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342A -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342A
KR20050118342A KR1020040043435A KR20040043435A KR20050118342A KR 20050118342 A KR20050118342 A KR 20050118342A KR 1020040043435 A KR1020040043435 A KR 1020040043435A KR 20040043435 A KR20040043435 A KR 20040043435A KR 20050118342 A KR20050118342 A KR 2005011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leaning liquid
sharpness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586B1 (ko
Inventor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라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라다
Priority to KR102004004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58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카메라부의 촬영 시야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보호유리 상에 마련된 와이퍼 장치, 보호유리 상으로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액 분출장치, 카메라부에 의해 미리 촬영된 기준 촬영 상태와 현재의 촬영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촬영상태의 선명도와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소정의 선명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촬영상태판단부 및 촬영상태판단부에서 현재의 찰영상태가 소정의 선명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와이퍼장치 또는 세정액분출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로의 상황에 대해서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시야를 항상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An apparatus for washing of the camera observ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상의 교통 상황을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 감시 시스템이 구비한 촬영장치의 감시구역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활동의 발달 및 여가생활의 증가에 따라, 개인 및 사업의 활동영역이 증가되고 또한 신속한 이동의 요구에 따라 자동차 운행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도로의 여건도 4차선 또는 6차선으로 증가되고 있고 새로운 고속화 도로의 증설도 실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도의 확장 및 고속도로의 증설에 따라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교통방송과 일정구간 사이의 전광판을 통해 현재의 교통상활을 통지하고 있으며, 또한 국도나 고속도로에 있어서는 차량운행의 경제성과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경제속도나 과속제한 속도를 지정하여 실시하고 있다.
즉, 국도나 고속도로상에서는 과속차량을 단속하기 위해 위험한 지역에 도로 위험 표시나 순찰차를 배치하고, 또한 이를 감시하기 위한 무인 감시 장치 등이 설치되어 사고 예방을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감시 장치로서는 폐쇄회로 카메라나 일정기간 동안 촬영해주는 기록테이프를 판독하여 과속 예방 및 차량의 운행질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도로 상에서 과속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무인 감시 시스템의 설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시스템은 고속도로 상에서 일정 간격 또는 주행 상의 사고 다발지역에 폴대(1)을 마련하고, 도로상에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과속차량을 촬영하여 기록하는 카메라부(2)를 폴대(1)에 장착하여 운영되고 있다.
또, 카메라부(2)는 과속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21), 카메라(21)의 렌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유리(22) 및 카메라(21)를 내장한 보호박스(23)로 구성된다.
또한, 보호박스(23)내에는 카메라부(2)를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카메라(21)에서 촬영된 데이타를 원격지의 관리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유닛, 카메라(21)의 촬영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카메라부(2)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운전유닛, 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유닛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무인 과속 차량 무인 감시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997-0068609호 및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2153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공개 공보에 있어서는 폴대(1)의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속도감지용 마이크로파 센서에서 약 150∼160m 거리의 전광판장치가 설치되고, 이 전광판장치내에는 앞거리 약 10m에서 감지되는 카메라 작동용 센서, 약 2.5∼5sec 후의 전광판 디스플레이 거리에서 광고 및 운전속도를 디스플레이시키는 LED표시부, 약 5∼15m내의 위반차량번호를 정확하고 안정된 상태로 자동 촬영하는 고속카메라(21)가 마련되며, 집적회로에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나 버퍼를 통해 프레임 글래버가 구비되어, 이 프레임 글래버가 고속 카메라(21)를 사용하여 영상을 잡은 다음에 SRAM으로 저장하고, 제어부에 의해 집적회로의 SRAM에서 JPEG압축부를 통해 데이타의 정량화와 이미지 정보의 코사인변환을 통하여 중요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당한 량으로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속차량 무인 감시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등록 실용신안 공보에 있어서는 도로상의 폴대(1)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어 유선 및 무선에 의해 작동하며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21),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의 각종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외부 신호센서, 센서의 작동시 자동으로 카메라(21)를 신속하게 움직여서 외부 센서신호를 받는 곳의 현재 상태를 기록매체에 추적 및 녹화함과 동시에 현재의 상태를 전광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센서가 작동하는 곳에 이상 상태가 발생되었음을 교통 상황실 등으로 전송하는 모뎀으로 구성되는 교통 블랙박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무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데이타를 압축하여 온라인으로 전송하여 신속하게 과속차량의 차적을 조회하여 처리하거나, 카메라(21)를 360° 회전시켜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카메라(21)의 촬영상태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일반적인 과속차량의 무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부(2)는 고속도로 차선의 중앙부의 일정 높이에 장착되어 카메라(21)의 렌즈가 오염된 경우, 그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이러한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카메라는 고속주행 차량을 감시하기 위해 도로의 중앙이며 일정 높이에 장착되므로, 차량의 운행에 따른 먼지 등의 이물질 또는 매연에 의한 오염, 강우 또는 강설시 등 빗방울, 눈 등에 의한 오염이 심하게 된다. 또, 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고가 사다리 차량을 사용하여 관리자가 일일이 세정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를 위한 관리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로 상의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메라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카메라부의 촬영 시야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감시 시스템 등 카메라가 장착된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카메라 앞면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 매연 등 오염물질, 빗방울, 눈 등을 원격으로 감시하여 이들을 세정할 수 있는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장치는 피사체의 상황을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해 피사체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고 그의 전면이 보호유리로 형성된 보호박스, 상기 카메라부에 있어서 촬영된 피사체의 상황을 외부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유리상에 마련된 와이퍼 장치, 상기 보호유리상으로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액 분출장치,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미리 촬영된 기준 촬영 상태와 현재의 촬영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촬영상태의 선명도와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소정의 선명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촬영상태 판단부 및 상기 촬영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의 찰영상태가 소정의 선명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와이퍼장치 또는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 촬영상태는 정상 날씨 및 상기 보호유리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제1의 상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오염된 제2의 상태 및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상기 보호유리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제3의 상태를 포함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3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 장치만을 가동시킨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를 가동시킨 후, 상기 와이퍼 장치를 가동시킨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출 장치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와셔탱크, 상기 세정액을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구동펌프,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된 세정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와셔탱크내의 세정액의 저장량을 확인하는 세정량 확인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탱크내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세정량 확인부에 의해 소정의 저장량 이하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세정액의 보충을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와 상기 세정액 분출 장치의 분사 노즐은 상기 보호유리의 상부에 마련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는 상기 와셔탱크내의 세정액의 동결을 방지하는 발열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기구는 상기 세정량 확인부에 의한 판단에서 소정의 저장량 이상으로 판단되고 상기 분사 노즐에서 세정액이 분사되지 않을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 상기 촬영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방법은 피사체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유리를 구비한 보호박스, 상기 피사체의 상황을 외부의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미리 촬영된 기준촬영상태와 현재의 촬영상태를 마련하고, 그 상태의 선명도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기준 촬영상태의 선명도와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보호유리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유리 상에 마련된 와이퍼장치만으로 세척하는 제1의 세척단계와 상기 보호유리 상에 마련된 와이퍼장치와 세정액 분출장치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의 세척단계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촬영상태는 정상 날씨 및 상기 보호유리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제1의 상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오염된 제2의 상태 및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상기 보호유리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제3의 상태를 포함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3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의 세척단계만 실행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의 세척단계가 실행된다.
또, 상기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가 필요로 하는 세정액의 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태를 상기 외부의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30)은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이고, (31)은 정상날씨인 상황이고 카메라부(20)의 투명부재인 보호유리(22)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21)의 전체 감시 구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A/D 변환부(40)에 의해 제1 기준영상 데이타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제1 기록영역이고, (32)는 카메라(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서 오염된 상태에서 카메라(21)의 전체 감시구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A/D 변환부(40)에 의해 제2 기준영상 데이타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제2 기록영역이고, (33)은 강우 또는 강설시 카메라(21)의 보호유리(22)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상태에서 카메라(21)의 전체 감시구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A/D 변환부(40)에 의해 제3 기준 영상 데이타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제3 기록영역이며, (34)는 카메라 감시 시스템이 마련되어 운영중인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현재의 촬영 상태가 A/D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탈값으로 변환된 데이타가 저장되는 제4 기록영역이다.
이 메모리부(30)는 ROM, RAM, PROM 등과 같은 하나의 반도체메모리로 구성되어도 좋고, 제1 기록영역(31) 내지 제3 기록영역(33)은 ROM 또는 PROM과 같은 리드 전용 메모리를 사용하고, 제4 기록영역(34)은 RAM, SRAM과 같이 필요시마다 갱신할 수 있는 랜덤 메모리를 사용해도 좋다.
또, 도 2에 있어서, (5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으로서, 제어부(51) 및 촬영상태 판단부(52)를 구비한다.
촬영상태 판단부(52)는 제어부(51)를 통해 메모리부(30)내의 제1 기록영역(31)과 제2 기록영역(32)에 저장된 제1 기준영상 데이타의 선명도 및 제2 기준영상 데이타의 선명도와 제4 기록영역(34)에 저장된 현재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고, 또, 제어부(51)를 통해 메모리부(30)내의 제1 기록영역(31)과 제3 기록영역(33)에 저장된 제1 기준 영상 데이타의 선명도 및 제3 기준 영상 데이타의 선명도와 제4 기록영역(34)에 저장된 현재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한다.
촬영상태 판단부(52)에서 비교된 기준 영상 데이타의 선명도와 현재 촬영상태의 선명도의 처리를 제어부(51)로 출력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6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인 와이퍼장치이고, (70)은 세정액을 저장하는 와셔탱크(70)이며, (80)은 와셔탱크내에 저장된 세정액의 저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세정량 확인부(80)이다. 이 와이퍼장치(60), 와셔탱크(70) 및 세정량 확인부(8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도 2에 있어서, (90)은 원격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감시 및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이고, (100)은 세정량 확인부(80)에 의해 와셔탱크(70)내에 저장된 세정액이 소정의 저장량 이하로 확인된 경우, 세정액의 보충을 관리 시스템(90)으로 통지하는 통지부로서 알람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이 시스템이 장착되어 운영되기 전에 먼저 카메라부(20)를 통해 정상 날씨이고 보호유리(22)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촬영하여 제1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제1 기록영역(31)에 저장하고, 보호유리(22)가 약간 오염되었지만 인식 가능한 상태를 제2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제2 기록영역(32)에 저장하고, 보호유리(22)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상태를 제3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제3 기록영역(33)에 저장한다.
이후,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운영중인 상태에서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A/D 변환부(40)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이 값은 제어부(51)를 통해 제4 기록영역(34)에 일시 저장된다.
현재의 상태가 촬영되면, 제어부(51)는 제1 기록영역(31) 내지 제4 기록영역(34)에 기록된 이미지의 선명도에 따라 촬영상태 판단부(52)에서 비교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촬영상태 판단부(52)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기록영역(31) 내지 제3 기록영역(33)에 저장된 이미지의 선명도와 제4 기록영역(34)에 저장된 이미지의 선명도와 각각 비교하여, 촬영상태 판단부(52)에 설정된 소정의 조건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촬영상태 판단부(5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51)는 와이퍼장치(60)의 구동의 가부 및 세정액 분출장치의 구동의 가부를 결정한다.
또한, 세정량 확인부(80)에서는 와셔탱크(70)내에 저장된 세정액이 소정의 저장량 이하로 확인되면, 이 확인신호를 제어부(51)로 출력하고, 제어부(51)는 통지부(100)를 거쳐 관리 시스템(90)으로 세정액의 보충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와이퍼장치 및 세정액 분출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110)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30),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50), 와이퍼장치(60) 및 통지부(100)를 구비한 모듈이고, (120)은 세정액 분출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듈(110)을 보호박스(23)의 상부에 장착한 구조로 도시하였지만, 보호박스(23)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퍼장치(60)에 있어서, 와이퍼 모터, 와이퍼 모터의 구동에 따라 링크운동을 하는 와이퍼링크 및 와이퍼링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피벗은 모듈(110)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에 의한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1)은 모듈(110)에 내장된 피벗의 선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보호박스(23)의 전면에 마련된 보호유리(22)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운동하는 와이퍼 암이며, (62)는 와이퍼 암(61)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호유리(22)의 표면에서 반복적으로 각 운동을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이다.
또, 보호유리(22)상으로 세정액(71)을 분출하는 세정액 분출 장치(120)는 세정액(71)을 저장하는 와셔탱크(70), 세정액 분출 장치(120)와 모듈(110)을 연결하는 세정액 공급관(72), 공급관(72)을 통해 공급된 세정액(71)을 보호유리(22)상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보호유리(22)의 상부에 마련된 분사 노즐(73), 와셔탱크(70)내의 세정액(71)을 공급관(72)로 공급하는 구동펌프(74)를 구비한다.
이 구동펌프(74)의 양측에는 연결구(75, 76)가 각각 마련된다. 즉, 구동펌프(74)의 일측의 연결구(75)에는 공급관(72)이 삽입 설치되고, 구동펌프(74)의 다른 측의 연결구(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탱크(70)내에서 세정액(71)을 공급받도록 와셔탱크(7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있어서, 세정액 분출 장치(120)은 와셔탱크(70)로 세정액(71)을 공급하기 위해 와셔탱크(70)의 상부에 마련된 주입구(77), 동절기에 와셔탱크(70)내의 세정액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열기구(78), 발열기구(78)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9), 와셔탱크(70)내에 저장된 세정액(71)의 하한, 즉 연결구(76)의 흡기공으로 세정액(71)이 공급되지 않는 범위를 감지하는 하한감지센서(81), 와셔탱크(70)에 주입된 세정액(71)의 상한을 감지하는 상한감지센서(82)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전원선(79) 및 미도시된 하한감지센서(81) 및 상한감지센서(82)의 신호출력선 등은 카메라부(20) 및 모듈(110)을 각각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전원선 및 신호선에 의해 연결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구(78)는 세정량 확인부(80)에 의한 판단에서 와셔탱크(70)내의 세정액(71)이 하한감지센서(81)에서 감지된 양의 이상으로 판단되고, 분사노즐(73)에서 세정액(71)이 분사되지 않을 때 작동되도록 제어부(51)에 의해 제어된다. 또, 이 발열기구(78)는 제어부(51)와 별도로 와셔탱크(70)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마련하고, 이 온도측정수단에 의해 세정액(71)이 동결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야 확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피사체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0), 카메라부의 촬영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고 그의 전면이 보호유리로 형성된 보호박스(23), 카메라부(20)에 있어서 촬영된 피사체의 상황을 외부관리 시스템(90)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이 시스템이 장착되어 운영되기 전에 먼저 카메라부(20)를 통해 정상날씨이고 보호유리(22)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촬영하여 제1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부(30)의 제1 기록영역(31)에 이미지(A)로 저장한다(스텝S10).
다음에, 보호박스(23)의 전면에 마련된 투명부재인 보호유리가 약간 오염되었지만, 촬영된 이미지가 인식 가능한 상태인 것을 제2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부(30)의 제2 기록영역(32)에 이미지(B)로 저장한다(스텝S20).
그 다음에, 이 시스템에 설치된 장소의 강우 또는 강설시 보호유리(22)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제3 기준 영상 데이타로 설정하여 제3 기록영역(33)에 이미지(C)로 저장한다(스텝S30).
이후, 카메라 감시 시스템이 장착되어 운영중인 상태에서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A/D 변환부(40)를 통해 디지탈값으로 변환되고, 이 값은 제어부(51)를 통해 제4 기록영역(34)에 이미지(D)로 일시 저장된다(스텝S40).
다음에, 촬영상태 판정부(52)는 이미지(A)중에서 이미지(D)의 영상데이타가 갖는 영상의 범위만을 추출하고, 또 이미지(B)중에서 이미지(D)의 영상데이타가 갖는 영상의 범위만을 추출하여 제4 기록영역(34)에 저장된 이미지(D)의 선명도가 제1 기록영역(31)에 저장된 이미지(A)의 선명도와 제2 기록영역(32)에 저장된 이미지(B)의 선명도의 범위내인가를 판단한다(스텝S50).
이와 동시에 제어부(51)는 세정량 확인부(80)를 통해 와셔탱크(70)내의 세정액(71)의 저장량을 판단하고, 세정액(71)의 저장상태에 대해 하한 감지 센서(81)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경우, 통지부(100)를 통해 관리 시스템(90)으로 세정액(71)의 부족 상황을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51)는 와셔 탱크(70)으로부터 세정액(71)의 공급이 가능하고, 이미지(D)의 선명도가 이미지(A)와 이미지(B)의 범위외이면, 세정액 분출 장치(120)으로 세정액(71)의 분출을 실행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세정액 분출 장치(120)는 제어부(51)로부터의 명령신호에 따라 구동펌프(74)를 가동시켜, 분사 노즐(73)에서는 세정액이 분출된다(스텝S60).
이와 동시에, 제어부(51)는 와이퍼장치(60)를 구동시켜 와이퍼 블레이드(62)가 반복적으로 각운동하여 보호유리(22)를 세척한다(스텝S80).
스텝S80에서의 와이퍼 블레이드(62)의 동작은 2∼3회 실행되고, 스텝S50으로 되돌아간다.
또, 스텝S50에서 이미지(D)의 선명도가 이미지(A)와 이미지(B)의 선명도 범위 이내이면, 스텝S70으로 진행한다.
스텝S70에서는 이미지(C)중에서 이미지(D)의 영상데이타가 갖는 영상의 범위만을 추출하여 제4 기록영역(34)에 저장된 이미지(D)의 선명도가 제1 기록영역(31)에 저장된 이미지(A)의 선명도와 제3 기록영역(33)에 저장된 이미지(C)의 선명도의 범위내인지를 판단한다.
스텝S70에서 이미지(D)의 선명도가 이미지(A)와 이미지(C)의 선명도내이면, 스텝S50으로 되돌아가고, 이미지(D)의 선명도가 이미지(A)와 이미지(C)의 선명도의 범위 외 이면, 스텝S80으로 진행하여 와이퍼장치(60)만 구동시킨다.
즉, 이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있어서 강우 또는 강설이 있는 경우, 세정액 분출 장치(120)를 가동시키지 않고 와이퍼장치(60)만을 가동하여 보호유리(22)내에 부착되는 빗물 또는 눈을 세척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모리부(30)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50)을 별도로 마련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모리부(3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50)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교통제어를 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메라로 피사체를 감시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피사체의 상황에 대해서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시야를 항상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 설치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유지 관리비를 저감할 뿐만 아니라, 교통제어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교통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액의 보충여부를 원격감시하게 되므로 세정액의 보충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동절기에는 세정액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강우나 강설이 있는 경우에는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세정제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과속 차량 무인 감시 시스템의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야 확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부호의 설명]
20 : 카메라부, 30 : 메모리부
40 : A/D변환부, 50 :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60 : 와이퍼장치 70 : 와셔 탱크
80 : 세정량 확인부 100 : 통지부
110 : 모듈 120 : 세정액 분출장치

Claims (15)

  1. 피사체의 상황을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해 피사체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고 그의 전면이 보호유리로 형성된 보호박스, 상기 카메라부에 있어서 촬영된 피사체의 상황을 외부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유리상에 마련된 와이퍼 장치,
    상기 보호유리상으로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액 분출장치,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미리 촬영된 기준 촬영 상태와 현재의 촬영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촬영상태의 선명도와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소정의 선명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촬영상태 판단부 및
    상기 촬영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의 찰영상태가 소정의 선명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와이퍼장치 또는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촬영상태는 정상 날씨 및 상기 보호유리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제1의 상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오염된 제2의 상태 및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상기 보호유리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제3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3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 장치만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를 가동시킨 후, 상기 와이퍼 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출 장치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와셔탱크, 상기 세정액을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구동펌프,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된 세정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와셔탱크내의 세정액의 저장량을 확인하는 세정량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탱크내에 저장된 세정액이 상기 세정량 확인부에 의해 소정의 저장량 이하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세정액의 보충을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와 상기 세정액 분출 장치의 분사 노즐은 상기 보호유리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출장치는 상기 와셔탱크내의 세정액의 동결을 방지하는 발열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기구는 상기 세정량 확인부에 의한 판단에서 소정의 저장량 이상으로 판단되고 상기 분사 노즐에서 세정액이 분사되지 않을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 상기 촬영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장치.
  10. 피사체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유리를 구비한 보호박스, 상기 피사체의 상황을 외부의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미리 촬영된 기준촬영상태와 현재의 촬영상태를 마련하고, 그 상태의 선명도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기준 촬영상태의 선명도와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보호유리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유리 상에 마련된 와이퍼장치만으로 세척하는 제1의 세척단계와 상기 보호유리 상에 마련된 와이퍼장치와 세정액 분출장치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의 세척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촬영상태는 정상 날씨 및 상기 보호유리가 전혀 오염되지 않은 제1의 상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오염된 제2의 상태 및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상기 보호유리에 비 또는 눈이 묻은 제3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3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의 세척단계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현재의 촬영상태의 선명도가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의 선명도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의 세척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가 필요로 하는 세정액의 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태를 상기 외부의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방법.
KR1020040043435A 2004-06-14 2004-06-14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KR100711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35A KR100711586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35A KR100711586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42A true KR20050118342A (ko) 2005-12-19
KR100711586B1 KR100711586B1 (ko) 2007-04-27

Family

ID=3729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35A KR100711586B1 (ko) 2004-06-14 2004-06-14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5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20B1 (ko) * 2009-04-08 2011-04-07 (주)모나드아이엔씨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KR101369812B1 (ko) * 2012-08-04 2014-03-06 (주)모나드아이엔씨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KR102177355B1 (ko) * 2020-05-20 2020-11-12 강인구 블랙박스 테스트 장치
KR102276758B1 (ko) * 2020-01-17 2021-07-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주행에 따른 타이어 마모 비접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5190B1 (ko) * 2021-07-22 2021-12-06 (주) 현대틸스 레이더 센서 기반의 감응형 자율 감시 시스템
CN114887947A (zh) * 2022-05-27 2022-08-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徐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巡检专用云台相机用的保护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20B1 (ko) * 2009-04-08 2011-04-07 (주)모나드아이엔씨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KR101369812B1 (ko) * 2012-08-04 2014-03-06 (주)모나드아이엔씨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WO2016104821A1 (ko) * 2014-12-22 2016-06-30 (주) 트라이너스 사용자 착용 타입의 촬영장치
KR102276758B1 (ko) * 2020-01-17 2021-07-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주행에 따른 타이어 마모 비접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77355B1 (ko) * 2020-05-20 2020-11-12 강인구 블랙박스 테스트 장치
KR102335190B1 (ko) * 2021-07-22 2021-12-06 (주) 현대틸스 레이더 센서 기반의 감응형 자율 감시 시스템
CN114887947A (zh) * 2022-05-27 2022-08-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徐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巡检专用云台相机用的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586B1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2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system against glare and control thereof
US11724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system
US11691598B2 (en) Actuated sprayer system
US11731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ti-tampering mechanism
US20220252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assembly
US117546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nsor adjustment need
US20210183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ti-tampering sensor assembly
KR100711586B1 (ko) 카메라 감시 시스템의 시야 확보장치 및 그 방법
KR101365634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시스템
KR102207577B1 (ko) 살얼음 관제 시스템, 살얼음 관제 시스템용 표지판
CN215954497U (zh) 一种用于路桥交通安全监控装置
CN103295401A (zh) 一种路面气象状态监测系统
KR101025220B1 (ko)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KR102135612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로 제설 및 제빙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KR20120081261A (ko) 투명창을 부착한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2547008B1 (ko) 지능형 강설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용액 자동살포시스템
CN112242039A (zh) 一种桥梁路面结冰检测预警系统及方法
CN218757214U (zh) 一种排涝车
JPH0784067A (ja) 道路の積雪検出装置
CN216486569U (zh) 一种具有监控功能的车辆出入用管理装置
CN218159224U (zh) 一种机车连挂智能预警系统
CN218446457U (zh) 基于电子外后视镜的停车监控系统
CN220798364U (zh) 一种无人巡逻车
CN114863697A (zh) 一种高速公路路面状况移动监测系统
CN214587284U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违章停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