하다. 이로써 대부분의 실험의 테스트 데이터는 지수(index)를 위한 적색 광원을 사용한다. 상기 테스트 데이터는 간섭광의 대부분이 편광막(30)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추가적인 기능 막이 구비된 편광막의 반사율의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이 없는 편광막(30)의 반사율이 기타 편광막들의 반사율보다 높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편광막(30)에 반짝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추가적인 기능 막(40)이 구비되면,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40)은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40)이 반사 방지 공정을 사용하여 반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면, 상기 추가적인 기능 막(40)은 각 파장의 반사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특히, 약 500㎚와 600㎚ 사이에 있는 파장 범위에 따르면, 상기 반사율은 추가적인 기능 막이 없는 편광막(30)의 반사율보다 훨씬 낮다. 파장 범위는 육안의 가시광의 파장 범위(400~700㎚)에 정확히 상응한다. 따라서, 반짝임과 반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추가적인 기능 막(40)이 구비된 편광막(30)은 실제적으로 OLED에 응용될 수 있고, 편광막(30)의 반사율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추가적인 투명막이 구비된 편광막의 전체 반사율의 분포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편광막, 위상 지연판 및 추가적인 투명막이 없는 OLED의 각 파장의 반사율이 가장 높다. 상기 OLED에 편광막(30)이 구비되면, 상기 OLED는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상기 OLED에 위상 지연판(20) 또는 추가적인 투명막(50)이 더 구비되면, 위상 지연판(20) 또는 추가적인 투명막(50)이 구비된 OLED의 외부 광의 반사율은 위상 지연판(20) 또는 추가적인 투명막(50)이 구비되지 않은 OLED의 외부 광의 반사율보다 뚜렷하게 낮다. 더욱이, 상기 파장 범위는 가시광의 파장 범위에 정확하게 상응한다. 따라서, 위상 지연판(20) 또는 추가적인 투명막(50)은 광의 효과적인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광막(30)을 사용하여 컬러 OLED 자체의 방출하는 광의 필요한 편광효과를 얻고, 본 발명은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은 당초의 경제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이 편광막(30)에 의해 일부 흡수되고, 상기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의 위상이 위상 지연판(20)에 의해 변형된다. 그 다음에, 상기 외부의 간섭광은 상기 OLED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이 되고, 상기 반사광은 또 다시 위상 지연판(20)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반사광은 간섭광을 개선하도록 편광막(30)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편광막에는 반짝임과 반사광을 방지하는 기능을 얻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 막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이,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과 지식이 아직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은 비자명성을 얻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선택된 투과율 46% 내지 80%는 종래 기술에 의해 선택된 투과율 30%와 명백하게 상이하고, 이로써 본 발명은 특허될 수 있는 발명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가능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
도 2는 광학적 경로와, 편광막이 구비된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
도 5는 상이한 편광막들의 투과율과 편광도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편광막이 구비된 오엘이디(OLED)의 외부 광의 잔존율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추가적인 기능 막이 구비된 편광막의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추가적인 투명막(bright film)이 구비된 편광막의 전체 반사율 분포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오엘이디(OLED)의 조도 및 수명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Claims (9)

  1.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에 있어서,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이 칼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에 배치되고,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이 위상 지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막의 편광도가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고, 그 상응하는 투과율이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기 고투과율 편광막이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방출하는 광의 필요한 편광효과를 얻는데 사용되고,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당초의 경제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고,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은 상기 편광막에 의해 일부분 흡수되고, 상기 입사하는 외부 간섭광의 위상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외부 간섭광은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이 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또 다시 변형되고, 상기 반사광은 상기 간섭광을 개선하도록 상기 편광막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편광도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70%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의 투과율은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50%와 55%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적층형 위상 지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편면 또는 양면 부착한, 편광 부재(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의 보호막(트리아세틸-셀룰로스: TA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에는 반짝임, 반사 및 정전기를 방지하는 제조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추가적인 기능 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에는 광 효율을 증가하도록 추가적인 투명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1/2λ또는 1/4λ의 단층 또는 서로 적층된 다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고투과율 편광막.
  9.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광 위상을 변형하기 위한 위상 지연판을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상에 배치하고, 그 다음에 투사광을 흡수하기 위한 편광막을 상기 위상 지연판 상에 배치하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A). 외부 광이 먼저 상기 편광막을 통과하고, 광 벡터 분포로 처리될 때 15%와 93% 사이의 범위에 있는 상기 편광막의 편광도와, 46%와 80% 사이의 범위에 있는 그 상응하는 투과율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입사각을 편광효과에 의해 변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위상을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첫 번째로 변형하고, 그 다음에 상기 간섭광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입사하여 반사를 일으키는 단계;
    (C). 상기 간섭광이 반사된 후 상기 외부 광의 나머지 부분의 위상을 상기 위상 지연판에 의해 두 번째로 변형하고, 그 다음에 상기 간섭광을 상기 편광막으로 입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간섭광이 광 벡터 분포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편광막을 사용하여 상기 간섭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상기 간섭광의 나머지 부분의 입사각을 편광효과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상기 외부 광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간섭광을 감소시키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방출하는 광과 상기 간섭광 사이의 보간 또는 중첩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에 화질을 개선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단계.
KR1020040045371A 2004-06-18 2004-06-18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KR20050120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371A KR20050120136A (ko) 2004-06-18 2004-06-18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371A KR20050120136A (ko) 2004-06-18 2004-06-18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36A true KR20050120136A (ko) 2005-12-22

Family

ID=3729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371A KR20050120136A (ko) 2004-06-18 2004-06-18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01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26B1 (ko) * 2008-07-08 2009-11-10 주식회사 엘엠에스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1686970B2 (en) 2020-07-08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26B1 (ko) * 2008-07-08 2009-11-10 주식회사 엘엠에스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0005230A2 (ko) * 2008-07-08 2010-01-14 주식회사 엘엠에스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0005230A3 (ko) * 2008-07-08 2010-04-22 주식회사 엘엠에스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1686970B2 (en) 2020-07-08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2030B2 (ja) 表示装置
US9588264B2 (en)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US8149353B2 (en) Visual display unit illumination
JP4218941B2 (ja) 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370130A1 (en) Light-emitting modules and lighting modules
JP2007165276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03161816A (ja)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2004004417A (ja)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064669A (ko) 투명 액정표시소자
JP2003332068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9073921B (zh) 开关式反射镜面板、及开关式反射镜器件
KR102559220B1 (ko) 화상 표시 장치
JP4954911B2 (ja) 表示装置
JP6059830B1 (ja) 画像表示装置
US6833889B2 (en)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fle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30037601A (ko)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JP6059831B1 (ja) 画像表示装置
KR20050120136A (ko)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KR10188843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454179B2 (en) Video image appreciation system
JP6600612B2 (ja) 画像表示装置
Lee et al. High efficiency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using selective spectral photo-recycling
US20050280358A1 (en) Light-polarizing film with high permeability for improving an interference light of a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109307960B (zh) 透明液晶显示面板
TW594067B (en) High transmittance polarization film for improving OLED interfering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