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399A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399A
KR20050119399A KR1020040044479A KR20040044479A KR20050119399A KR 20050119399 A KR20050119399 A KR 20050119399A KR 1020040044479 A KR1020040044479 A KR 1020040044479A KR 20040044479 A KR20040044479 A KR 20040044479A KR 20050119399 A KR20050119399 A KR 2005011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ea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4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399A/ko
Publication of KR2005011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에 베벨기어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폐하도록 하며, 특히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 및 촬영 관찰 각도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폴더부와 본체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그의 축 상에서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제1베벨기어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및 상기 축 상에서의 좌우 직선 이동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제1베벨기어에 수직으로 교차되어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를 구비하며, 타단은 상기 폴더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스퍼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벨기어를 상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및 비치합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상기 기어바에 대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Semi-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에 베벨기어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폐하도록 하며, 특히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 및 촬영 관찰 각도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영역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산업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인 도약에 힙입어 음성뿐만 아니라 화상까지도 통신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혹은 외장하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또한 카메라 촬영을 위한 수동 또는 자동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개폐장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10)와 본체부(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폴더부(10)의 회전축에 평형하게 구비되는 하우징(30); 상기 폴더부(10)의 상기 하우징(30) 일단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11);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0) 일단의 주연부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홈(11)에 인입출되는 체결단자(41); 일단은 상기 하우징(30)의 타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폴더부(10)의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조작단자(50)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단자(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단자(41)를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인입출시키는 작동단자(51); 및 상기 체결단자(41)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개폐장치는 상기 폴더부(10)의 개폐 동작 시에는 상기 조작단자(50)의 조작노브(52)를 회전시켜 상기 반원통형 작동단자(51)의 평평한 부분이 상기 체결단자(41)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단자(41)가 상기 하우징(3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폴더부(10)의 개폐동작 및 이에 따른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반면, 상기 폴더부(10)의 개방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10)의 상기 본체부(20)에 대한 소정 각도의 회전위치에서 한손으로 상기 폴더부(10)를 파지함과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 상기 조작노브(52)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단자(51)의 원통형 부분이 상기 체결단자(41)를 상기 폴더부(10)의 복수개의 체결홈(1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10)의 개방위치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방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한손으로 본체부(20) 또는 폴더부(10)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개방위치 고정으로 위한 조작노브(52)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방 위치 고정시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에 베벨기어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폐하도록 하며, 특히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 및 촬영 관찰 각도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폴더부와 본체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그의 축 상에서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제1베벨기어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및 상기 축 상에서의 좌우 직선 이동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제1베벨기어에 수직으로 교차되어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를 구비하며, 타단은 상기 폴더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스퍼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벨기어를 상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및 비치합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상기 기어바에 대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 및 제2베벨기어의 두께면은 그의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바벨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그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벨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된 전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제1바벨기어와 전동모터 사이에 구비되고, 확장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폴더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베벨기어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바를 상기 제1베벨기어 방향으로 밀어내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제2탄성체보다 강한 확장력을 갖는다.
상기 조작수단은 푸쉬-풀 노크방식의 조작바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가 상호 체결 및 체결 해제된 것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폴더부(100)와 본체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고,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그의 축 상에서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한 제1베벨기어(300);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20);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310);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및 상기 축 상에서의 좌우 직선 이동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수직으로 교차되어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10)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폴더부(100)에 삽입 및 인출되는 스퍼기어(520)로 이루어지는 기어바(500);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부(200)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상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베벨기어(300)와 제2베벨기어(510)의 치합 및 비치합을 조작하는 조작바(400); 및 상기 기어바(500)에 대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300)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530)로 이루어진다.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게 폴더부(100)가 본체부(200)의 일단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의 키패드부(미도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300)는 본체부(20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데, 상기 폴더부(100)의 상기 본체부(200)에 대한 결합부분에 구비되는 후술되는 기어바(500)의 제2베벨기어(510)에 직교되도록 치합하기 위하여, 상기 폴더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비되는 전동모터(320)는 그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벨기어(30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1베벨기어(300)는 그의 회전축 상에서 상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로서 확장력을 갖는 코일스프링(310)이 상기 제1베벨기어(300)와 전동모터(320) 사이에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310)은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상기 전동모터(320)로부터 이격되는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한다.
상기 조작바(400)는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의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상측에 구비되고, 그의 일단의 조작노브(410)가 상기 본체부(200)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푸쉬-풀 녹크 방식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바(400)는 확장시 상기 제1탄성체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올라간 제1베벨기어(300)를 하방향으로 누르고, 축소시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제1베벨기어(300)는 상기 제1탄성체인 코일스프링(310)에 의하여 상방향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탄성체의 확장력은 상기 제2탄성체보다 강하도록 하여 상기 조작바(400)가 축소될 경우,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상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바(400)의 축소 및 확장 동작과 상기 축소 및 확장 길이의 유지는 상기 조작바(40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케이스상에 구비되는 노크(420)에 의해 푸쉬-풀 녹크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양단에 각각 상기 폴더부(100)에 인입출되는 스퍼기어(520)와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10)를 구비하는 기어바(500)는 상기 본체부(200) 중 상기 폴더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에 상기 폴더부(100)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좌우 직선이동한다.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어바(500)는 일단에 구비된 제2베벨기어(510)가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치합되도록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폴더부(10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퍼기어(5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양단의 제2베벨기어(510) 및 스퍼기어(520)를 포함한 기어바(500) 전체는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한데, 상기 기어바(500)가 우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기어바(500) 일단의 제2베벨기어(510)는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타단의 스퍼기어(520)는 상기 폴더부(100)로 부터 인출된다. 또한, 상기 기어바(500)가 좌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2베벨기어(510)는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치합되고, 상기 스퍼기어(520)는 상기 폴더부(10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기어바(500)를 상기 제1베벌기어(3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본체부(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탄성체에 지지되는 확장력을 갖는 코일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300) 및 제2베벨기어(510)의 두께면은 그의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하 이동 및 좌우 이동이 원활하고, 상호간의 치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를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 노출된 조작노브(410)가 눌려져 상기 조작바(400)가 확장되면 상기 제1베벨기어(300)는 상기 조작바(400)에 의해 상기 제1탄성체인 코일스프링(310)의 탄성력에 대향하는 하방향에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기어바(500)는 상기 제2탄성체인 코일스프링(530)의 확장력에 의해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베벨기어(530)는 상기 제1베벨기어(300)와의 치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기어바(500) 타단의 스퍼기어(520)는 상기 폴더부(100)로 부터 인출된다. 반면, 상기 조작노브(410)가 다시 눌려져 상기 조작바(400)가 축소되면, 상기 제1베벨기어(300)는 제1탄성체인 코일스프링(310)의 확장력으로 인하여 상방향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베벨기어(400)는 상기 제1베벨기어(300)의 두께면을 따라 밀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체인 코일스프링(530)의 확장력에 대향하는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300)에 체결되고, 상기 기어바(500)의 타단에 구비된 스퍼기어(520)는 상기 폴더부(10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모터(320)가 상기 제1베벨기어(3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베벨기어(300)와 수직으로 치합된 제2베벨기어(510)가 회전하고, 상기 기어바(500)의 타단에 구비되는 스퍼기어(520) 및 상기 스퍼기어(520)가 삽입된 폴더부(10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베벨기어(300)와 제2베벨기어(510)의 치합이 해체되었을 경우, 상기 폴더부(100)는 수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200)를 개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베벨기어(300,510)가 치합되었을 경우, 상기 폴더부(100)는 상기 전동모터(32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 위치를 유지 및 상기 본체부(200)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여 개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어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에 베벨기어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폐하도록 하며, 특히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 및 촬영 관찰 각도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의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가 상호 체결 및 체결 해제된 것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폴더부 200: 본체부
300: 제1베벨기어 310: 제1탄성체
320: 전동모터 400: 조작바
410: 조작노브 420: 녹크
500: 기어바 510: 제2베벨기어
520: 스퍼기어 530: 제2탄성체

Claims (7)

  1. 폴더부와 본체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그의 축 상에서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제1베벨기어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폴더부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및 상기 축 상에서의 좌우 직선 이동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제1베벨기어에 수직으로 교차되어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를 구비하며, 타단은 상기 폴더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스퍼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벨기어를 상하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의 치합 및 비치합을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상기 기어바에 대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 및 제2베벨기어는
    두께면의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벨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그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벨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된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제1바벨기어와 전동모터 사이에 구비되고, 확장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폴더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베벨기어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바를 상기 제1베벨기어 방향으로 밀어내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제2탄성체보다 강한 확장력을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푸쉬-풀 노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KR1020040044479A 2004-06-16 2004-06-16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KR20050119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79A KR20050119399A (ko) 2004-06-16 2004-06-16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79A KR20050119399A (ko) 2004-06-16 2004-06-16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399A true KR20050119399A (ko) 2005-12-21

Family

ID=3729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479A KR20050119399A (ko) 2004-06-16 2004-06-16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3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30B1 (ko) * 2007-04-13 2008-03-19 엘지노텔 주식회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N105650986A (zh) * 2016-03-01 2016-06-0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折叠瓶座及使用该折叠瓶座的冰箱
KR20200083019A (ko) * 2018-12-31 2020-07-08 한양디지텍 주식회사 수술용 로봇 장치
CN113301450A (zh) * 2021-02-26 2021-08-2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一种基于智能无线传输的协议转换网关防护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30B1 (ko) * 2007-04-13 2008-03-19 엘지노텔 주식회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N105650986A (zh) * 2016-03-01 2016-06-0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折叠瓶座及使用该折叠瓶座的冰箱
KR20200083019A (ko) * 2018-12-31 2020-07-08 한양디지텍 주식회사 수술용 로봇 장치
CN113301450A (zh) * 2021-02-26 2021-08-2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一种基于智能无线传输的协议转换网关防护装置
CN113301450B (zh) * 2021-02-26 2023-07-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一种基于智能无线传输的协议转换网关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405490B2 (ja) 移動通信端末機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CN208128324U (zh) 移动终端
JP2008301244A (ja)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05014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회전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50119399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개폐장치
US698129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phones
KR100693641B1 (ko) 본체와 슬라이드 커버가 수평하게 펼쳐지는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666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JP2010263583A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1181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179115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3125B1 (ko) 슬라이드장치
KR100622658B1 (ko)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
JP2011139422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CN110445903A (zh) 移动终端
KR100613565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장치
KR100652638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050094208A (ko) 회전가능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CN2691181Y (zh) 双旋转轴照相机式手机
JP5313963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1074861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