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680A -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680A
KR20050117680A KR1020040042842A KR20040042842A KR20050117680A KR 20050117680 A KR20050117680 A KR 20050117680A KR 1020040042842 A KR1020040042842 A KR 1020040042842A KR 20040042842 A KR20040042842 A KR 20040042842A KR 20050117680 A KR20050117680 A KR 2005011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ouse cursor
external device
movem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강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680A/ko
Publication of KR2005011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숨김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카메라 촬영영상을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실물 화상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영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발생시마다 초기값으로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되,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감지시 상기 카운터를 상기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카운트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로부터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소정시간 동안 마우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숨김 처리함으로써, 실물 화상기를 통해 제공되는 중요한 문서, 그림 등을 감상시에 마우스 커서로 인한 글자가림, 그림가림 등의 장애 및 이로 인한 불편함을 제거한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Method for disappearing a mouse cursor of visual presenters}
본 발명은,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숨김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기는 스테이지에 놓인 피사체를 카메라(CCD)로 촬영하고, 이를 연결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그 예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물 화상기를 모니터와 직접 신호 연결하게 되면, 상기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책자내용을, 상기 모니터를 통해 고해상도의 선명한 영상으로 볼 수 있으며, 줌 기능을 이용하여 서류, 지도, 사전 등에 있는 작은 글자들도 보기 쉽게 모니터에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물 화상기는 각종 기능제어를 위해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실물 화상기는 항시 마우스 커서를 화면(예를 들어, 모니터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어, 자칫 사용자로 하여금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내용을 감상함에 있어, 글자가림, 그림가림 등의 장애 및 이로 인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소정시간 동안 마우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화면상에서 마우스 커서가 사라지도록 하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은,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카메라 촬영영상을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실물 화상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영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발생시마다 초기값으로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되,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감지시 상기 카운터를 상기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카운트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로부터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실물 화상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예를 들어, 카메라(CAM) )로부터 촬영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 출력하는 A/D 변환기(10); 상기 디지털 변환된 영상에 대한 분석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0); 및 상기 신호처리된 디지털 영상을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 및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커서의 숨김동작을 수행하는 MPU(30)가 포함 구성된다.
상기 MPU(30) 내부에는 카운터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MPU(30)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거나, 초기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증가된 카운트 값에 따라 마우스 커서 숨김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의 실물 화상기에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입/출력포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영상 출력포트, PS/2 포트, USB 포트, RGB 포트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영상 출력포트에는 TV가, 상기 PS/2 포트에는 마우스가, 상기 USB 포트에는 PC가, 그리고 상기 RGB 포트에는 모니터 또는 프로젝터 등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한 도 2의 실물 화상기가, 상기 PS/2 포트를 통해 마우스와, RGB 포트를 통해 모니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MPU(30)는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여부를 계속해서 감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는 스테이지에 놓여진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촬영영상을 상기 A/D 변환기(10)로 출력하는데, 상기 카메라는 초당 25 프레임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상이 입력되면(S10), 상기 A/D 변환기(1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상기 변환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분석 및 신호 처리하는 한편, 1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신호(V_Sync)를 발생시키고(S11), 상기 MPU(30)는 상기 신호 처리된 디지털 영상을 연결된 외부기기(모니터)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로 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현재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니터의 출력영상 상에 마우스 커서도 함께 표시된다.
이와 같은 동작중에, 상기 MPU(30)는 계속해서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여부를 감시하는 한편, 내부 카운터의 값이 초기값(0)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V_Sync Interrupt)의 발생시마다 상기 카운터의 값을 증가(예를 들어, +1)시키는데(S12), 만약 이와 같은 동작중에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이 감지되면(Mouse Move Interrupt)(S20) 상기 MPU(30)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다시 초기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MPU(30)는 현재의 상기 카운트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S21), 만약 현재의 상기 카운트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S30), 상기 MPU(30)는 상기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을 수행하여 더 이상 마우스 커서가 상기 모니터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데(S31), 이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이 없는 소정시간에 상응하는 값이다.
예를 들여, 10초 동안 마우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마우스 커서가 사라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1초당 카운트되는 수직 동기신호의 개수는 25이므로 상기 기준값을 250(10×25)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 커서 숨김 동작후에도 상기 MPU(30)는 계속해서 마우스 움직임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현재의 마우스 커서 숨김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만약 마우스의 움직임이 감지되면(S40) 다시 마우스 커서가 상기 모니터 상에 출력 표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카운터의 값을 다시 초기값으로 설정하게 된다(S41).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은,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소정시간 동안 마우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숨김 처리함으로써, 실물 화상기를 통해 제공되는 중요한 문서, 그림 등을 감상시에 마우스 커서로 인한 글자가림, 그림가림 등의 장애 및 이로 인한 불편함을 제거한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신호연결된 모니터 상에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실물 화상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D 변환기 20 : 디지털 신호처리부(DSP)
30 : MPU

Claims (5)

  1.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카메라 촬영영상을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실물 화상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여부를 감시하는 제 1단계; 및
    소정시간 내의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따라,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2. 마우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카메라 촬영영상을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실물 화상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영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수직 동기신호의 발생시마다 초기값으로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되,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감지시 상기 카운터를 상기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카운트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로부터 외부기기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이 없는 소정시간에 상응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마우스 커서를 상기 외부기기 화면상에서 숨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커서에 대한 숨김동작 수행후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 감지시, 상기 카운터를 상기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한편, 상기 마우스 커서를 상기 외부기기 화면상에 출력 표시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KR1020040042842A 2004-06-11 2004-06-11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KR20050117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842A KR20050117680A (ko) 2004-06-11 2004-06-11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842A KR20050117680A (ko) 2004-06-11 2004-06-11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680A true KR20050117680A (ko) 2005-12-15

Family

ID=3729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842A KR20050117680A (ko) 2004-06-11 2004-06-11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6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501B2 (en) Imaging apparatus, flicker detection method, and flicker detection program
TWI433531B (zh) 啟動拍攝靜態畫面的方法與其系統
US20080131109A1 (en) Imaging Device
WO2004104921A3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endoscopic images
WO2020139595A1 (en) Reduction of banding artifacts in image processing
US10104309B2 (en) Imaging apparatus, flicker detection method, and flicker detection program
US918355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GB2452590A (en) Visual Presenter with Image Overlay
US1012745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thumbnail image of moving picture
JP2003348387A (ja) 資料提示装置
WO2017012232A1 (zh) 一种图片的显示方法及装置
US10911686B2 (en) Zoom control device, zoo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44026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o enable a user to check a captured image after image processing
TWI256261B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balancing color in a digital image
KR100677237B1 (ko) 듀얼 엘시디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
US20060055781A1 (en) Method of processing video data from video presenter
KR101289799B1 (ko) 임베디드 os를 탑재한 실물화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동작 방법
KR20050117680A (ko) 실물 화상기의 마우스 커서 처리방법
US11562712B2 (en) Video reproduction system,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for video reproduction system
WO2019229926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1975A (ko) 조도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 및 조도 조절 방법
KR101228319B1 (ko) 임베디드 os를 탑재한 실물화상 시스템에서 영상을오버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921681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呈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420761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746839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