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516A -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516A
KR20050034516A KR1020030077077A KR20030077077A KR20050034516A KR 20050034516 A KR20050034516 A KR 20050034516A KR 1020030077077 A KR1020030077077 A KR 1020030077077A KR 20030077077 A KR20030077077 A KR 20030077077A KR 20050034516 A KR20050034516 A KR 20050034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server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ublication of KR2005003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516A/ko

Link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 그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장매체상에 저장되는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진일보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 그 저장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Comparison of User's Bio-information and Stor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에 따른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기 기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획득,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생체정보인식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정보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과 바이오기술(Bio Technology)이 하나의 산업으로 결합된 것으로써, 최근 결제 관련 및 정보보호, 인증 등의 분야에서 상당치 가치 있는 기술 및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는 개인마다 독특하며, 불변하다는 장점을 갖으며, 이로 인한 개인의 생체적이고 행동적인 특성으로부터 개인을 인식 및 인증 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제반 서비스의 등장을 초래했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물리적인 보안 장치인 출입통제시스템에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개인의 생체정보(지문, 홍채 등)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및 생체정보를 이용한 원격 진료/진단 서비스 등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단순히 결제를 하기 위해 및 현재 카드 결제 등의 프로세스 보다 조금 더 편리하고자 하기 위한 생체정보의 활용은 생체정보의 활용성과 비밀유지성 등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다소 부담스러운 점이 있으며, 또한, 생체정보의 활용분야가 아직은 폭넓게 개발되지 않은 시점에서 생체정보의 이용률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한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상태의 체크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도, 아직 그 인프라가 널리 확장되지 않은 시점에서 인프라 구축에 상당한 비용투자가 소요되며, 그 서비스도 단순히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한 체크 정도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사용자 생체정보를 보다 효과적이고 보편화하여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진일보된 건강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신 개념의 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소정의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를 통한 사용자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은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는 상기 단말 및/또는 사용자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을 통해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통해 결제 승인 전문에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하거나, 및/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상기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와 연계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구축된 소정의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생체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추가 등이 가능함을 명기하는 바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생체정보로써 사용자의 홍채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홍채에 나타나 있는 인체 각 장부 및 조직기관의 건강상태, 노폐물이나 독소의 축적 부분, 내체한 신체의 강점 및 약점 등의 제반 사항을 n차 결제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n+1차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동공 주변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는 자율 신경선(ANW;Automatic Nerve Wreath)의 모양은 소화기관의 상태와 연관이 있으며, 상기 자율 신경선 내부가 위와 장과 연계되어 있음을 주지하여, 상기 동공 주변의 자율 신경선의 모양 등에 따른 생체정보 데이터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자율 신경선의 모양 변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장의 형태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초 사용자로부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였을 때, 상기 획득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차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상기 저장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현재 획득한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홍채 정보 상의 자율 신경선이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보다 밑으로 처진 경우, 상기 사용자의 대장이 밑으로 처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다른 일례로, 동공 내의 괄약근(동공을 수축시키는 기능)의 색깔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관련된 정보임을 주지하고, 상기 동공 내 괄약근의 색깔 정보에 근거한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흰색이 눈에 띠게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는 위산과다 현상을 보이거나 위산과다 현상의 조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교 판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및 상기 위산과당의 예방법(예컨대, 규칙적인 식사법 등)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일련의 구현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결제 처리시, 누적되어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체정보 비교에 따른 건강정보의 제공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결제 및/또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 등을 포함하는 생체정보가 사용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생체정보가 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생체정보가 소정의 결제수단(예를 들어, 신용카드 등)에 대체하여 상기 결제수단 없이 생체정보만으로 결제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제1 생체정보와 제2 생체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들의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확인 및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인터넷 뱅킹, 보이스 뱅킹, ATM/CD, KIOSK, 가맹점 결제 등)
또한, 상기 생체정보가 인증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나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접근 등에 있어서, 보안 등을 위한 사용자 본인인증수단으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인증이 필요한 금융거래, 의료/금융거래기록 열람, 개인신상명세 조회, 불법출입자 판별, KISOK, 대여금고서비스 등)
추가로, 본 발명은 생체정보가 갖는 결제 및/또는 인증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지만, 생체정보(예컨대, 음성 정보 등)가 사용되는 텔레뱅킹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정보저장매체는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과,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 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 상에 기록되는 상기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제2생체정보 데이터파일,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 등은 해당 사용자 정보의 억세스(Access)를 위한 억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억세스 정보는 사용자 생체정보를 이용한 n차 결제시에,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을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기록되며, 사용자의 n+1차 결제시에,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위하여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고유 코드 등)와 해당 생체정보의 사용 일시 및 생체 정보가 소정의 순번(예컨대, 결제 일시별 등)을 갖는 테이블 형태로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 등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생성 기능을 구비하는 전문가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정보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생성 기능을 구비하는 전문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문가 서버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경우에,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다른 도면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을 위해 구성되는 바람직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서버(100)와, 결제 단말(145)과, 저장매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전문가 서버(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0)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 및/또는 연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100)는 생체정보 획득부(105), 생체정보 저장부(110), 생체정보 추출부(115), 생체정보 비교부(120), 건강정보 생성부(125), 건강정보 제공부(130) 및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비한다.
생체정보 획득부(105)는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단말(145)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제 단말(145)로부터 사용자의 제N생체정보 및 제N+1생체정보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결제 단말(145)이 스캔한 생체정보 이미지 및/또는 디지털화된 숫자 코드로 표시되는 생체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105)가 결제 단말(145)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105)와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에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체정보 저장부(110)는 생체정보 획득 횟수에 따라 제1차생체정보 데이터, 제2차생체정보 데이터, ..., 제n차생체정보 데이터 등으로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정보 추출부(115)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생체정보(제N차)와 새롭게 획득한 생체정보(제N+1차)의 비교를 위해, 상기 저장매체(135)로부터 생체정보(제N차)를 요청하거나 추출하도록 한다.
생체정보 비교부(120)는 기 저장되어 있던 제N차 생체정보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시 새롭게 획득한 제N+1차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N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와 상기 제N+1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120)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와 연동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으로 손바닥 정보(손금 정보, 손바닥 정맥 패턴 정보, 손바닥 피부 정보, 땀구멍 정보 등)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개인의 손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손금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패턴이나 분포된 정맥의 패턴 등을 근적외선 등으로 인식하여 제1생체정보 데이터상에서 발견된 약간의 피부 갈라짐 현상을 발견하고, 제2차생체정보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피부 갈라짐 현상이 심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면,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는 상기 사용자 손의 습진 등의 질환이 더 심각해졌음을 인식하게 된다.
건강정보 생성부(125)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N생체정보 및 제N+1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따른 건강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생성부(125)는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건강정보의 생성을 위해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는 생체정보 전문가 서버(140)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강정보는 생체정보의 비교결과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및/또는 적절한 대체방안 등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건강정보 제공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건강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N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 N+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사용자 생체정보의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유무선 전자메일이나 메신저로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상기 생체정보 제공부(130)는 결제와 동시에 상기 결제 단말(145)을 통해 결제승인전문에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웹 게시판 등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단말(145)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145)은 사용자로부터 스캔한 생체정보 이미지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1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음을 명기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145)은 생체정보 이미지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생체정보 인식(스캔)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정보를 근거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ATM(Auto Teller Machine)/CD기, 키오스크(KIOSK), 인터넷 뱅킹을 위한 퍼스널 컴퓨터, 텔레뱅킹 단말 및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잠금 장치(예컨대, 사설대여금고, 지문 도어락 등) 등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결제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은 소정의 결제처리 작업(예를 들어, 결제승인요청 전문 생성 등)과 병행하여, 상기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서버로 제공한다.
본 도면1에 따르면, 전문가 서버(1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 및 생체정보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및/또는 상기 서버(100)로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
도면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 결제 단말(145)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 및 결제정보(사용자 정보 포함)를 서버(100)로 제공한다(200).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145)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정보(n)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한다(205).
이 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n-1)가 존재하는지 확인을 하고(210), 만약, 기 저장된 생체정보(n-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215), 본 흐름도는 상기 생체정보(n)의 비교를 위한 생체정보(n+1)가 획득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생체 정보(n-1)가 존재한다면(22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로부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1)을 추출하고(225), 상기 추출된 생체정보 데이터(n-1) 파일과 현재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을 비교하여, 상호 데이터간의 특이성 검출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230).
또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를 위한 생체정보(n+1)가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결제 행위를 통해 획득되었다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35)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n)을 추출하고, 상기 생체정보(n+1) 파일과 비교하여, 상호 데이터간의 특이성 검출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상호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간의 비교를 통한 특이성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생체정보가 사용자 머리카락 등을 이용한 DNA 정보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n) 데이터와 상기 생체정보(n+1) 데이터를 비교하여 머리카락 등에 남아있는 미네랄 성분 및 유해 금속 성분의 함량 등을 기준치 정량 분석 등을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상기 생체정보(n) 데이터에 비해 차후에 획득한 생체정보(n+1) 데이터에 유해 금속(예를 들어, 수은, 납, 비소 등)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경우(특이성 검출), 사용자의 스트레스 증가 또는 영양의 불균형 등을 확인할 수 있고(건강상태 변화 정보), 이에 따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비타민B5 식품(레몬, 땅콩, 녹황색 야채 등) 리스트를(예방정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간에 특이성이 검출된다면(235), 상기 서버(100)는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간에 검출된 특이성에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고(240),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한다(245).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135)에 저장하도록 하고(250),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행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255) 본 도면2의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행위가 발생한다면(260), 상기 과정은 기 저장된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부터 반복되게 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135)에 대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135)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를 실시한 n명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을 기록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 식별 및 해당 사용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접근을 위한 억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1, &2, ...&n).
또한,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재 건강상태 정보 파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상태변화 정보 파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저장매체(135)는 전술한 다수 개의 데이터 파일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하는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는 생체정보를 기록 및/또는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후 결제시(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상기 기록된 생체정보의 비교를 통해 생체정보를 제공받는 시점에서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확인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135) 내에서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현재 건강상태 정보 파일 및 건강상태변화 정보 파일은 하기에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특히, 하기에 기술되는 도면4와 도면5는 각각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실시예를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생체정보로 하여 기록하고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들이다.
상기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점(시간)에 따라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보다 시간적으로 앞선다.
또한, 하기의 도면4와 도면5에서는 홍채정보에 대한 간략한 예시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동공 내부에 포함되는 괄약근의 색깔 변화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간단한 예시도로써,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 정보(사용자&1=kkk)와, 결제(사용)일시(2003.09.12.15:30)와, 생체정보종류(홍채)와, 디지털 수치로 변환된 생체정보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시된 홍채정보 예시도는 동공, 괄약근, 자율신경선 등으로 구분되어 도시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동공에 포함되는 괄약근은 동공을 수축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괄약근의 색깔에 따라 상기 괄약근과 연계되는 부분(예컨대, 소화기관, 장 등)의 상태를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다.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동공에 괄약근의 색깔이 미세하게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괄약근과 연관있는 소화기관 등의 분비액에 대한 이상을 진단 및 예측하도록 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1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전술한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의 차이점은 결제(사용)일시(2003.10.03.21:17)와, 디지털 수치로 변환된 생체정보 데이터 정보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5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도면4의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에 비해 시간적으로 늦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과 본 도면의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시간적 갭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5에 따르면, 도시된 홍채관련 예시도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것에 비해, 괄약근의 흰색 정도가 보다 두드러졌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괄약근의 색깔 정보가 소화기관의 분비액에 관련되어 있음을 주지할 때,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흰색이 눈에 띠게 증가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시점에 비해 위산과다 현상을 보이거나 위산과다 현상의 조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도시된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정보저장매체(135)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 건강정보 관련 데이터 파일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비교 대상이 되는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과 동일하며, 예컨대, 본 도면은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4 및 도면5를 참조하여,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특이점으로 사용자 동공 내 괄약근의 다수 흰색분포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에 비해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시점이 많아진 것으로 확인되어, 사용자의 위산과다 현상 및 소화불량 증세의 증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과 상기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간에 안 좋아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기간동안의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특이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응하는 건강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특이점에 대응하는 건강정보로써, 규칙적인 식사습관 제시, 자극적 음식 자제 등이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정보는 상기 생체정보 비교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건강상태 변화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미연에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의 구조도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도시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마다 누적되어 기록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결제시점을 주기로 하여, 결제시점 간의 사용자 건강상태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변호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따르면, 결제일이 2003.09.12에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고, 결제일이 2003.10.03에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으며, 결제일이 2003.10.17에 제3차 생체정보 데이터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가 기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에 따른 건강상태변화 정보 데이터를 살펴보면,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제1차 결제 시점)에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이 미약하나마 흰색 조짐을 보여, 상기 사용자의 위산과다 또는 소화불량 등이 예견되었다.
후에,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의 흰색 정도가 비교적 심해졌음이 확인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산과다 또는 소화불량 등이 심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과 제2차 생체정보 데이터 생성 시점 간의 시간동안(약 20일 정도)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제3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의 동공 내 괄약근의 흰색정도가 다소 사라짐이 확인되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생체정보인식 단말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기술이다.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제시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은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의 인증 처리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3)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생성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통해 결제 승인 전문에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하거나, 및/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상기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와 연계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또한, 이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체정보가 인증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나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접근 등에 있어서, 보안 등을 위한 사용자 본인인증수단으로 사용되는 생체정보 인증이 필요한 금융거래, 의료/금융거래기록 열람, 개인신상명세 조회, 불법출입자 판별, KISOK, 대여금고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정보 등의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텔레뱅킹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밝힌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기술되는 도면8과 도면9는 사용자 생체정보를 사용자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도면8) 및 사용자 생체정보를 결제수단 및 인증수단이 아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면9)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플로우 도면이다.
도면8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사용자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써, 사용자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생체정보로서 사용자 지문정보가 사용되며, 상기 지문정보의 인식이 가능한 ATM(Auto Teller Machine)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비교(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현재의 지문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기는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카드 정보 및 키입력 정보 등을 제공받아 VAN 등을 경유하여 거래은행이나 카드발행 기관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현금지급 등을 위한 승인처리를 실시함으로서 자동화된 결제를 위한 기기로써, 본 실시예는 상기 ATM기에 사용자 지문 인식을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ATM기를 작동하여 현금 지급 요청을 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ATM기에 본인의 지문정보를 제공한다(800).
ATM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지문정보를 서버(100)(또는 ATM기 내부 DB)로 제공하고(805), 상기 서버(100)는 ATM기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인지 확인하도록 한다(810).
예컨대, 상기 기 등록된 지문정보의 확인은, 상기 사용자의 카드 및/또는 통장 및/또는 개인고유코드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지문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의 현재 지문정보와 비교할 근거가 되는 기 등록된 지문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81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지문 정보를 근거로, 현재의 건강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지문정보의 비교를 위해, 현재의 지문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 등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지문정보의 등록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지문정보에 패턴인식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타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동일하게 갖을 수 있는 공통점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의 본인인증 및 건강정보획득 및 비교를 위한 특징점만이 추출되어 템플릿의 형태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징점은 지문 끝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심박정보 또는 정맥 배열 또는 혈관체온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템플릿은 특징점이 개수를 많이 포함할수록 그 크기가 커지게 되나, 인식오류율은 감소하게 되며, 상기 템플릿에 포함되는 특징점은 일반적으로 15∼6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 정보가 존재한다면(820),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획득한 지문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기존 지문정보와 현재 지문정보간의 특이성을 확인하도록 한다(825).
예컨대, 상기 지문정보간의 보다 명확한 비교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템플릿 사이즈를 확대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며, 이는 본 실시예의 구현과정에서 당업자가 보완 및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음을 명기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현재의 지문정보간의 특이성이 확인된다면(830), 상기 서버(100)는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지문정보간에 검출된 특이성에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 생성한다(835).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현재의 지문정보간의 특이성이 확인 및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생성에 있어서, 상기 사용되는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오른손 엄지인 경우, 일반적으로 오른손 엄지는 소화기 계통이나 간, 편도선, 감기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특징점이 기존의 지문정보에 비해 현재 조금 벌어져있거나, 특징점이 조금 뒤틀려있는 경우, 상기 지문정보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건강상태 변화정보를 ATM기로 전송하고(840), ATM기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지급 요청에 대한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845).
도면9는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도면은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비교 측정하기 위한 생체정보로써 사용자 음성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사용자 음성을 사용하는 텔레뱅킹(또는 보이스 뱅킹)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뱅킹은 전화로 은행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각 은행의 텔레뱅킹 센터에 전화가 연결되면, 전화기에 설치된 음성 자동응답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은행업무를 보다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텔레뱅킹에 사용되는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고자 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계좌이체 등의 은행업무를 목적으로 텔레뱅킹 단말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을 실시하고, 상기 서버(100)로 텔레뱅킹처리를 요청한다(900).
서버(100)는 텔레뱅킹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90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 음성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910).
만일,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음성정보와 비교할 근거가 되는 기 등록된 사용자 음성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915), 상기 서버는 차후에 획득하는 사용자 음성정보와의 비교를 위해 상기 획득한 음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 등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음성정보와 비교할 근거가 되는 기 등록된 사용자 음성정보가 존재한다면(92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획득한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상호간의 특이성 존재여부를 확인한다(925).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정보의 비교는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음의 발음 등을 통해 단기간의 배음 대 소음 비율(HNR:Harmonics to Noise Ratio)을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
일례로, 건강한 사람이 발성한 '아' 또는 '이'발음의 HNR은 약 20 dB이고 '우'는 40 dB가 되는데 이것은 모음 '아'와 '이'의 스펙트럼에서 고주파 부분의 진폭이 높아서 상기 HNR이나 Jitter 값(단위시간 안의 발음에서 성대의 진동인 피치의 변화의 양)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이 쉬거나 병적인 음성으로 발음한 모음 '이'의 HNR은 20 dB보다 훨씬 낮게 되므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의 HNR과 현재의 사용자 음성의 HNR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나 병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음성의 Jitter값 등을 비교하여(이상이 있을 시 값의 변화가 심함), 상기 사용자의 성대 결절이나 암조직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 등록된 음성정보와 현재 획득한 음성정보와 비교한 결과, 상호간의 특이성 존재한다면(930), 상기 서버(100)는 기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상기 음성정보간에 검출된 특이성에 대응하는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935),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건강상태 변화정보를 텔레맹킹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보한다(940).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한 결제시에,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결제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기 기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획득,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소정의 주기(결제시마다) 동안에 본인의 건강상태 변화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으며, 건강상태 변화에 따른 건강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본인 인증 처리시에, 상기 사용자 생체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사용자의 인증 처리 요청시, 기 기록된 생체정보와 현재의 사용자 생체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처리시마다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에 대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1차 결제시 획득하는 제n+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n차 생체정보 데이터와, 제n+1차 생체정보 데이터의 비교에 따른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의 구조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 105 : 생체정보 획득부
110 : 생체정보 저장부 115 : 생체정보 추출부
120 : 생체정보 비교부 125 : 건강정보 생성부
130 : 건강정보 제공부 135 : 정보저장매체
140 : 전문가 서버 145 : 단말

Claims (60)

  1.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결제 처리시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 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5.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3)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0. 제 5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전문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메일 주소 또는 메신저 주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내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2.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3.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4.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5.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8.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1.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 처리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5.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손바닥 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DNA(Deoxyribo Nucleic Ac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6.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7.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2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9.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1. 제 21항 또는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2.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소정의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했던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1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상기 제1생체정보를 제공했던 사용자가 현재 소정의 단말장치를 통해 생체 정보를 제공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제2생체정보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생체정보와 제2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2생체정보 제공일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정보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 상태 변화 정보 데이터 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5.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또는 결제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36.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과거 생체정보와 현재 생체정보의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3)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1. 제 36항 또는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메일 주소 또는 메신저 주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2.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내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3. 제 36항 또는 제 37항 또는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4.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6.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7. 제 44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8.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1)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1)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1)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2)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2)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2)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와 상기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2)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2) 저장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체정보를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요청시,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생체정보(3)를 소정의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생체정보(3)를 상기 생체정보 제공 일시 정보(3)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와 상기 생체정보(3)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3)와 상기 생체정보(1) 및/또는 생체정보(2)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정보 제공일시(1) 및/또는 생체정보 제공일시(2)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생체정보 제공일시(3)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51.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문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52. 제 48항 또는 제 49항 또는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홍채 정보, 망막 정보, (손바닥)지문 정보, 얼굴형상 정보, 얼굴 온도 분포 정보, DNA 정보, 정맥 정보, 체취/구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적생체정보 및/또는 서명 정보, 음성 정보, 타자행태 정보, 마우스 움직임 정보, 걸음걸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적생체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53.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제공했던 사용자의 제N생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제공하는 제N+1생체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제N생체정보 및 제N+1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정보 획득부와,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가 수신한 상기 제N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생체정보 저장부와,
    상기 생체정보 저장부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제N생체정보와 현재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새롭게 수신되는 상기 제N+1생체정보의 비교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제N생체정보를 요청하거나 추출하는 생체정보 추출부와,
    상기 생체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제N생체정보와 상기 제N+1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N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와 상기 제N+1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확인하는 생체정보 비교부와,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를 통한 상기 제N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와 상기 제N+1차 생체정보의 획득시기의 사용자 건강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N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N+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정보 생성부와,
    상기 건강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N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에 대비되는 현재 제N+1생체정보 제공일시의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한 생체정보 이미지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는 생체정보 인식(스캔)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5. 제 53항 또는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결제 단말장치, ATM(Auto Teller Machine)/CD기, 키오스크(KIOSK), 인터넷 뱅킹을 위한 퍼스널 컴퓨터, 텔레뱅킹 단말장치,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잠금 장치(사설대여금고, 및/또는 지문 도어락 포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6.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비교부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7.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생성부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건강상태 정보 생성 전문가 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8.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59.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결제 승인 전문에 포함시켜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메일 주소 또는 메신저 주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60.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는,
    상기 서버내 소정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030077077A 2003-10-07 2003-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KR20050034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78 2003-10-07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846A Division KR20080109694A (ko) 2008-10-31 2008-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KR1020080107858A Division KR20080109695A (ko) 2008-10-31 2008-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516A true KR20050034516A (ko) 2005-04-14

Family

ID=372383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KR1020030077077A KR20050034516A (ko) 2003-10-07 2003-10-31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78A KR20050117617A (ko) 2003-10-07 2003-10-07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761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99B1 (ko) * 2005-10-11 2007-05-23 한국과학기술원 할인점 내의 원격건강진단 키오스크를 이용한 계속보험료변액책정방법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100824757B1 (ko) * 2007-02-09 2008-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걸음걸이를 이용한 생체 인식 방법
WO2012077954A2 (en) * 2010-12-07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CN102682193A (zh) * 2010-12-07 2012-09-19 三星电子株式会社 保健装置、用于保健的方法和图形用户接口
KR101432275B1 (ko) * 2012-03-06 2014-09-25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 특정 부위에 대한 변화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99B1 (ko) * 2005-10-11 2007-05-23 한국과학기술원 할인점 내의 원격건강진단 키오스크를 이용한 계속보험료변액책정방법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100824757B1 (ko) * 2007-02-09 2008-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걸음걸이를 이용한 생체 인식 방법
WO2012077954A2 (en) * 2010-12-07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WO2012077954A3 (en) * 2010-12-07 201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CN102682193A (zh) * 2010-12-07 2012-09-19 三星电子株式会社 保健装置、用于保健的方法和图形用户接口
KR101278155B1 (ko) * 2010-12-07 201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를 위한 건강 관리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432275B1 (ko) * 2012-03-06 2014-09-25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 특정 부위에 대한 변화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617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9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biometric identity recognition
JP4782141B2 (ja) 電子バイオメトリック識別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930276B2 (en) Method of multiple algorithm processing of biometric data
US20100311482A1 (en) Electro-Biometric Methods and Apparatus
US200601367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biometric identity recognition
US20050065815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1494474B2 (en) Brain activity-based authentication
JP5642210B2 (ja) 電子バイオメトリック識別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80109695A (ko)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050034516A (ko)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및그 저장매체
Saeed Biometrics principles and important concerns
KR20080109694A (ko) 사용자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Bethel et al. Mining for implications in medical data
Bhattacharyya et al. Vascular Pattern Analysis towards Pervasive Palm Vein Authentication.
Laka et al. Novel user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body composition analysis
Jain et al. Biometric signature authentication scheme with RNN (BIOSIG_RNN) machine learning approach
Jahan et al. Securing healthcare data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lipio Development, evaluation, and analysis of biometric-based bank vault user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brainwaves
Manikpuri Biometric Security Systems for Beginner
Sathiya Suntharam et al. Robust multimodal biometric recognition based on joint sparse representation
Nanayakkara et al. Biometric Traits in Enhancing Security of Healthcare
Madhuvani et al. Ratified biometric automatic teller machine availing RFID and IVRS technology for visually impaired in comparison with smart ATM
Basavesha et al. An Intelligent Cash Machine Computational Methodology Based on Iris Scanners
Ahmad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Biometric Recognition Techniques
BADOVINAC et al. Biometric Authentication Model Based on Transformation of Face Image into a PIN Number Usab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