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644A -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644A
KR20050117644A KR1020040042790A KR20040042790A KR20050117644A KR 20050117644 A KR20050117644 A KR 20050117644A KR 1020040042790 A KR1020040042790 A KR 1020040042790A KR 20040042790 A KR20040042790 A KR 20040042790A KR 20050117644 A KR20050117644 A KR 20050117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lectronic device
signal
receiving
m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644A/ko
Publication of KR2005011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을 구비하여 된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람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이 출력되는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에 설치되어 열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압감지용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는 저전압 증폭용 앰프와; 상기 저전압 증폭용 앰프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의 신호를 차단하는 뮤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SYSTEM MUTING EARPHONE FOR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어폰이 귀에서 분리되면 휴대용 전자기기가 자동적으로 파워 오프(power off)시키기 위한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또는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 등을 이용할 때 오디오나 휴대폰 등의 본체와 연결된 이어폰을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하여 청취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어폰이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어폰(20)이 전자기기(10)에 형성되는 플러그에 결합된 것으로, 이 이어폰(20)은, 신호 입/출력용 잭(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코드(22)의 일측 단부에 입/출력용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절연 몰딩(molding)(23)화하고, 분리된 입/출력 전선코드(24) 단부에 스피커(25)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어폰(20)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용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휴대폰 또는 전자책(e-book) 등과 같은 소형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오디오 기기 같은 전자기기(10)의 출력 증폭기(AMP)에서 좌 채널(L-CH), 우 채널(R-CH), 그라운드(GND)의 3라인(line)으로 이어폰(20)과 연결되거나, 리모콘 기능(LCD내장포함)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10)에서 이어폰(20)은 단순히 신호 전달 기능만을 한다.
그런데, 휴대용 전자기기로 예컨대, 음악을 청취하고 있을 때 타인과의 대화를 하게 되는 경우 전자기기 본체의 정지키(stop key)를 조작하지 않으면 자신이 듣고 있던 부분이 지나가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건전지가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어폰 이용시 일정 사유로 짧은 시간 또는 장시간 동안 귀에서 이어폰을 분리하면 정해진 짧은 시간에는 일시정지 기능을, 정해진 장시간 이후에는 파워 오프(power off) 기능을 수행하여 이어폰 사용 중 전자기기의 본체 기능키(function key)의 조작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어폰의 좌 또는 우채널 또는 좌우채널을 각각에 센서를 선택 사용하도록 한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을 구비하여 된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람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이 출력되는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에 설치되어 열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압감지용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는 저전압 증폭용 앰프와; 상기 저전압 증폭용 앰프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의 신호를 차단하는 뮤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30)을 구비하여 된 기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이어폰(30)을 이용하는 사람의 귀에 접촉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이 출력되는 이어폰(30)의 스피커(32)에 설치되어 열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압감지용 센서(33)와, 이 센서(33)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는 저전압 증폭용 앰프(AMP)(41)와, 이 저전압 증폭용 앰프(4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ADC)(42)와, 이 A/D 컨버터(4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43)와, 이 중앙처리장치(4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30)의 신호를 차단하는 뮤트회로(mute circuit)(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저전압 증폭용 앰프(41)는 통상 미세한 철망의 메시(mesh)로 형성되어 인체에 접촉되는 이어폰(30)의 스피커(32)에 설치된 센서(33)로부터 이어폰(30)을 사용하는 사람의 귀에서 인체로부터 전압으로 된 미세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30)은,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4극의 이어폰잭(jack)(31)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30)의 이어폰잭(31)은, 예컨대, 사운드 L, R극과, 그라운드 극 및 신호차단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도 가능하다. 즉, 수광부인 검출기(detector)와 송광부인 포토다이오드 (photo diode)를 각각 전자기기와 이어폰에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44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이고, 46은 상기 이어폰(30)에 음향을 출력하는 앰프(AMP)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MP3 플레이어,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휴대폰(10) 또는 전자책(e-book) 등과 같은 소형의 휴대용 전자기기(50)에서 이어폰(30)으로 음악 청취시 타인과의 대화나 다른 목적을 이유로 짧은 시간 또는 장시간 동안 귀에서 이어폰(30)을 분리하면 정해진 짧은 시간에는 일시정지 기능을 하고, 정해진 장시간에는 파워 오프(power off) 기능을 수행하여 이어폰(30) 사용 중 전자기기(50)의 본체의 기능키의 조작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이어폰(30)의 금속(철망) 부위인 스피커(32)에 설치되어 인체의 전압을 검출(L-CH 또는 R-CH 또는 L/R-CH )하는 센서(33)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를 저전압 증폭용 앰프(41)에서 수신한다. 이때의 신호는 귀에서 이어폰(30)이 분리되었을 때의 신호로 즉, 통상적으로 귀에서 검출되는 전압값으로 검출된 신호값이 수신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저전압 증폭용 앰프(41)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이렇게 증폭된 신호가 A/D 컨버터(42)에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한 신호를 수신한 A/D 컨버터(42)는 아날로그 신호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바로 중앙처리장치(43)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3)에서 상기한 신호를 검출하여 즉, 이어폰(30)이 사람의 귀에서 분리되면 정해진 짧은 시간에는 일시정지 기능을 하면서 이어폰(30)에서 음향 출력이 되지 않도록 뮤트회로(45)를 온(ON)하고, 다시 이어폰(30) 귀에다 꽂으면 뮤트회로(45)가 오프(off)하여 출력을 재개하게 된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43)에서 전원회로를 제어하여 파워 오프 모드(power off mode)로 되며, 파워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이어폰(30)의 금속 부위를 터치(touch)하거나, 귀에 꽂으면 파워 온(power on)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어폰 사용 중 일정 사유로 짧은 시간 또는 장시간 동안 귀에서 이어폰을 분리하면 정해진 짧은 시간에는 일시정지 기능을 하고, 정해진 장시간에는 파워 오프(power off) 기능을 수행하여 이어폰 사용 중 전자기기의 본체 조작키(key)의 조작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이어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이어폰
31. 이어폰잭
32. 스피커
33. 센서
41. 저전압 증폭용 앰프
42. A/D 컨버터
43. 중앙처리장치
44. 전원회로
45. 뮤트회로
46. 앰프

Claims (2)

  1.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을 구비하여 된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람의 귀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이 출력되는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에 설치되어 열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압감지용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는 저전압 증폭용 앰프와;
    상기 저전압 증폭용 앰프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어폰의 신호를 차단하는 뮤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4극의 이어폰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KR1020040042790A 2004-06-11 2004-06-11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KR20050117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790A KR20050117644A (ko) 2004-06-11 2004-06-11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790A KR20050117644A (ko) 2004-06-11 2004-06-11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644A true KR20050117644A (ko) 2005-12-15

Family

ID=3729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790A KR20050117644A (ko) 2004-06-11 2004-06-11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0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어폰과 결합하는 헤드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무선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0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어폰과 결합하는 헤드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무선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6477B (zh) 電子裝置配件
US20060045304A1 (en) Smart earphon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20281850A1 (en) Dual mode headphon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US20100279608A1 (en) Bluetooth device
KR2010013224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88833A (ko)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190327551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CN102149032A (zh) 具有电容式感测功能的入耳式耳机
KR101521938B1 (ko) 헤드셋
KR20070105555A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CN104244129A (zh) 可自动开启关断之接触式耳机
KR101494306B1 (ko)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JP2007165940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音響再生動作自動停止方法
CA2860542C (en) Personal sound amplifier
KR100835957B1 (ko)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7644A (ko) 전자기기의 이어폰 뮤트 시스템
US10218410B2 (en) Interface circuit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oupling a host device to an accessory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such devices
KR20080013608A (ko) 라우드 스피커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080110430A (ko)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CN211457342U (zh) 耳机及耳机组件
CN203840406U (zh) 一种将普通耳机转化为蓝牙耳机的装置
KR20150089859A (ko) 이어폰 장치
CN208158855U (zh) 一种音量放大配件及终端
KR20000001756U (ko) 보청기와 이어폰의 일체형구동장치
KR20080110429A (ko) 휴대용 단말의 전원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