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269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269A
KR20050117269A KR1020040042530A KR20040042530A KR20050117269A KR 20050117269 A KR20050117269 A KR 20050117269A KR 1020040042530 A KR1020040042530 A KR 1020040042530A KR 20040042530 A KR20040042530 A KR 20040042530A KR 20050117269 A KR20050117269 A KR 20050117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ariable resistor
digital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17B1 (ko
Inventor
문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4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41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그래픽 이퀄라이저(Graphic Equalizer)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설정 값을 부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부여한 설정 값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주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이퀄라이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프로세서의 역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그 전류의 소모량을 적도록 하고 메모리 용량도 적도록 함과 동시에, IC(Integrated Circuit)화하는데 제약이 되는 소자들을 제거하여 IC화하기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a Graphic Equalizer Circu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퀄라이저는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에서 오디오 신호 따위의 전체적인 진동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 회로로서, 녹음 또는 스피커의 특성을 바로잡거나, 노래의 높은 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해당 이퀄라이저 중에서 가변 이퀄라이저(Variable Equalizer)는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또는 디-엠퍼시스(De-emphasis)와 같은 고정된 이퀄라이저(Fixed Equalizer)에 비해 오디오 신호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해당 가변 이퀄라이저의 한 종류로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주로 사용한다.
해당 그래픽 이퀄라이저는 슬라이드 바와 같은 조절 단자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별로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주파수별 신호 크기를 조정하는 슬라이드 바들이 일렬로 정렬된 모습이 그래프와 비슷하다고 하여 보통 그래픽 이퀄라이저라고 칭한다.
그리고, 해당 그래픽 이퀄라이저는 아날로그 가변 저항을 보통 이용하여 특정 대역의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데, 여기서 해당 아날로그 가변 저항은 그 크기나 인터페이스(Interface) 등의 문제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기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구현하기 위해서, 다른 가능한 방법으로는 MP3(MPEG Layer 3)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영역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있다.
그런데, 해당 MP3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영역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프로세서(Processor)의 자원을 매우 많이 차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연산 처리로 인하여 해당 프로세서에서 많은 양의 전류를 소모하며, 또한 많은 메모리 용량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프로세서는 호(Call) 처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복합적인 동작들을 수행해야 하므로, 해당 프로세서의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고 그 전류의 소모도 매우 많으며, 또한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요구하게 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스테레오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요소들을 하드웨어로 구현하고 해당 하드웨어의 제어만을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프로세서의 역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그 전류의 소모량을 적도록 하고 메모리 용량도 적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IC(Integrated Circuit)화하는데 제약이 되는 소자들 없이 스테레오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IC화하기 매우 용이하고 전력 소모도 매우 적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설정 값을 부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부여한 설정 값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주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이퀄라이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나타나는 이퀄라이저 UI(User Interface) 또는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 가지의 설정 값 조합을 미리 생성시켜 저장해 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된 설정 값 조합들을 메뉴 트리로 구성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에 의해 희망하는 설정 값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퀄라이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오피 앰프와; 상기 오디오 앰프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감쇄하는 제2오피 앰프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저항 값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상기 제1오피 앰프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디지털 가변 저항부와;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신호 레벨 조절에 따라 신호 크기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의 공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는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가변 저항 부분을 디지털화하여 상기 프로세서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를 다수 단계로 설정하여 상기 각 공진부의 신호 레벨을 다수 단계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각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 차 디코더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수 차 디코더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를 조절하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진부는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다수 개로 구현되어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와 연결하여 다수 개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스테레오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는데, 이때 가변 저항 부분을 디지털화하여 내부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공진부를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해당 공진부를 해당 디지털 가변 저항 부분과 연결시켜 해당 공진부의 신호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n'개의 공진부를 사용하여 'n'개의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하며, 해당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공진부에 'm'단계의 디지털 가변 저항 부분을 연결시켜 'm'단계로 해당 각 주파수별 신호 크기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는 오디오 파일(예를 들면,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고 내부 프로세서에서 해당 하드웨어의 제어만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부품들의 크기를 작게 하고 IC화하는데 제약이 되는 소자들을 없도록 하여 저전력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그 전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와, 이퀄라이저(20-1, 20-2)와, 오디오 앰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세서(10)는 MSM(Mobile Station Modem) 내에 있는 프로세서, 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칩 등에 있는 프로세서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설정 값을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에 부여하여 해당 주파수에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해당 설정 값의 결정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에 나타나는 이퀄라이저 UI 또는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한 값을 상기 프로세서(10)에서 판독한 후에 생성한다. 다르게는, 몇 가지의 설정 값 조합을 미리 생성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해 둔 후에 해당 설정 값 조합을 적용해 준다. 예를 들어, 락, 재즈, 클래식 등의 경우에 이에 대한 메뉴 트리를 구성시켜 해당 LCD를 통해 해당 메뉴 트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해 준다.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는 상기 프로세서(10)가 보통 MP3 파일의 출력을 스테레오로 지원하기 때문에 2 개를 사용하여 우측과 좌측 출력 신호 각각에 적용되어지는데,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적용된 설정 값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상기 오디오 앰프(30)에 전달해 준다.
상기 오디오 앰프(30)는 최종적으로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해 준다.
그리고,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오피 앰프(OP1, OP2)와, 다수 개(예로, 'n'개)의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와, 다수 개(예로, 'n'개)의 공진부(22-1 ~ 22-n)와, 제어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오피 앰프(OP1, OP2)는 오디오 신호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1오피 앰프(OP1)는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증폭 기능(Boost Function)(즉, 밴드패스(Band-pass)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오피 앰프(OP2)는 상기 오디오 앰프(30)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의 감쇄 기능(Cut Function)(즉, 나취(Notch)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는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가변 저항 부분을 디지털화하여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의 제어 입력을 제외하고 3 개의 단자를 더 구비하는데, 이 중 가운데의 탭 단자는 상기 각 공진부(22-1 ~ 22-n)와 연결되고 나머지 두 단자는 각각 상기 각 오피 앰프(OP1, OP2)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는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공진부(22-1 ~ 22-n)와 연결되어 상기 각 공진부(22-1 ~ 22-n)의 신호 레벨을 조절해 주는데, 즉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저항 값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각 공진부(22-1 ~ 22-n)의 오디오 신호 크기를 변경시켜 준다.
상기 각 공진부(22-1 ~ 22-n)는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다수 개(예로, 'n'개)로 구현되어 다수 개(예로, 'n'개)의 주파수를 제어하는데,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신호 레벨 조절에 따라 다수 개(예로, 'm'개)의 단계로 해당 각 주파수 대역별 신호 크기를 제어하여 해당 각 주파수 대역별 신호의 공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를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저항 값을 설정해 준다.
그리고,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카운터(24)와, 비휘발성 메모리(25)와, m 차 디코더(26)와, 다수 개의 어레이 저항(R1 ~ Rm-1)과, 다수 개의 스위치(S1 ~ Sm)와, 저항(Rw)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업/다운 카운터(24)는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m 차 디코더(26)의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중앙 탭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해당 비휘발성 메모리(25)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중앙 탭에 대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한다.
해당 m 차 디코더(26)는 해당 업/다운 카운터(24)의 디코더 값 조절에 따라 해당 각 스위치(S1 ~ Sm)의 개폐를 제어한다.
해당 각 스위치(S1 ~ Sm)는 해당 m 차 디코더(26)의 개폐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중앙 탭 위치를 'm' 단계로 설정하여 상기 각 공진부(22-1 ~ 22-n)의 신호 레벨을 'm' 단계로 조절해 준다.
그리고, 상기 각 공진부(22-1 ~ 22-n)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 R2)과, 커패시터(C1, C2)와, 오피 앰프(OP)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해당 공진부(22-1 ~ 22-n)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저항', '인덕터' 및 '커패시터'의 소자가 필요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인덕터의 구현이 관건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오피 앰프(OP)를 이용하여 공진 회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지며, 해당 공진 회로의 중심 주파수는 두 개의 커패시터(C1, C2)와 제2저항(R2)의 적절한 값의 선택으로 결정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에 대한 동작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에 나타나는 이퀄라이저 UI 또는 키패드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 설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데이터들을 입력하게 되면, MSM 혹은 멀티미디어 칩 등에 있는 프로세서(10)에서는 해당 입력된 데이터들을 판독한 후에, 해당 입력 데이터들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이퀄라이저 설정 값을 발생시켜 이퀄라이저(20-1, 20-2)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특성의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도록 해 준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이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 값을 생성시켜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에 부여하여 해당 주파수에서 신호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다르게는, 특정 유형의 설정 값(예를 들면, 락, 재즈, 클래식 등)을 설정하거나, 또는 몇 가지의 설정 값 조합을 미리 생성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해 두는데, 이때 해당 설정 값을 이퀄라이저 UI에 설정된 메뉴 트리로 구성시켜 준 후에, 상기 LCD를 통해 해당 메뉴 트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설정 값을 선택하도록 해 준다. 예를 들어, 락, 재즈, 클래식 등의 경우에 이에 대한 메뉴 트리를 구성시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특정 유형의 설정 값을 선택하여 원하는 특성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는 상기 프로세서(10)에 의해 적용된 설정 값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예를 들면, 락, 재즈, 클래식 등)로 변형시켜 오디오 앰프(30)에 전달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앰프(30)는 최종적으로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해 준다.
한편,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의 동작을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프로세서(10)에서 직접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를 제어하거나,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23)에서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저항 값을 설정해 준다.
이에,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는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저항 값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공진부(22-1 ~ 22-n)의 신호 레벨을 조절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공진부(22-1 ~ 22-n)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신호 레벨 조절에 따라 오디오 신호 크기를 제어하여 해당 오디오 신호의 공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다수 개(예로, 'n'개)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예로, 'n'개)의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와, 다수 개(예로, 'n'개)의 공진부(22-1 ~ 22-n)가 필요한데, 예를 들어 'n'이 5인 경우에 5 가지 대역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이퀄라이저(20-1, 20-2)의 슬라이드 바가 5 개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2 개의 오피 앰프(OP1, OP2) 중에서 제1오피 앰프(OP1)는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증폭 기능을 수행하며, 제2오피 앰프(OP2)는 상기 오디오 앰프(30)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의 감쇄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가운데 탭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기도 하고 감쇄되기도 하는데, 상기 공진부(22-1 ~ 22-n)에 연결된 탭이 가운데 위치하게 되면 오디오 신호는 증폭되지도 않고 감쇄되지도 않는 평탄한 특성을 보이며, 반면에 상기 공진부(22-1 ~ 22-n)에 연결된 탭이 'H' 표시 위치로 이동할수록 오디오 신호는 점점 증폭되어지고 'L' 표시 위치로 이동할수록 오디오 신호는 감쇄되어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공진부(22-1 ~ 22-n)에서 오디오 신호의 증폭 및 감쇄를 수행하게 되는데, 해당 증폭되는 양 및 감쇄되는 양은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어지는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저항 값에 좌우된다.
다른 한편,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동작을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는 일반적인 기계적인(Mechanical) 가변 저항과 동작적인 측면에서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지만, 제어 측면에서는 기계적이 아닌 전기적으로 제어를 수행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각 공진부(22-1 ~ 22-n)의 신호 레벨을 조절해 준다.
우선,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 내의 업/다운 카운터(24)는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m 차 디코더(26)의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줌으로써, 실제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중앙 탭의 위치를 조절해 주게 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의 중앙 탭에 대한 위치 정보들은 예를 들어, EEPROM과 같은 비활성 메모리(25)에 저장되어지는데, 이때 해당 중앙 탭의 위치는 상기 프로세서(10) 또는 상기 제어부(23)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어지며, 이에 해당 중앙 탭 위치에 대한 정보는 해당 비활성 메모리(25)에 저장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m 차 디코더(26)는 상기 업/다운 카운터(24)의 디코더 값 조절에 따라 각 스위치(S1 ~ Sm)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각 스위치(S1 ~ Sm)의 개폐 여부에 따라 'm' 단계의 중앙 탭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공진부(22-1 ~ 22-n)의 신호 레벨을 'm' 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공진부(22-1 ~ 22-n)를 'n' 개 사용하게 되면 'n' 개의 주파수에서 오디오 신호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m' 단계의 디지털 가변 저항부(21-1 ~ 21-n)를 사용하게 되면 각 주파수별로 'm' 단계의 신호 크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이퀄라이저(20-1, 20-2)를 두 개 사용하여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며, 또한 해당 두 개의 이퀄라이저(20-1, 20-2)의 제어는 상기 프로세서(10)에서 수행하게 되므로 디지털 그래픽 이퀄라이저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MP3 파일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경우에 소리의 가공이 가능하므로, 음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설정(예를 들어, 락, 재즈, 클래식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일반 오디오 기기에서나 가능했던 박진감 있는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상에 실제 슬라이드 바와 같은 아이콘들을 생성시켜 키패드의 화살표 키 등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몇 가지의 설정 값들(예를 들어, 락, 재즈, 클래식 등)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LCD에서 메뉴 트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해당 메뉴들 중에서 원하는 설정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프로세서의 연산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주며, 이에 프로세서의 자원이 많이 확보되어 해당 남은 프로세서 자원들을 다른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프로세서의 연산량이 감소함으로 인하여 전류 소모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를 IC화함에 있어서, 제약이 되는 소자들을 제거하여 IC화함과 동시에 각 부품들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전체 회로의 면적을 크게 감소시키며, 또한 MSM 칩과 같은 다기능 칩에 하나의 파트로 삽입할 수도 있어 더욱더 그 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하드웨어에서 소비하는 전류량은 크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스테레오 그래픽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요소들을 하드웨어로 구현하고 해당 하드웨어의 제어만을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프로세서의 역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그 전류의 소모량을 적도록 하고 메모리 용량도 적도록 함과 동시에, IC화하는데 제약이 되는 소자들을 제거하여 IC화하기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Graphic Equalizer) 회로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이퀄라이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있어 디지털 가변 저항부(Digital Potentiometer)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2에 있어 공진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로세서 20-1, 20-2 : 이퀄라이저
OP1, OP2 : 오피 앰프(OP Amp)
21-1 ~ 21-n : 디지털 가변 저항부
22-1 ~ 22-n : 공진부 23 : 제어부
30 : 오디오 앰프

Claims (7)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설정 값을 부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부여한 설정 값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주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이퀄라이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나타나는 이퀄라이저 UI(User Interface) 또는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 가지의 설정 값 조합을 미리 생성시켜 저장해 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된 설정 값 조합들을 메뉴 트리로 구성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에 의해 희망하는 설정 값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오피 앰프와;
    상기 오디오 앰프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감쇄하는 제2오피 앰프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저항 값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저항 값에 따라 상기 제1오피 앰프를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디지털 가변 저항부와;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신호 레벨 조절에 따라 신호 크기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의 공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는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가변 저항 부분을 디지털화하여 상기 프로세서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는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를 다수 단계로 설정하여 상기 각 공진부의 신호 레벨을 다수 단계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각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 차 디코더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수 차 디코더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를 조절하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디지털 가변 저항부의 중앙 탭 위치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오피 앰프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다수 개로 구현되어 상기 각 디지털 가변 저항부와 연결하여 다수 개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KR1020040042530A 2004-06-10 2004-06-1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KR10058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30A KR100582417B1 (ko) 2004-06-10 2004-06-1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30A KR100582417B1 (ko) 2004-06-10 2004-06-1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69A true KR20050117269A (ko) 2005-12-14
KR100582417B1 KR100582417B1 (ko) 2006-05-22

Family

ID=3729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30A KR100582417B1 (ko) 2004-06-10 2004-06-1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30B1 (ko) * 2007-10-24 2009-06-15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6570B1 (ko) * 2007-12-2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40B1 (ko) 2012-06-20 2014-09-30 한국영상(주) 모듈형 음향 시스템용 오디오 믹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30B1 (ko) * 2007-10-24 2009-06-15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6570B1 (ko) * 2007-12-2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417B1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4864B1 (en) Adaptive speaker compensation system for a multimedia computer system
JP5265374B2 (ja) 電子機器用の等化器インターフェース
CN106658298A (zh) 低音增强处理电路及终端设备
EP2790181B1 (en) Timbre selector, musical instrument, and timbre selecting method
KR1005824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이퀄라이저 회로
US8793298B2 (en) Reconfigurable digital signal filter processor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US20040179700A1 (en) Filter circuit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N115623372A (zh) 耳机及耳机音效的调节方法
CN104376846A (zh) 一种语音调节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936227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6525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 amplifier
KR10042637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 주파수 특성 조정장치
US20080207175A1 (en) Communication notification setting method
RU2292126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настройки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регулятор
US20240107231A1 (en) Filters and filter chains
KR100617834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에서 그래픽 이퀄라이저 표시방법
JP5703944B2 (ja) イコライザ、イコライザ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285432B2 (ja) グラフィック・イコライザ装置
KR101054818B1 (ko) 음성 출력 시 노이즈 저감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4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
KR1007553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902030B1 (ko) 음향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214634B2 (ja) 音質調整回路
CN117755219A (zh) 仪表音管理控制电路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