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782A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782A
KR20050118782A KR1020040043876A KR20040043876A KR20050118782A KR 20050118782 A KR20050118782 A KR 20050118782A KR 1020040043876 A KR1020040043876 A KR 1020040043876A KR 20040043876 A KR20040043876 A KR 20040043876A KR 20050118782 A KR20050118782 A KR 2005011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1636B1 (en
Inventor
박성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636B1/en
Priority to US11/151,257 priority patent/US7350370B2/en
Priority to CNB2005100923332A priority patent/CN100350197C/en
Priority to EP05253714.9A priority patent/EP1607691B1/en
Publication of KR2005011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82A/en
Priority to US12/068,523 priority patent/US75944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6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필터가 고정되는 필터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frame to which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fixed is integrally formed on a front frame.

본 발명은, 실내기(100)의 프레임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110)와;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에 구비되고,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20)과;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고성능필터(170)를 고정하는 필터프레임(16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160)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0)를 가로질러 좌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프레임(160)에는 고성능필터(17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6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작업공수 및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chassis 110 forming a frame of the indoor unit 100 and forming a rear exterior; A front frame 12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chassis 110 to form a front exterior;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front panel (130) for shielding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The front frame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frame 160 for fix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left and right across the inlet 150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162 ′ fix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According to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abor and material costs are reduced.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성능필터가 고정되는 필터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frame to which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fixed is integrally formed on a front fram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다른 역할에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과, 최근에는 공기정화 기능이 포함된 것까지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추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in the most optimal state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room becomes hot, such as in summer, the room is cooled by blowing low temperature wind, and in winter, the room is heated by blowing high temperature warm wind. In addition, the role of the air conditioner is to control the humidity in the room, and in recent years has a trend that has more diverse functions, includ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소음과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one type and a separate typ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one unit as a whole, and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n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space.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noise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공기가 흡출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샤시(1)가 실내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메인샤시(1)의 전면에는 전면프레임(3)이 장착되어 실내기의 외관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3)이 장착되는 메인샤시(1)는 실내의 벽에 장착된다.As shown, the main chassis 1 forms the frame of the indoor unit. The front frame 3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chassis 1 to form an exterior of the indoor unit. And the main chassis 1 to which the front frame 3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wall of the room.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Between the main chassis 1 and the front frame 3 is formed a space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Meanwhile,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formed by the main chassis 1 and the front frame 3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전면프레임(3)의 전방에는 전면흡입그릴(5)이 형성된 흡입패널(7)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7)의 상단에는 힌지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패널(7)이 회동할 수 있게 한다.The front of the front frame 3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nel 7 formed with a front suction grille 5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And a hinge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anel 7 to allow the suction panel 7 to rotate.

상기 전면흡입그릴(5)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흡입패널(7)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의 상면에도 좌우로 길게 상면흡입그릴(3')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상면흡입그릴(3')은 상기 전면프레임(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 구비된다.The front suction grille 5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anel 7. Meanwhile, an upper surface suction grille 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3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surface suction grille 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frame 3 or separately provided.

상기 전면프레임(3)의 후방에는 열교환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9)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9')가 설치된다.The heat exchanger 9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3. The heat exchanger (9) is such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grill (5) and the top suction grill (3 ')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heat exchanger (9)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filter (9 ')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상기 열교환기(7)의 후방에는 횡류팬(10)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메인샤시(1)의 내측에 일체로 더 형성된다.A cross flow fan 1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eat exchanger 7. The crossflow fan 10 sucks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gain discharges air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the right side of the cross flow fan 10 is provided with a fan motor 10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cross flow fan 10, the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air flow formed by the cross flow fan 10 is the main It is furth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ide of the chassis (1).

한편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의 하단에는 토출그릴(11)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air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9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by the crossflow fan 10. For this purpose, discharge grills are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the main chassis 1 and the front frame 3. (11) is installed.

상기 토출그릴(11)의 내부에는 상기 횡류팬(10)을 거쳐나온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3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grill 11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rossflow fan 10 to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13)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5)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6)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1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6)는 링크(17)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In addition, a vane 15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up and down and a louver 16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ar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13. The louvers 16 are provided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louvers 16 are connected by the link 17 and operated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의 하단부 대략 중앙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19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3.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에는 필터장착부(20)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장착부(20)에는 한 쌍의 고성능필터(22)가 장착되며, 상기 고성능필터(22)는 필터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된다. 즉 고성능필터(22)가 구비된 사각형상의 필터프레임(24)이 상기 필터장착부(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성능필터(22)는 단일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mounting frame 3,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a pair of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mount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supported by the filter frame (24). That is, the rectangular filter frame 24 hav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lter mounting part 20, and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configured to have a single or various functions.

상기 필터프레임(24)의 하단에는 필터프레임(24)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터손잡이(26)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필터프레임(24)과 필터장착부(20)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구비되어 필터프레임(24)이 상기 필터장착부(20)에 체결되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filter frame 2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handle 26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lter frame 24.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frame 24 and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 are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and fixing groov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lter frame 24 is fasten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sis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as follows.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는 상기 횡류팬(11)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3')을 통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며, 열교환기(9)를 통과하게 된다. 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by the crossflow fan 11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That is,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front suction grill 5 and the top suction grill 3 ', and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9.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9)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9) 내부를 흐르는 작동유체(냉매)와 열교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9 exchanges heat with a working fluid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9.

상기 열교환기(9)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되어 상기 횡류팬(10)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횡류팬(10)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토출되어 상기 토출유로(13)측으로 안내된다.The air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9 becomes air of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is sucked into the cross flow fan 10. The air sucked into the cross flow fan 10 is discharged downward and guid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13 side.

토출유로(13)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토출유로(1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15)과 루버(16)에 의해 그 토출방향이 조절되고 상기 토출그릴(13)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베인(15)과 루버(16)는 구동하는 것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 및 좌우로 분산되도록 하므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골고루 토출되도록 한다.The air guid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13 is controlled by the vane 15 and the louver 16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13 to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3. It is discharged to the space for. At this time, since the vanes 15 and the louvers 16 are discharged vertically and left and right by driving, the vanes 15 and the louvers 16 are evenly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상기 열교환기(9)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메인샤시(1)의 좌측에 고정브라켓(8)을 마련함과 동시에 우측에는 열교환기(9)의 스크류체결단(9a)과 대응되는 고정단(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8') 내부에는 스크류체결공(8")이 천공 형성되어야 한다.In order to fix the heat exchanger 9, a fixing bracket 8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chassis 1 and a fixed end 8 ′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end 9a of the heat exchanger 9 on the right side. ). In addition, a screw fastening hole 8 "must be formed in the fixed end 8 '.

상기 고정브라켓(8)의 전방측 및 상측에는 열교환기(9)의 좌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8a) 내부에는 열교환기(9)의 좌측 헤어핀(9c)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8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n insertion groove 8a into which the left end of the heat exchanger 9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8, and the left hairpin of the heat exchanger 9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a.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8b for protruding the latches 9c) are formed.

또한 상기 열교환기(9)의 스크류체결단(9a)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체결공 (8")과 대응되는 스크류관통공(9b)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screw through hole 9b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hole 8 ″ is formed in the screw fastening end 9a of the heat exchanger 9.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교환기(9)가 고정되는 것은, 스크류(S)를 사용하여 메인샤시(1)의 좌측에 고정브라켓(8)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8)의 삽입홈(8a)은 우측을 향해 개구된다.As the heat exchanger 9 is fixed in the above state, the fixing bracket 8 is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chassis 1 by using the screw S.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8a of the fixing bracket 8 is opened toward the right side.

상기 고정브라켓(8)의 삽입홈(8a)에 열교환기(9)의 헤어핀(9c)을 삽입하면, 상기 헤어핀(9c)이 삽입홈(8a) 내부의 걸림돌기(8b)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열교환기(9)의 좌측 단부가 먼저 고정된다.When the hairpin 9c of the heat exchanger 9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8a of the fixing bracket 8, the hairpin 9c is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8b inside the insertion groove 8a. In this case, the left end of the heat exchanger 9 is fixed first.

이후 상기 열교환기(9)의 우측,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체결단(9a)을 메인샤시(1)의 고정단(8')에 밀착시킨 다음, 스크류관통공(9b)과 스크류체결공(8")에 스크류(S)를 체결하면 상기 열교환기(9)가 메인샤시(1)에 고정된다.Thereafter, the right side of the heat exchanger 9, more specifically, the screw fastening end 9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end 8 'of the main chassis 1, and then the screw through hole 9b and the screw fastening hole 8 When the screw (S) is fastened to the "), the heat exchanger 9 is fixed to the main chassis 1.

그리고 상기 고성능필터(22)의 교환을 위해서는 상기 필터프레임(24)의 필터손잡이(26)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서 하방으로 당겨 필터프레임(24)을 상기 필터장착부(2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고성능필터(22)가 구비된 필터프레임(24)을 장착하며, 창착시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In order to replace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the filter handle 24 of the filter frame 24 is pulled downward while holding the filter handle 26 of the filter frame 24 by hand, and then the filter frame 24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 The filter frame 24 equipped with the high-performance filter 22 is mounted, and when the filter is mounted, the filter frame 24 is moun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에는 고성능필터(22)는 필터프레임(2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프레임(24)을 상기 전면프레임(3)의 필터장착부(20)에 끼워넣는 작업에 의해 상기 고성능필터(22)의 설치가 이루어진다.In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fixed to the filter frame 24. Accordingly,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filter frame 24 into the filter mounting part 20 of the front frame 3.

결국, 종래기술에서는 고성능필터(22)를 지지하는 필터프레임(24)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수 증가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 및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in the prior art, since the filter frame 24 support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22 must be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material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성능필터를 고정하는 필터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frame fix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fr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의 프레임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와; 상기 메인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필터(folter)를 고정하는 필터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chassis forming a frame of the indoor unit and forming a rear exterior; A front fram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chassis and forming a front exterior; A front panel which shields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The fron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frame for fixing the filter (folter) is formed integrally.

상기 필터프레임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로질러 좌우로 형성된다.The filter frame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across the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상기 필터프레임에 장착되는 필터는 고성능필터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performance filter.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The filter fram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ilt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작업공수 및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abor and material costs are reduced.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전체적인 프레임(frame)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110)와,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구성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forms a front frame and forms a rear exterior,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chassis 110 to form a front exterior. The overall appearance is configured by the front frame 120.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은 전면패널(130)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전면패널(130)의 상측, 즉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흡입그릴(140)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의 틈새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30)은 하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is shielded by the front panel 130, the suction grill 1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The front panel 130 is preferably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outside air flows i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30 and the front frame 120.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130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forward to the lower end shaft.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2)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그릴(200)이 구비된다.The discharge hole 1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120.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door space) again. In addition, a discharge grill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hole 122.

상기 토출구(122)의 우측단 상측에는 디스플레이창(124)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4)은 투명하게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그릴(200)의 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실내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window 124 is formed above the right end of the discharge port 122. The display window 124 is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1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discharge grill 200 to be described below from the outside. do.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면을 참조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샤시(110)는 실내의 벽면에 장착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100 has an overall appearance formed by the main chassis 110 and the front frame 120, and the main chassis 110 is mounted on the wall of the room.

상기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Between the main chassis 110 and the front frame 120 is formed a space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formed by the main chassis 110 and the front frame 12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메인샤시(110)의 좌측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90) 및 횡류팬(192)의 좌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는 열교환기(190)와 횡류팬(192)의 우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단(11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left end of the main chassis 11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112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heat exchanger 190 and the cross flow fan 192 to be described below, the heat exchanger 190 and the cross flow at the right end The fixed end 114 to which the right end of the fan 192 is fixe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에는 흡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50)는 상기 실내기(10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필터프레임(160)이 좌우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60)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성능필터(17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5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가로지르는 중앙분리대(152)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앙분리대(152)의 좌우에 필터프레임(160)이 각각 형성된다.A suction port 150 is form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The inlet 15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100, and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as a part on which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hat is, a central separator 152 that traverses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port 150, and filter frames 160 are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separator 152, respectively.

상기 필터프레임(160)에는 고성능필터(170)가 장착된다. 상기 고성능필터(170)는 단일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연기나 각종 냄새 등을 탈취하는 암모니아 탈취필터(172)나,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174) 및 휘발성 유기물의 냄새를 탈취하는 톨루엔(VOC) 탈취필터(176)로 구성된다. The filter frame 160 is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filter 170.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configured to have a single or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the ammonia deodorizing filter 172 which deodorizes cigarette smoke or various odors as shown, or the formaldehyde deodorizing filter 174 which removes harmful components generated from building materials, and the odor of volatile organic matters. Toluene (VOC) deodorizing filter 176.

상기 흡입그릴(14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상기 흡입그릴(140)은 필터프레임(160)의 흡입구(150) 상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프리필터(18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된다.The suction grill 14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the suction grill 140 has an upper half of the suction port 150 of the filter frame 160. It is installed to wrap. In addition, the suction grill 140 is mounted to the front frame 120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coupled with the pre-filter 18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프리필터(18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180)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5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프리필터(18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은 물론 후면의 상단부에 이르는 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A prefilter 180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anel 130 and the front frame 120. The prefilter 180 serves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uction port 150 as a whole. That is, the prefilter 180 is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and is installed to cover an area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열교환기(19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90)는 상기 흡입그릴(14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흡입구(150)와 대응되도록 다수 절곡됨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19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20. The heat exchanger 190 is such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40 is heat-exchang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bent to correspond to the inlet port 150 of the front frame 120.

상기 열교환기(190)의 후방에는 횡류팬(192)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92)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횡류팬(192)은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5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The rear flow fan 192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eat exchanger 190. The crossflow fan 192 serves to suck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gain. That is, the cross flow fan 192 as described above forces the flow of air so that the air from the outside (indoor space) i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50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2.

상기 횡류팬(192)의 우측에는 횡류팬(192)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9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면은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횡류팬(19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ight side of the cross flow fan 192 is provided with a fan motor 194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cross flow fan 192,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chassis 110 is the air flow formed by the cross flow fan 10 In order to facilitate guiding, the curvature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flow fan 192.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 내측에는 토출그릴(20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200)에는 실내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202)가 형성된다. The discharge grill 20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120. The discharge grill 20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202 for guiding the air heat-exchanged in the indoor unit 1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door space) again.

상기 토출그릴(200)에는 상기 토출유로(2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204)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20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루버(20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206)는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The discharge grill 200 is provided with a vane 204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02 up and down, and a louver 206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The louvers 206 are provided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louvers 206 are connected by a link and operated simultaneously.

상기 토출그릴(200)의 우측단에는 상기 베인(204)과 더불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보조베인(208)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베인(208)의 일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보조베인(208)의 회동을 강제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베인(208)의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An auxiliary vane 208 is further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discharge grill 200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ogether with the vane 204, and one side of the auxiliary vane 208 is in a state of us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ly, a motor (not shown) for forcing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vanes 208 is further installed.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vane 208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한편 도 5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필터프레임(160)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filter frame 160 formed on the front frame 120 in more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프레임(16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지지대(162)와 하단을 지지하는 하지지대(1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지지대(162)와 하지지대(164) 사이에는 중앙지지대(166)가 구비되며, 이러한 중앙지지대(166)에는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배면이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지지대(162), 중앙지지대(166) 및 하지지대(164)는 소정간격으로 상하로 다수 형성되는 연결리브(16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to be long left and right, and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162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and a lower support 164 supporting the lower end. A central support 166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pport 162 and the lower support 16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central support 166.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pport 162, the central support 166 and the lower support 1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168 form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상지지대(162)의 일부는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분의 선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돌기(16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62')에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전면 상단부가 걸어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지지대(164)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하단돌기(164')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하단을 지지한다.A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162 is proj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forward,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bent downward to form a fixing projection (162 ').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62 ′.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pport 164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sis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as follows.

먼저,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횡류팬(192)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팬모터(194)가 동작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횡류팬(192)이 회전한다. 상기 횡류팬(192)이 회전하면, 흡인력이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140)을 통해 외부(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by the crossflow fan 192. That is, when the fan motor 194 is operated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rossflow fan 192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When the cross flow fan 192 rotates,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air from the outside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grill 140.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90)를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19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190) 내부를 흐르는 작동유체(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90. As described abo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90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a working fluid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90.

상기 열교환기(190)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되어 상기 횡류팬(192)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횡류팬(192)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횡류팬(192)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다음 하방으로 안내된다.The air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190 becomes air of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is sucked into the cross flow fan 192. The air sucked into the cross flow fan 192 is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192 and then guided downward.

그리고 하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토출그릴(200)의 토출유로(202)를 통과하며, 이때 토출유로(20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베인(204)과 루버(206)에 의해 토출방향이 조절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The air guided downwar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02 of the discharge grill 200, and the discharge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vanes 204 and the louver 206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202. It is discharged 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다음으로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착탈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Next,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고성능필터(17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필터프레임(160)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고성능필터(170)를 밀착시킨다. 즉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상단부가 상기 필터프레임(160)의 상지지대(162)에 끼워지도록 상방으로 밀어올린 다음 하단부를 상기 하지지대(164)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상단부은 상기 고정돌기(162')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하단은 상기 하지지대(164)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In order to mount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on the front frame 120, first,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side of the filter frame 16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pushed upward to be fitted to the upper support 162 of the filter frame 160, and then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164.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front by the fixing protrusion 162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base zone 164.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장착된 고성능필터(17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성능필터(17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소정거리 당겨 상기 하지지대(164)로부터 벗어나게 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리면 고성능필터(170)가 필터프레임(160)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된다. In order to separate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moun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is pull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lowered from the lower support zone 164,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filters the filter. It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rame 16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프레임(160)에는 고성능필터(170)가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고성능필터(170) 대신 일반필터 등 다른 종류의 필터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above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filter frame 160 is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filter 17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nstead of the high-performance filter 170, other types of general filters, etc. It will also be possible to mount a filter.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는 고성능필터(170)의 구체적인 예시로 암모니아 탈취필터(172),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174) 및 톨루엔(VOC) 탈취필터(176)를 나열하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외에 다른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ammonia deodorizing filter 172, the formaldehyde deodorizing filter 174 and the toluene (VOC) deodorizing filter 176 are listed as specific examples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70, but having a function other than such a filter Naturally, a filt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에서는 필터프레임(160)이 흡입구(150)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세부구성요소도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filter frame 160 is formed long in the inlet 150 to the left and right, it will be possible to form up and down, and of course, the detailed compon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고성능필터가 실내기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기에 의해 냉난방은 물론 공기중의 이물과 냄새 등이 필터링되어 제거되므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이 보다 쾌적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becomes more comfortable because the indoor unit is filtered and removed, as well as the foreign matter and smell in the air as well as air condition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성능필터가 장착되는 필터프레임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프레임을 설치하는 작업과 필터프레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므로 작업공수 절감 및 재료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frame on which the high performance filter is mounte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frame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Therefore, the work for installing the filter frame and the fixing means of the filter frame is unnecessary, so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labor and material cost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과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and the state of the air flow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필터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fram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fram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필터프레임에 고성능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mounted on a filter fram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10. 메인샤시100. Indoor unit 110. Main chassis

112. 고정브라켓 114. 고정단112. Fixed Bracket 114. Fixed End

120. 전면프레임 122. 토출구 120. Front frame 122. Outlet

124. 디스플레이창 130. 전면패널124. Display Window 130. Front Panel

140. 흡입그릴 150. 흡입구140. Suction grill 150. Suction port

152. 중앙분리대 160. 필터프레임152. Center separator 160. Filter frame

162. 상지지대 162'. 고정돌기162. Upper Supports 162 '. Fixing protrusion

164. 하지지대 164'. 하단돌기164. The Lower Zone 164 '. Bottom projection

166. 중앙지지대 168. 연결리브166. Central Supports 168. Connecting Ribs

170. 고성능필터 180. 프리필터170. High Performance Filter 180. Pre Filter

190. 열교환기 192. 횡류팬190. Heat exchanger 192. Cross flow fan

194. 팬모터 200. 토출그릴194. Fan Motor 200. Discharge Grill

202. 토출유로 204. 베인202. Discharge channel 204. Vane

206. 루버 208. 보조베인206. Louver 208.

Claims (4)

실내기의 프레임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와;A main chassis forming a frame of the indoor unit and forming a rear exterior; 상기 메인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A front fram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chassis and forming a front exterior;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A front panel which shields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필터(filter)를 고정하는 필터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frame for fixing a filter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로질러 좌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frame is formed left and right across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에 장착되는 필터는 고성능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lter mounted to the filter frame is a high performanc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fram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ilter.
KR1020040043876A 2004-06-15 2004-06-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01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76A KR101101636B1 (en) 2004-06-15 2004-06-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1/151,257 US7350370B2 (en) 2004-06-15 2005-06-14 Air conditioner
CNB2005100923332A CN100350197C (en) 2004-06-15 2005-06-15 Air conditioner
EP05253714.9A EP1607691B1 (en) 2004-06-15 2005-06-15 Air conditioner
US12/068,523 US7594411B2 (en) 2004-06-15 2008-02-07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76A KR101101636B1 (en) 2004-06-15 2004-06-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82A true KR20050118782A (en) 2005-12-20
KR101101636B1 KR101101636B1 (en) 2012-01-02

Family

ID=3607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76A KR101101636B1 (en) 2004-06-15 2004-06-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1636B1 (en)
CN (1) CN100350197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3B1 (en) * 2005-11-28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Inhaling structure of an air-conditioner with a expansion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0232B1 (en) * 2009-02-19 201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ing ventilator
CN101852481A (en) * 2009-03-30 2010-10-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Front panel and front frame combined structure of split indoor air conditioner
CN104422058B (en) * 2013-09-06 2019-01-04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北京分公司 A kind of buried heat-exchange device in day
CN105485775A (en) * 2016-01-22 2016-04-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108361815A (en) * 2017-01-25 2018-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755A (en) * 1996-09-30 1998-04-21 Daikin Ind Ltd Filter mounting structure
JP3672419B2 (en) * 1997-09-22 2005-07-2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0173448Y1 (en) * 1997-10-24 2000-04-01 윤종용 Front and rear panel fix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JP2002061877A (en) * 2000-08-10 2002-02-28 Hitachi Ltd Air conditioner
JP2002106952A (en) * 2000-09-27 2002-04-10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JP2002310448A (en) * 2001-04-05 2002-10-23 Fujitsu General Ltd Air conditioner
JP2003074924A (en) * 2001-09-05 2003-03-12 Shoichi Kobayashi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JP4145216B2 (en) * 2002-08-22 2008-09-03 三洋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3B1 (en) * 2005-11-28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Inhaling structure of an air-conditioner with a expansion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636B1 (en) 2012-01-02
CN1734202A (en) 2006-02-15
CN100350197C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370B2 (en) Air conditioner
US7685833B2 (en) Air conditioner
KR1005962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92107B1 (en) Structure of discharge grill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101158124B1 (en) Air-conditioner
KR1005644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0163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250159B1 (en)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10110157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05766B1 (en) Air conditioner and Filt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62644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60122291A (en) Air-conditioner
KR100607285B1 (en) A fixing structure of Filter for Air conditioner
KR2005011973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60126042A (en) Discharge grill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27530A (en) Indoor unit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27529A (en) Structure of emission van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22425A (en) Structure of discharge grill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27535A (en) Main chassis structure for split air conditioner
KR101155480B1 (en) 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60027534A (en) A fixing structure of louver for split air conditioner
KR20060027531A (en) Filter structur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070077240A (en) A driving gear of vane for air-conditioner
KR20030035115A (en) A filter's installing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er
KR20070077360A (en) A indoor unit of split typ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