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617A -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617A
KR20050117617A KR1020030069678A KR20030069678A KR20050117617A KR 20050117617 A KR20050117617 A KR 20050117617A KR 1020030069678 A KR1020030069678 A KR 1020030069678A KR 20030069678 A KR20030069678 A KR 20030069678A KR 20050117617 A KR20050117617 A KR 2005011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server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김재형
홍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홍종철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3006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617A/ko
Priority to KR1020030077077A priority patent/KR20050034516A/ko
Publication of KR2005011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617A/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장매체상에 저장되는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진일보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Comparison of User's Bio-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에 따른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기 기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획득,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생체정보인식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정보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과 바이오기술(Bio Technology)이 하나의 산업으로 결합된 것으로써, 최근 결제 관련 및 정보보호, 인증 등의 분야에서 상당치 가치 있는 기술 및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개인마다 독특하며, 불변하다는 장점을 갖으며, 이로 인한 개인의 생체적이고 행동적인 특성으로부터 개인을 인식 및 인증 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제반 서비스의 등장을 초래했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물리적인 보안 장치인 출입통제시스템에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개인의 생체정보(지문, 홍채 등)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및 생체정보를 이용한 원격 진료/진단 서비스 등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단순히 결제를 하기 위해 및 현재 카드 결제 등의 프로세스 보다 조금 더 편리하고자 하기 위한 생체정보의 활용은 생체정보의 활용성과 비밀유지성 등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다소 부담스러운 점이 있으며, 또한, 생체정보의 활용분야가 아직은 폭넓게 개발되지 않은 시점에서 생체정보의 이용률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한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상태의 체크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도, 아직 그 인프라가 널리 확장되지 않은 시점에서 인프라 구축에 상당한 비용투자가 소요되며, 그 서비스도 단순히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한 체크 정도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사용자 생체정보를 보다 효과적이고 보편화하여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진일보된 건강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신 개념의 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소정의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를 통한 사용자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은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는 상기 단말 및/또는 사용자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을 통해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통해 결제 승인 전문에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하거나, 및/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상기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와 연계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구축된 소정의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생체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추가 등이 가능함을 명기하는 바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생체정보로써 사용자의 홍채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홍채에 나타나 있는 인체 각 장부 및 조직기관의 건강상태, 노폐물이나 독소의 축적 부분, 내체한 신체의 강점 및 약점 등의 제반 사항을 n차 결제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n+1차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동공 주변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는 자율 신경선(ANW;Automatic Nerve Wreath)의 모양은 소화기관의 상태와 연관이 있으며, 상기 자율 신경선 내부가 위와 장과 연계되어 있음을 주지하여, 상기 동공 주변의 자율 신경선의 모양 등에 따른 생체정보 데이터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자율 신경선의 모양 변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장의 형태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초 사용자로부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였을 때, 상기 획득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차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상기 저장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현재 획득한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홍채 정보 상의 자율 신경선이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보다 밑으로 처진 경우, 상기 사용자의 대장이 밑으로 처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다른 일례로, 동공 내의 괄약근(동공을 수축시키는 기능)의 색깔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관련된 정보임을 주지하고, 상기 동공 내 괄약근의 색깔 정보에 근거한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흰색이 눈에 띠게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는 위산과다 현상을 보이거나 위산과다 현상의 조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교 판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및 상기 위산과당의 예방법(예컨대, 규칙적인 식사법 등)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일련의 구현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결제 처리시, 누적되어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정보저장매체는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과,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 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 상에 기록되는 상기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제2생체정보 데이터파일,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 등은 해당 사용자 정보의 억세스(Access)를 위한 억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억세스 정보는 사용자 생체정보를 이용한 n차 결제시에,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을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기록되며, 사용자의 n+1차 결제시에,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위하여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고유 코드 등)와 해당 생체정보의 사용 일시 및 생체 정보가 소정의 순번(예컨대, 결제 일시별 등)을 갖는 테이블 형태로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 등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생성 기능을 구비하는 전문가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생성 기능을 구비하는 전문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문가 서버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경우에,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다른 도면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을 위해 구성되는 바람직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서버(100)와, 결제 단말(145)과, 저장매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전문가 서버(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0)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 및/또는 연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100)는 생체정보 획득부(105), 생체정보 저장부(110), 생체정보 추출부(115), 생체정보 비교부(120), 건강정보 생성부(125), 건강정보 제공부(130) 및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비한다.
생체정보 획득부(105)는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단말(145)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제 단말(145)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결제 단말(145)이 스캔한 생체정보 이미지 및/또는 디지털화된 숫자 코드로 표시되는 생체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105)가 결제 단말(145)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105)와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에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생체정보 획득 횟수에 따라 제1차생체정보 데이터, 제2차생체정보 데이터, ..., 제n차생체정보 데이터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정보 추출부(115)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생체정보(제n차)와 새롭게 획득한 생체정보(제n+1차)의 비교를 위해, 상기 저장매체(135)로부터 생체정보(제n차)를 요청하거나 추출하도록 한다.
생체정보 비교부(120)는 기 저장되어 있던 제n차 생체정보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시 새롭게 획득한 제n+1차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n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와 상기 제n+1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으로 손바닥 정보(손금 정보, 손바닥 정맥 패턴 정보, 손바닥 피부 정보, 땀구멍 정보 등)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개인의 손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손금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패턴이나 분포된 정맥의 패턴 등을 근적외선 등으로 인식하여 제1차생체정보 데이터상에서 발견된 약간의 피부 갈라짐 현상을 발견하고, 제2차생체정보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피부 갈라짐 현상이 심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면,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는 상기 사용자 손의 습진 등의 질환이 더 심각해졌음을 인식하게 된다.
건강정보 생성부(125)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1차생체정보 및 제2차생정보 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따른 건강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생성부(125)는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건강정보의 생성을 위해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는 생체정보 전문가 서버(140)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강정보는 생체정보의 비교결과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및/또는 적절한 대체방안 등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건강정보 제공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의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유무선 전자메일이나 메신저로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상기 생체정보 제공부(130)는 결제와 동시에 상기 결제 단말(145)을 통해 결제승인전문에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도록 하거나 소정의 웹 게시판 등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결제 단말(145)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및 상기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제 단말(145)은 사용자로부터 스캔한 생체정보 이미지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1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한다. 따라서, 상기 결제 단말(145)은 생체정보 이미지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생체정보 인식(스캔)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도면1에 따르면, 전문가 서버(1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 및 생체정보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및/또는 상기 서버(100)로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
도면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 결제 단말(145)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 및 결제정보(사용자 정보 포함)를 서버(100)로 제공한다(200).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145)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정보(n)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한다(205).
이 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n-1)가 존재하는지 확인을 하고(210), 만약, 기 저장된 생체정보(n-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215), 본 흐름도는 상기 생체정보(n)의 비교를 위한 생체정보(n+1)가 획득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생체 정보(n-1)가 존재한다면(22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로부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1)을 추출하고(225), 상기 추출된 생체정보 데이터(n-1) 파일과 현재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을 비교하여, 상호 데이터간의 특이성 검출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230).
또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를 위한 생체정보(n+1)가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결제 행위를 통해 획득되었다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을 추출하고, 상기 생체정보(n+1) 파일과 비교하여, 상호 데이터간의 특이성 검출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상호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간의 비교를 통한 특이성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생체정보가 사용자 머리카락 등을 이용한 DNA 정보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n) 데이터와 상기 생체정보(n+1) 데이터를 비교하여 머리카락 등에 남아있는 미네랄 성분 및 유해 금속 성분의 함량 등을 기준치 정량 분석 등을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상기 생체정보(n) 데이터에 비해 차후에 획득한 생체정보(n+1) 데이터에 유해 금속(예를 들어, 수은, 납, 비소 등)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경우(특이성 검출), 사용자의 스트레스 증가 또는 영양의 불균형 등을 확인할 수 있고(건강상태 변화 정보), 이에 따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비타민B5 식품(레몬, 땅콩, 녹황색 야채 등) 리스트를(예방정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간에 특이성이 검출된다면(235), 상기 서버(100)는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간에 검출된 특이성에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고(240),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한다(245).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하고(250),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행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255) 본 도면2의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행위가 발생한다면(260), 상기 과정은 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부터 반복되게 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135)에 대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135)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를 실시한 n명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 식별 및 해당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접근을 위한 억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1, &2, ...&n).
또한,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재 건강상태 정보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상태변화 정보 파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저장매체(135)는 전술한 다수 개의 데이터 파일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는 생체정보를 기록 및/또는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후 결제시(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상기 기록된 생체정보의 비교를 통해 생체정보를 제공받는 시점에서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확인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135) 내에서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현재 건강상태 정보 파일 및 건강상태변화 정보 파일은 하기에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특히, 하기에 기술되는 도면4와 도면5는 각각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실시예를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생체정보로 하여 기록하고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들이다.
상기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점(시간)에 따라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보다 시간적으로 앞선다.
또한, 하기의 도면4와 도면5에서는 홍채정보에 대한 간략한 예시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동공 내부에 포함되는 괄약근의 색깔 변화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간단한 예시도로써,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 정보(사용자&1=kkk)와, 결제(사용)일시(2003.09.12.15:30)와, 생체정보종류(홍채)와, 디지털 수치로 변환된 생체정보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시된 홍채정보 예시도는 동공, 괄약근, 자율신경선 등으로 구분되어 도시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동공에 포함되는 괄약근은 동공을 수축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괄약근의 색깔에 따라 상기 괄약근과 연계되는 부분(예컨대, 소화기관, 장 등)의 상태를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다.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동공에 괄약근의 색깔이 미세하게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괄약근과 연관있는 소화기관 등의 분비액에 대한 이상을 진단 및 예측하도록 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1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전술한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의 차이점은 결제(사용)일시(2003.10.03.21:17)와, 디지털 수치로 변환된 생체정보 데이터 정보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5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도면4의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비해 시간적으로 늦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본 도면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시간적 갭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5에 따르면, 도시된 홍채관련 예시도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것에 비해, 괄약근의 흰색 정도가 보다 두드러졌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괄약근의 색깔 정보가 소화기관의 분비액에 관련되어 있음을 주지할 때,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흰색이 눈에 띠게 증가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시점에 비해 위산과다 현상을 보이거나 위산과다 현상의 조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도시된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정보저장매체(135)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비교 대상이 되는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과 동일하며, 예컨대, 본 도면은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4 및 도면5를 참조하여,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특이점으로 사용자 동공 내 괄약근의 다수 흰색분포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에 비해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시점이 많아진 것으로 확인되어, 사용자의 위산과다 현상 및 소화불량 증세의 증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간에 안 좋아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기간동안의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특이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응하는 건강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특이점에 대응하는 건강정보로써, 규칙적인 식사습관 제시, 자극적 음식 자제 등이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정보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건강상태 변화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미연에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의 구조도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도시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마다 누적되어 기록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결제시점을 주기로 하여, 결제시점 간의 사용자 건강상태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변호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따르면, 결제일이 2003.09.12에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고, 결제일이 2003.10.03에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으며, 결제일이 2003.10.17에 제3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에 따른 건강상태변화 정보 데이터를 살펴보면,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제1차 결제 시점)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미약하나마 흰색 조짐을 보여, 상기 사용자의 위산과다 또는 소화불량 등이 예견되었다.
후에,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의 흰색 정도가 비교적 심해졌음이 확인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산과다 또는 소화불량 등이 심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과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 간의 시간동안(약 20일 정도)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제3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의 흰색정도가 다소 사라짐이 확인되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한 결제시에,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기 기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획득,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소정의 주기(결제시마다) 동안에 본인의 건강상태 변화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으며, 건강상태 변화에 따른 건강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에 대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1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 105 : 생체정보 획득부
110 : 생체정보 저장부 115 : 생체정보 추출부
120 : 생체정보 비교부 125 : 건강정보 생성부
130 : 건강정보 제공부 135 : 정보저장매체
140 : 전문가 서버 145 : 결제 단말

Claims (27)

  1.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 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5.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3)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0. 제 5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전문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메일 주소 또는 메신저 주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내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2.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3.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4.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5.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8.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1.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5.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6.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7.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KR1020030069678A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KR20050117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KR1020030077077A KR20050034516A (ko) 2003-10-07 2003-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617A true KR20050117617A (ko) 2005-12-15

Family

ID=372383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KR1020030077077A KR20050034516A (ko) 2003-10-07 2003-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077A KR20050034516A (ko) 2003-10-07 2003-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76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99B1 (ko) * 2005-10-11 2007-05-23 한국과학기술원 할인점 내의 원격건강진단 키오스크를 이용한 계속보험료변액책정방법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100824757B1 (ko) * 2007-02-09 2008-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걸음걸이를 이용한 생체 인식 방법
EP2463796A3 (en) * 2010-12-07 201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KR101278155B1 (ko) * 2010-12-07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를 위한 건강 관리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432275B1 (ko) * 2012-03-06 2014-09-25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 특정 부위에 대한 변화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CN111401912B (zh) * 2020-03-16 2024-07-26 恒玄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移动支付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516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n et al. Biometric recognition: an overview
Jain et al. Biometrics of next generation: An overview
JP4782141B2 (ja) 電子バイオメトリック識別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941460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particularly for use with diagnostic images
EP1085454A3 (en)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iometrics information
Su et al. A biometric-based covert warning system using EEG
CN102509103A (zh) 基于视觉诱发p3脑电的身份识别
Traore et al. State of the art and perspectives on traditional and emerging biometrics: A survey
CN112489774A (zh) 一种临床试验受试者招募系统
CN111476940A (zh) 基于自助问诊端的分诊转诊方法及系统
Musa et al. Tongues: Could they also be another Fingerprint?
Huang et al. Robust multi-feature collective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for ECG biometrics
KR20050117617A (ko)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Hu New biometric approach based on motor imagery EEG signals
Demir et al. Multi-Layer Co-Occurrence Matrices for Person Identification from ECG Signals.
Smitha et al. Online Electroencephalogram (EEG) 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visual and audio stimuli
CN109840451A (zh) 一种基于心电身份识别的智能支付可穿戴环及其支付方法
CN109411078A (zh) 一种人工智能医生系统
Lin et al. What factors predict anti‐Black bias in pain perception? An internal meta‐analysis across 40 experimental studies
Chakraborty et al. Biometric analysis using fused feature set from side face texture and electrocardiogram
CN111243728A (zh) 一种智能中医四诊信息融合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20080109695A (ko)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Lj Biometric standards and methods
Bethel et al. Mining for implications in medical data
US20030065538A1 (en) Patient information system for explaining medical fin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