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324A -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324A
KR20050117324A KR1020040042610A KR20040042610A KR20050117324A KR 20050117324 A KR20050117324 A KR 20050117324A KR 1020040042610 A KR1020040042610 A KR 1020040042610A KR 20040042610 A KR20040042610 A KR 20040042610A KR 20050117324 A KR20050117324 A KR 2005011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regulator
power
electronic device
l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324A/ko
Publication of KR2005011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3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장치에서 부하로 정전압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에 대한 과부하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과부하 검출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작용은 다수의 레귤레이터에서 다수의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1단계와, 다수의 부하를 제어하는 중에, 임의의 원인에 의해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판단결과,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기기내 전원장치의 각 부품의 파괴 내지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VERLOAD IN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장치에서 부하로 정전압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의 출력전압에 대한 과부하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과부하 검출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하여 부하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가전기기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경우, 동작중 낙뢰와 같은 외부의 영향 또는 고장 선로 등 어떠한 원인으로부터 발생되는 과전압 및 과전류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원장치내 각 부품이 파괴 내지 손상되어 전자기기가 동작되지 않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하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더미스터(Thermistor), 포지스터(Posistor), 커런트 리미터(Current Limiter), 써멀 슛다운(Thermal Shut Down) 등의 각종 감열저항소자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감열저항소자는 속응성에 결점이 있기 때문에 부하의 단락과 같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곧바로 출력전원을 제한할 수 없어 여전히 전원장치내 각 부품이 파괴 내지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장치에서 부하로 정전압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에 대한 과부하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과부하 검출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전자기기내 전원장치의 각 부품의 파괴 내지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은 다수의 레귤레이터에서 다수의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1단계와, 다수의 부하를 제어하는 중에, 임의의 원인에 의해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판단결과,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확인하여 이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진 경우,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오프시켜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10)와, 전원장치에 입력되는 교류(AC)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정전압전원을 부하에게 안정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와, 각각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에서 출력되는 정전압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제1,2,3 부하(31,32,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스탠바이 모드 상태의 경우 전원을 오프시켜 각각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에서 각각의 제1,2,3 부하(31,32,33)로의 전원 공급을 끊어주고 있다가, 액티브 모드 상태로 전원 온 키신호가 입력되면 각각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에서 각각의 제1,2,3 부하(31,32,33)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액티브 모드 상태로 제1,2,3 부하(31,32,33)중 임의의 부하가 동작중인 경우 어떠한 원인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게 될 경우, 과부하가 발생한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떨어지게 되어 레귤레이터가 파괴 내지 손상을 입는다.
이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중에, 임의의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떨어질 경우, 스탠바이 모드 상태로 즉시 전환하여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레귤레이터 및 부하의 파괴 내지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다수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전원 제어단(Power CTL)에 의해 모두 연동되어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중 임의의 레귤레이터 출력에서 과부하가 걸리드라도 최하위 레귤레이터의 출력에 나타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는 최하위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으로부터 과부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원 온 키신호의 입력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액티브 모드 상태가 되어 각각의 제1,2,3 레귤레이터(21,22,23)에서 각각의 제1,2,3 부하(31,32,33)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단계 201).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레귤레이터가 전원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입력되는 AC전원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정전압 전원을 부하에게 안정적으로 출력 및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액티브 모드 상태로 각각의 제1,2,3 부하(31,32,33)를 동작하는 중에, 임의의 원인에 의해 다수의 제1,2,3 부하(31,32,33)중에서 임의의 부하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여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2).
상기 판단(202)결과,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판단(202)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202)결과,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 상태로 전환(단계 203)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04).
이상과 같이, 과부하가 발생된 원인에 대하여 그 조치를 취하고 그 원인을 해결한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외부로부터 전원 온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단계 205), 액티브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과부하의 원인이 제거된 레귤레이터에서 부하로 전원 공급을 수행하여 부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206).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장치에서 정전압전원을 부하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감지하여, 이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과부하 상태로 검출하여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및 전원을 오프시킨 후 과부하 원인을 제거한 다음 전원을 온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기기내 전원장치의 각 부품의 파괴 내지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21,22,23 : 제1,2,3 레귤레이터
31,32,33 : 제1,2,3 부하

Claims (5)

  1. 다수의 레귤레이터에서 다수의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다수의 부하를 제어하는 중에, 임의의 원인에 의해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과정을 마친 후, 상기 임의의 원인을 해결할 경우, 액티브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귤레이터는, 최하위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으로부터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 레귤레이터의 과부하 판단에 의해 상기 다수의 레귤레이터 출력의 오버 로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레귤레이터와 상기 다수의 부하는 일대일로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KR1020040042610A 2004-06-10 2004-06-10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KR20050117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10A KR20050117324A (ko) 2004-06-10 2004-06-10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10A KR20050117324A (ko) 2004-06-10 2004-06-10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24A true KR20050117324A (ko) 2005-12-14

Family

ID=3729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610A KR20050117324A (ko) 2004-06-10 2004-06-10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3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3130B (zh) 具有电流保护固态继电器的控制装置
KR101515849B1 (ko) Cmos 디바이스의 래치―업 자동 검출 및 cmos 디바이스로의 전력 순환
US20080112100A1 (en) Digital electric leakage detecting and monitoring device
JP6876844B2 (ja) ソフトスタート及び保護を備える電源装置
US80603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lectrical short across a static switch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07129871A (ja) 避雷器の切離し制御装置
EP2782202B1 (en) Prote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03594B1 (ko) 소프트―스타트 및 보호를 구비한 전력 공급 장치
JP5511599B2 (ja) 転流式遮断装置
KR100789915B1 (ko)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의 방법
JP6509029B2 (ja) 分電盤
US20090257156A1 (en) Method of setting a ground fault trip function for a trip unit and a trip unit having a defined trip function for ground fault protection
CN110874094A (zh) 软启动器的检测装置和检测系统
US10284073B2 (en) Power supply built-in testing
CN107181235A (zh) 用于高电流脉冲电源的短路控制
KR20050117324A (ko) 전자기기의 과부하 제어방법
US7898784B2 (en) Protection circuit with variable current level limits
US2013025744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58617B1 (ko) 전력 잡음 제거장치
JP2008124946A (ja) 電源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5436976B2 (ja) 測定装置の電源制御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S626268Y2 (ko)
JP7487455B2 (ja) 負荷状態監視装置
JP6426208B2 (ja) 車両制御装置
JP2011041410A (ja) 電子機器用過電流保護装置及び電源遮断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